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346A -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346A
KR20170001346A KR1020150091194A KR20150091194A KR20170001346A KR 20170001346 A KR20170001346 A KR 20170001346A KR 1020150091194 A KR1020150091194 A KR 1020150091194A KR 20150091194 A KR20150091194 A KR 20150091194A KR 20170001346 A KR20170001346 A KR 20170001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ain table
frame
stepped
sli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662B1 (ko
Inventor
구춘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다인
Priority to KR102015009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6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5Extensible table surface area with two table tops - centering the weight of the extended table by translation and rotation of the overlying table top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은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함몰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주테이블; 상기 주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단차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마감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단차부 상에 장착되는 보조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차림 영역의 면적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TABLE FOR FOOD HAVING ADJUSTABLE AREA}
본 발명은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이 올라갈 수 있는 영역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음식은 밥을 주식으로 하여 많은 반찬이 제공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음식중의 하나가 한정식인 바, 이 한정식에 나오는 반찬 가짓수는 지방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적어도 수십 가지의 반찬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수십 가지의 반찬 등을 상차림하기 위해서는 주방에서 일정량의 음식을 쟁반 등에 적재한 뒤 작업자가 이를 손으로 또는 별도의 캐리어를 통해 식탁으로 이동하고 수작업으로 일일이 식탁에 음식물을 옮기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짓수가 많은 반찬을 상차림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하게 과다한 시간 및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섭취자가 오랜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주 요리에 비하여 전채요리는 음식 가짓수가 적음에도 주 요리용 테이블에 전채요리를 상차림하여 공간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상대적으로 넓은 테이블에 놓여지는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서 섭취자는 크게 움직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차림 영역의 면적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함몰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주테이블; 상기 주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단차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마감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단차부 상에 장착되는 보조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차부 상에 배치지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평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단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테이블은 상기 제1단차면과 접촉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단차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돌출부과 단차를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주테이블의 상면에 대향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주테이블의 하면에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며, 다른 하나와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테이블 또는 상기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테이블과 상기 슬라이딩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는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주테이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테이블의 측면에는 삽입홈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테이블이 상기 주테이블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조 테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음식이 차려지는 공간의 면적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이 제공된다.
또한, 주테이블의 단차부가 복수 개의 단차를 갖도록 함으로써, 보조 테이블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주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의 하부를 이루는 프레임이 측부의 프레임의 양단 중 어느 하나로만 연결됨으로써 주테이블 하단에 설치되는 포스트부재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주테이블과 슬라이딩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는 도 1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주테이블과 슬라이딩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은 상차림을 할 수 있는 공간의 면적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테이블로서, 주테이블(110)과 포스트부재(120)와 슬라이딩부(130)와 보조 테이블(140)과 회동부재(150)와 가이드레일(160)과 고정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주테이블(110)은 후술하는 슬라이딩부(130)가 장착되는 테이블로서, 단차부(111)와 평탄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단차부(111)는 중앙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평탄부(112)로부터 함몰되어 단차를 갖는 영역이다. 이러한 단차부(111)는 후술하는 평탄부(112)로부터 하단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영역이다.
상기 평탄부(112)는 단차부(111)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주테이블(110)의 양측부를 이루되, 단차부(111) 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영역이다. 평탄부(112)는 후술하는 보조 테이블(140)의 베이스부(142)와 접촉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주테이블(110)은 평탄부(112)로부터 단차부(111)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져 단차를 갖는 구조를 갖는다. 단차의 구조 및 높이 차는 주테이블(110)의 면적, 소재, 두께 및 여기에 놓여지는 물품의 중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트부재(120)는 일단부가 주테이블(110)의 하단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주테이블(110)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포스트부재(120)는 슬라이딩부(13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주테이블(110) 하면에 설치된다. 특히, 포스트부재(120)는 후술하는 슬라이딩부(1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그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라이딩부(130)는 주테이블(110)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서,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2)과 제3프레임(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131)은 슬라이딩부(130)의 상부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주테이블(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132)은 각각이 제1프레임(131)의 양측단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프레임(133)은 한 쌍의 제2프레임(13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주테이블(110)의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프레임(133)은 제2프레임(132)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연결되지 않도록 제작되므로,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될 수 있어 안정성이 높아진다.
특히 제3프레임(133)는 단부가 포스트부재(120)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므로, 포스트부재(120)에 의한 방해 없이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 테이블(140)은 슬라이딩부(130)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주테이블(110)의 단차부(111)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 결합됨으로써, 단차부(111)에 의한 공간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서, 돌출부(141)와 베이스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41)는 단차부(111)에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베이스부(142)로부터 하단으로 돌출됨으로써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부(142)는 평탄부(112)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돌출부(141)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부(130)와 접촉하는 베이스부(142)의 측면에는 삽입홈(14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부(170)가 삽입된다.
상기 회동부재(150)는 주테이블(110) 및 슬라이딩부(130)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볼형태의 구조물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동부재(150)는 평탄부(112) 및 슬라이딩부(130)의 제1프레임(131) 상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된다. 회동부재(150)는 슬라이딩부(130)의 중량을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시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그 개수는 슬라이딩부(130)의 중량을 고려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회동부재(150)는 평탄부(112)와 슬라이딩부(130) 모두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 상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레일(160)은 주테이블(110)과 슬라이딩부(130) 사이에 슬라이딩부(130)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딩부(130)의 이동경로는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160)은 주테이블(110)에 설치되는 제1레일(161)과, 제2레일(16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슬라이딩부(130)에 설치되는 제2레일(162)로 이루어진다. 제1레일(161)과 제2레일(162)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제2레일(162)이 제1레일(161)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딩부(1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고정부(170)는 주테이블(110) 상에 안착된 보조 테이블(140)을 고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부(130)에 설치된다.
고정부(170)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버튼이 마련되고, 고정부(170)의 버튼이 가압될 때마다 돌출되거나, 수축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또한 고정부(170)는 돌출시에 보조 테이블(140)에 형성되는 삽입홈(143)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부(170)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130) 중 어느 하나에만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양 쪽의 슬라이딩부(130) 모두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70)는 제1프레임(131)에 설치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차림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2프레임(132)에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에서 눈에 드러나지 않도록 제3프레임(133)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는 도 1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딩부(130)가 주테이블(110)의 단차부(111) 상에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딩부(130)의 위치를 제1위치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130)가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채요리가 슬라이딩부(130) 및 주테이블(110)의 평탄부(112) 상에 차려진다.
본 실시예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의 양측에 착석한 사람들이 전채요리를 다 먹은 후에는 슬라이딩부(130) 및 평탄부(112) 상의 전채요리는 치워진다.
전채요리가 다 치워지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130)를 양측으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딩부(130)가 평탄부(11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평탄부(112) 상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부(130)의 위치를 제2위치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딩부(13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1위치의 슬라이딩부(130)를 양측으로 밀면 제1레일(161) 상에서 제2레일(162)이 슬라이딩 이동한다. 소정의 간격을 이동한 후 제2레일(162)은 걸림부에 의하여 추가 이동이 제한되고 제2위치 상에 최종 배치된다.
슬라이딩부(130)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동부재(15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회동부재(150)의 회동으로 인하여 큰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슬라이딩부(130)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130)는 제2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단부가 평탄부(112)로부터 외측으로 일부 돌출됨으로써, 주테이블(110) 및 슬라이딩부(130)를 포함하는 전체면적이 증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슬라이딩부(130)가 제2위치에 배치되면, 주테이블(110)의 단차부(111)는 외부에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테이블(140) 상에 메인요리를 배치시킨다. 보조 테이블(140)을 카트와 같은 이송장비를 이용하여 주테이블(110) 측으로 이송하고 보조 테이블(140)을 단차부(111) 상으로 밀어 넣어 이동시킨다.
보조 테이블(140)은 주테이블(110)의 회동부재(150)에 의하여 지지되어 미끌어지면서 단차부(111)에 안착된다. 돌출부(141)는 단차부(111)와 접촉하고, 베이스부(142)는 평탄부(112)와 접촉하며, 평탄부(112)와 슬라이딩부(130)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높이차를 보상한다. 즉, 주테이블(110)의 공간을 보조 테이블(140)이 메움으로써 보조 테이블(140)의 상면과 슬라이딩부(130)는 동일한 높이의 면을 구성한다.
보조 테이블(140)이 단차부(111)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부(170)를 작동시키면 고정부(170)가 돌출하여 삽입홈(143) 내에 삽입됨으로써 보조 테이블(14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주테이블 120 : 포스트부재
130 : 슬라이딩부 140 : 보조 테이블
150 : 회동부재 160 : 가이드레일
170 : 고정부

Claims (10)

  1.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함몰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주테이블;
    상기 주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단차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마감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단차부 상에 장착되는 보조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차부 상에 배치지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평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단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테이블은 상기 단차부와 접촉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돌출부과 단차를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주테이블의 상면에 대향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주테이블의 하면에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며, 다른 하나와는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테이블 또는 상기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테이블과 상기 슬라이딩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는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주테이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테이블의 측면에는 삽입홈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테이블이 상기 주테이블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조 테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KR1020150091194A 2015-06-26 2015-06-26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KR10171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194A KR101719662B1 (ko) 2015-06-26 2015-06-26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194A KR101719662B1 (ko) 2015-06-26 2015-06-26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346A true KR20170001346A (ko) 2017-01-04
KR101719662B1 KR101719662B1 (ko) 2017-03-24

Family

ID=5783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194A KR101719662B1 (ko) 2015-06-26 2015-06-26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6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823U (ko) * 1989-06-27 1991-02-13
KR200378370Y1 (ko) * 2004-12-24 2005-03-14 정자훈 멀티미디어 기능형 강의대
KR101360884B1 (ko) * 2013-08-07 2014-02-12 주식회사 효인산업 다기능 테이블
KR101525328B1 (ko) * 2013-12-24 2015-06-03 이진오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823U (ko) * 1989-06-27 1991-02-13
KR200378370Y1 (ko) * 2004-12-24 2005-03-14 정자훈 멀티미디어 기능형 강의대
KR101360884B1 (ko) * 2013-08-07 2014-02-12 주식회사 효인산업 다기능 테이블
KR101525328B1 (ko) * 2013-12-24 2015-06-03 이진오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662B1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6408B2 (en) Deployable table assembly
JP6040305B2 (ja) 片持式トレーテーブ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航空機特別客室
US20100244532A1 (en) Child booster seat with a height-adjustable armrest
TWI528921B (zh) 負載適配的滾輪滑架組合件
CN109133661B (zh) 多功能可调节型蚀刻篮具
KR101719662B1 (ko) 면적 조절이 가능한 상차림용 테이블
US20110214575A1 (en) Lifting mechanism of fry device and frying pan
US20150320247A1 (en) Mat systems and methods
KR101731192B1 (ko) 길이 가변 테이블
US20140009745A1 (en) Adjustable supporting mechanism and projector therewith
KR102246019B1 (ko)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EP2893839B1 (en) Backrest translation mechanism
US20070205190A1 (en) Tray for positioning dining utensils
KR200465623Y1 (ko)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KR102419317B1 (ko) 식판
JP2005287697A (ja) 配膳台
CN205577499U (zh) 一种可调式假台口
CN204387594U (zh) 用于电子装置的支架
KR101228159B1 (ko) 의자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 구조
CN107661029B (zh) 煎烤机
CN210696655U (zh) 梳妆桌
CN204207378U (zh) 升降椅及其升降装置
JP2009196748A (ja) 載置台
KR200471240Y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210000617U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