KR20170001960U -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1960U KR20170001960U KR2020150007749U KR20150007749U KR20170001960U KR 20170001960 U KR20170001960 U KR 20170001960U KR 2020150007749 U KR2020150007749 U KR 2020150007749U KR 20150007749 U KR20150007749 U KR 20150007749U KR 20170001960 U KR20170001960 U KR 2017000196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cap
- stopper
- protrusion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forming a part of a removable closure, e.g. gripping teeth,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홀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캡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캡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환이 수용되도록 하부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환 안착면을 구비하는 환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함몰부에 안착되는 환을 제외한 나머지 환을 제거하도록, 상기 함몰부를 향해 돌출되는 격벽을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캡에서 정량이 토출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환의 개수를 확인하지 않고 환을 정량만큼 복용할 수 있고, 환이 정량 토출되어, 환의 초과분이 토출되지 않아 복용자의 손에 접촉됨으로써 환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캡에서 정량이 토출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환의 개수를 확인하지 않고 환을 정량만큼 복용할 수 있고, 환이 정량 토출되어, 환의 초과분이 토출되지 않아 복용자의 손에 접촉됨으로써 환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설정된 개수의 환이 토출될 수 있는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제, 비타민제, 홍삼정 등과 같은 약제는 입체 형상의 알약 또는 환약(이하, "환"이라 함)형태로 제조되고, 그 효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고 과용을 막기 위해 정량을 규칙적으로 복용하게 된다.
이러한 알약은 소정의 보관용기에 수용시킨 상태로 판매되는데, 종래의 알약보관용기는 다수의 알약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투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 되는 용기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환을 위해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캡을 개방시킨 후에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환을 손바닥 상으로 인출하여 복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경우에 복용자는 정량의 알약을 복용하기 위해 손바닥 상으로 인출된 알약의 개수를 일일이 세어 정량을 초과하는 분량을 다시 용기 본체 내로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복용자의 손바닥 상으로 인출된 초과분의 환을 용기에 넣는 과정에서 환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고안은 일측면으로서, 복용하고자 하는 정량의 환이 토출될 수 있는 용기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홀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캡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캡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환이 수용되도록 하부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환 안착면을 구비하는 환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함몰부에 안착되는 환을 제외한 나머지 환을 제거하도록, 상기 함몰부를 향해 돌출되는 격벽을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격벽은 상기 마개부의 이동시 상기 환 안착면에 수용된 환 중에서 상기 함몰부에 안착된 환은 이탈시키지 않고 나머지 환은 이탈시키도록, 단부가 상기 함몰부에 안착된 환의 상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함몰부는 구의 일부형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환이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가 상기 환 안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환 안착부는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원호 형상의 1개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격벽은 상기 마개부를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를 외부로 개방시, 상기 함몰부 전부를 통과하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토출구는 상기 마개부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격벽과 접촉하여 정지시 복수개의 상기 함몰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환 안착면은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와 인접한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단부와 상기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환이 통과되지 않도록 환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환 안착면에 안착된 환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환을 제외한 환이 상기 환 안착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본체는 상기 토출구의 제1 내주면의 양측에 상기 함몰부를 향해 돌출되는 유입방지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환 안착면에 안착된 환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환을 제외한 다른 환이 상기 환 안착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 안착부는 상기 환 안착면의 양측에 상기 캡본체의 하부면을 향해 돌출되는 유입방지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개부가 상기 캡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마개부는 하단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마개부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1 돌출부가 삽입되고 직선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홀과, 상기 제1-2 홀이 삽입되고 직선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2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마개부는 하단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삽입된 탄성부재의 전단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환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전술한 정량 토출 용기캡을 포함하는 정량 토출 용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캡에서 정량이 토출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환의 개수를 확인하지 않고 환을 정량만큼 복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이 정량 토출되어, 환의 초과분이 토출되지 않아 복용자의 손에 접촉됨으로써 환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개부에 캡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X'에서의 마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X-X'에서의 캡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 안착부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환 안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캡에서 마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각도를 달리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에서 마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0은 마개부에 캡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X-X'에서의 정량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에서 마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2는 마개부에 캡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13은 도 1의 X-X'에서의 정량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개부에 캡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X'에서의 마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X-X'에서의 캡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 안착부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환 안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캡에서 마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각도를 달리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에서 마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0은 마개부에 캡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X-X'에서의 정량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에서 마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2는 마개부에 캡본체가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13은 도 1의 X-X'에서의 정량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정량 토출 용기캡(100) 및 정량 토출 용기(200)를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200)는 환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210)와, 상기 용기 본체(210)와 결합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10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캡(100)은 홀 형상의 토출구(111)가 형성되는 캡본체(110)와, 상기 토출구(111)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캡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함몰부(132)를 향해 돌출되는 격벽(121)을 구비하는 마개부(120) 및, 상기 마개부(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환이 수용되도록 하부로 함몰되는 함몰부(132)가 형성된 환 안착면(131)을 구비하는 환 안착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개부(120)는 상기 캡본체(110)와 결합하고, 하단에 결합된 캡본체(110)에 형성되는 토출구(111)를 관통하는 격벽(121)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121)은 상기 마개부(120)와 상기 캡본체(110)가 결합시 상기 마개부(120)의 상부면(124)에서 상기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토출구(111)를 관통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마개부(120)는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마개부(120)와 결합하는 상기 캡본체(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격벽(121)은 원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개부(120)는, 상기 캡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후술할 상기 캡본체(110)의 제1 홀(114, 115)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개부(120)는 상기 캡본체(110)에서 내부에 탄성부재(113)를 수용하는 저장부(112)에 삽입되도록 상기 마개부(120)의 상부면(124)에서 상기 캡본체(11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돌출부(123)는 상기 마개부(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저장부(112)에서 탄성부재(113)의 전단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캡본체(110)는 상기 마개부(120)와 결합시, 상기 격벽(121)이 삽입되는 토출구(11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11)는 상기 캡본체(110)의 상부면(117)에 형성되는 홀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11)는 상기 마개부(120)가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111)가 외부로 노출시, 환(B)이 안착되는 함몰부(132)가 또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함몰부(132)가 형성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132)의 상부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일 예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예에 의한 함몰부(132)가 원 기둥 형상의 상기 환 안착부(130)에서 외측면(134)과 인접하게 원호 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개부(120)가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111)가 외부로 노출시 상기 함몰부(132) 또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토출구(111)는 상기 함몰부(132)의 상부에서 상기 캡본체(110)의 외주면(118)에 인접하고 설정된 폭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출구(111)에서 상기 마개부(120)가 이동시 상기 격벽(121)과 접촉하는 제1 내주면(111a)은 상기 토출구(111)가 개방시 상기 함몰부(1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마개부(120)가 개방시 상기 격벽(121)의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다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구(111)는 상기 함몰부(132)의 전부를 노출시키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함몰부(13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형상도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본체(110)는 상기 마개부(120)가 상기 캡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전술한 상기 마개부(120)의 상기 제1 돌출부(122)가 삽입되는 제1 홀(114, 115)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돌출부(122)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1 돌출부(122a)와 제1-2 돌출부(122b)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1 홀(114, 115)은 상기 제1-1 돌출부(122a)와 상기 제1-2 돌출부(122b)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마개부(12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각각 서로 이격되며 직선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 홀(114)과 제1-2 홀(115)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돌출부(122)는 상기 제1 홀(114, 115)에 삽입시 상기 제1 홀(114, 11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122)가 상기 제1 홀(114, 115)에 삽입되어 이탈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제1 홀(114, 115)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본체(110)는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13)가 삽입되는 저장부(1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120)의 제2 돌출부(123)는 상기 저장부(112)에서 상기 탄성부재(113)의 전단에 삽입되어, 상기 마개부(12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마개부(120)는 상기 토출구(11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마개부(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11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마개부(120)가 상기 토출구(111)를 폐쇄한다.
즉,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1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돌출부(123)가 상기 마개부(120)를 폐쇄하는 방향, 도면상으로 우측 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상기 마개부(120)가 상기 토출구(111)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마개부(120)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상부면(124a)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마개부(120)는 이동하고, 환의 토출이 종료된 후에 손가락 등을 떼어 외력이 제거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11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돌출부(123)는 도면상으로 우측으로 외력을 받아 상기 마개부(120)가 상기 토출구(111)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본체(110)는 상기 환 안착부(130)에 안착된 환을 외부로 토출시킬 때, 상기 용기 본체(210)에서 환이 역류하여 상기 환 안착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입방지벽(116)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입방지벽(116)은 일측이 상기 캡본체(110)에 고정되어 상기 캡본체(110)에서 상기 함몰부(132)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있다.
또한, 도 6, 도 9,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유입방지벽(116)은 상기 마개부(120)가 이동하여 상기 격벽(121)이 제1 내주면(111a)에 접촉시, 상기 격벽(121)과 상기 유입방지벽(116) 사이로 환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격벽(121)의 양측에서 상기 격벽(121)과 상기 유입방지벽(116) 사이의 거리가 환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방지벽(116)은 상기 유입방지벽(116)과 상기 캡본체(110)의 외주면(118)과의 사이로 환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본체(110)의 외주면(118)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방지벽(116)은 상기 캡본체(110)의 상부면(117)에서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경우, 단부가 상기 환 안착면의 상부면(133)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방지벽(116)의 단부가 상기 환 안착면의 상부면(133)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유입방지벽(116)의 단부와 상기 환 안착면의 상부면(133)의 간격은 환의 크기(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방지벽(116)은 상기 용기 본체(210)를 사용자가 거꾸로 들어, 중력에 의해 환이 정량 토출 용기캡(100)으로 유입시, 환이 함몰부(1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유입방지벽(116)의 위치는 상기 격벽(121)의 양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지만, 환의 크기, 상기 토출구(111)의 크기, 상기 격벽(121)의 길이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입방지벽(116)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환 안착면(131)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환이 상기 용기 본체(210)에서 환이 함몰부(1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7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 안착부(130)는 상기 캡본체(110)와 결합하는 상기 환 안착부(130)의 외주면(134)과, 일측은 상기 외주면(134)에 고정되고 환이 수용되도록 상부면(133)에서 하부로 함몰되는 함몰부(132)를 가지는 환 안착면(13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면(133)은 상기 환 안착면(131)에서 함몰부(132)를 제외한 영역이고, 상기 함몰부(132)는 상기 상부면(133)에서 하부로 함몰되는 영역으로, 상기 함몰부(132)와 상기 상부면(133)은 동일한 평면에서 서로 연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함몰부(132)는 일 실시예로 구의 일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함몰부(132)는 상기 환의 형상에 따라 환이 안착되기 용이하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함몰부(132)는 복수개의 환이 상기 환 안착면(131)에 안착되도록, 복수개가 상기 환 안착면(131)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개의 함몰부(132)는 상기 환 안착부(130)의 외주면(134)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외주면(13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주면(134)을 따라 원호 형상의 1개의 열을 형성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121)은 상기 마개부(120)가 이동시 상기 환 안착면(131)에 수용된 환 중에서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은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을 제외한 나머지 환은 제거하기 위해, 단부가 상기 함몰부(132)에 수용된 환의 상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121)의 단부는 환의 지름 등에 의해 가변될 수 있으나 단부가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격벽(121)이 이동하여 환과 접촉하여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 및 나머지 환은 상기 격벽(121)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시켜 상기 용기 본체(210)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환 안착면(131)과 상기 토출구(1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121)은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을 제외하고 환 안착면(131)에 수용된 나머지 환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함몰부(132)가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형성된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을 제외하고 나머지 환을 전부 제거하기 위해 함몰부(132)가 형성된 영역을 모두 통과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함몰부(132)는 5개가 원호 형상으로 1개의 열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을 제외한 나머지 환을 상기 안착면에서 제거하기 위해, 상기 격벽(121)은 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며 양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함몰부(132) 중에서 양단부에 위치하는 함몰부(132a)도 통과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본체(110)와 환 안착부(130)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상기 환 안착부(130)와 용기본체(210) 또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캡(100)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20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마개부(120)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개부(120)는 상기 탄성부재(113)에 의해 상기 제2 돌출부(123)가 상기 저장부(112) 내부에서 외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토출구(11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환을 토출하기 위해, 정량 토출 용기캡(100)을 하부로 위치시키면 중력에 의해 상기 정량 토출 용기캡(100)으로 환이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정량 토출 용기캡(100)을 다시 상부로 위치시키고, 상기 용기 본체(210)를 하부로 위치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량 토출 용기캡(100)으로 유입된 복수개의 환 중에서 일부는 상기 환 안착면(131)의 상부에 잔류하고, 나머지는 상기 용기 본체(210)로 낙하한다.
여기서, 상기 환 안착면(131)의 상부에 잔류하는 복수개의 환 중 일부는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되고, 나머지 환은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되는 환의 상부에 적층되거나, 상기 상부면(133)의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마개부(120)의 상부면을 손가락으로 미는 등 외력을 가하면, 상기 마개부(120)는 상기 토출구(1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격벽(121)은 상기 단부가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격벽(121)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을 제외한 나머지 환, 즉,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환과, 상기 상부면(133)에 위치하는 환을 상기 환 안착부(130)에서 이탈시켜, 상기 용기 본체(210) 내부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캡(100)에는 상기 함몰부(132)에만 환이 안착되어 설정된 개수의 환만이 수용된다.
그 후에, 사용자는 상기 마개부(120)에 외력을 가한 상태로, 정량 토출 용기(200)를 거꾸로 들어 용기 본체(210)를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정량 토출 용기캡(100)을 하부에 위치시키면, 중력에 의해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이 상기 토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210)에 의해 수용된 환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정량 토출 용기캡(100)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격벽(121)과 상기 유입방지벽(116)에 의해 상기 환 안착면(131)으로 유입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격벽(121)과 상기 환 안착면의 상부면(133) 사이로 환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격벽(121)의 단부와 상기 환 안착면의 상부면(133) 사이의 간격(d)은 환의 크기(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 토출 용기(200)는 상기 함몰부(132)에 안착된 환만이 외부로 배출되어, 설정된 개수의 환을 외부로 토출시킬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정량 토출 용기캡
110: 캡본체
111: 토출구
111a: 제1 내주면
112: 저장부
113: 탄성부재
114: 제1-1 홀
115: 제1-2 홀
116: 유입방지벽
120: 마개부
121: 격벽
122: 제1 돌출부
122a: 제1-1 돌출부
122b: 제1-2 돌출부
123: 제2 돌출부
130: 환 안착부
131: 환 안착면
132: 함몰부
132a: 최 외곽 함몰부
200: 정량 토출 용기
210: 용기 본체
110: 캡본체
111: 토출구
111a: 제1 내주면
112: 저장부
113: 탄성부재
114: 제1-1 홀
115: 제1-2 홀
116: 유입방지벽
120: 마개부
121: 격벽
122: 제1 돌출부
122a: 제1-1 돌출부
122b: 제1-2 돌출부
123: 제2 돌출부
130: 환 안착부
131: 환 안착면
132: 함몰부
132a: 최 외곽 함몰부
200: 정량 토출 용기
210: 용기 본체
Claims (12)
- 홀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캡본체;
상기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캡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환이 수용되도록 하부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환 안착면을 구비하는 환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함몰부에 안착되는 환을 제외한 나머지 환을 제거하도록, 상기 함몰부를 향해 돌출되는 격벽을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마개부의 이동시 상기 환 안착면에 수용된 환 중에서 상기 함몰부에 안착된 환은 이탈시키지 않고 나머지 환은 이탈시키도록, 단부가 상기 함몰부에 안착된 환의 상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구의 일부형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환이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가 상기 환 안착면에 형성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 안착부는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원호 형상의 1개의 열을 형성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마개부를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를 외부로 개방시, 상기 함몰부 전부를 통과하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마개부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격벽과 접촉하여 정지시 복수개의 상기 함몰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 안착면은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와 인접한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단부와 상기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환이 통과되지 않도록 환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 안착면에 안착된 환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환을 제외한 환이 상기 환 안착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본체는 상기 토출구의 제1 내주면의 양측에 상기 함몰부를 향해 돌출되는 유입방지벽을 포함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가 상기 캡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마개부는 하단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홀이 형성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마개부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1 돌출부가 삽입되고 직선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 홀과, 상기 제1-2 홀이 삽입되고 직선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2홀을 포함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마개부는 하단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삽입된 탄성부재의 전단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정량 토출 용기캡. - 환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제1항 내지 제11항의 정량 토출 용기캡;을 포함하는 정량 토출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749U KR200484105Y1 (ko) | 2015-11-26 | 2015-11-26 |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 |
CN201621276296.0U CN206231888U (zh) | 2015-11-26 | 2016-11-25 | 定量吐出容器盖、具备该定量吐出容器盖的定量吐出容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749U KR200484105Y1 (ko) | 2015-11-26 | 2015-11-26 |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1960U true KR20170001960U (ko) | 2017-06-05 |
KR200484105Y1 KR200484105Y1 (ko) | 2017-07-31 |
Family
ID=5898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749U KR200484105Y1 (ko) | 2015-11-26 | 2015-11-26 |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105Y1 (ko) |
CN (1) | CN206231888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4005B1 (ko) | 2018-01-09 | 2018-08-31 |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 버튼식 디스펜서 용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0757A (ja) * | 1996-03-06 | 1997-09-16 | Towa Kagaku Kogyo Kk | 携帯用粒状体ケース |
JP2008247437A (ja) * | 2007-03-30 | 2008-10-16 | Yoshino Kogyosho Co Ltd | 錠剤ケース |
JP2010105746A (ja) * | 2002-12-26 | 2010-05-13 | Shinko Hanger Co Ltd | 粒状物質の携帯容器 |
JP2011178417A (ja) * | 2010-02-26 | 2011-09-15 | Yoshino Kogyosho Co Ltd | 容器 |
-
2015
- 2015-11-26 KR KR2020150007749U patent/KR200484105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11-25 CN CN201621276296.0U patent/CN206231888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0757A (ja) * | 1996-03-06 | 1997-09-16 | Towa Kagaku Kogyo Kk | 携帯用粒状体ケース |
JP2010105746A (ja) * | 2002-12-26 | 2010-05-13 | Shinko Hanger Co Ltd | 粒状物質の携帯容器 |
JP2008247437A (ja) * | 2007-03-30 | 2008-10-16 | Yoshino Kogyosho Co Ltd | 錠剤ケース |
JP2011178417A (ja) * | 2010-02-26 | 2011-09-15 | Yoshino Kogyosho Co Ltd | 容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6231888U (zh) | 2017-06-09 |
KR200484105Y1 (ko) | 2017-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81031B2 (en) | Dispensing device | |
EP1355561B1 (en) | Detergent dispenser system | |
KR101183427B1 (ko) |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 |
US6701944B2 (en) | Detergent dispenser system | |
KR100978528B1 (ko) | 알약 정량배출장치 | |
CN101370720A (zh) | 防止儿童使用的分配器 | |
US9834367B1 (en) | Medicine bottle cap | |
US10479588B2 (en) | Combination medicine containers and dispensers | |
EP1140656A1 (fr) | Distributeur d'objets | |
US3863804A (en) | Medicament-dispensing container | |
KR101663206B1 (ko) | 디스펜서 | |
KR102340682B1 (ko) | 물체를 계수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 | |
KR101652152B1 (ko) | 가변 디비전 블록을 구비한 정제 캐니스터 | |
KR101467986B1 (ko) | 약제 포장장치용 조립식 카트리지 | |
KR200484105Y1 (ko) |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 | |
IE52643B1 (en) | Medicament dispensing container | |
CN115610855A (zh) | 分配装置 | |
KR101765753B1 (ko) |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 |
EP3580143B1 (en) | Dispenser | |
US20070289985A1 (en) | Small item dispenser with maze | |
KR101440916B1 (ko) | 알약 정량배출 용기 | |
KR100578035B1 (ko) |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 |
KR101964020B1 (ko) | 정량배출 구조가 확보된 의약품 용기의 용기마개 | |
KR100588530B1 (ko) | 일정량 배출 가능한 용기 | |
JP7248536B2 (ja) | 錠剤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