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324A -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324A
KR20170001324A KR1020150091132A KR20150091132A KR20170001324A KR 20170001324 A KR20170001324 A KR 20170001324A KR 1020150091132 A KR1020150091132 A KR 1020150091132A KR 20150091132 A KR20150091132 A KR 20150091132A KR 20170001324 A KR20170001324 A KR 2017000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ember
smartphone
body part
pouc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098B1 (ko
Inventor
이구호
Original Assignee
이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호 filed Critical 이구호
Priority to KR102015009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0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되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폰 보호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드부재,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탄력을 이용해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싸서 접촉고정하는 몸체부,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파우치를 목에 걸기 위해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결합고정되는 목걸이 줄, 상기 보드부재와 삼각형태로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측면 고정부 및 상기 보드부재의 하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하단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 고정부는, 상기 보드부재가 상기 몸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 되고, 상기 몸체부 양측에 발생하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보드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에 돌출부를 생성하도록,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위치된 제1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인입된 후, 상기 제1 몸체부 결합 홀의 인근에 위치된 제2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 방향에서 타면방향으로 인출되는 이중결속으로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MULTI-FUNCTIONAL PROTECTION POUCH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보호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휴대와 목걸이휴대가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고, 폰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이어폰 사용시 줄을 용이하게 고정 수납할 수 있으며, 카드 및 지폐를 같이 보관하는 스마트폰 보호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점차 기술이 발달하면서 각종 전자 부품들이 집적화, 소형화되어 개인이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소형의 휴대 단말 장치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더형 휴대폰, 바형 휴대폰, 슬라이드형 휴대폰, MP3플레이어, CD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assistants), 팜(palm), 스마트폰, 휴대용 소형 TV, 휴대용 게임기, 노트북 컴퓨터, 전자사전, 디지털카메라, 내비게이션, GPS수신기 등의 휴대 단말기가 그것이다.
이러한 대부분의 단말기들은 가격이 고가이고, 외관 디자인이 중요시되는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외관디자인에 흠집, 스크래치, 벗겨짐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아울러 이 단말기들은 내부에 첨단의 정밀 부품들이 사용되고 있어, 소형화된 단말 장치를 자칫 떨어뜨리거나 하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쉽게 고장이 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점점 큰 화면의 제품으로 제조되고 있고, 큰 화면의 스마트폰은 파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파지가 어려운 문제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중 낙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외장 및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각종 케이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스는 스마트폰 자체의 외형을 가리는 형태가 되어 스마트폰 외형의 미적가치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케이스는 스마트폰과 결합한 후 사용시, 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 부피로 인해 손이 부자유스러운 문제가 발생하고,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 분실의 염려가 큰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종래의 덮개형 케이스는 통화를 위해, 주머니에서 스마트폰을 꺼내어고, 케이스의 단추를 열고, 덮개를 열어야 하는 불편한 여러 동작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외형을 해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휴대와 목걸이휴대가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고, 폰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이어폰 사용시 줄을 용이하게 고정 수납할 수 있고, 카드 및 지폐를 같이 보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0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 스마트폰 보호파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휴대와 목걸이휴대가 자유롭게 전환 가능한 스마트폰 파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이어폰 줄을 용이하게 고정수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함께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스마트폰 파우치는, 보드부재;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탄력을 이용해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싸서 접촉고정하는 몸체부;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파우치를 목에 걸기 위해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결합고정되는 목걸이 줄; 상기 보드부재와 삼각형태로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측면 고정부; 및 상기 보드부재의 하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하단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 고정부는, 상기 보드부재가 상기 몸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 되고, 상기 몸체부 양측에 발생하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보드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에 돌출부를 생성하도록,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위치된 제1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인입된 후, 상기 제1 몸체부 결합 홀의 인근에 위치된 제2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 방향에서 타면방향으로 인출되는 이중결속으로,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부재는, 양측에 상기 목걸이 줄이 연결되는 목걸이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 홀은,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의 일단에 위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홀;을 포함하며, 상기 목걸이 줄은, 상기 제1홀로 인입되고, 상기 제2홀에 매듭이 결성되며, 중력에 의해 상기 제2홀에 이격없이 상기 매듭이 결속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부재 상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에 인입 및 인출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보드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및 상기 스마트폰을 접촉고정하기 위해 일부가 상기 보드부재 일면에 남아 있는 이어폰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고정부는, 상기 하단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카드 및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생성되도록, 상기 보드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인입되고, 상기 몸체부 상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부 상단에서 상기 몸체부 일면 방향으로 굴곡되고, 상기 몸체부 상단 일면에 카드포켓용 결합단추를 통해 접촉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을 접촉고정하기 위해, 중앙 일부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일면방향으로 접혀지는 밀착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부재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일부를 터치하기 위한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 스마트폰 보호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휴대와 목걸이휴대가 자유롭게 전환 가능한 스마트폰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목에 걸고 사용시, 길이 조정을 통해 편안하게 목에 걸 수 있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이어폰 줄을 용이하게 고정수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함께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종류와 크기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 파우치의 사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드부재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드부재 및 몸체부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드부재 및 목걸이 줄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폰 고정단추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드 및 현금 수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과 결합된 스마트폰 파우치의 사용상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 파우치의 밀착보조부 사용상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은 점점 큰 화면의 제품으로 제조되고 있고, 큰 화면의 스마트폰은 파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파지가 어려운 문제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중 낙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스마트폰의 외장 및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각종 케이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스는 스마트폰 자체의 외형을 가리는 형태가 되어 스마트폰 외형의 미적가치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케이스는 스마트폰과 결합한 후 사용시, 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 부피로 인해 손이 부자유스러운 문제가 발생하고,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 분실의 염려가 큰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종래의 덮개형 케이스는 통화를 위해, 주머니에서 스마트폰을 꺼내어고, 케이스의 단추를 열고, 덮개를 열어야 하는 불편한 여러 동작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외형을 해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휴대와 목걸이휴대가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고, 폰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이어폰 사용시 줄을 용이하게 고정 수납할 수 있고, 카드 및 지폐를 같이 보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외에도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 파우치의 사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드부재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파우치(100)는 스마트폰(200)의 외형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보드부재(110)는 개방부(111), 몸체부 결합 홀(112), 목걸이 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드부재(110)는 사용자가 보드부재(110)를 통해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투명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견고성, 가공의 편의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아크릴이나 ABS등 플라스틱류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개방부(111)는 다양한 형태로 보드부재(110)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예로서 큰 원과 작은 원이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오뚜기형태가 될 수 있다. 개방부(111)가 오뚜기형태가 됨으로써, 외관의 미적 이점이 발생되며, 스마트폰의 일부를 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 결합 홀(112)은 보드부재(110)가 몸체부(120)와 결합하기 위해 보드부재의 일부에 위치된다. 일례로서, 보드부재(110)의 양단 및 양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의 고정부(121,122,123)가 복수의 몸체부 결합 홀(112)의 하나에 인입되고, 타 몸체부 결합 홀(112)을 통해서 인출되어, 보드부재(110)가 몸체부(120)와 결합된다. 특히, 몸체부의 고정부(121,122,123)가 몸체부 결합 홀(112)에 인입 후 타 몸체부 결합 홀(112)을 통해서 인출되는 형태로 인해 보드부재(110)가 몸체부(120)사이에 인입되는 스마트폰(200)을 접촉고정할 수 있게 된다.
목걸이 홀(113)은 보드부재(110)의 양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목걸이 줄(125) 양단이 복수의 목걸이 홀(113)에 각각 인입 후 매듭지는 방식을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몸체부(120)는 보드부재(110)와의 고정을 위한, 하단 고정부(121), 측면 고정부(122), 상단 고정부(123), 결합부(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125) 및 줄길이 조정장치(1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 후면에 신용카드 등을 넣을 수 있는 카드포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카드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카드포켓용 결합단추(127)가 구비될 수 있고, 스마트폰(200)에서 사용하는 이어폰을 정리하기 위한 이어폰 고정부(128)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부(120) 중앙에 위치되어 일부의 접힘을 통해 스마트폰(200)의 접촉고정할 수 있는 밀착보조부(129)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0)는 직물, 합성피혁, 천연피혁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일정한 형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양면을 접착시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하단 고정부(121)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드부재(110)의 하단에 위치된 복수의 몸체부 결합 홀(112)중 하나에 인입되고, 타 몸체부 결합 홀(112)에 인출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21)는 스마트폰(200)이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삽입 후, 하단부로 빠지지 않도록 넓은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측면 고정부(122)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몸체부(120)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보드부재(110)의 양측에 위치된 복수의 몸체부 결합 홀(112) 중 하나에 인입되고, 타 몸체부 결합홀(112)에 인출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고정부(122)는 스마트폰(200)의 양측에 위치된 버튼(일례로서 전원 버튼, 볼륨 조절 버튼이 존재한다)의 이용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단 고정부(12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몸체부(120)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보드부재(110)의 상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112)에 인입될 수 있다.
결합부(124)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121,122,123)의 일단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21,122,123)가 굽어져서 서로 접촉되는 경우, 접촉고정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124)는 밸크로(velcro), 스냅단추, 후크(hook)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에서의 통상적인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질의 경우도 본 발명의 결합부(124)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스냅 단추를 이용하는 경우, 용이하게 결합부(124)의 결합을 체결하거나 풀 수 있고, 결합력이 강하며,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목걸이 줄(125)은 인조피혁, 직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에서의 통상적인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질의 경우도 본 발명의 목걸이 줄(12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목걸이 줄(125)은 보드부재(110)의 목걸이 홀(113)에 인입되고 매듭되는 방식으로 보드부재(110)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줄길이 조정장치(126)는 목걸이 줄(125)의 일단에 위치되고, 목걸이 줄(125)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목걸이 줄(125)을 짧게 조정하는 경우, 조절구를 통해 나오는 여분은 측면 고정부(12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카드포켓용 결합단추(127)는 몸체부(120)의 후면에 위치된 카드포켓을 구성하고, 카드포켓에 삽입된 카드(예를들면 신분증, 신용카드가 해당될 수 있다)를 분실하지 않도록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카드 포켓용 결합단추(127)는 측면 고정부(122) 일단에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단 고정부(121)의 일단 또는 상단 고정부(123)의 일단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어폰 고정부(128)는 보드부재(110)의 상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112)에 인입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스마트폰(200)에 연결된 이어폰을 정리하여 수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고정부의 일부가 보드부재(110)의 상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112)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보드부재(110)와 몸체부(200)사이에 이어폰 고정부(128)일부가 위치되서 스마트폰(200)이 밀착고정될 수 있다.
밀착보조부(129)는 몸체부 일부에 위치될 수 있고, 몸체부 중앙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반달모양으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밀착보조부(129)는 일부가 접혀질 수 있고, 접힘을 통해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 사이로 인입되는 스마트폰(200)을 접촉고정할 수 있다.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의 결합방법>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드부재 및 몸체부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보드부재(110) 및 몸체부(120)의 결합방법을 검토하면, 보드부재(110)의 일면에 몸체부(120)가 위치되고, 몸체부(120)에 위치된 측면 고정부(122)가 보드부재(110)에 위치된 복수의 몸체부 결합 홀(112)에 차례로 인입 및 인출되며, 결합부(124)를 통해 고정결합된다.
이때, 측면 고정부(122)는 보드부재(110)의 타면에서 일면방향으로 몸체부 결합 홀(112)로 인입되고, 인입된 측면 고정부(122)는 보드부재(110)의 일면에서 타면방향으로 인출되며, 측면 고정부(122)의 끝에 위치된 결합부(124)를 통해 측면 고정부(122)가 결합고정되는 2중 결속으로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를 결속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는 안정적 결합이 되며, 양측에 탄성이 발생하여 인입되는 스마트폰(200)이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는 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 고정부(122)의 인입 및 인출을 통해 보드부재(110)의 일면에 측면 고정부(122)로 만들어진 돌출부가 생기고,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사이의 공간에 인입되는 스마트폰(200)은 상기 돌출부로 인해 접촉고정된다. 또한, 돌출부로 인해 스마트폰(200)은 보드부재(110)와 일정한 이격거리가 발생되고, 이격거리를 통해 보드부재(110)로부터 스마트폰(200)이 마찰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21)는 보드부재(110)의 타면에서 일면방향으로 몸체부 결합 홀(112)로 인입되고, 몸체부(120)의 일면방향으로 접히며 카드포켓용 결합단추(127)를 통해 몸체부에 결합고정된다.
하단 고정부(121)와 몸체부(120)사이의 공간에 카드 및 지폐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생성된다. 카드와 지폐가 인입됨에 따라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사이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사이의 공간에 인입되는 스마트폰(200)이 접촉고정된다.
이어폰 고정부(128)는 보드부재(110)의 상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112)의 타면으로 인입된후, 인출되어 이어폰 고정부(128)의 양단에 위치된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결합된다. 이어폰 고정부(128)의 일부가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사이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보드부재(110)와 몸체부(120)사이의 공간에 인입되는 스마트폰(200)이 접촉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 파우치(100)는 스마트폰(200)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200)을 스마트폰 파우치(100)와 결합 및 탈착시 스마트폰(200)의 상단이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하여 빠르게 탈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드부재(110)와 목걸이 줄(125)의 결합방법>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드부재 및 목걸이 줄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보드부재(110)와 목걸이 줄(125)의 결합방법을 검토하면, 목걸이 줄(125)은 보드부재(110)의 양측에 위치된 목걸이 홀(113)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이때 목걸이 홀(113)은 목걸이 줄(125)이 통과할 수 있는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고, 'ㄴ'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목걸이 줄(125)이 목걸이 홀(113)을 통과하고, 상단방향으로 당겨 올리며, 매듭을 형성하고, 남은 목걸이 줄(125)의 끝을 목걸이 홀(113)에 인입하여 마무리하는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스마트폰 파우치의 사용방법>
1.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줄 고정방법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폰 고정단추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파우치(100)의 보드부재(110)의 상부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112)을 이용하여 이어폰 고정부(128)가 보드부재(110)와 결합고정될 수 있으며, 보드부재(110)와 상단 고정부(123)사이에 이어폰 줄을 접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이어폰 줄을 2등분, 4등분, 8등분, 16등분으로 접는 경우, 이어폰줄이 나비모양으로 고정이 된다. 거추장스럽고 보관하기가 불편한 이어폰 줄을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쉽게 정돈하여 고정할 수 있다.
2.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카드 및 현금 수납방법.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드 및 현금 수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카드 및 현금 수납방법을 검토하면, 카드포켓용 결합단추(127)을 개방하고, 카드 및 현금지폐를 수납후 카드포켓용 결합단추(127)를 폐쇠하여 카드 및 현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측면 고정부(122)를 개방하여 카드 및 현금지폐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카드 및 현금을 수납하는 경우, 몸체부(120)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카드 및 지폐가 접촉고정되고, 카드 및 현금이 구비한 탄력성을 통해 보드부재(110) 및 몸체부(120)사이에 위치된 스마트폰(200)이 접촉고정되며, 외부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3.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결합된 스마트폰(200)을 손에 잡고 사용하는 방법 및 목에 걸고 사용하는 방법.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200)과 결합된 스마트폰 파우치(100)의 사용상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결합된 스마트폰(200)을 손에 잡고 사용하는 방법을 검토하면, 목걸이 줄(125)의 일부를 스마트폰(200)의 위를 지나서 스마트폰 파우치(100)의 타면에 있는 이어폰 고정부(128)에 상기 목걸이 줄(125)의 일부를 통과시키며, 나머지 목걸이 줄(125)은 스마트폰(200)을 가로로 감는다. 감고 난 여분의 목걸이 줄(125)은 스마트폰 파우치(100)의 양측에 있는 결합부(124) 사이에 넣어서 고정을 시키는 방법으로 정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결합된 스마트폰(200)을 목에 걸고 사용하는 방법을 검토하면,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양측에 결합된 목걸이 줄(125)은 보드부재(110)에 결합고정되고, 사용자는 목걸이 줄(125)을 목에 걸어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손에 파지하거나 목에 걸고 스마트폰(200)을 이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200)을 이용하고자 할때, (예를들면 통화를 하고자 할때) 빠르고 용이하게 스마트폰은 파우치에서 뺄 수 있다(마치 칼집에서 칼을 뽑듯이 한번의 동작만 필요하다).
4. 스마트폰 파우치(100)의 밀착보조부(129)의 사용방법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 파우치(100)의 밀착보조부(129) 사용상태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스마트폰 파우치(100)의 밀착보조부(129)의 사용방법을 검토하여 보면, 밀착보조부(129)는 상기 몸체부(120)의 일면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즉 밀착보조부(129)가 상기 몸체부(120)의 일면방향으로 접혀짐을 통해서 몸체부(120)가 보드부재(110)쪽으로 밀착될 수 있고,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200)의 경우도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됨을 통해 스마트폰 파우치(100)와 접촉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착보조부(129)는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인입되는 스마트폰(200)이 스마트폰 파우치(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을 스마트폰 파우치(100)에 부드럽게 넣고 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밀착보조부(129)는 몸체부(120)의 일부에 위치할 수 있고, 몸체부(120)의 일면방향으로 접혀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20) 중앙 일부에 반달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100 : 스마트폰 파우치
110 : 보드부재
111 : 개방부
112 : 몸체부 결합 홀
113 : 목걸이 홀
120 : 몸체부
121 : 하단 고정부
122 : 측면 고정부
123 : 상단 고정부
124 : 결합부
125 : 목걸이 줄
126 : 줄길이 조정장치
127 : 카드포켓용 결합단추
128 : 이어폰 고정부
129 : 밀착보조부
200 : 스마트폰
300 : 이어폰

Claims (6)

  1. 인입되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폰 파우치에 있어서,
    보드부재;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탄력을 이용해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싸서 접촉고정하는 몸체부;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파우치를 목에 걸기 위해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결합고정되는 목걸이 줄;
    상기 보드부재와 삼각형태로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측면 고정부; 및
    상기 보드부재의 하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하단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 고정부는, 상기 보드부재가 상기 몸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 되고, 상기 몸체부 양측에 발생하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보드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에 돌출부를 생성하도록,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에 위치된 제1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인입된 후, 상기 제1 몸체부 결합 홀의 인근에 위치된 제2 몸체부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보드부재의 일면 방향에서 타면방향으로 인출되는 이중결속으로, 상기 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파우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재는,
    양측에 상기 목걸이 줄이 연결되는 목걸이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 홀은,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의 일단에 위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홀;을 포함하며,
    상기 목걸이 줄은, 상기 제1홀로 인입되고, 상기 제2홀에 매듭이 결성되며, 중력에 의해 상기 제2홀에 이격없이 상기 매듭이 결속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파우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재 상단에 위치된 몸체부 결합 홀에 인입 및 인출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보드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및 상기 스마트폰을 접촉고정하기 위해 일부가 상기 보드부재 일면에 남아 있는 이어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파우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부는,
    상기 하단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카드 및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생성되도록,
    상기 보드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인입되고,
    상기 몸체부 상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부 상단에서 상기 몸체부 일면 방향으로 굴곡되고,
    상기 몸체부 상단 일면에 카드포켓용 결합단추를 통해 접촉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파우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입되는 상기 스마트폰을 접촉고정하기 위해, 중앙 일부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일면방향으로 접혀지는 밀착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파우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재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일부를 터치하기 위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파우치.
KR1020150091132A 2015-06-26 2015-06-26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KR10169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132A KR101695098B1 (ko) 2015-06-26 2015-06-26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132A KR101695098B1 (ko) 2015-06-26 2015-06-26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324A true KR20170001324A (ko) 2017-01-04
KR101695098B1 KR101695098B1 (ko) 2017-01-10

Family

ID=5781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132A KR101695098B1 (ko) 2015-06-26 2015-06-26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9912B2 (en) 2017-07-10 2020-11-17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310A (ja) * 1996-08-12 1998-02-24 Sanwaade:Kk 携帯機器の保護ケース
KR200208423Y1 (ko) * 2000-05-22 2001-01-15 이해석 휴대전화기용 수납주머니
KR200214556Y1 (ko) * 2000-08-22 2001-02-15 서풍운 핸즈프리 이어폰를 정리할 수 있는 장치가 달린 휴대폰케이스
KR200406088Y1 (ko) 2005-10-26 2006-01-20 주식회사 아트랑 휴대기기용 목걸이
KR20070097363A (ko) * 2006-03-28 2007-10-04 벨킨 인터내셔널 인크 휴대용 전자 장치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310A (ja) * 1996-08-12 1998-02-24 Sanwaade:Kk 携帯機器の保護ケース
KR200208423Y1 (ko) * 2000-05-22 2001-01-15 이해석 휴대전화기용 수납주머니
KR200214556Y1 (ko) * 2000-08-22 2001-02-15 서풍운 핸즈프리 이어폰를 정리할 수 있는 장치가 달린 휴대폰케이스
KR200406088Y1 (ko) 2005-10-26 2006-01-20 주식회사 아트랑 휴대기기용 목걸이
KR20070097363A (ko) * 2006-03-28 2007-10-04 벨킨 인터내셔널 인크 휴대용 전자 장치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9912B2 (en) 2017-07-10 2020-11-17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098B1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3938B2 (en) Protective carrying apparatus for a cellular phone and essential personal items
US20120111881A1 (en) Protective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080121322A1 (en) Cell phone Wallet Sleeve
US201201135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ases
US20090020570A1 (en) Carrier for handheld device
US8915360B2 (en) Case for holding portable digital devices
US20120103855A1 (en)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40003803U (ko) 가변형 지갑이 구비된 안전 수납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AU2013358877A1 (en) Latch and carry detachable messenger bag and shoulder strap assembly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20140091689A1 (en) Cover Having Wallet Feature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69708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탈부착 가능한 휴대품 보관장치
US20110210018A1 (en) Combination Cell Phone and Eyeglass Dedicated Case
WO2012087152A1 (en) Device for storing electronic means and cards
US20060144886A1 (en) Versatile cellular telephone holder
US20090166139A1 (en) Carrier with universal pocket for telecommunications device
KR101695098B1 (ko)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30212B1 (ko) 휴대폰 케이스
CA2646188C (en) Holder for personal items
US20140191003A1 (en) Garment strap engageable storage and carrying device
US20140252054A1 (en) Cell Phone Holster
KR20150083709A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101440013B1 (ko) 수납용 슬릿에 분실방지 덮개판이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0491398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JP3177901U (ja) スマートフォン収容部を備えた財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