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753B1 -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753B1
KR101765753B1 KR1020100136792A KR20100136792A KR101765753B1 KR 101765753 B1 KR101765753 B1 KR 101765753B1 KR 1020100136792 A KR1020100136792 A KR 1020100136792A KR 20100136792 A KR20100136792 A KR 20100136792A KR 101765753 B1 KR101765753 B1 KR 10176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ressing
rotation
plung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836A (ko
Inventor
유영복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0013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7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3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being a follower-piston and the dispensing means comprising a hand-operated pressure-device at the opposite par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내용물을 소정의 분량으로 나누어 패키지 형태로 담아 보관하고, 사출하는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이에 내용물 취출공간을 형성하는 상판부와 하판부를 포함하되, 상판부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거치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거치홀에 거치되며 내용물을 수용하되, 하부 끝단이 개구되어 상기 취출공간과 연통하는 베럴부와 상기 베럴부 내부를 이동하여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취출공간으로 사출시키는 플런저부를 구비하는 내용물 사출부; 상기 상판부의 중심부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거치홀위에 위치하며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내용물 사출부의 플런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회동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게 전체 내용물을 1회 사용분으로 나누어 보관하고 사출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1회 사용분 사출후 내용물의 잔여가 발생하지 않아, 잔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Rotable Package Dispenser for the contents}
본 발명은 디스펜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체 내용물을 소정의 분량으로 나누어 패키지 형태로 담아 보관하고, 사출하는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체 내용물을 보관하고, 사용시마다 필요한 정량만큼 사출시키는 장치를 디스펜서 장치라 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 장치는 사출시 마다, 내용물이 사출구 부근에 남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젤 타입의 점성이 높은 내용물의 경우, 정량 사출후, 사출구 부근에 많은 잔여물이 남게 된다. 이러한 잔여물들은 대기 중에 노출되어 세균 번식, 부패등의 위험이 있고, 나아가 전체 내용물을 오염시킬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용물에 방부제를 첨가하여 부패를 방지하거나, 세균 번식을 막는 물질을 첨가하기도 한다.
특히,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은 일정한 사용기간이 존재하고, 대부분 크림이나 젤타입으로 구성되어 피부에 직접 바르는 것이기 때문에, 부패방지 및 세균 번식 방지를 위해 방부제와 같은 첨가물을 넣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제품 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방부제나 첨가제를 넣지 않는 천연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화장품은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일정한 정량을 사용해야 효과가 나타나는 화장품을, 일정한 사용기간 동안 오염없이 사용하기 위한 보관 및 사출 수단을 구성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전체 내용물을 보관하고 사용시마다 필요한 정량만큼 사출시키는 디스펜서 장치의 경우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천연 화장품이 담겨 있는 상태에서, 사출구에 남은 잔여물의 1차 오염 이후에, 보관된 화장품에 2차 오염이 쉽게 일어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정 사용기간 동안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펜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부제 및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은 내용물을 사용함에 있어서, 내용물의 사용기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이에 내용물 취출공간을 형성하는 상판부와 하판부를 포함하되, 상판부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거치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거치홀에 거치되며 내용물을 수용하되, 하부 끝단이 개구되어 상기 취출공간과 연통하는 베럴부와 상기 베럴부 내부를 이동하여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취출공간으로 사출시키는 플런저부를 구비하는 내용물 사출부; 상기 상판부의 중심부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거치홀위에 위치하며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내용물 사출부의 플런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회동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는 원형의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내용물 사출부에는 전체 내용물 용량중, 1회 사용분량에 해당하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럴부의 하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럴부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플런저부의 하면에는 원추형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베럴부는 투명소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럴부의 하부 끝단면에는 +자 형태로 절개되어 개폐절편을 형성하는 탄성 캡부재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부판의 중심부에 고정되게 결합하며, 외주면를 따라 소정의 치형(齒形)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고정부; 외측에는 상기 가압부가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소정의 치형(齒形)을 가지되 탄성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걸림부가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걸림부는 상기 소정의 걸림부와 맞물려 상기 가압부의 회동을 구속하고, 외부 회전력이 부가되면, 탄성변형하여 상기 소정의 고정 걸림부를 넘어 인접한 걸림부에 맞물릴 때까지 상기 가압부의 1회 회동을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의 1회전은 상기 가압부의 14회 회동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1회 회동시마다, 플런저부를 가압할 수 있게 하우징의 거치홀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탄성 걸림부의 치형(齒形)은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 방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는 전체 내용물을 1회 사용분으로 나누어 보관하고 사출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1회 사용분 사출후 내용물의 잔여가 발생하지 않아, 잔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이 끝난 내용물 사출부를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사출하여 사용한 내용물과 잔존 내용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내용물의 사용기간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 사출부를 원형으로 배치하고, 회동 가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사출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신선한 조작감을 줄 수 있으며, 내용물의 사용기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용이하게 사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의 일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상부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회동 가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회동 가압수단이 플런저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탄성 캡부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1 에서 도시한 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의 일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거치홀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내용물을 수용하고 사출하는 내용물 사출부(200)와, 상기 내용물 사출부(200)를 가압하는 회동 가압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하우징(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10)은 상판부(110)와 하판부(120)가 기둥부(130)에 의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술될 내용물 사출부(200)를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판부(110)와 하판부(120)는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판부(110)와 하판부(120) 사이는 내용물 취출공간으로 활용된다. 도 1에서는 상판부(110) 및 하판부(120)를 원판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 또는 다각, 타원 등의 다양한 외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상부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110)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거치홀(111)이 형성된다. 이 거치홀(111)은 상하방향으로 상판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후술될 내용물 사출부(200)의 베럴부(210)가 거치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14개의 거치홀(111)이 원형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크기는 베럴부(210)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거치홀(111) 위에는 후술될 회동 가압수단(300)이 위치하게 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부(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각의 거치홀(111)에 대응되게 거치홀(111)을 식별하는 숫자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하판부(120)는 기둥부(130)와 연결되어 베럴부(210)가 거치된 상판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판부(110)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기둥부(130)는 상판부(110) 및 하판부(120)를 연결하는 부재로 다수개가 내용물 사출부(200)의 둘레를 따라 결합하여 형성되되, 취출공간으로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출입 가능하게 최소한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거치된 내용물 사출부(200)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내용물 사출부(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내용물 사출부(200)는 상술한 거치홀(111)에 거치되어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취출공간으로 수용된 내용물을 사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1에서 회동 가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회동 가압수단이 플런저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탄성 캡부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내용물 사출부(200)는 베럴부(210)와 플런저부(220)로 구성되며,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럴부(210)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거치홀(111)에 거치되도록 외형을 가지는 원통형 부재이다. 베럴부(210)의 상면은 개방되어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베럴부(210)의 하면 또한,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럴부(210)의 상면은 거치홀(111)을 통과하여 상판부(110)에 걸쳐지도록 단턱부(2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베럴부(210)의 하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수용된 내용물을 정량적으로 원활하게 유출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베럴부(210)의 하부 끝단면에는 +자 형태로 절개되어 4개의 개폐절편(231,232,233,234)을 형성하는 탄성 캡부재(2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절편(231,232,233,234)은 외력이 없을 시에는, 베럴부(210) 하단을 패쇄 상태로 유지시키고, 베럴부(210) 내부에서 플런저부(220)가 이동하여 외력이 발생할 경우, 개폐절편(231,232,233,234)이 상호 벌어지면서 베럴부(210) 하단을 일정부분 개방하여, 수용된 내용물을 사출하는 기능을 한다.
내용물 사출부(200)가 거치홀(111)에 거치되기전 최초상태에는, 상기 탄성 캡부재(230) 이외에, 베럴부(210) 하단을 패쇄하는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는 내용물 사출부(200)을 개봉하여, 거치홀(111)에 거치하기 전에 제거하는 부재이다.
한편, 하나의 베럴부(210)에는 내용물 전체 용량중 1회 사용분에 해당하는 정량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4일 사용하여야 하는 화장품의 경우, 1일 1회 사용분을 14개의 베럴부(210)에 각각 수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내용물 전체 사용량과 1회 사용분을 참조하여 내용물 사출부(200)와 거치홀(111)의 개수를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
상기 플런저부(220)는 상술한 베럴부(21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베럴부(2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플런저부(220)는 베럴부(210) 내벽에 밀착되어 구성되며, 밀착이 용이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플런저부(220)는 베럴부(210) 상면에서 삽입되어 개재되고, 베럴부(210)의 상면은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사용전에는 플런저부(2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플런저부(220)의 하면에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베럴부(210)의 하부에 대응하여 개재되도록, 원추형 돌기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추형 돌기부(221)로 인하여, 플런저부(22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베럴부(210)의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남기지 않고 사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회동 가압수단(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회동 가압수단(300)은 상술한 내용물 사출부(200)의 플런저부(220)를 가압하여 베럴부(2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출공간(S)으로 사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회동 가압수단(300)은 상판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각각의 거치홀(111) 위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회동 가압수단(300)은 본체부(310)와 가압부(320)로 구성되며, 본체부(310)는 상판부(110)의 중심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본체부(31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부(110) 중심부에 고정결합하는 고정부(311)와 상기 고정부(31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312)로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부(312)와 고정부(311)는 중심을 공유하는 원형의 부재로 회전부(312)가 고정부(311)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고정부(311)의 외주면에는 둥근 형태의 치형(齒形)을 가지는 걸림부(311a)가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걸림부(311a)는 모두 14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걸림부(311a) 사이의 오목한 부분의 중심이 상판부(110)의 거치홀(11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고정부(311)가 상판부(110)에 고정 결합된다.
도 6에서 도시한 R1,R2,R3 등이 거치홀(1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중심선이다.
회전부(312)는 외측에 전술한 가압부(320)가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는 탄성변형하는 치형(齒形)을 가지는 다수개의 탄성 걸림부(312a)가 형성된다. 탄성 걸림부(312a)는 고정부(311)의 외주면 방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 걸림부(312a)는 고정부(311)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상술한 걸림부(311a)와 대응되게 모두 14개가 형성되며 걸림부(311a)와 맞물려 회전부(312)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회전부(312)는 고정부(311)와 달리, 상판부(110)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지만, 걸림부(311a)와 탄성 걸림부(312a)가 맞물리고 별도의 외력이 부가되지 않는 한,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며, 일정한 외부 회전력이 부가되면 탄성 걸림부(312a)가 탄성변형하여 걸림부(311a)를 넘어 인접한 걸림부(311a)에 맞물릴 때까지 가압부(320)가 1회 회동하게 허여하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부(312)를 사용자가 일정한 회전력을 부가하여 회전 조작하면, 회전부(312)에 고정되어 연장 형성된 가압부(320)는 도 6의 R1->R2->R3를 기준으로 위치하도록 단계적으로 1회 회동을 반복함으로써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부(312)가 1회전하는 경우, 가압부(320)는 14회 회동을 하게 되며, 각 회동 때마다 해당하는 거치홀(111)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가압부(320)는 해당 거치홀(111)에 거치된 내용물 사출부(200)의 플런저부(22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압부(320)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322)와 상기 몸체부(322)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결합하는 가압로드(3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322)는 원통형 외형을 가지며, 가압로드(321)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다. 가압로드(321)에는 외주면 둘레에 이동 제한부(321a)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동 제한부(321a)는 몸체부(322) 내측 상면에 접하여 가압로드(321)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상향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한편, 이동 제한부(321a)에 걸치도록 가압로드(321)에는 탄성부재(323)가 끼워진다. 탄성부재(323)는 일단은 이동 제한부(321a)에 걸쳐지고 타단은 몸체부(322) 내측 하면에 걸쳐짐으로써, 하향하는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대항하여 상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부(312) 또는 회전부(312)에 연결된 가압부(320)를 회전조작하면, 해당 내용물 사출부(200)가 거치되어 있는 거치홀(111) 위에 가압부(320)가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로드(321)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내용물 사출부(200)의 플런저부(220)가 하향하여 이동한다.
이로써, 플런저부(220)는 베럴부(2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취출공간으로 사출되도록 가압하고, 베럴부(210)의 내압이 증가하면 탄성 캡부재(230)가 절취되어 내용물이 사출된다.
내용물 사출후, 사용자가 누름동작을 끝내면, 가압로드(321)는 탄성부재(323)의 복원력에 의해 상향하여 베럴부(210) 내부를 빠져나가게 될 것이고 다른 내용물 사출부(200)를 가압하기 위하여 회동을 대기하는 상태가 될 것이다.
내용물을 방부제나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은 천연 화장품이라고 가정하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품을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내용물 사출부(200)에는 각각 1일 사용분씩 나누어 수용시킨 상태일 수 있으며, 모두 14개의 내용물 사출부(200)을 가지는 본실시예는 14일 동안 사용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디스펜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상판부
120 : 하판부 130 : 기둥부
200 : 내용물 사출부 210 : 베럴부
220 : 플런저부 221 : 원추형 돌기부
230 : 탄성 캡부재 300 : 회동 가압수단
310 : 본체부 320 : 가압부
321 : 가압로드 322 : 몸체부
323 : 탄성부재

Claims (11)

  1. 사이에 내용물 취출공간을 형성하는 상판부와 하판부를 포함하되, 상판부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거치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거치홀에 거치되며 내용물을 수용하되, 하부 끝단이 개구되어 상기 취출공간과 연통하는 베럴부와 상기 베럴부 내부를 이동하여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취출공간으로 사출시키는 플런저부를 구비하는 내용물 사출부;
    상기 상판부의 중심부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거치홀 위에 위치하며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내용물 사출부의 플런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회동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판부의 중심부에 고정되게 결합하며, 외주면를 따라 소정의 치형(齒形)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고정부;
    외측에는 상기 가압부가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형성된 소정의 치형(齒形)을 구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회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외부 회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원형의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사출부에는 전체 내용물 용량중, 1회 사용분량에 해당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럴부의 하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럴부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플런저부의 하면에는 원추형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럴부는 투명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럴부의 하부 끝단면에는 +자 형태로 절개되어 개폐절편을 형성하는 탄성 캡부재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구비된 상기 치형(齒形)은 탄성 변형하는 탄성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걸림부는 상기 소정의 걸림부와 맞물려 상기 가압부의 회동을 구속하고, 외부 회전력이 부가되면,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정의 고정 걸림부를 넘어 인접한 걸림부에 맞물릴 때까지 상기 가압부의 1회 회동을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1회전은 상기 가압부의 14회 회동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1회 회동시마다, 플런저부를 가압할 수 있게 하우징의 거치홀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림부의 치형(齒形)은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 방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KR1020100136792A 2010-12-28 2010-12-28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KR101765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792A KR101765753B1 (ko) 2010-12-28 2010-12-28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792A KR101765753B1 (ko) 2010-12-28 2010-12-28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836A KR20120074836A (ko) 2012-07-06
KR101765753B1 true KR101765753B1 (ko) 2017-08-23

Family

ID=4670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792A KR101765753B1 (ko) 2010-12-28 2010-12-28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47B1 (ko) * 2018-01-02 2019-03-1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조색 장치
KR102190976B1 (ko) * 2019-05-07 2020-12-16 주식회사 오에이티씨 휴대용 화장품용기
KR102339128B1 (ko) * 2019-12-27 2021-12-16 아이큐어 주식회사 피부 보호제 디스펜서
KR102318330B1 (ko) * 2021-01-22 2021-10-29 주식회사 오지헬스케어 다종의 화장품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한 피부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05Y1 (ko) * 2000-05-31 2000-11-01 허진석 화장품 자동 판매기
JP2004065467A (ja) 2002-08-05 2004-03-04 Bb Laboratories Inc 高粘度流動性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化粧用具
WO2010100231A1 (en) 2009-03-04 2010-09-10 L'oreal Device for dispensing a colouring composition for keratin fibres and associated pro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05Y1 (ko) * 2000-05-31 2000-11-01 허진석 화장품 자동 판매기
JP2004065467A (ja) 2002-08-05 2004-03-04 Bb Laboratories Inc 高粘度流動性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化粧用具
WO2010100231A1 (en) 2009-03-04 2010-09-10 L'oreal Device for dispensing a colouring composition for keratin fibres and associated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836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5075B1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RU220188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и и для ее выдачи по каплям
US8839803B2 (en) Rotationally controlled cosmetic powder dose dispenser
KR101765753B1 (ko) 회전형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KR101778328B1 (ko) 정제 카세트
US6302295B1 (en) Prescription cap with transparent daily dosage compartment
US7559436B2 (en) Small item dispenser
US3268068A (en) Contact lens apparatus
CN107264966B (zh) 具有条保持器的测试条容器及其制造和使用方法
EP3580144B1 (en) Dispenser
EP3160867B1 (en) Earplug dispenser with asymmetric mixing body
KR20130022369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US20170200339A1 (en) Earplug dispenser with stationary, funneling separator
US20070289985A1 (en) Small item dispenser with maze
US20130152515A1 (en) Tablet storage system and use thereof
KR20120110481A (ko) 버튼 조절식 분말 배출장치
KR20120029242A (ko)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KR20120003208U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JP2018519221A (ja) 殺菌インサートを有する容器
KR101926480B1 (ko) 알약 정량 배출용기
KR200484105Y1 (ko) 정량 토출 용기캡 및 이를 구비하는 정량 토출 용기
KR101707854B1 (ko) 내용물 패키지 디스펜서 장치
KR200446463Y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20120123953A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