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41U -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41U
KR20170001541U KR2020150006895U KR20150006895U KR20170001541U KR 20170001541 U KR20170001541 U KR 20170001541U KR 2020150006895 U KR2020150006895 U KR 2020150006895U KR 20150006895 U KR20150006895 U KR 20150006895U KR 20170001541 U KR20170001541 U KR 20170001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paper
processing apparatus
calibration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861Y1 (ko
Inventor
윤성수
정대식
염명섭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6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84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에 관한 것으로, 지폐처리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사이즈의 용지에, 지폐들의 스케일(scale) 농도에 기초한 복수개의 단계의 스케일 농도로 구분되는 영역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PAPER SHEET FOR CALIBRATION OF BANKNOTE PROCESSING DEVICE}
본 고안은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된 센서들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에 관한 것이다.
지폐처리장치는 지폐의 매수를 자동으로 세는 지폐계수기, 지폐의 분류 및 식별 기능을 수행하는 지폐정사기, 지폐리싸이클러, 위폐감별기, 수표처리기, 입출금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을 포함하며 지폐를 계수할 수 있는 장치를 폭넓게 포함한다.
이러한 지폐처리장치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 형태의 금전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소정 매수의 지폐를 투입부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지폐의 수량을 계수하거나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이를 적재부로 배출하면서 계수된 지폐수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다만 본 고안에서 지폐처리장치가 처리하는 지폐는 현금뿐만 아니라 지엽류, 은행권, 수표, 어음, 유가증권, 증서, 매체(medium), 종이, 상품권, 쿠폰, 티켓, 상표부착물 및 신분증 등에도 해당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지폐처리장치는 받아들인 지폐가 정당한 것인지, 지폐 유통에 적합한 것인지 어떤지를 감별한다. 예컨대 지폐의 정사(즉, 새지폐 / 헌지폐 / 훼손지폐)를 감별하거나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한다.
또한 지폐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요청한 출금 액수나 입금 액수에 상응하는 정확한 매수의 지폐를 계수하거나 위조지폐 여부나 지폐의 겹침 또는 이물 부착 지폐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계수되는 지폐에는 새로 발행된 신권 지폐뿐만 아니라, 이전에 이미 발행되어 사용되던 구권 지폐, 구겨진 지폐, 접힌 지폐, 구멍난 지폐, 이물이나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 등이 무작위로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폐처리장치는 지폐의 감별, 판별 등을 위한 센서들(예 : 가시광(VL)센서, 적외선(IR)센서, 자외선(UV)센서, 자기(MG)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제품의 생산 과정이나 사용중인 주변 환경(예 : 온도, 습도, 충격 등)의 변화 또는 사용기간에 따라, 상기 센서들의 상태(예 : 채널 간 편차, 광원의 밝기, 센서 간 간격, 사용시간 및 온도/습도 등 주변 환경 변화)나 성능(출력신호나 수신감도의 변화 등)이 변화될 수 있으며, 동일한 센서라도 기기간의 편차(예 : 밝기 편차 등)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나 관리자는 상기 센서들의 상태나 성능 변화 또는 기기간의 편차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들을 세팅하거나 교정해 줌으로써, 지폐처리장치가 정확한 지폐 감별(판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가시광센서, 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등을 교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실제 지폐를 투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교정이나 세팅을 수행하였으며, 지폐처리장치가 감별(판별)할 수 있는 권종마다 교정을 수행하거나 세팅 작업을 하여야 했기 때문에, 많은 권종을 처리할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센서들의 교정이나 세팅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2254호(2008.03.04.등록, 지폐 감별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실제 지폐를 대신하여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된 센서들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지폐처리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사이즈의 용지에, 지폐들의 스케일(scale) 농도에 기초한 복수개의 단계의 스케일 농도로 구분되는 영역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복수단계의 스케일(scale) 농도로 구분되는 영역을 이용하여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된 센서들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재현성을 향상시키고, 각 장치별 센서의 편차 문제를 극복하며, 지폐처리장치의 생산이나 교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 6b, 6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를 이용한 교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를 이용한 교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지폐처리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사이즈의 용지에 복수개의 단계(예 : 8단계 및 9단계)의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농도로 구분되는 영역(100)이 인쇄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지폐처리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사이즈라 함은, 실제 지폐와 그 두께나 크기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지폐처리장치에 투입될 수 있는 사이즈를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실제 지폐를 대신하여 지폐처리장치에 투입될 수 있으며,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된 센서들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8단계의 그레이 스케일 농도는 0%, 5%, 15%, 25%, 35%, 50%, 65% 및 75%이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9단계의 그레이 스케일 농도는 0%, 10%, 20%, 30%, 40%, 50%, 60%, 70% 및 80%일 수 있다.
즉, 여기서 그레이 스케일 농도는 백분율(percentage)로 구분될 수 있으며, 0%(백색)부터 100%(검정색)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백분율을 이용한 그레이 스케일 농도의 구분은 인쇄와 관련된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이므로, 각각의 농도값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그레이 스케일 농도는 기본적으로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인쇄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단계의 농도 스케일별로 균일한 미세 패턴(격자 등)을 형성하도록 인쇄하는 방식도 사용 가능하다.
다만, 다양한 권종의 실제 지폐들에 인쇄된 스케일 농도들을 감안할 때 최대 농도는 90% 이하인 것이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0%, 5%, 15%, 25%, 35%, 50%, 65% 및 75%의 농도 패턴과 0%, 10%, 20%, 30%, 40%, 50%, 60%, 70% 및 80%의 농도 패턴은 각 권종별(금액별, 국가별) 지폐들이 실제 인쇄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동작범위: Dynamic range)의 농도들을 분석하여 각 스케일 농도별 평균 범위를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기계적 인식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복수의 단계들로 디자인되어 인쇄된 패턴으로, 도 6(6a, 6b, 6c) 및 도 7을 참조하여 0%, 5%, 15%, 25%, 35%, 50%, 65% 및 75% 패턴을 이용한 가시광센서의 교정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또한 0%, 10%, 20%, 30%, 40%, 50%, 60%, 70% 및 80%의 농도 패턴을 이용한 교정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인식된 화상 영역(즉,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의 이미지 영역(100)을 지폐처리장치의 가시광센서가 인식한 결과)의 픽셀별 농도 측정값을 빈도수의 형태로 나타낸 그래프로, 도 6a는 이상적인 경우를, 도 6b는 실측된 케이스를, 도 6c는 비정상적인 케이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0%, 5%, 15%, 25%, 35%, 50%, 65% 및 75%의 농도 패턴을 지닌 페이퍼 시트를 지폐처리장치에 투입하는 경우에, 모든 조건(페이퍼 시트의 상태, 가시광센서의 상태, 페이퍼 시트의 투입 시 삐뚤어진 정도 등)이 이상적(ideal)이라면, 가시광센서의 각 픽셀이 인식한 농도(밝기)는 8단계의 농도 중 하나이어야 하므로,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빈도수는 0%, 5%, 15%, 25%, 35%, 50%, 65% 및 75%의 농도에서만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가시광센서의 채널별 편차나 픽셀별 편차 또는 각각의 지폐처리장치간 센서 편차(예 : 밝기 편차) 등에 의해, 실측된 결과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더 나아가 가시광센서에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가 나타날 수도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그래프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에, 도 6a에 도시된 그래프에 가까운 결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가시광센서를 교정한다면, 가시광센서의 채널별 편차나 픽셀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채널별 편차나 픽셀별 편차는 가시광센서의 광원의 휘도 조합이나 휘도 편차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시광센서의 교정은 가시광센서의 광원의 휘도를 조절하거나, 센서의 감도를 조절하는 방식 또는 센서의 측정 알고리즘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를 이용하여 지폐처리장치의 교정이나 세팅을 수행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의 지폐 감별(판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펙이 동일한 다른 지폐처리장치에 이러한 교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해당 기기의 가시광센서의 채널별 편차나 픽셀별 편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지폐처리장치의 생산이나 교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식을 통해 기기별 가시광센서의 편차를 줄일 수도 있으므로, 기기별 균일한 성능의 보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도 6c에 도시된 그래프와 유사한 그래프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가시광센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지폐처리장치의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은 픽셀별 측정값(인식값)을 각 농도의 구간별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준값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즉,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조건이 이상적인 경우에는 y=x와 같은 그래프가 나타나야 하나, 실측된 결과는 case 1이나 case 2와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실측 그래프가 이상적인 경우의 그래프를 추종하도록 가시광센서를 교정한다면, 가시광센서의 채널별 편차나 픽셀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기기마다 상기 페이퍼 시트를 투입하여 얻어진 이미지를 농도 단계별로 목표값과 평균값의 차이와 분포도(예: 표준편차)를 구하여 수치화함으로써, 광원 특성 및 밝기 레벨의 편차를 알 수 있고, 목표 밝기의 오프셋과 게인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기기마다 차이가 발생하는 밝기 편차를 극복하여 동일한 밝기가 나오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교정할 수행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교정 방식들은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예들일 뿐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교정 방식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합성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정밀한 교정을 위해, 수축과 팽창률이 낮아 형태가 잘 변형되지 않으면서 지분이 발생되지 않고, 내구성, 방수성, 인쇄성 및 발색성이 뛰어나 고품질의 출력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합성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포(yupo)지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그레이 스케일 패턴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백색의 용지가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용지는 자외선(UV) 형광 처리된 용지일 수 있다. 즉 자외선 형광 처리된 용지에 상술한 패턴을 인쇄한다면, 가시광센서뿐만 아니라 자외선센서도 페이퍼 시트를 인식하고, 그 패턴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된 자외선센서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용지에 인쇄된 영역(100)을 자외선(UV) 형광 처리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자외선센서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지에 인쇄된 영역(100)을 적외선(IR) 흡수 처리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적외선센서 또한 페이퍼 시트를 인식하고, 그 패턴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된 적외선센서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흡수 처리된 잉크로는 카본 블랙 잉크가 채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가시광센서, 자외선센서 및 적외선센서를 한 번에 교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형광 처리 및 적외선 흡수 처리된 잉크를 사용하여 백색의 유포지에 그레이 스케일 패턴을 인쇄하거나, 자외선 형광 처리된 유포지에 카본 블랙 잉크로 그레이 스케일 패턴을 인쇄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가시광센서, 자외선센서 및 적외선센서를 한 번에 교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퍼 시트는 상기와 같은 인쇄 후에 보호용 피막을 코팅이나 도포, 프린팅, 부착 등의 공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용 피막은 투광성이 양호하고 반사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기간 또는 자주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긁힘이나 접촉 등에 의한 손상이나 색상 노화에 의해 용지에 인쇄된 스케일 농도 레벨의 변화와 같은 현상이 방지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자외선센서나 적외선센서의 교정은 상술한 가시광센서의 교정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 시트는 앞면과 뒷면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싱글(single) 형태의 센서뿐만 아니라, 듀얼(dual) 형태의 센서를 사용한 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페이퍼 시트의 전체 영역 중 그레이 스케일 농도로 구분되는 영역(100)이 인쇄되는 영역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영역(100) 외에 페이퍼 시트의 고유 식별 표지(예 : 시리얼넘버(200))를 더 인쇄하여, 제작시기나 제작소 등의 영향으로 인한 균일성을 고려한 페이퍼 시트의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는 복수단계의 스케일(scale) 농도로 구분되는 영역을 이용하여 지폐처리장치에 구비된 센서들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득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균일해져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재현성을 향상시키고, 각 장치별 센서의 편차 문제를 극복하며, 지폐처리장치의 생산이나 교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레이 농도 스케일을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는 방식의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실시 환경이나 실시 목적에 따라 칼라 농도 스케일을 각기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거나 혼합하여 인쇄하는 방식으로도 변형하거나 수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이미지 영역
200: 시리얼넘버

Claims (7)

  1. 지폐처리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사이즈의 용지에, 지폐들의 스케일(scale) 농도에 기초한 복수개의 단계의 스케일 농도로 구분되는 영역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계는 각각 0% 이상 및 90% 이하의 농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단계는 5% 이상 및 10% 이하의 간격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백색의 폴리프로필렌 합성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자외선(UV) 형광 처리된 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가시광(VL), 적외선(IR) 및 자외선(UV)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잉크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시트는 일면 또는 양면상에 보호용 피막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이 상기 용지의 앞면 및 뒷면에 동일하게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KR2020150006895U 2015-10-23 2015-10-23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지폐처리장치 KR200491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95U KR200491861Y1 (ko) 2015-10-23 2015-10-23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지폐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95U KR200491861Y1 (ko) 2015-10-23 2015-10-23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지폐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41U true KR20170001541U (ko) 2017-05-08
KR200491861Y1 KR200491861Y1 (ko) 2020-06-23

Family

ID=5871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95U KR200491861Y1 (ko) 2015-10-23 2015-10-23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6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2641A (ja) * 2006-07-31 2008-02-14 Nidec Copal Corp 測光レベル補正方法及び被測定物検査システム
JP2009002830A (ja) * 2007-06-22 2009-01-0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発光量を補正可能な光センサ、それを用いた紙葉類識別装置及びその補正方法
JP2011218741A (ja) * 2010-04-14 2011-11-04 National Printing Bureau 潜像画像を有する印刷物
JP2013089178A (ja) * 2011-10-21 2013-05-13 Canon Components Inc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2641A (ja) * 2006-07-31 2008-02-14 Nidec Copal Corp 測光レベル補正方法及び被測定物検査システム
JP2009002830A (ja) * 2007-06-22 2009-01-0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発光量を補正可能な光センサ、それを用いた紙葉類識別装置及びその補正方法
JP2011218741A (ja) * 2010-04-14 2011-11-04 National Printing Bureau 潜像画像を有する印刷物
JP2013089178A (ja) * 2011-10-21 2013-05-13 Canon Components Inc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861Y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3391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US9734649B2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US8989433B2 (en) Paper sheet recognition apparatus and paper sheet recognition method
KR20160007616A (ko) 인증 장치 및 방법
EP3723054B1 (en) Banknote recognition unit, banknote handling device, and banknote recognition method
JP5502111B2 (ja)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方法
KR101076322B1 (ko) 컨택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지폐의 진위 판단 방법
KR200491861Y1 (ko) 지폐처리장치 교정용 페이퍼 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지폐처리장치
JP2011034172A (ja) 証券類識別装置および証券類識別方法
KR101117359B1 (ko)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KR100613423B1 (ko) 지폐 계수기
KR20090060006A (ko) 매체 진위 판별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WO2010026646A1 (ja) 紙葉類識別装置、紙葉類識別方法及び紙葉類識別プログラム
AU2018100342A4 (en) Inspection of micro optical effect images in thin substrates
RU2673998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верки годности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KR20210022789A (ko) 표준매체, 표준매체간 편차 보정 방법, 표준매체의 상태 진단 방법, 및 표준매체를 이용한 지폐처리장치의 센서 상태 진단 방법
AU2016100492A4 (en) A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measuring a defect that reduces transparency in a substrate for a security document
US20240021037A1 (en) Sensor and method for verifying value documents
KR101385355B1 (ko)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권종판별방법
US201900575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taining
KR101928997B1 (ko) 지폐 계수기용 가이드
WO2022210372A1 (ja) 重送検知装置及び重送検知方法
JP2022052095A (ja) 制御方法
JPH08263717A (ja) 紙幣識別装置
JP2020123252A (ja) 紙葉類処理装置、テスト媒体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の動作確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