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30U -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30U
KR20170001930U KR2020150007668U KR20150007668U KR20170001930U KR 20170001930 U KR20170001930 U KR 20170001930U KR 2020150007668 U KR2020150007668 U KR 2020150007668U KR 20150007668 U KR20150007668 U KR 20150007668U KR 20170001930 U KR20170001930 U KR 201700019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elief
return
pressur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735Y1 (ko
Inventor
이정민
한상택
Original Assignee
훌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훌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훌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73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7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2Flow-dividers; Priori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Abstract

본 고안의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는 블럭바디와, 스풀과, 릴리프밸브 및 파일럿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릴리프밸브는 그 일부가 상기 스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스풀과 일체형을 이루면서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유량 컨트롤밸브의 전체 크기를 줄여 공간 확보 및 부가 기능의 추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flow control valve assembly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고안은 유압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게하게는 건설기기에 적용되는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릴리프밸브의 설치로 인해 제공되던 공간의 추가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기에 사용되는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는 파일럿 신호압의 인가시 스풀의 절환에 의해 유압 액츄에이터(예컨대, 붐 등)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함과 더불어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는 블럭바디에 형성된 스풀보어에 스풀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풀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함으로써 유압펌프로부터 유압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이나 압유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공보 제10-024009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518767호, 등록특허공보 제10-062197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600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94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는 블럭바디의 양측면으로 스풀의 양 끝단이 수용되면서 파일럿 압력을 제공하는 파일럿캡이 돌출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유압 액츄에이터로 제공되는 압유의 과도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이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의 양측면에 대한 공간 확보가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붐홀딩밸브를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의 상측에 별도의 블럭을 추가로 형성하여 연결하여야만 함으로써 전체적인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또한 그의 설계 및 가공 역시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24009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518767호 등록특허공보 제10-062197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600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949호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설기기에 적용되는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릴리프밸브의 설치로 인해 제공되던 공간의 추가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로의 압유 공급과 회수 유동을 안내하는 메인유로 및 오일탱크로의 리턴 유동을 안내하는 리턴유로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메인유로 및 리턴유로와 연통되면서 좌우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스풀보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블럭바디; 상기 스풀보어의 양측으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스풀보어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압유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치되며, 양 끝단면에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스풀; 상기 스풀의 각 장착홈 내에 일부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스풀을 통과하여 액츄에이터로의 제공되는 압유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동작되면서 이 압유를 오일탱크로 리턴시키는 릴리프밸브; 상기 블럭바디의 양 측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스풀보어로부터 노출되는 스풀의 끝단 및 릴리프밸브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일럿 압력을 제공하도록 파일럿 포트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스풀과 함께 이동되는 릴리프밸브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파일럿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풀의 둘레면 중 상기 블럭바디의 메인유로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스풀의 장착홈 내부와 상기 메인유로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릴리프밸브에는 설정 압력 이상의 압유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블럭바디의 리턴유로에 상기 압유를 전달하는 리턴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일럿캡 내에는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릴리프밸브 및 스풀을 복귀 이동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릴리프밸브 내의 압유가 유동되는 공간은 상기 복귀스프링이 설치되는 공간으로부터 구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는 스풀에 릴리프밸브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릴리프밸브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공간의 확보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한 공간의 확보로 인해 붐홀딩밸브(boom holding valve)와 같이 또 다른 안전밸브를 추가로 제공하더라도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의 크기가 커지지 않는다는 효과를 추가로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스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릴리프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파일럿캡과 스풀 및 릴리프밸브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붐 상승 동작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붐 상승 동작 중 과다 부하 발생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붐 하강 동작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스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릴리프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의 파일럿캡과 스풀 및 릴리프밸브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는 크게 블럭바디(100)와, 스풀(200)과, 릴리프밸브(300) 및 파일럿캡(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릴리프밸브(300)는 그 일부가 상기 스풀(200)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스풀(200)과 일체형을 이루면서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유량 컨트롤밸브의 전체 크기를 줄여 공간 확보 및 부가 기능의 추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블럭바디(100)는 유량 컨트롤밸브의 외관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블럭바디(100)의 내면에는 압유의 유동을 위한 복수의 유로(111,112,121,122,131,1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로(111,112,121,122,131,132)라 함은 유압펌프(도시는 생략됨)로부터 펌핑된 압유의 유입 유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메인유로(111,112)와, 유압액츄에이터(500)로의 압유 공급 및 회수 유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유로(121,122) 그리고, 오일탱크(도시는 생략됨)로의 리턴 유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리턴유로(131,13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블럭바디(100)에는 후술될 스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스풀보어(14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스풀보어(140)는 상기 블럭바디(100) 내의 각 유로(111,112,121,122,131,132)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블럭바디(100)에는 상기 유압액츄에이터(500)로부터 회수되는 압유나 과다 부하로 인해 상기 리턴유로(131,132)로 회수되는 압유를 오일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150)가 추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스풀(200)은 상기 블럭바디(100)의 각 유로(111,112,121,122,131,132)를 따라 유동되는 압유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동작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스풀(200)은 상기 블럭바디(100)의 스풀보어(140)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스풀보어(140)의 양측으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스풀보어(140)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각 유로(111,112,121,122,131,132)의 연통을 위한 복수의 노치(20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스풀(200)의 양 끝단면에는 장착홈(211,212)이 각각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둘레면에는 상기 메인유로(111,112)와 상기 장착홈(211,212)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공(221,222)이 추가로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유로(111,112)를 통해 유입되어 안내유로(121,122)에 제공되는 압유 중의 일부는 상기 연통공(221,222)을 통해 상기 장착홈(211,212) 내부공간으로도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풀(200)의 구조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릴리프밸브(310,320)는 상기 메인유로(111,112)를 통해 유입되어 안내유로(121,122)를 따라 액츄에이터(500)로 공급되는 압유가 과도한 부하로 인한 압력 상승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압유를 리턴유로(131,132)로 강제 리턴시키기 위한 밸브이다.
즉, 상기 릴리프밸브(310,320)는 상기 연통공(221,222)을 통해 장착홈(211,212) 내로 유입되는 압유가 설정 압력 이상의 상황일 경우 상기 릴리프밸브(310,320)가 동작되면서 이 압유를 상기 리턴유로(131,132)로 리턴시켜 과도 압력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밸브이다.
이와 같은 릴리프밸브(310,320)는 상기 스풀(200)의 각 장착홈(211,212) 내에 일부가 위치되도록 장착되며,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311,321)와 밸브체(312,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몸체(311,321)는 상기 장착홈(211,212) 내에 압입 결합되면서 상기 블럭바디(100)의 리턴유로(131,132)와 연통되는 리턴공(313,3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체(312,322)는 상기 밸브몸체(311,321) 내에 설치되어 장착홈(211,212) 내로 설정 압력 이상의 압유가 제공될 경우 그 압력에 의해 후퇴이동되면서 상기 리턴공(313,323)을 개방시키도록 탄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밸브체(312,322)의 탄력 이동은 탄력부재(314,324)에 의해 수행되며, 이러한 탄력부재(314,324)의 복원력은 액츄에이터(500)에 걸리는 부하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일럿캡(410,420)은 블럭바디(100)의 스풀보어(14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스풀(2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면서 상기 스풀(200)로 파일럿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파일럿캡(410,420)은 상기 블럭바디(100)의 양 측면 중 스풀보어(140)가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면서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보어(140)로부터 노출되는 스풀(200)의 끝단 및 릴리프밸브(310,3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파일럿캡(410,420)의 외측면에는 상기 파일럿캡(410,420) 내부로 파일럿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일럿 포트(411,4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일럿캡(410,420) 내에는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릴리프밸브(310,320) 및 스풀(200)을 복귀 이동시키는 복귀스프링(412,422)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복귀스프링(412,422)은 상기 파일럿 포트(411,421)가 관통되는 벽면측에 일단이 접촉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릴리프밸브(310,320)의 후단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릴리프밸브(310,320) 및 이 릴리프밸브(310,320)가 결합되는 스풀(200)을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릴리프밸브(310,320) 내의 압유가 유동되는 공간은 상기 복귀스프링(412,422)이 설치되는 공간으로부터 구획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압유가 상기 복귀스프링(412,422)이 설치된 공간으로 누설되어 파일럿 포트(411,421)로 역류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600은 붐홀딩밸브(boom holding valve)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릴리프밸브(310,320)가 스풀(2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릴리프밸브가 설치되는 부위가 확보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부위에 상기 붐홀딩밸브(600)와 같은 별도의 안전밸브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의 기능을 부가하면서도 그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을 각 상황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1은 액츄에이터(500)가 동작되지 않는 중립 상태이다.
이의 경우는 파일럿 포트(411,421)를 통한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지 않으며 이로써 스풀(200)은 양측의 두 릴리프밸브(310,320)를 통해 제공되는 각 복귀스프링(412,422)의 복원력에 의해 스풀보어(140) 내의 중앙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중립 상태에서 예컨대, 붐의 상승 동작을 위한 동작제어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200)의 우측에 위치된 파일럿캡(420)의 파일럿 포트(421)를 통해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어 스풀(2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유압펌프의 펌핑 동작에 의해 압유가 도면상 우측의 메인유로(112)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유로(112)를 통해 공급된 압유는 상기 메인유로(112) 및 이에 연통되는 스풀(200)의 노치(201)를 통과한 후 안내유로(122)를 따라 유동되면서 액츄에이터(500)로 제공되어 붐의 상승 동작을 위한 액츄에이터(050)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500)의 각 부위 중 압유가 공급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는 해당측 공간에 존재하던 압유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배출되는 압유는 도면상 좌측의 안내유로(121)를 따라 유동되면서 리턴유로(131)로 제공된 후 유출구(150)를 통해 배출된다.
만일, 상기한 붐의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는 도중 해당 붐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될 경우에는 이 붐의 상승 동작을 위한 액츄에이터(500)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해당 액츄에이터(500) 내로 유입되는 압유는 점차 고압화된다.
하지만, 이의 경우에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200)의 우측 끝단에 설치된 릴리프밸브(320)의 밸브체(322)가 상기 고압의 압유에 따른 영향으로 후퇴 동작되면서 밸브몸체(321)에 형성된 리턴공(323)을 개방시키게 되고, 이로써 상기 메인유로(112)를 통해 안내유로(122)로 제공되는 압유는 상기 리턴공(323)을 통해 리턴유로(132)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과도한 부하에 의한 액츄에이터(500)의 손상은 방지된다.
한편, 붐의 하강 동작을 위한 동작제어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200)의 좌측에 위치된 파일럿캡(410)의 파일럿 포트(411)를 통해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어 스풀(20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유압펌프의 펌핑 동작에 의해 압유가 도면상 좌측의 메인유로(111)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유로(111)를 통해 공급된 압유는 상기 메인유로(111) 및 이에 연통되는 스풀(200)의 노치(201)를 통과한 후 안내유로(121)를 따라 유동되면서 액츄에이터(500)로 제공되어 붐의 하강 동작을 위한 액츄에이터(500)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500)의 각 부위 중 압유가 공급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는 해당측 공간에 존재하던 압유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배출되는 압유는 도면상 우측의 안내유로(122)를 따라 유동되면서 리턴유로(132)로 제공된 후 유출구(150)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붐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도중 해당 붐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될 경우에는 스풀(200)의 좌측 끝단에 설치된 릴리프밸브(310)의 밸브체(312)가 상기 고압의 압유에 따른 영향으로 후퇴 동작되면서 밸브몸체(311)에 형성된 리턴공(313)을 개방시키게 되고, 이로써 상기 메인유로(111)를 통해 안내유로(121)로 제공되는 압유는 상기 리턴공(313)을 통해 리턴유로(131)로 배출되며, 이는 전술된 붐의 상승 동작시 과도한 부하가 작용된 상태와는 동작되는 릴리프밸브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결국, 본 고안의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는 스풀(200)에 릴리프밸브(300)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릴리프밸브(300)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공간의 확보를 이룰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해당 공간에 예컨대, 붐홀딩밸브(boom holding valve)(600)와 같이 또 다른 안전밸브의 추가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100. 블럭바디 111,112. 메인유로
121,122. 안내유로 131,132. 리턴유로
140. 스풀보어 150. 유출구
200. 스풀 201. 노치
211,212. 장착홈 221,222. 연통공
310,320. 릴리프밸브 311,321. 밸브몸체
312,322. 밸브체 313,323. 리턴공
314,324. 탄력부재 410,420. 파일럿캡
411,421. 파일럿 포트 412,422. 복귀스프링
500. 액츄에이터 600. 붐홀딩밸브

Claims (3)

  1. 펌핑된 압유가 유입되는 메인유로(111,112)와, 액츄에이터(500)로의 압유 공급 및 회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유로(121,122) 그리고, 오일탱크로의 리턴 유동을 안내하는 리턴유로(131,132)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유로와 연통되면서 좌우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스풀보어(1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블럭바디(100);
    상기 스풀보어(140)의 양측으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스풀보어(140)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압유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치되며, 양 끝단면에는 장착홈(211,212)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둘레면에는 상기 메인유로(111,112)와 상기 장착홈(211,212)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공(221,2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스풀(200);
    상기 스풀(200)의 각 장착홈(211,212) 내에 일부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연통공(221,222)을 통해 장착홈(211,212) 내로 유입되는 압유가 설정 압력 이상의 상황일 경우 동작되면서 이 압유를 상기 리턴유로(131,132)로 리턴시키는 릴리프밸브(310,320);
    상기 블럭바디(100)의 양 측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스풀보어(140)로부터 노출되는 스풀(200)의 끝단 및 릴리프밸브(310,32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일럿 압력을 제공하도록 파일럿 포트(411,421)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스풀(200)과 함께 이동되는 릴리프밸브(310,3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파일럿캡(41,4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밸브(310,320)는
    상기 장착홈(211,212) 내에 압입 결합되면서 상기 블럭바디(100)의 리턴유로(131,132)와 연통되는 리턴공(313,3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밸브몸체(311,321)와,
    상기 밸브몸체(311,321) 내에 설치되어 장착홈(211,212) 내로 설정 압력 이상의 압유가 제공될 경우 그 압력에 의해 후퇴이동되면서 상기 리턴공(313,323)을 개방시키는 밸브체(312,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캡(410,420) 내에는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릴리프밸브(310,320) 및 스풀(200)을 복귀 이동시키는 복귀스프링(412.4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릴리프밸브(410,420) 내의 압유가 유동되는 공간은 상기 복귀스프링(412,422)이 설치되는 공간으로부터 구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KR2020150007668U 2015-11-24 2015-11-24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KR200483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68U KR200483735Y1 (ko) 2015-11-24 2015-11-24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68U KR200483735Y1 (ko) 2015-11-24 2015-11-24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30U true KR20170001930U (ko) 2017-06-01
KR200483735Y1 KR200483735Y1 (ko) 2017-06-20

Family

ID=5909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68U KR200483735Y1 (ko) 2015-11-24 2015-11-24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735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403A (ja) * 1991-11-12 1993-06-08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回路
JP2767482B2 (ja) * 1990-05-18 1998-06-18 株式会社ゼクセル スタック型油圧制御弁装置
KR100240092B1 (ko) 1997-12-30 2000-01-15 토니헬 건설중장비용 작업장치의 로킹장치
KR100518767B1 (ko) 2003-05-28 2005-10-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액츄에이터 유량 가변제어장치
KR100621972B1 (ko) 2001-12-21 2006-09-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유량 가변제어장치
KR20150036001A (ko) 2012-07-19 2015-04-0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량 컨트롤밸브
KR20150114949A (ko) 2013-02-05 2015-10-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압력 제어밸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7482B2 (ja) * 1990-05-18 1998-06-18 株式会社ゼクセル スタック型油圧制御弁装置
JPH05141403A (ja) * 1991-11-12 1993-06-08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回路
KR100240092B1 (ko) 1997-12-30 2000-01-15 토니헬 건설중장비용 작업장치의 로킹장치
KR100621972B1 (ko) 2001-12-21 2006-09-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유량 가변제어장치
KR100518767B1 (ko) 2003-05-28 2005-10-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액츄에이터 유량 가변제어장치
KR20150036001A (ko) 2012-07-19 2015-04-0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량 컨트롤밸브
KR20150114949A (ko) 2013-02-05 2015-10-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압력 제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735Y1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8245A1 (en) Flow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1821827B1 (ko) 일체화된 체크밸브를 가지는 비례 포핏밸브
US8464757B2 (en) Hydraulic valve device
EP2687764B1 (en) Control valve
US8393348B2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device and directional control valve device block having directional control valve devices
EP2977659A1 (en) Shock-absorbing valve
KR20130103303A (ko)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WO2014027621A1 (ja) 切換弁
US9874232B2 (en)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KR101816470B1 (ko) 제어 밸브 장치
CN109563943B (zh) 液压控制阀和液压控制回路
US9222594B2 (en) Directional valve equipped with pressure control
KR200483735Y1 (ko) 릴리프일체형 스풀을 갖는 건설기기용 유량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JP5602073B2 (ja) 制御弁
KR101509259B1 (ko) 유압장치의 홀딩밸브
WO2016171015A1 (ja) 流量制御弁
US20100206413A1 (en) Hydraulic valve device
US20160377098A1 (en) Valve structure
JP6284469B2 (ja) 油圧回路
JP6355606B2 (ja) ロードセンシング回路におけるバルブ構造
CN108138810B (zh) 滑阀
JP2007255468A (ja) 油圧制御装置
CN110319068B (zh) 带有主滑阀和两个控制滑阀的阀装置
JP5822232B2 (ja) 切換弁
JP4907143B2 (ja) バル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