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23Y1 -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23Y1
KR200465623Y1 KR2020110006263U KR20110006263U KR200465623Y1 KR 200465623 Y1 KR200465623 Y1 KR 200465623Y1 KR 2020110006263 U KR2020110006263 U KR 2020110006263U KR 20110006263 U KR20110006263 U KR 20110006263U KR 200465623 Y1 KR200465623 Y1 KR 200465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ircumferential surface
guide
opened
leng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465U (ko
Inventor
류영현
Original Assignee
류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영현 filed Critical 류영현
Priority to KR2020110006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2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1)가 얹혀지는 받침대본체(10): 내부가 일단으로 개구되고,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가이드홈(21)을 갖추고서, 받침대본체(10)의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21)와; 용기(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부(22a)을 갖추고서, 가이드부(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에 둘레면을 가압하며 전체적으로‘ㄷ’자 형을 이루는 길이조절부(22)와; 길이조절부(22)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너트(23)를 구비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뜨거운 용기를 떠받치는 받침대본체와, 용기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통해 뜨거운 용기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식탁에 배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뜨거운 용기를 떠받치기 위해 받침대를 별도로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어 그 사용이

Description

탈부착식 음식받침대{Attache and Detach Food Table}
본 고안은 탈부착식 음식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받침대는 가열한 음식이 든 용기를 떠받쳐 뜨거운 용기로 인해 식탁 또는 바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받침대를 매개로 가열한 음식이 든 용기를 떠받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미리 식탁 또는 바닥에 음식받침대를 설치한 다음, 가열한 음식이 든 용기를 후에 가져와 음식받침대 상에 안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4063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뜨거운 용기를 편리하게 떠받칠 수 있는 탈부착식 음식받침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뜨거운 용기를 편리하게 떠받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뜨거운 용기와의 탈부착이 매우 편리한 탈부착식 음식받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가 얹혀지는 받침대본체:
내부가 일단으로 개구되고,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받침대본체의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와; 용기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갖추고서,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에 둘레면을 가압하며 전체적으로‘ㄷ’자 형을 이루는 길이조절부와; 길이조절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너트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개구된 고정부재설치부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판안치부로 구성된 하부부재와;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개구된 개구부와, 둘레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조작부를 갖추고서, 고정판안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잠금부재와; 하부부재의 상면에 얹혀져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잠금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부재를 구비하는 받침대본체:
내부가 일단으로 개구되고,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타단에는 수평하게 절개되어 외향으로 개구되는 삽입홈을 갖추고서, 고정부재설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잠금부재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가이드부와; 용기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을 갖추고서,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에 둘레면을 가압하며, 전체적으로‘ㄷ’자 형을 이루는 길이조절부와, 길이조절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너트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뜨거운 용기를 떠받치는 받침대본체와, 용기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통해 뜨거운 용기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식탁에 배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뜨거운 용기를 떠받치기 위해 받침대를 별도로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부재를 갖춘 받침대본체와, 받침대본체에 회동 및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뜨거운 용기가 안착시 자동으로 뜨거운 용기의 둘레를 가압함과 아울러서 잠금부재에 의해 고정부재의 가압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뜨거운 용기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될 때에 뜨거운 용기로부터 이탈(낙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뜨거운 용기를 떠받치기 위해 받침대를 별도로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및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고정부재가 회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인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는, 받침대본체(10), 다수개의 고정부재(20)로 이루어지며, 뜨거운 용기(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뜨거운 용기(1)를 떠받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받침대본체(10)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을 이루는 공지의 받침대로서, 상면으로 안착된 뜨거운 용기(1)를 떠받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받침대본체(10)의 형상은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고정부재(20)는 가이드부(21)와 길이조절부(22) 및 위치고정너트(23)로 구성되며, 받침대본체(10)의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받침대본체(10)의 상면으로 안착된 뜨거운 용기(1)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2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되, 내부는 길이방향의 일단으로 개구되고, 길이방향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며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가이드홈(21a)를 구비하며, 받침대본체(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홈(21a)에는 이후에 설명될 길이조절부(22)의 볼트(22b)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22)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바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수직바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수평바의 길이가 수직바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바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수직바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수평바이며, 상기 수평바의 일면선단부에는 볼트(22b)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바의 일단면에는 뜨거운 용기(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부(22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지지부(22a)는 공지의 섬유이다.
상기 위치고정너트(23)은 가이드홈(21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볼트(22b)에는 체결되어 길이조절부(22)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며, 여기서 위치고정너트(23)는 공지의 너트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나비너트를 선택적으로 적용 실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길이조절부(22)의 형상이‘ㄷ’자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형태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형상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의 제1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받침대본체(10) 상에 안착될 용기(1)의 크기를 고려하여 가이드부(2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길이조절부(22)를 이동시켜 준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용기(1)를 받침대본체(10) 상에 안착시켜 준 다음, 지지부(22a)가 용기(1)의 둘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길이조절부(22)를 용기(1)의 둘레면을 향해 밀어주고, 용기(1)의 둘레면이 지지부(22a)에 의해 밀착되면 가이드부(21)의 가이드홈(21a)을 통해 노출된 볼트(22b)에 위치고정너트(23)를 체결하여 길이조절부(22)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용기(1)에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가 고정되면, 용기(1)의 손잡이부(1a)를 파지한 상태에서 들어 식탁으로 이동시켜 주면 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의 사용이 완료되면, 우선 길이조절부(22)의 볼트(22b)에 체결된 위치고정너트(23)를 풀어주고, 길이조절부(22)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벌려준 상태에서 용기(1)의 손잡이부(1a)를 매개로 들어 이동시켜 주면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뜨거운 용기(1)를 떠받치는 받침대본체(10)와, 용기(1)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20)를 통해 뜨거운 용기(1)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식탁에 배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뜨거운 용기를 떠받치기 위해 받침대를 별도로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 예인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는, 받침대본체(30), 다수개의 고정부재(40)로 구성되며, 뜨거운 용기(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뜨거운 용기(1)를 떠받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받침대본체(30)는 하부부재(31)와 잠금부재(32) 및 상부부재(33)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부재(31)는 소정의 두께를 원판으로서, 둘레면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개구된 고정부재설치부(31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판안치부(31b)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설치부(31a)의 내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후에 설명될 가이드부(41)의 일단부 외면에는 돌기와 상호 결합되는 홈이 구비하며, 가이드부(41)가 고정부재설치부(31a)에 설치시 홈을 매개로 돌기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잠금부재(3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으로서, 고정판안치부(31b)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된다. 특히, 상기 잠금부재(32)는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개구된 개구부(32a)와, 둘레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조작부(32b)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부재(3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으로서, 하부부재(31)의 상면에 얹혀져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잠금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상부부재(33)를 하부부재(31)의 상면에 고정시 열을 매개로 융착고정하거나 접착제 또는 나사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개의 고정부재(40)는 가이드부(41)와 길이조절부(42) 및 위치고정너트(43)로 구성되며, 받침대본체(30)에 방사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침대본체(30)의 상면으로 안착된 뜨거운 용기(1)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4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며, 고정부재설치부(31a)의 돌기에 홈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41)의 내부는 일단으로 개구되고, 길이방향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며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가이드홈(41a)를 구비하며, 타단에는 수평하게 절개되어 외향으로 개구되며, 잠금부재(32)의 원판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홈(4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41a)에는 이후에 설명될 길이조절부(42)의 볼트(42b)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42)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바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수직바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수평바의 길이가 수직바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바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수직바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수평바이며, 상기 수평바의 일면선단부에는 볼트(42b)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바의 일단면에는 뜨거운 용기(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부(42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지지부(42a)는 공지의 섬유이다.
상기 위치고정너트(43)은 가이드홈(41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볼트(42b)에는 체결되어 길이조절부(42)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며, 여기서 위치고정너트(43)는 공지의 너트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나비너트를 선택적으로 적용 실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길이조절부(42)의 형상이‘ㄷ’자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형태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형상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잠금부재(32)의 개구부(32a)가 고정부재설치부(31a)에 위치해 있을 때에서는 고정부재(40)의 가이드부(41)는 아무런 영향 없이 회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잠금부재(32)의 손잡이(32b)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개구부(32a)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원판의 일부가 가이드부(41)의 삽입홈(41b)으로 삽입되어 가이드부(41)의 회동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용기(1)의 둘레면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용기(1)로부터 받침대본체(30)와 고정부재(40)가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고정부재(40)를 받침대본체(30)에 설치하게 되면, 고정부재(40)의 자체무게로 인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받침대본체(30) 상으로 용기(1)를 안착시키게 되면 고정부재(40)를 구성하는 가이드부(41)의 일단이 눌려지면서 가이드부(41)와 더불어 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연결된 길이조절부(42)가 상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길이조절부(42)가 용기(1)의 둘레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일단면에 형성된 지지부(42a)가 압착되면서 용기(1)의 둘레면에 강하게 밀착하게 되므로, 용기(1)에 매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의 제2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받침대본체(30) 상에 안착될 용기(1)의 크기를 고려하여 가이드부(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길이조절부(42)를 길게 빼준 상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본체(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쳐져 있는 고정부재(40)로 용기(1)를 얹혀주게 되면, 용기(1)의 무게로 인해 쳐져 있던 가이드부(41)는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져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40)를 구성하는 가이드부(41)의 일단이 용기(1)에 의해 눌려지면서 가이드부(41)와 더불어 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연결된 길이조절부(42)가 상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길이조절부(42)가 용기(1)의 둘레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일단면에 형성된 지지부(42a)가 압착되면서 용기(1)의 둘레면에 강하게 밀착하게 되므로, 용기(1)에 매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기(1)에 의해 회동되어 용기(1)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길이조절부(42)의 가압력이 생각보다 약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길이조절부(42)의 길이를 적당하게 재조절한 다음 위치고정너트(43)를 매개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40)를 매개로 용기(1)를 가압해 준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향으로 돌출된 잠금부재(32)의 손잡이(32b)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2a)의 위치가 이동되면서 잠금부재(32)의 원판일부가 가이드부(41)의 삽입홈(41b)으로 삽입되어 가이드부(41)의 회동이 제한되게 되며, 이를 통해 다수개의 고정부재(40)가 용기(1)의 둘레면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용기(1)로부터 받침대본체(30)와 고정부재(40)가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1)에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가 고정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손잡이부(1a)를 파지한 상태에서 들어 식탁으로 이동시켜 주면 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음식받침대의 사용이 완료되면, 고정부재(40)의 회동을 제한하고 있는 잠금부재(32)의 손잡이(32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부재(4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준 다음, 사용자가 손잡이부(1a)를 매개로 용기(1)의 들어올리게 되면 고정부재(40)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쳐지면서 용기(1)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부재(32)를 갖춘 받침대본체(30)와, 받침대본체(30)에 회동 및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40)를 통해 뜨거운 용기(1)가 안착시 자동으로 뜨거운 용기(1)의 둘레를 가압함과 아울러서 잠금부재(32)에 의해 고정부재(40)의 가압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뜨거운 용기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될 때에 뜨거운 용기로부터 이탈(낙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뜨거운 용기를 떠받치기 위해 받침대를 별도로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용기 10.30: 받침대본체 20.40: 고정부재
21.41: 가이드부 22.42: 길이조절부 23.43: 위치고정너트
31: 하부부재 32: 잠금부재 33: 상부부재

Claims (2)

  1. 용기(1)가 얹혀지는 받침대본체(10):
    내부가 일단으로 개구되고,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가이드홈(21)을 갖추고서, 받침대본체(10)의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21)와; 용기(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부(22a)을 갖추고서, 가이드부(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에 둘레면을 가압하며 전체적으로‘ㄷ’자 형을 이루는 길이조절부(22)와; 길이조절부(22)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너트(23)를 구비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2.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개구된 고정부재설치부(31a)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판안치부(31b)로 구성된 하부부재(31)와;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개구된 개구부(32a)와, 둘레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조작부(32b)를 갖추고서, 고정판안치부(3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잠금부재(32)와; 하부부재(31)의 상면에 얹혀져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잠금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부재(33)를 구비하는 받침대본체(30):
    내부가 일단으로 개구되고,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41a)을 구비하며, 타단에는 수평하게 절개되어 외향으로 개구되는 삽입홈(41b)을 갖추고서, 고정부재설치부(31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잠금부재(32)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가이드부(41)와; 용기(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지지부(42a)을 갖추고서, 가이드부(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에 둘레면을 가압하며, 전체적으로‘ㄷ’자 형을 이루는 길이조절부(42)와, 길이조절부(42)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너트(43)를 구비하는 고정부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KR2020110006263U 2011-07-11 2011-07-11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KR200465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263U KR200465623Y1 (ko) 2011-07-11 2011-07-11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263U KR200465623Y1 (ko) 2011-07-11 2011-07-11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65U KR20130000465U (ko) 2013-01-21
KR200465623Y1 true KR200465623Y1 (ko) 2013-03-06

Family

ID=5135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263U KR200465623Y1 (ko) 2011-07-11 2011-07-11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932B1 (ko) * 2015-08-28 2016-11-21 강경환 탈부착 방식의 접시 지지 장치 및 설치 방법
KR102222196B1 (ko) * 2019-10-31 2021-03-03 염지선 냄비 받침대
KR102511452B1 (ko) * 2021-07-28 2023-03-16 이슬혜 국그릇 받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344U (ko) * 1976-11-20 1978-06-2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344U (ko) * 1976-11-20 1978-06-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65U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440B2 (en) Chair armrest having a height adjustable function
KR200465623Y1 (ko)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CN101700175A (zh) 用于烹调容器的可拆卸手柄
US20050104435A1 (en) Task chair
US5214812A (en) Breakaway foot section for delivery bed
US7614703B2 (en) Armrest cupholder
US9084491B1 (en) Portable tray table
US201702478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Undermount Sink
KR102034247B1 (ko) 손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배출구를 구비한 음료 제조 장치
KR101479006B1 (ko) 템핑 머신
US20160040824A1 (en) A Tripod Bowl Clamp Device
SK500322013A3 (sk) Adjustable stand for shoes
KR200465696Y1 (ko) 높이 조절이 편리한 마루틀 시스템
USD580232S1 (en) Cooler with detachable legs
AU2007278757B2 (en) Furniture leg adjustment
CN204670612U (zh) 旋转毛板刷架
CN108348079A (zh) 安装装置
JP2017225758A5 (ko)
KR200480114Y1 (ko) 레저용 접이식 상
JP2009196053A5 (ko)
KR20100020773A (ko) 도어용 개방 지지장치
KR20170047600A (ko) 코너 선반
CN205239208U (zh) 儿童安全座椅椅背角度调节装置
KR200437173Y1 (ko)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CN209018114U (zh) 一种滑轨抽屉位置调节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