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85U - 곡물 씻기 그릇 - Google Patents

곡물 씻기 그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85U
KR20170001685U KR2020150007659U KR20150007659U KR20170001685U KR 20170001685 U KR20170001685 U KR 20170001685U KR 2020150007659 U KR2020150007659 U KR 2020150007659U KR 20150007659 U KR20150007659 U KR 20150007659U KR 20170001685 U KR20170001685 U KR 201700016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ain
water
upper lid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베카 린 볼드윈
Original Assignee
레베카 린 볼드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베카 린 볼드윈 filed Critical 레베카 린 볼드윈
Publication of KR20170001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은 곡물을 씻고, 젓고, 헹구기 위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상부 뚜껑(100)와 상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부 뚜껑(300) 및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물 씻기 그릇 {Grain Washing Vessel}
본 고안은 곡물을 씻을 수 있는 그릇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물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전통주를 제조하기 위한 많은 양의 곡물을 간편하게 씻고, 찌꺼기를 분리해내고, 곡물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통합형 그릇에 관한 것이다.
출원번호 제10-1999-0041867호에 개시된 샐러드 스피너용 바스켓 및 구동 장치(BASKET AND DRIVE ARRANGEMENT FOR SALAD SPINNER)는 내부에 회전용 받침이 있는 바스켓으로, 야채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두 개의 그릇을 포함한다. 하지만, 야채는 이미 씻겨진 상태로 바스켓에 담겨 물기를 제거하기 때문에, 야채를 씻기 위한 별도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출원번호 제10-2011-0002101호에 개시된 가정용 생막걸리 제조기(An Instrument for Home Made Raw Rice Wine Brewing)는 쌀 발효에 최적화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한 냉난방 기능을 갖춘 자동화된 가정용 주조 장치이다. 하지만, 알코올 생성에 적합하도록 곡물을 씻을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사전에 별도로 곡물을 씻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즉, 곡물의 씻기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다.
또한, 출원번호 제10-2011-0006377호에 개시된 막걸리 제조기(Rice wine pressing machine)는 이중 가열 및 물 담금 방식을 사용하여 쌀 발효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발효과정에서 냄새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막걸리를 담글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알코올을 생성하기 위한 찌기, 식히기, 누룩 넣기, 섞기 등의 준비 단계를 수행할 수는 없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곡물을 씻고, 찌꺼기를 분리해내고, 곡물의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물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씻기, 젓기, 헹구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곡물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곡물의 원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주조 또는 요리 과정에서 곡물의 형태 변화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은 곡물을 씻고, 젓고, 헹구기 위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상부 뚜껑(100)와 상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부 뚜껑(300) 및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뚜껑(100)은, 상기 상부 뚜껑(100)의 중심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막대(110)와 회전 손잡이(120)를 가지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뚜껑(100)은, 상기 상부 뚜껑(100)의 중심 부분을 상기 본체(200) 내부의 체(260)와 볼 베어링 방식으로 체결하여 상기 상부 뚜껑(100)의 회전 운동 에너지를 체(260)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200)는, 내부에 곡물을 씻고, 젓고, 헹구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체(260)를 가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뚜껑(300)은, 상기 본체(200)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출입 밸브(310)와 상기 본체(200) 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 밸브(320)를 가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400)는, 양 끝이 밖을 향하여 구부러진 말발굽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전통적인 주조 과정은 완제품의 최종 생산량보다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한다. 이는 물 자원이 풍부한 국가에서도 장기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곡물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곡물의 파괴를 줄이기 위해, 곡물의 수확 과정에서부터 부스러기가 없는 성숙한 곡물을 우선하여 수확하다 보니 곡물을 필요로 하는 식품 및 음료 제조업을 운영하는 소규모 기업에 추가적인 재정적 부담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씻기, 젓기, 헹구기로 인해 소모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곡물의 파괴도 최소화 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고 손쉽게 전통주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의 상부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의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의 하부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은 4개의 부분을 그 구성으로 가진다. 하나는 곡물 씻기 그릇의 본체(200)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 형태로 체결되는 상부 뚜껑(100)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 형태로 체결되는 하부 뚜껑(300)이며, 마지막은 상기 본체(200)의 전체 폭과 깊이에 맞는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대(400)이다.
상부 뚜껑(100)은 본체(200) 내부의 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막대(110)와 회전 손잡이(120)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상부 뚜껑(100)의 회전 손잡이(120)를 잡고 회전 막대(110)를 회전 시키면 회전 막대(110)의 중심축과 연결된 본체(200) 내부의 체가 같이 회전하면서 본체(200) 내부의 물의 대류(circulation)를 일으킬 수 있다. 물의 대류를 통해서 곡물을 씻게 되면 곡물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곡물을 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 뚜껑(300)은 하단에 두개의 밸브를 가진다. 하나는 물을 본체(2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이며, 다른 하나는 본체(20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밸브이다. 하부 뚜껑(300)의 두 개의 밸브를 통해 본체(200) 내부에 물을 공급하고 배출함으로써, 곡물을 씻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본체(200)와 상부 뚜껑(100) 및 하부 뚜껑(300)은 나사 결합 형태로 체결되어 체결부를 통한 물의 유출을 사전에 방지하고, 하부 뚜껑(300)의 밸브를 통해서만 물을 공급하고 배출하여 본체(200) 내부의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대(400)는 본체(200)의 중앙 부분과 연결되어 있어 본체를 앞뒤로 기울일 수 있다. 지지대(400)는 양 끝이 밖으로 구부러진 말굽형 또는 U자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본체(200) 내부에 곡물을 쉽게 넣고 뺄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본체(200)의 무게중심을 지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을 통해서 본 고안의 곡물 씻기 그릇을 살펴보았다. 전통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곡물을 깨끗이 하기 위한 씻는 과정,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한 젓는 과정,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헹구는 과정이 필요한데 본 고안을 이용하면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곡물 씻기 그릇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부 뚜껑(100)을 열고 본체(200) 내부의 체 안에 곡물을 넣은 후 상부 뚜껑(100)과 본체(200)를 나사 결합으로 체결한다. 다음으로, 상부 뚜껑(100)의 회전 막대(110)와 연결된 축에 본체(200) 내부의 체를 볼 베어링 방식으로 체결한 후, 하부 뚜껑(300)의 두 밸브를 통해 본체(200) 내부에 물을 공급하면서 상부 뚜껑(100)의 회전 손잡이(120)을 잡고 서서히 회전 막대(110)를 회전시키면 본체(200) 내부의 체가 회전하면서, 본체(200) 내부에 물의 대류 현상이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곡물이 물의 대류를 통해서 씻기게 되며 본체(200) 내부의 체를 통해 부스러기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어느정도 곡물이 씻겨졌으면 하부 뚜껑(300)의 두 밸브를 통해 본체(200) 내부의 물을 배출하면서 상부 뚜껑(100)의 회전 막대(110)를 서서히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한 물기 제거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씻기, 젓기, 헹구기의 모든 과정이 끝나면 양끝이 밖으로 구부러진 말굽형의 지지대(400) 앞에 곡물을 받아내기 위한 대형 그릇을 위치시킨 후 본체(200)를 기울여서 내부의 곡물을 꺼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의 상부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부 뚜겅(100)는 중심 부분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깥 부분과는 분리가 되어 있다. 그래서 회전 손잡이(120)를 잡고 회전 막대(110)를 회전 시키면 회전 막대의 중심축 및 중심축과 연결된 중심 부분이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부분은 추후 본체(200) 내부의 체와 볼베어링 방식으로 체결되어 회전 손잡이(120)의 회전 운동 에너지를 본체(200) 내부의 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 손잡이(120)는 회전 막대(1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한 손으로 쥐기 편한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회전 막대(110)의 회전 운동 에너지를 일으키도록 할 수 있다.
본체(200) 내부의 물의 대류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상부 뚜겅(100)의 회전 손잡이(120)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보다 간편하게는 모터(motor)와 같은 외부 동력원을 이용하여 사람의 힘을 들이지 않는 방식으로 물의 대류를 일으킬 수도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의 힘에 의한 대류와 전기 에너지에 의한 대류를 같이 병행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부 뚜껑(100)의 중심 부분은 회전 운동 에너지를 본체(200) 내부의 체에 전달하기 위해서 본체(200) 내부의 체와 볼 베어링 방식으로 체결되고, 상부 뚜껑(100)의 바깥 부분은 물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체(20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부 뚜껑(100)의 중심 부분과 본체(200) 내부의 체의 결합 과정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체(200) 내부의 체에 일정한 홈이 있어 상부 뚜껑(100)의 중심 부분을 회전시키다 보면 상부 뚜껑(100)의 중심부와 본체(200) 내부의 체가 결합하게 된다. 추후 이 둘은 볼 베어링을 해제하기 위해 상부 뚜껑(100)에 위치한 버튼(미도시)를 사용자가 누르면 볼 베어링의 스프링이 들어가서 자동으로 딸각하고 결합이 풀리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의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본체(200)의 외부는 상단부에 상부 뚜껑(100)과 결합하기 위한 나선 홈, 하단부에 하부 뚜껑(300)과 결합하기 위한 나선 홈을 가진다. 상부 뚜껑(100)과 하부 뚜껑(300)을 본체(200)와 나사 결합으로 체결하게 되면 이 틈을 통해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곡물을 씻는 과정에서 물이 낭비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본체(200)의 외부는 그 안이 텅 빈 원통형이며, 그 내부에 체가 들어갈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본체(200) 내부에 들어가게 될 체(260)는 당연하게도 본체(20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곡물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드러운 소재의 실리콘(silicon)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체 내부의 체(260)는 그 안에 곡물을 넣고 물의 대류를 이용해서 씻으면서 곡물에 붙은 부스러기나 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많이 가질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체(26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이는 체(260)의 일 예시이며, 구멍은 이러한 패턴 외에도 다양한 패턴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본체(200) 내부의 체(260)는 곡물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씻을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일정한 텍스처 패턴(texture pattern)을 가질 수 있다. 즉, 실리콘 재질로 본체(200) 내부의 체(260)를 만들면서 체(260)의 내부에 일정한 굴곡을 주어 물의 대류와 함께 곡물이 회전하면서 체(260)의 내부의 요철과 부딪혀 자연스럽게 부스러기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c는 이러한 내부 굴곡의 일 예시로서 체(260)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체(260)의 중심부에서 바깥을 향하도록 나선형의 세로 줄기가 있고 각 세로줄기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가로 줄기 및 가로 줄기에 촘촘하게 연결된 세부 줄기와 같은 요철을 준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곡물을 씻을 수 있다. 또한 각 세로 줄기 사이에는 물결 모양의 굴곡을 주어 체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의 대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체(260) 내부의 굴곡은 일 예시일 뿐이며 반드시 이와 같은 굴곡 패턴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의 하부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하부 뚜껑(300)에는 두개의 밸브가 존재한다. 하나는 외부의 호스를 통해 물을 본체(200) 내부로 공급하는 밸브(310)와 다른 하나는 본체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320)이다. 또한 각각의 밸브 내부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얇은 판막이 있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뚜껑(300)의 두 밸브(310, 320)을 통해서만 물을 곡물 씻기 그릇 내부로 공급하고 배출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고 최소한의 물만으로 곡물을 씻고 젓고 헹굴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물의 재사용율을 높이기 위해 본체(20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밸브(320)에 필터(filter)를 추가하여 곡물을 씻고 젓고 헹구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스러기 및 찌꺼기 등을 거를 수 있다. 이렇게 거른 물은 다시 사용할 수 있어 물의 소모를 더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필터는 세척을 해서 다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소모품으로 교환 및 교체 방식으로 지속적인 사용을 꾀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본 고안의 곡물 씻기 그릇을 위에서 본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체(200) 및 상부 뚜껑(100)과 상부 뚜껑(100)의 회전 막대(110)와 회전 손잡이(120)을 확인할 수 있다. 본체(200)의 중앙부를 양 옆으로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400)는 위에서 보았을 때 양 끝이 밖으로 구부러진 말발굽 모양 또는 U자 모양을 취하고 있다. 지지대(400)를 이와 같이 밖을 향해 구부러진 모양으로 만든 이유는 이렇게 지지대(400)를 밖을 향해 구부림으로써, 곡물을 넣거나 빼내기 위한 커다란 그릇을 위치시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지지대(400)와 본체(200)가 결합을 하되 둘을 고정으로 결합한 것이 아니라 본체(200)를 어느정도 앞뒤로 기울일 수 있도록 결합한 것도 곡물을 넣고 빼는 과정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씻기 그릇을 살펴보았다. 상부 뚜껑(100)과 하부 뚜껑(300)을 본체(200)와 나사 결합으로 체결하여 물의 유출을 막고 하부 뚜껑(300)의 두 밸브를 통해 본체(200) 내부의 물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물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0) 내부에 실리콘 재질로 그 내부에는 다양한 굴곡 패턴을 가지고 외부에는 부스러기와 찌꺼기를 거를 수 있는 구멍을 가진 체(260)를 넣고, 상기 체(260)와 상부 뚜껑(100)의 중심 부분을 볼 베어링 방식으로 체결하여 상부 뚜껑(100)의 회전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발생한 회전 운동 에너지를 본체(200) 내부의 체(200) 및 물에 전달하여 물의 대류를 통해 곡물을 씻고 젓고 헹굼으로써 세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곡물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상부 뚜껑
110: 회전 막대
120: 회전 손잡이
200: 본체
260: 체
300: 하부 뚜껑
310: 물 출입 밸브
320: 물 배출 밸브
400: 지지대

Claims (8)

  1. 곡물을 씻고, 젓고, 헹구기 위한 본체(200);
    상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상부 뚜껑(100);
    상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부 뚜껑(300); 및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대(400)를 포함하는,
    곡물 씻기 그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100)은,
    상기 상부 뚜껑(100)의 중심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막대(110)와 회전 손잡이(120)를 가지는 것인,
    곡물 씻기 그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100)은,
    상기 상부 뚜껑(100)의 중심 부분을 상기 본체(200) 내부의 체(260)와 볼 베어링 방식으로 체결하여 상기 상부 뚜껑(100)의 회전 운동 에너지를 체(260)로 전달하는 것인,
    곡물 씻기 그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내부에 곡물을 씻고, 젓고, 헹구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체(260)를 가지는 것인,
    곡물 씻기 그릇.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260)는,
    외부는 곡물의 부스러기를 거르기 위한 여러 개의 구멍을 가지며,
    내부는 곡물을 파괴하지 않고 씻기 위한 다양한 패턴의 굴곡을 가지는 것인,
    곡물 씻기 그릇.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뚜껑(300)은,
    상기 본체(200)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출입 밸브(310)와 상기 본체(200) 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 밸브(320)를 가지는 것인,
    곡물 씻기 그릇.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출입 밸브(310)와 상기 물 배출 밸브(320)는,
    물의 역류를 막기 위한 판막을 가지는 것인,
    곡물 씻기 그릇.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00)는,
    양 끝이 밖을 향하여 구부러진 말발굽 형태를 가지는 것인,
    곡물 씻기 그릇.
KR2020150007659U 2015-11-05 2015-11-24 곡물 씻기 그릇 KR2017000168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7191 2015-11-05
KR2020150007191 2015-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85U true KR20170001685U (ko) 2017-05-15

Family

ID=5871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59U KR20170001685U (ko) 2015-11-05 2015-11-24 곡물 씻기 그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8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058A (zh) * 2019-03-01 2019-06-07 宁波工程学院 一种滚筒传递式海带清洗机
KR20210022364A (ko) * 2019-08-20 2021-03-03 유지인 반려동물용 사료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058A (zh) * 2019-03-01 2019-06-07 宁波工程学院 一种滚筒传递式海带清洗机
CN109846058B (zh) * 2019-03-01 2021-08-24 宁波工程学院 一种滚筒传递式海带清洗机
KR20210022364A (ko) * 2019-08-20 2021-03-03 유지인 반려동물용 사료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3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drying and sanitizing produce
RU26953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аром и измельче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JPWO2008149450A1 (ja) 全自動式炊飯器
TW201311195A (zh) 豆奶製造機
KR20170001685U (ko) 곡물 씻기 그릇
KR20160138816A (ko) 내부에 가열부가 구비된 감자 탈피기.
KR20100111398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WO2019127998A1 (zh) 一种家用清洗机
EP3996566B1 (en) Automatic dishwashing machine
KR101360373B1 (ko) 이유식 조리기
JP3658276B2 (ja) 豆乳製造器
EP1316284B1 (en) Appliance for washing vegetables and molluscs
JP2016063845A (ja) 全自動式炊飯器
CN208573653U (zh) 水槽洗碗机
WO2019115046A1 (en) A dishwasher washing with granules
JP2006247594A (ja) 洗浄洗米機。
CN108937790A (zh) 清洗设备
CN108937792A (zh) 清洗设备
JP4010309B2 (ja) 穀粒類の洗磨器
US557112A (en) covel
CN215914285U (zh) 料理机
WO2006025066A1 (en) A novel utensil washer
CN112450759B (zh) 一种多功能家庭用豆浆机、豆浆制作方法
CN217285527U (zh) 料理机
EP1758489B1 (en) A coffe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