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176U -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 Google Patents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176U
KR20170001176U KR2020150006327U KR20150006327U KR20170001176U KR 20170001176 U KR20170001176 U KR 20170001176U KR 2020150006327 U KR2020150006327 U KR 2020150006327U KR 20150006327 U KR20150006327 U KR 20150006327U KR 20170001176 U KR20170001176 U KR 201700011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horizontal
level
uppe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진
Original Assignee
강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진 filed Critical 강호진
Priority to KR2020150006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176U/ko
Publication of KR20170001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에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확인장치를 구비시켜서 싱크대 시공시에 정확한 수평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 중에도 항시 싱크대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싱크대의 수평이 틀어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랍과 여닫이문 등이 구비되고 본체 상부에 상판(20)이 결합된 주방용 싱크대에 있어서, 싱크대(10)의 수평도를 확인하기 싱크대(10)의 상판(20)에 수평확인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싱크대(10) 상판(20)의 상면(21)과 전면(22)에 싱크대(10)의 전후와 좌우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1,1')(2,2')를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SINK CABINET WITH HORIZONTAL CHECK DEVICE}
본 고안은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확인장치를 구비시켜서 싱크대 시공시에 정확한 수평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 중에도 항시 싱크대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싱크대의 수평이 틀어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와 함께 각종 주방용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와 목적으로 주로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는, 시간이 지나면서 원자재의 뒤틀림 및 수납물건의 중량 등으로 인해 수평이 틀어져 문짝이 제대로 맞지 않아 삐거득 거리거나 흔들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싱크대의 수평이 틀어지게 되면 조리 중 주부도 모르는 사이에 싱크대 상판의 물이 낮은 곳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싱크대 바닥 마루판에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한편, 싱크대의 상판은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되나, 최근에는 스테인레스강과 더불어 고급스러움과 미려함을 갖는 인조대리석으로도 널리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조대리석 상판의 경우는 시공시에 정확한 수평으로 시공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후 사용 도중에도 수평이 틀어지게 되면 금이 가거나 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시공은 물론 보수작업이 용이치 않다.
그리고, 싱크대에는 높낮이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조절발 등의 높낮이조절수단이 갖추어져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시공자는 물론 일반 사용자가 싱크대의 수평이 바르게 되어 있는 지를 눈으로 제대로 확인할 수 없고 정확한 수평을 맞추기 어렵다.
따라서 싱크대를 정확한 수평으로 맞추어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평계(수준기:LEVEL, 이하 수평계라 함.)를 사용하는 방법이 최선이지만 가정에서 수평계를 구비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또 가정에서 별도의 수평계를 구매하기에는 비용부담이 발생한다.
한편, 수평계는 토목 건축분야는 물론 가구, 세탁기, 냉장고 등과 같이 수평 배치가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평계는, 둥근 원형, 막대형 또는 사각형 등의 투명한 몸체 내에 액체와 약간의 기포를 넣고 몸체에는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표시선 등을 표시하여 몸체 내 기포의 움직임(기포가 몸체 중심에 위치하면 수평이 맞고, 기포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수평이 맞지 않는 것으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수평계는 수평배치가 요구되는 가구, 세탁기, 냉장고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데 이들 예를 대표적인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참고문헌1, 참고문헌2에 세탁기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본체의 캐비넷 또는 탑커버에 수평계를 설치한 세탁기가 게재되어 있고, 참고문헌3에는 높이조절다리 및 수평계가 설치된 믹서기가 게재되어 있다
그리고, 가구 등의 수평설치를 위한 여러 종래 기술 역시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 바 이들에 대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참고문헌4에, 바닥이 고르지 않은 장소에서도 인접하는 일련의 가구를 자연스럽게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높낮이를 균형적으로 맞추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의 수평조절용 받침다리에 대해 게재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5에 가구의 저면에 지지판, 슬라이드홈 등으로 설치되어 분할 형성된 가구를 다단으로 연결설치시에 수평 및 높낮이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 가수 수평조절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문헌6에 다리의 높낮이 조절로 가구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구의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99-05563호,1999.02.18.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41929호,1999.12.27. (참고문헌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5233호, 1996.12.16. (참고문헌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747호, 2015.08.24.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2977호, 2010.02.09. (참고문헌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511호, 2015.03.12.
상기 참고문헌4 내지 참고문헌6과 같이 싱크대 등에 장착되는 높낮이장치는 싱크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에 불과하여 싱크대 시공시에 시공자가 싱크대의 정확한 수평상태를 확인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사용 중에 싱크대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성은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참고문헌1 내지 참고문헌3의 경우와 같이 세탁기 본체 일측에 수평계를 설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경우는 전후 및 좌우 폭이 좁은 세탁기 등의 물품인 경우에는 유효하지만 싱크대와 같이 전후 폭은 짧은 대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싱크대의 경우에는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즉, 세탁기 본체 상면에 수평계를 설치한 경우는, 측정하는 상면은 정상(수평)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정면에서 전후로 기울어진 경우는 확인할 수 없으므로 이를 싱크대에 그대로 적용시킬 경우, 싱크대 전후의 수평도는 확인할 수 있지만 주로 주방에서 길게 설치되는 특징을 갖는 싱크대의 좌우 길이방향의 수평도는 전혀 확인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싱크대의 상판의 상면에 좌우로 전후의 수평을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를 설치하고, 또 상판의 전면에는 좌우 길이방향의 수평을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를 좌우에 설치하여 싱크대의 전후, 좌우 수평상태를 모두 확인가능하도록 수평확인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즉, 본 고안은 싱크대의 전후좌우 방향에 대한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전후 및 좌우 각각에 복수개의 수평계를 설치하여 이들 전후/좌우 사방의 수평계를 통해 입체적으로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확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서랍과 여닫이문 등이 구비되고 본체 상부에 상판이 결합된 주방용 싱크대에 있어서, 싱크대의 수평도를 확인하기 위해 싱크대의 상판에 수평확인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싱크대의 수평도를 확인하기 위해 싱크대의 상판에 수평확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상판의 상면과 전면에 싱크대의 전후와 좌우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확인장치는; 상기 싱크대 상판의 전후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판의 상면 좌우 끝부분에서 상면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전후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계와; 상기 싱크대 상판의 좌우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판의 전면 좌우 끝부분에서 전면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좌우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싱크대에 전후좌우 입체적으로 싱크대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확인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최초 시공시에 시공자가 수평자를 사용하여 수평상태를 일일히 확인하면서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싱크대 시공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싱크대 시공의 정확도 향상와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싱크대의 보수, 유지 등에 여러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싱크대에 수평확인장치가 갖추어져 있으므로 일반 사용자도 사용 도중에 수평이 틀어지는 현상을 미리 알 수 있게 되어 싱크대의 수평이 틀어져서 발생되는 문제를 미리 예방할 수 있고, 이로부터 싱크대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사용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싱크대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싱크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중 싱크대 상판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중 싱크대 상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단면도
도 6a, 6b는 본 고안 중 수평계의 구성을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싱크대의 다른 예시도
본 고안은, 서랍 및 여닫이문과, 바닥 부분에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발 등 높낮이조절수단 등을 구비한 본체로 이루어지고, 또 본체 상부에는 개수대 등이 형성되는 상판이 결합되어 각종 조리와 함께 주방용품을 보관하기 위해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상판에 싱크대의 수평을 확인할 수 있는 수평확인장치를 장착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싱크대의 상판에 싱크대의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싱크대 상판의 전후로 수평계로 이루어지는 수평확인장치를 설치한다.
상기 수평확인장치는, 싱크대 상판의 전후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판의 상면에 수평계를 설치하고, 또 싱크대 상판의 좌우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판의 전면에 수평계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싱크대 상면의 수평계는 싱크대 상면에 좌우로 각각 수평계를 설치하고, 싱크대 전면의 수평계는 싱크대 전면에 좌우로 각각 수평계를 설치하여 싱크대의 전후좌우 입체방향에서 싱크대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싱크대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싱크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중 싱크대 상판의 요부 발췌 사시도,도 4는 본 고안 중 싱크대 상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싱크대(10)는 주방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서랍, 여닫이문 등이 본체 상부에 상판(2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은 싱크대(10)의 상판(20)에 싱크대(10)의 수평을 확인하기 위한 수평확인장치를 장착한다.
상기 싱크대(10)의 상판(20)에 장착하여 싱크대(10)의 수평을 확인하기 위한 수평확인장치는 싱크대(10)의 전후와 좌우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1,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확인장치는, 싱크대(10) 상판(20)의 전후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판(20)의 상면(21)에서 좌우 수평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계(1,1')를 결합한다. 상기 좌우 수평도를 확인하기 위한 수평계(1,1')는 싱크대(10) 상판(20)의 상면(21) 좌우 끝부분에서 상면(21)과 평행하게 수평계(1,1')를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5는 (ㄱ)형으로 꺾여진 형태인 싱크대의 경우를, 도 7은 (ㅡ)자형 싱크대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싱크대(10) 상판(20)의 상면(21)에 설치되는 수평계(1,1')는 상판(20)의 상면(21) 좌우 끝부분에서 상면(21)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싱크대(10) 전체의 전후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상면(21)에 좌우로 수평계(1,1')가 설치된 상판(20)의 전면(22)에도 역시 상판(20)의 좌우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계(2,2')를 설치한다.
상기 상판(20)의 전면(22)에 설치되는 수평계(2,2') 역시 상판(20)의 전면(22)과 좌우 끝부분에 전면(22)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싱크대(10) 전체의 좌우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판(20)의 상면(21)과 전면(22) 좌우에 설치되는 수평계(1,1')(2,2')는 싱크대(10)가 꺾여진 형태이거나 길이가 비교적 긴 경우에는 중앙 부분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평계(1,1')(2,2')는 상판(20)의 상면(21) 및 전면(22)에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이들 내부로 매립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립하여 구성할 경우 외부에서 이를 목측할 수 있도록 매립시킨 수평계(1,1')(2,2') 외부로 투명창을 결합하거나 수평계(1,1')(2,2')를 모듈화하여 매립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6a, 6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평계(1,1')(2,2')를 예시한 것으로, 싱크대(10) 상판(20)의 상면(21)에 설치하는 수평계(1,1')는, 싱크대(10)가 설치된 바닥면에 대해 상면(21)의 수평도(평행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후 수평도측정 수평계(1,1')로 실시하여 상면(21)의 전후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전면(22)에 설치되는 수평계(2,2')는 싱크대(10)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면(22)의 수평도(평행도)를 측정할 수 있는 좌우 수평도측정 수평계(1,1')로 실시한다.
또, 상기 수평계(1,1')(2,2')는 둥근 원형, 막대형 또는 사각형 등의 투명한 몸체 내에 액체와 기포를 넣어 몸체 내 기포의 움직임으로 수평도를 측정토록 하는 구성 등의 다양한 수평계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도 6a의 수평계(1,1')는 도 6b의 막대형 수평계(2,2')를 전후로 배치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평계(1,1')(2,2')는 도시한 예는 물론 공지된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수평계(1,1')(2,2')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싱크대(10) 상판(20)의 상면(21)과 전면(22)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수평계(1,1')는 싱크대(10)의 전후좌우로 입체방향에서 수평도를 목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자는 물론 일반 사용자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싱크대(10)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0:싱크대
20:상판
21:상면 22:전면
1,1': 전후 수평도 측정 수평계
2,2': 좌우 수평도 측정 수평계

Claims (3)

  1. 서랍과 여닫이문 등이 구비되고 본체 상부에 상판(20)이 결합된 주방용 싱크대에 있어서,
    싱크대(10)의 수평도를 확인하기 위해 싱크대(10)의 상판(20)에 수평확인장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2. 싱크대(10)의 수평도를 확인하기 위해 싱크대(10)의 상판(20)에 수평확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10) 상판(20)의 상면(21)과 전면(22)에 싱크대(10)의 전후와 좌우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1,1')(2,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확인장치는; 상기 싱크대(10) 상판(20)의 전후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판(20)의 상면(21) 좌우 끝부분에서 상면(21)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전후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계(1,1')와;
    상기 싱크대(10) 상판(20)의 좌우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판(20)의 전면(22) 좌우 끝부분에서 전면(22)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좌우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계(2,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KR2020150006327U 2015-09-23 2015-09-23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KR201700011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327U KR20170001176U (ko) 2015-09-23 2015-09-23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327U KR20170001176U (ko) 2015-09-23 2015-09-23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76U true KR20170001176U (ko) 2017-03-31

Family

ID=5849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327U KR20170001176U (ko) 2015-09-23 2015-09-23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176U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5233Y1 (ko) 1995-05-16 1998-04-15 김광호 믹서기
KR19990005563U (ko) 1997-07-18 1999-02-18 윤종용 세탁기
KR19990041929A (ko) 1997-11-25 1999-06-15 전주범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압축율 자동-변환 장치
KR20040076511A (ko) 2003-02-26 2004-09-01 황하욱 모발 생성기
KR20100012977A (ko) 2008-07-30 2010-02-09 (주)영신에프앤에스 가구 수평조절구
KR101546747B1 (ko) 2015-02-27 2015-08-24 김종원 가구의 수평조절용 받침다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5233Y1 (ko) 1995-05-16 1998-04-15 김광호 믹서기
KR19990005563U (ko) 1997-07-18 1999-02-18 윤종용 세탁기
KR19990041929A (ko) 1997-11-25 1999-06-15 전주범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압축율 자동-변환 장치
KR20040076511A (ko) 2003-02-26 2004-09-01 황하욱 모발 생성기
KR20100012977A (ko) 2008-07-30 2010-02-09 (주)영신에프앤에스 가구 수평조절구
KR101546747B1 (ko) 2015-02-27 2015-08-24 김종원 가구의 수평조절용 받침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109B1 (en) Tile-ready corner seat
KR101991890B1 (ko) 교량에 설치되는 받침의 고무재 높이 및 변형량 측정장치
KR101025390B1 (ko) 수평레벨장치
KR100920670B1 (ko) 수준기
KR20170001176U (ko) 수평확인장치를 갖춘 싱크대
KR100987035B1 (ko) 전자파 측정용 보조장치
KR101494852B1 (ko) 오차요인 확인을 통한 정밀성 향상 수준측량시스템
CN207024038U (zh) 一种视力检测专用椅
CN202339199U (zh) 斜度测定仪
KR101586757B1 (ko) 지하시설물 관리용 정밀 측량 장치
CN210069367U (zh) 一种用于建筑基础工程定位检测的装置
CN212840446U (zh) 一种气象用便携雨量筒支架
CN210533255U (zh) 一种拉张裂隙深宽测量装置
CN110259034B (zh) 一种地面找平系统
CN201261938Y (zh) 瓷砖铺设仪
CN210800561U (zh) 一种室内设计的测绘装置
KR101726220B1 (ko) 스타프 거치대
KR101991888B1 (ko)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KR101911544B1 (ko) 배관이나 바닥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설치 가능한 통합 분배기의 지지패널
CN106859586B (zh) 一种视力检测专用椅
US20150354955A1 (en) Corner Level
KR100812127B1 (ko)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CN211651583U (zh) 一种用于室内设计的水平仪
CN203375965U (zh) 一种新型激光基面找平仪
CN207585478U (zh) 一种建筑装饰检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