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34A -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34A
KR20170001934A KR1020150136552A KR20150136552A KR20170001934A KR 20170001934 A KR20170001934 A KR 20170001934A KR 1020150136552 A KR1020150136552 A KR 1020150136552A KR 20150136552 A KR20150136552 A KR 20150136552A KR 20170001934 A KR20170001934 A KR 2017000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gital image
digital
dimensional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219B1 (ko
Inventor
김동진
김대진
박경자
김우현
심충섭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풀
Publication of KR2017000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221

Abstract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휴대단말에 포함되는 이미지 촬영수단을 통해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모듈, 획득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삽입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정보가 삽입된 디지털 이미지가 소정의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되면 상기 인증 시스템에 의해 상기 삽입정보의 정당성이 판단되고, 상기 삽입정보의 정당성이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가 인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Method for digital image judging and system tereof, appl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실물 촬영 또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온라인 상거래, 인터넷 뱅킹, 온라인 증명서 발급 등과 같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그 특성상 서비스를 이용할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또는 신뢰할 수 있는 거래 상대방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인인증의 경우 가장 확실한 방법은 사용자 본인이 직접 은행이나 증명서 발급기관 등에 방문하는 것이지만 직접 방문이 번거롭기 때문에 안면사진이나 자신의 신분증 기타 본인인증 수단을 스캔하거나 촬영하여 인증기관에 온라인으로 전송하고 인증기관에서는 전송된 사진을 통해 본인 확인을 수행하는 비대면 인증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비대면 인증 기술을 이용할 경우 해커 등에 의해 사진이 도용되거나 위변조되어 악용되는 문제점을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 보험사에서 주행거리나 블랙박스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도 위조된 사진을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중고 물품의 매매 시에 판매할 물건을 소지하고 있지 않음에도 타인의 사진을 도용하여 마치 자신이 해당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 것처럼 가장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또는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면 다양한 인증이나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5-0009415, "화상 이미지를 통한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인지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휴대단말의 이미지 촬영수단을 통해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모듈,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상기 객체의 실물 촬영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명활성 이미지로 획득하거나,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가 수신되면, 2차원 이미지를 조명장치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촬영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미지 특성이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에 나타나는지 여부가 판단되어 상기 인증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증시스템은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3차원 실물 객체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 및 2차원 이미지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기계학습 또는 딥러닝을 통해 상기 이미지 특성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휴대단말의 조명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객체를 촬영한 조명비활성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조명비활성 이미지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장치가 물리적으로 가려졌는지 여부 또는 상기 인증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이미지 촬영요청이 한 번 입력되더라도,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조명비활성 이미지와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복수 개 촬영하도록 상기 휴대단말을 제어하며, 소정의 각도에서 상기 객체를 촬영한 후, 상기 휴대단말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의 촬영 각도가 특정 각도로 변경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각도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 또는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각도가 선택되며,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인증과정에는 수신된 복수의 디지털 이미지의 촬영 각도의 변경 정도가 상기 특정 각도에 상응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증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되며, 객체에 표시된 사용자의 제1얼굴 이미지에 기초한 제1이미지 및 사용자의 실물 얼굴이 촬영된 제2얼굴 이미지에 기초한 제2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 또는 상기 제2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조명활성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UI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배치하여 비교되도록 하기 위한 편집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제1얼굴 이미지 및 제2얼굴 이미지로부터 특정부위를 나타내는 각각의 위치를 판단하고,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얼굴 이미지 및 상기 제2얼굴 이미지를 오버랩되도록 배치하여 비교되도록 하기 위한 편집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집모듈은 상기 제1얼굴 이미지 자체; 또는 상기 제1얼굴 이미지를 상기 제2얼굴 이미지의 이미지 속성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한 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로 이용하거나, 상기 제2얼굴 이미지 자체 또는 상기 제2얼굴 이미지를 상기 제1얼굴 이미지의 이미지 속성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한 이미지를 상기 제2이미지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휴대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이미지 획득수단들 각각을 통해 동시에 또는 일정 시간차 이내로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휴대단말의 이미지 촬영수단을 통해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모듈,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상기 객체의 실물 촬영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촬영되는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촬영한다.
또한, 연속하여 촬영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에는 조명활성 이미지와 조명비활성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이미지 촬영요청이 한 번 입력되더라도,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휴대단말의 이미지 촬영수단을 통해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모듈 및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획득되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명활성 이미지로 획득하거나,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촬영되는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촬영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은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모듈 및 상기 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며,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연속하여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은 2차원 이미지를 조명장치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촬영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미지 특성이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에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은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3차원 실물 객체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 및 2차원 이미지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기계학습 또는 딥러닝을 통해 상기 이미지 특성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획득모듈은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휴대단말의 조명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영된 조명비활성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조명비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은 휴대단말로부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수신모듈 및 상기 이미지 수신모듈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상기 객체의 실물 촬영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며,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연속하여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은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이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2차원 이미지를 조명장치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촬영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미지 특성이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에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이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3차원 실물 객체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 및 2차원 이미지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기계학습 또는 딥러닝을 통해 상기 이미지 특성을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휴대단말의 조명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영된 조명비활성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조명비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며,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연속하여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은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이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연속하여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촬영시에 조명장치가 물리적으로 가려져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속하여 촬영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에는 조명활성 이미지와 조명비활성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휴대단말에 입력되는 이미지 촬영요청이 한 번 입력되더라도,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객체를 촬영하였는지 또는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컨대, 얼굴 등)인 경우 간편하게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즉, 디지털 이미지가 정당한 사용자에 의해 촬영되었음을 의미하거나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객체가 촬영된 것임을 의미함)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디지털 이미지에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포함될 수 있고,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가 얼굴 이미지가 있는 신분증인 경우 객체의 이미지 중 얼굴 부분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디지털 이미지의 화면을 배치함으로써 정당한 사용자의 비교 인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연사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들이 포함될 수 있고. 연사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미지는 조명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영되도록 하고 나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미지는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영되도록 하여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조명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촬영의 대상을 조명장치의 활성화 상태를 달리 하여 연사로 촬영함으로써 조명장치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빛의 반사 정도나 해상도 균질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이미지들을 비교함으로써 촬영의 대상이 2차원의 이미지인지 3차원의 실물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이미지 촬영 이미지와 실물 이미지를 판단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방법(이하, '인증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이하, '인증시스템', 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휴대단말(200)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고, 해당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가 유효성이 있다고 함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인증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이거나 또는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객체(예컨대, 사용자의 얼굴이나 실제 물품)를 촬영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촬영의 대상이 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객체(예컨대, 신분증 등)일 경우에는 본인을 효과적으로 인증할 수 있고, 촬영의 대상이 거래대상의 물건인 경우 실물이 촬영된 것임을 인증할 수 있어 거래 상대방의 신뢰성 확인에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휴대단말(200)로부터 직접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200)에서 소정의 외부 시스템(예를 들면, 소셜네트워크 시스템, 이미지 게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등)에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200)로부터 촬영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소정의 타 단말기(예컨대, 사용자의 컴퓨터 등)로 전송된 후, 상기 타 단말기가 상기 인증시스템(100)으로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인증시스템(100)이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단말(200)과 연관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이미지는 낱장의 이미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또는 기타의 방식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영상(예를 들면,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프레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인증시스템(100)과 휴대단말(2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촬영의 대상이 되는 객체는 신분증, 사용자의 카드 또는 기타 상기 사용자가 점유하고 있는 것이 예상되는 객체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예컨대, 얼굴 등), 실제의 물품 등의 실물객체 등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대면 본인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대단말(200)이 전송하는 디지털 이미지는 상기 휴대단말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또는 신분증 이미지, 기타 본인인증 수단(예컨대, 금융거래 통장, 거래 계좌화면, 금융카드(IC카드나 현금카드 등), 또는 보안카드나 OTP와 같은 보안장치 등으로 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고유한 본인인증 수단)일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비대면 본인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비대면 본인인증에 이용될 신분증 사진 등이 사용자 본인의 휴대단말에서 촬영된 것(또는 실물 신분증을 촬영한 것)임을 검증함으로써, 신분증 등의 촬영 당시 상기 신분증 등이 본인에 의해 점유되고 있음을 증빙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증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이미지 수신모듈(110), 및 판단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소정의 편집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인증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이미지 수신모듈(110) 및/또는 판단모듈(17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미지 수신모듈(110) 및/또는 판단모듈(17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미지 수신모듈(110) 및/또는 판단모듈(170)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모듈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수신모듈(110)은 휴대단말(200)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200)에 의해 촬영되어 소정의 단말기 또는 시스템을 통해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판단모듈(17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인지 또는 상기 객체가 촬영된 이미지를 촬영한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판단모듈(170)은 사용자가 상기 객체를 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객체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컨대, 얼굴 등)인 경우에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신체의 일부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이외에 추가적인 이미지(예컨대, 신분증 이미지 등)가 인증에 더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휴대단말(200)은 상기 추가적인 이미지를 더 상기 인증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이미지에 제1객체 및 제2객체가 포함된 경우, 또는 제1객체를 포함하는 제1디지털 이미지 및 제2객체를 포함하는 제2디지털 이미지가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된 경우, 상기 제1객체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표시된 객체(예컨대, 신분증, 사원증 등)일 수 있고, 상기 제2객체는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는 1장의 사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안면 및/또는 측면 사진 등을 포함한 적어도 1장의 사진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안면, 측면 사진 등 사진들이 늘어날수록 사용자 인증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으나 고객의 불편함이 증대된다는 점에서 몇 장의 사진을 찍게 할 것인지는 선택되어질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1장의 사진인 것으로 설명하나 복수의 장이 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이 표시된 제1객체(예컨대, 신분증 등)와 자신의 얼굴(제2객체)을 촬영한 이미지(또는 제1객체 이미지와 제2객체 이미지)를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단순히 상기 제1객체 및 상기 제2객체가 촬영된 이미지가 수신된 것만으로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본인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물론, 인증 시스템(100) 측 직원에 의해 제1객체와 제2객체가 서로 상응하는지 육안으로 비교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상기 직원이 비교결과 동일인물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만 인증이 성공될 수도 있다. 인증시스템(100)에 의해 이러한 인증과정이 수행되는 경우는 인증시스템(100)측 직원에 의해 육안으로 비교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상기 직원의 단말기가 소정의 동일한 얼굴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오프라인 대면 인증(예컨대, 오프라인으로 신분증을 제시하고 인증 측에 의해 육안으로 사용자 얼굴과 신분증의 얼굴이 비교되는 과정)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상기 제1객체에 표시된 얼굴 이미지와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제2객체)가 동일한 인물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소정의 자동화된 솔루션을 통해 판단될 수도 있고, 판단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본인인증이 성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 또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얼굴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객체에 포함된 얼굴 이미지 또는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촬영된 얼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증 시스템(100)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편집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은 예컨대 제1얼굴 이미지(신분증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제2얼굴 이미지(휴대단말에 의해 촬영된 얼굴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스케일링(scaling)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다른 하나의 이미지의 색상, 조도, 또는 명도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필터를 적용하는 이미지 조정(adjustment)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은 상기 제1얼굴 이미지 및/또는 상기 제2얼굴 이미지의 이미지 속성을 상대되는 상대 이미지(예컨대, 제1얼굴 이미지의 경우에는 제2얼굴 이미지이고, 제2얼굴 이미지인 경우에는 제1얼굴 이미지를 의미함)의 이미지 속성(예컨대, 크기, 색상, 조도, 및/또는 명도 등)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 인증 시스템(100)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포함된 편집모듈(미도시)은 상기 제1얼굴 이미지와 상기 제2얼굴 이미지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는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후의 상기 제1얼굴 이미지와 상기 제2얼굴 이미지를 소정의 UI 상에서 미리 정의된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각각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를 통해 제1얼굴 이미지와 제2얼굴 이미지가 동시에 확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과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 없이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만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순히 제1얼굴 이미지와 제2얼굴 이미지를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배치하여 소정의 솔루션 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얼굴 이미지가 복수 개의 사진인 경우 배치 영역이 사진의 숫자에 따라 적절하게 조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신분증 사진을 먼저 배치하고 복수 개의 얼굴 사진을 단순하게 배치할 수도 있고, 신분증 사진을 위나 아래에 두고 복수 개의 사진을 대응되는 곳에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신분증 사진을 중앙에 두고 복수 개의 사진을 주위에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배치의 방법이 다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의 일예는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4a는 사용자의 얼굴(11)이 표시된 제1객체(예컨대, 신분증)를 대상으로 하는 제1디지털 이미지(10)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는 사용자의 얼굴을 휴대단말(200)로 촬영한 제2디지털 이미지(20)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상기 제1디지털 이미지(10)에 포함된 사용자의 제1얼굴 이미지(11) 또는 제2디지털 이미지(20)에 포함된 제2얼굴 이미지(2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c에서는 제1얼굴 이미지(11)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한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지만, 제2얼굴 이미지(21)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두 이미지들(11, 21) 각각에 대해 소정의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은 두 이미지(11, 21)들이 서로 비교하기 용이하도록 이미지 속성(예컨대, 크기, 색상, 명도, 및/또는 조도 등)이 변경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얼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는 두 개의 얼굴 이미지들(11, 21)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배치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후의 제1얼굴 이미지(11-1)를 미리 설정된 제1영역에 배치하고,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후의 제2얼굴 이미지(21-1) 또는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되지 않은 제2얼굴 이미지(21)를 미리 설정된 제2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반드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배치될 필요는 없고, 세로로 배치되거나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얼굴 이미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또는 희미한 색상으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얼굴 이미지를 상기 얼굴 이미지의 특정부위(예컨대, 눈, 코, 또는 눈, 코의 특정 포인트 등)를 기준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얼굴 이미지 및 제2얼굴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상기 편집모듈은 특정부위를 나타내는 각각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얼굴 이미지(또는 이미지 프로세싱된 제1얼굴 이미지) 및 상기 제2얼굴 이미지(또는 이미지 프로세싱된 제2얼굴 이미지)를 오버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어느 하나의 얼굴 이미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부위는 오버랩되어 표시되고 나머지 부위가 얼마나 동일 또는 유사하게 오버랩되는지 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얼굴 이미지들 간의 비교가 수행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제1얼굴 이미지와 제2얼굴 이미지가 비교되기 용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의 수행결과 획득되는 비교 이미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의해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소정의 직원 단말기로 상기 비교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직원은 상기 비교 이미지를 통해 두 얼굴 이미지가 동일한 인물에 대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본인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직원 단말기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성공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의 수행결과 획득되는 비교 이미지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의해 전송받은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얼굴 인식이 가능한 소정의 솔루션을 통해 두 얼굴 이미지가 동일한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및/또는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상기 제1디지털 이미지(10) 및 상기 제2디지털 이미지(20)를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1얼굴 이미지(11) 및 상기 제2얼굴 이미지(21)가 포함된 디지털 이미지를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디지털 이미지(10) 또는 제2디지털 이미지(20) 중 적어도 하나는 조명활성 이미지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인증 시스템(100)이 상기 제1얼굴 이미지(11) 및/또는 상기 제2얼굴 이미지(21)를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비교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소정의 편집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인증 시스템(100)이 이미지 배치 프로세스만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의 얼굴이 표시된 객체(예컨대, 신분증)를 대상으로 하는 제1디지털 이미지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제2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자 하는 경우, 악의적인 사용자가 실제로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객체에 표시된 얼굴 이미지를 조정하여 촬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악의적인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지 않아도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성공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인지 또는 상기 실물객체가 촬영된 사진 등의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일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객체(예컨대, 신분증)와 사용자의 얼굴을 휴대단말(200)의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로 함께(한번의 촬영으로 동시에 촬영될 수도 있지만 순차적 촬영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 찍어야만 인증이 성공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해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로 상기 객체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함께 찍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실물 객체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또는 실제 3차원 환경에서 실물 객체(예컨대, 얼굴)를 촬영한 것인지를 소정의 솔루션 또는 방식을 통해 검증할 수도 있다. 예컨대,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가 2차원의 사진을 촬영한 것인지 또는 3차원의 실제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를, 다수의 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구분할 수도 있다.
또는 제2디지털 이미지의 해상도 또는 화질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100) 측이 상기 제2디지털 이미지가 상기 객체에 표시된 얼굴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또는 실제 3차원 환경에서 실물 객체(예컨대, 사용자의 얼굴)를 촬영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상기 제2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때, 상기 휴대단말(200)에 설치된 소정의 조명장치(예컨대, 프레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이 이미지를 촬영한다고 함은, 상기 휴대단말(200)에 구비된 이미지 촬영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명장치는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포함된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상기 휴대단말(200)을 통해 객체(예컨대, 사용자의 얼굴이나 물품 등)를 촬영할 때 상기 조명장치가 빛을 방출하도록 하여 프레시가 켜진 상태로 상기 객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실물 객체(예컨대, 얼굴이나 물품 등)를 촬영할 때와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빛의 반사되는 정도가 소정의 솔루션 또는 육안으로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을 정도로 차이가 날 수 있다. 즉, 3차원 공간상의 실물 객체를 프레시를 켜고 촬영할 때에 빛의 반사와 2차원 사진을 촬영할 때의 빛의 반사는 서로 다른 이미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빛의 반사 특성이 이미지에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촬영대상과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또는 촬영대상에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안내 및/또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촬영대상인 객체(예컨대, 신분증, 얼굴, 물품 등)가 전체 이미지 상에 일정 비율의 크기를 갖도록 안내 및/또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진을 프레시를 켜고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된 사진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빛이 반사되는 현상이 나타나거나 프레시에 의한 빛의 방출 효과 자체가 사진에 나타나는 반면, 실물 객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매우 작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구비된 소정의 솔루션 또는 직원은 이러한 차이를 소정의 이미지 인식 방식으로 구분하여 자동으로 제2디지털 이미지가 실물 객체의 촬영 이미지인지 또는 사진(또는 이미지)의 촬영 이미지인지를 구분하거나 육안으로 구분하여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이 휴대단말(200)의 조명장치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더라도, 사용자가 임의로 조명장치를 손으로 가리는 행위 등으로 인해 실물객체를 촬영했을 때와 이미지를 촬영했을 때의 빛의 반사특성의 차이를 구분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무력화하고자 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조명장치를 활성화 시킬 수 있지만,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명장치의 빛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획득모듈(410) 또는 인증 시스템(100)은 획득된 이미지가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로 인식하지만 실제로는 조명장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과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연속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촬영한다고 함은,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를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내에 이어서 촬영함을 의미하며, 연속으로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할 액션은 한 번의 촬영요청(특정버튼 또는 UI의 선택)일 수도 있지만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예컨대, 특정 버튼 또는 UI를 선택한 경우)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첫 번째 이미지는 조명장치를 활성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하고 두 번째 이미지는 조명장치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첫 번째 이미지의 촬영은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촬영요청을 하지 않아도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첫 번째 이미지의 촬영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게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한 번의 행위만 하더라도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이 중 하나는 조명장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하고 나머지는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한 번의 촬영만 수행된 것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악의적 사용자가 조명장치를 물리적으로 가리는 행위를 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명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지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촬영한 후 연속적으로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먼저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 후에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 및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속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조명장치가 모두 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조명상태(예컨대, 조명의 세기가 다르도록 하거나, 조명의 종류를 다르도록 하는 등)를 갖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연속적으로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두 개는 조명상태가 다른 상황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휴대단말(200)에 구비된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악의적으로 조명장치를 가리는 행위를 한 경우에는 조명비활성 이미지와 조명활성 이미지에 빛의 반사특성 등에 따른 이미지 특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재촬영을 요청하거나 실물 객체를 촬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활성 이미지와 조명비활성 이미지를 모두 획득하는 경우에는 조명장치가 출력하는 빛의 반사 등에 의한 이미지 특성이 매우 명확하게 획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조명활성 이미지에서 조명비활성 이미지의 차이로 표현되는 차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차이 이미지는 빛의 반사 등을 나타내는 이미지 특성이 잘 나타날 수 있고, 이러한 이미지 특성을 통해 상기 이미지 특성이 실물객체를 촬영했을 때의 특성을 갖는지 또는 2차원 이미지를 촬영했을 때의 특성을 갖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가 실물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인지 이미지를 촬영한 이미지인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촬영의 대상을 복수의 각도에서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신분증에 표시된 얼굴 이미지나 사진은 통상 얼굴이 정면을 향하거나 객체의 일정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인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이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얼굴 또는 실물 등 촬영의 대상을 정면 및 정면이 아닌 일정 각도 이상 차이가 있는 각도에서 촬영하도록 하고,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를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실물 객체(예컨대, 사용자 얼굴)가 촬영된 이미지에서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가 2차원의 사진에서는 획득할 수 없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객체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된 이미지들을 부정한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고, 각각의 이미지들을 상기 부정한 사용자가 각각 촬영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객체의 실물을 촬영하지 않더라도 인증이 성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의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소정의 각도에서 실물객체를 촬영(자동 또는 수동으로)하도록 한 후, 상기 휴대단말이 특정 각도로 회전하는지 여부 또는 특정 거리만큼 움직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상기 휴대단말(200)에 구비된 소정의 센서(예컨대, 관성센서 등)로부터 상기 휴대단말(200)의 회전 정도 또는 움직임 정도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각도 또는 상기 특정 거리에 상응하는 움직임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상기 실물객체를 다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소정의 각도에서 실물객체를 촬영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휴대단말(200)을 회전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각도 또는 특정 거리만큼 상기 휴대단말(200)이 회전된 경우 회전을 멈추도록 안내한 후 상기 실물객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촬영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특정 각도 또는 특정 거리가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에 의해 제어되어 촬영된 상기 실물객체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들은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정한 사용자가 특정 객체에 대해 복수의 각도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소지하고 있더라도, 상기 각도 또는 거리가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알 수 없어서 인증을 성공할 수가 없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 또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인증과정을 수행할 때마다 상기 각도 또는 거리를 임의로 다르게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정한 사용자가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마치 상기 실물객체를 촬영한 것처럼 위장하여 인증이 성공되는 가능성은 매우 낮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통해 악의적인 사용자가 인증을 성공하기 위해 실물객체를 촬영하지 않고, 사진 등의 이미지(예컨대, 물품 사진이나 신분증에 표시된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를 검증할 수 있고, 인증 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객체(예컨대, 사용자의 얼굴이나 물건 등)를 촬영한 것이 아닌 사진 등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 경우, 사용자의 인증이나 실물 촬영 인증을 실패하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인지 또는 상기 실물 객체가 촬영된 사진 등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의 인증뿐만 아니라, 실물을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데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중고물품에 대한 거래와 같이 사용자들끼리 상거래를 수행하는 경우에 판매자가 소지하지도 않은 물품의 이미지를 소정의 서비스 페이지에 업로드하여 사기거래를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 및/또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상기 이미지가 실물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인지 또는 이미지를 촬영한 이미지인지를 검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의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소정의 객체(예컨대, 인증 받을 물품 등)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상기 휴대단말(200)의 이미지 촬영수단(예컨대,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통신모듈(4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상기 통신모듈(43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이하, '실물 이미지'라 함)인지 또는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한 이미지(이하, '이미지 촬영 이미지'라 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상기 객체의 실물 촬영 인증의 인증과정이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의해 획득되어 전송되는 디지털 이미지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의 디지털 이미지들일 수 있다. 하나이든 복수이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의해 획득되어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이미지를 인증용 이미지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면 상기 인증용 이미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200)의 조명장치(예컨대, 프레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객체(예컨대, 물품 또는 얼굴 등)가 촬영된 이미지(이하, '조명활성 이미지'라 함)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상기 휴대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인증용 이미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조명활성 이미지일 수도 있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모두가 조명장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이하, '조명비활성 이미지'라 함)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객체(예컨대, 물품 또는 얼굴 등)를 대상으로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 및/또는 인증 시스템(100)은 조명활성 이미지를 활용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는 소정의 판단모듈(170)이 구비될 수 있다.
조명활성 이미지가 이용될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100)의 판단모듈(170)은 조명활성 상태에서 이미지 촬영 이미지에 나타나는 이미지 특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해둔 상태에서 상기 통신모듈(430)로부터 수신된 하나의 이미지 또는 복수의 이미지에 상기 이미지 특성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명활성 상태에서 이미지 촬영 이미지에 나타나는 이미지 특성은 예컨대, 조명의 반사 등과 관련된 이미지 특성(image feature)일 수 있다.
예컨대,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실물 이미지의 경우에는 조명이 반사되는 정도가 적거나 없을 수 있고,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이미지 촬영 이미지의 경우에는 조명이 반사되는 정도가 클 수 있다. 또는 적어도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실물 이미지는 실물 객체 부분의 조명의 반사되는 정도와 배경 부분의 반사되는 정도가 다른 반면,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이미지 촬영 이미지는 실물 객체 부분의 조명이 반사되는 정도와 배경 부분의 조명이 반사되는 정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실물 이미지는 객체부분의 이미지들이 균질적이고 선명한 반면에 이미지 촬영 이미지는 객체부분의 특정 부분이 균질적이지 못하거나 선명하지 못한 부분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이처럼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실물 이미지 및 이미지 촬영 이미지에 나타나는 다른 이미지 특성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물 이미지 및 이미지 촬영 이미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판단모듈(170)은 소정의 학습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학습모듈(미도시)은 다수의 이미지들을 입력 받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객체에 대해 조명활성 상태에서 다수의 이미지들(이미지 촬영 이미지 및 실물 이미지)을 입력받으면서 각각의 이미지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또는 실물 이미지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파라미터로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학습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학습알고리즘을 통해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이미지 촬영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특성(image feature)을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이미지는 특정 객체(예컨대, 리모콘)를 대상으로 하는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이미지 촬영 이미지이고, 도 5b에 도시된 이미지는 상기 특정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실물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이미지 촬영 이미지는 객체부분(예컨대, 리모콘 부분)과 배경부분의 조명의 반사되는 특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반면,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실물 이미지는 객체부분(예컨대, 리모콘 부분)과 배경부분의 조명의 반사되는 특성이 비유사할 수 있다. 또한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실물 이미지는 객체부분의 이미지들이 균질적이고 선명한 반면에 이미지 촬영 이미지는 객체부분의 특정 부분이 균질적이지 못하고 선명하지 못한 부분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객체부분과 배경부분의 차이, 객체부분의 균질성과 선명성의 차이 등 조명의 반사특성이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이미지 촬영 이미지의 이미지 특성으로 학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성 이외에도 학습이 수행되면서 다양한 이미지 특성이 상기 학습모듈에 의해 학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학습이 수행된 후에는 상기 판단모듈(170)은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가 수신되면, 학습모듈의 학습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2차원의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이미지인지 3차원의 실물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학습모듈이 이용하는 학습알고리즘은 다양한 기계학습 또는 딥러닝 등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활성 상태에서의 이미지 촬영 이미지 및 실물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학습이 가능한 어떠한 알고리즘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학습을 통해 이미지 특성이 도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으로부터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만을 수신하여도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또는 실물 이미지인지가 판단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명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상기 인증용 이미지는 소정의 객체(예컨대,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 또는 사용자의 얼굴 등)에 대한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 및 조명비활성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동일한 객체에 대해 조명활성 이미지 및 조명비활성 이미지를 모두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들을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조명비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수신된 이미지들이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판단하는 인증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판단모듈(170)은 조명활성 이미지와 조명비활성 이미지의 이미지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차이에 대한 정보는 조명의 반사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판단모듈(170)은 이러한 이미지 차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정보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의 이미지 특성을 갖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수신된 이미지들이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이미지 특성은 학습에 의해 미리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파악될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활성 이미지와 조명비활성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번의 촬영행위만 하더라도 연속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각각 복수의 촬영행위를 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조명활성 이미지 하나만 촬영된 것으로 인지하더라도 실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의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조명활성 이미지의 촬영 전 또는 후에 연속적으로 조명비활성 이미지도 획득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조명활성 이미지 및 조명비활성 이미지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들이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의적 사용자가 조명장치를 물리적으로 가리는 행위를 하는 경우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증용 이미지는 상기 객체(예컨대,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 또는 사용자의 얼굴 등)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복수 번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모듈(170)은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인증용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인증용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일예에 의하면, 상기 판단모듈(170)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동일한 객체(예컨대, 물품 또는 얼굴 등)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이 수신되는 것만으로 인증과정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부정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잘못된 인증이 수행될 수도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에서 상기 객체를 촬영한 후, 상기 휴대단말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의 촬영 각도가 특정 각도로 변경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각도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객체를 촬영하도록 상기 휴대단말(2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각도(또는 특정 거리)는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 또는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 및 상기 인증 시스템(100)은 상기 특정 각도(또는 특정 거리)에 대한 정보를 통신을 통해 공유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인증과정에는, 수신된 복수의 디지털 이미지의 촬영 각도의 변경 정도가 상기 특정 각도에 상응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임의로 선택된 각도(또는 거리)의 차이가 나는 이미지들이 수신되어야만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인증이 성공된다고 판단될 수 있으므로 부정한 사용자의 시도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이 소정의 각도에서 이미지를 촬영한 후, 특정 각도가 변경된 경우에만 다음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이미지(실물 이미지)와 사용자의 얼굴이 표시된 객체(예컨대, 신분증)를 촬영한 이미지가 모두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으로부터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는 조명활성 이미지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이 인증 시스템(100)으로 소정의 객체(예컨대, 물품 또는 얼굴 등)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실물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객체의 실물을 촬영하였는지 여부를 인증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판단모듈(170)이 판단하는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의 여부는 반드시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예에 의하면, 상기 판단모듈(170)이 수행하는 판단과정(즉,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이 판단모듈(4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이 휴대단말(200)의 이미지 촬영수단(예컨대, 카메라)을 통해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면, 상기 판단모듈(440)은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을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모듈(4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포함된 학습모듈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이미지 특성이 학습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이미지 특성의 학습은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고, 학습이 수행된 결과를 상기 판단모듈(440)에 포함된 학습모듈이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명활성 이미지로 획득하거나,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모듈(440)은 상기 인증용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지 또는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판단모듈(440)의 판단결과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 경우에만, 상기 인증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즉,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 이미지인지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적 사상은 휴대단말(2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 또는 인증 시스템(100)으로 국한되어 구현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능력을 갖는 어떠한 시스템(이하,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이라 함)이라도 상기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5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500)은 획득모듈(510) 및 판단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500)은 전술한 휴대단말(2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인증 시스템(100)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어떠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500)에 포함된 획득모듈(510)은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인증용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획득모듈(510)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500)에 이미지 촬영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500)에 구비된 이미지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인증용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획득모듈(510)은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인증용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증용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인증용 이미지는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판단모듈(520)은 상기 획득모듈(510)에 의해 획득된 인증용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520)이 수행하는 판단과정은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포함된 판단모듈(170)의 과정과 동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휴대단말(200)의 하드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이미지 획득모듈(410) 및 통신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판단모듈(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410)은 상기 휴대단말(200)에 포함된 이미지 촬영수단(예컨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카메라)을 통해 촬영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휴대단말(20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객체는 상기 인증 시스템(100)에 의해 지정되는 객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타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금융기관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430)은 상기 인증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440)은 이미지 획득모듈(410)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실물객체를 촬영한 실물 이미지인지 또는 이미지 촬영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에 포함된 상기 판단모듈(440)이 판단을 위해 수행하는 기능 또는 과정은 인증 시스템(100) 부분에서 전술한 판단모듈(170)이 수행하는 기능 또는 과정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은 이미지 획득모듈(410)에 의해 획득되는 디지털 이미지가 상기 판단모듈(440)에 의해 실물 이미지로 판단된 경우에만, 소정의 서비스 서버(예컨대, 인증 시스템(100) 또는 기타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인증시스템(100) 또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500)은 비대면 본인인증 외에 사진의 위조나 도용을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각종 서비스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거리나 블랙박스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보험사의 시스템이나, 중고 물품의 매매 시에 타인의 사진을 도용하여 마치 자신이 해당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 것처럼 가장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중고 물품 매매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인증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인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이미지 촬영수단을 통해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모듈;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상기 객체의 실물 촬영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명활성 이미지로 획득하거나,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휴대단말의 조명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객체를 촬영한 조명비활성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조명비활성 이미지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장치가 물리적으로 가려졌는지 여부 또는 상기 인증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이미지 촬영요청이 한 번 입력되더라도,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조명비활성 이미지와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4.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이미지 촬영수단을 통해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모듈;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시스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상기 객체의 실물 촬영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촬영되는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연속하여 촬영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에는 조명활성 이미지와 조명비활성 이미지가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이미지 촬영요청이 한 번 입력되더라도,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7. 휴대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이미지 촬영수단을 통해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모듈; 및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가 획득되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명활성 이미지로 획득하거나,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모듈은,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촬영되는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9.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모듈; 및
    상기 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며,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연속하여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2차원 이미지를 조명장치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촬영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미지 특성이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에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조명장치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3차원 실물 객체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 및 2차원 이미지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기계학습 또는 딥러닝을 통해 상기 이미지 특성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모듈은,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휴대단말의 조명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영된 조명비활성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조명활성 이미지와 상기 조명비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14.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로부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수신모듈; 및
    상기 이미지 수신모듈 의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상기 객체의 실물 촬영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며,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연속하여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시스템.
  16.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이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 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활성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며,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연속하여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18. 디지털 이미지 판단 시스템이 소정의 객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조명상태에서 연속하여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3차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한 것인지 2차원의 이미지를 촬영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촬영시에 조명장치가 물리적으로 가려져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연속하여 촬영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에는 조명활성 이미지와 조명비활성 이미지가 포함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휴대단말에 입력되는 이미지 촬영요청이 한 번 입력되더라도, 상기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21.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36552A 2015-06-26 2015-09-25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1725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1172 2015-06-26
KR1020150091172 2015-06-26
KR1020150125090 2015-09-03
KR20150125090 2015-09-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451A Division KR20170001932A (ko) 2015-06-26 2015-09-25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34A true KR20170001934A (ko) 2017-01-05
KR101725219B1 KR101725219B1 (ko) 2017-04-27

Family

ID=5783563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36A KR20170001931A (ko) 2015-06-26 2015-09-16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31135A KR101748136B1 (ko) 2015-06-26 2015-09-16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36451A KR20170001932A (ko) 2015-06-26 2015-09-25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36452A KR20170001933A (ko) 2015-06-26 2015-09-25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36552A KR101725219B1 (ko) 2015-06-26 2015-09-25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36A KR20170001931A (ko) 2015-06-26 2015-09-16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31135A KR101748136B1 (ko) 2015-06-26 2015-09-16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36451A KR20170001932A (ko) 2015-06-26 2015-09-25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150136452A KR20170001933A (ko) 2015-06-26 2015-09-25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70001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779B1 (ko) * 2021-06-17 2021-11-11 주식회사 큐버모티브 본인 인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266A (ko) 2017-12-08 2019-06-18 김정구 영상을 이용한 가축 무게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114997B1 (ko) * 2018-07-30 2020-05-26 주식회사 로드시스템 여권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여권 인식방법
WO2023172668A1 (en) * 2022-03-09 2023-09-14 Saras-3D, Inc. Authentication and security protocols for on-line instructiona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5A (ko) 2003-07-16 2005-01-25 양기철 화상 이미지를 통한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2400A (ja) * 2005-10-27 2007-05-17 Digital Electronics Corp 認証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175174B1 (ko) * 2010-08-20 2012-08-23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실물의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5A (ko) 2003-07-16 2005-01-25 양기철 화상 이미지를 통한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779B1 (ko) * 2021-06-17 2021-11-11 주식회사 큐버모티브 본인 인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136B1 (ko) 2017-06-28
KR101725219B1 (ko) 2017-04-27
KR20170001932A (ko) 2017-01-05
KR20170001930A (ko) 2017-01-05
KR20170001931A (ko) 2017-01-05
KR20170001933A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8961B2 (en) Image analysis for user authentication
US20200175256A1 (en) Analysis of reflections of projected light in varying colors, brightness, patterns, and sequences for liveness detection in biometric systems
KR102346381B1 (ko) 경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안면 인식 인증 시스템
JP2020064664A (ja) アクセス制御される環境へのアクセスを認可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082235B2 (en) Using facial data for device authentication or subject identification
KR101703714B1 (ko)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JP5076563B2 (ja) 顔照合装置
US11314966B2 (en) Facial anti-spoofing method using variances in image properties
KR101725219B1 (ko)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US99656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sual authentication
JP2021179890A (ja) 画像認識装置、認証システム、画像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54355B2 (ja) 情報取得システム、情報取得方法及び記憶媒体
US202201891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constructing a three-dimensional facial model based on two or more inputs of a two-dimensional facial image
US20220101651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with use of information code
JP2021536601A (ja) アンチリプレイ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50590B1 (ko)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JP2020144692A (ja) 顔照合装置、顔照合システム、顔照合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の発行システム
CN113158893A (zh) 一种目标识别的方法和系统
JP4845462B2 (ja) 認証装置、icカード、及び生体情報認証システム
TWI729679B (zh) 認證系統、認證裝置、及認證方法
RU2815689C1 (ru) Способ, терминал и система для биометрическ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WO2016209032A1 (ko)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20170076895A (ko)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