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888B1 -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888B1
KR101991888B1 KR1020180122963A KR20180122963A KR101991888B1 KR 101991888 B1 KR101991888 B1 KR 101991888B1 KR 1020180122963 A KR1020180122963 A KR 1020180122963A KR 20180122963 A KR20180122963 A KR 20180122963A KR 101991888 B1 KR101991888 B1 KR 101991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cale
elastic support
main body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2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하부구조 사이의 높이가 낮고 깊어 협소한 곳에 설치된 교량의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 손잡이부의 손잡이레버를 잡아당겨 강선에 의해 제 2 판스프링을 변화시켜 제 1 판스프링의 상,하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강선이 제 1 판스프링에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강선에 설치된 수직가늠자 이동판이 이동하여 투명눈금판의 수치를 확인하여 탄성받침의 높이를 측정하고,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평가늠자부를 탄성받침에 접촉할 때까지 수평으로 이동시켜 본체부의 수평눈금자의 눈금에 위치한 수평가늠자 조절대를 확인하여 탄성받침의 수평깊이를 측정한 뒤, 측정된 탄성받침의 높이와 깊이 비에 의한 기울기가 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유지관리 대책수립을 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Height and gradient measuring device of elastic support installed on bridge}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하부구조 사이의 높이가 낮고 깊어 협소한 곳에 설치된 교량의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 손잡이부의 손잡이레버를 잡아당겨 강선에 의해 제 2 판스프링을 변화시켜 제 1 판스프링의 상,하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강선이 제 1 판스프링에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강선에 설치된 수직가늠자 이동판이 이동하여 투명눈금판의 수치를 확인하여 탄성받침의 높이를 측정하고,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평가늠자부를 탄성받침에 접촉할 때까지 수평으로 이동시켜 본체부의 수평눈금자의 눈금에 위치한 수평가늠자 조절대를 확인하여 탄성받침의 수평깊이를 측정한 뒤, 측정된 탄성받침의 높이와 깊이 비에 의한 기울기가 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유지관리 대책수립을 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도로 또는 장대교량의 시공시 상부구조는 가설공법에 따라 하부구조에 가설구조를 설치하고, 거푸집, 서포트, 낙하물 방지망, 작업용 비계, 교통통제 휀스 등을 설치하는 가설공사를 시행한 후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과정을 거쳐 상부구조를 완성시키는 현장콘크리트 타설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여기서, 교량은 차량이 직접 주행하는 상부구조와, 이 상부구조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하부구조와, 상기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는 상부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고 온도에 의한 상부구조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된 탄성고무받침으로 이루어진다.
이렇듯, 교량구조물에서 상부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장치로 교량의 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탄성고무받침이다. 온도변화 및 건조수축에 따라 교량 상부구조의 신축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탄성고무받침의 이동량 발생은 불가피한 일이다.
여기서, 탄성고무받침의 이동을 방지할 경우 상부구조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탄성고무받침이 설치된 하부구조에 접선방향으로 구속력을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전단(펀칭)파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탄성고무받침의 이동량은 교량의 내구성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반드시 이동량을 측정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이동량 변화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울기 조사는 탄성고무받침의 이동량을 측정하여 원활한 작동여부를 확인하고, 보수·보강 여부 판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온도변화에 따른 이동량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탄성고무받침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주로 소형스틸자를 이용하여 탄성고무받침까지 소형스틸자를 ㄷ자로 구부려 측정하거나 2인이 90도 위치에 서서 줄자를 펼치는 사람과 눈금을 읽어주는 사람을 배치하여 측정하나 이것 마저도 불가능한 경우에는 측정을 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907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의 상,하부구조 사이의 높이가 낮고 깊어 협소한 곳에 설치된 교량의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 손잡이부의 손잡이레버를 잡아당겨 강선에 의해 제 2 판스프링을 변화시켜 제 1 판스프링의 상,하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강선이 제 1 판스프링에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강선에 설치된 수직가늠자 이동판이 이동하여 투명눈금판의 수치를 확인하여 탄성받침의 높이를 측정하고,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평가늠자부를 탄성받침에 접촉할 때까지 수평으로 이동시켜 본체부의 수평눈금자의 눈금에 위치한 수평가늠자 조절대를 확인하여 탄성받침의 수평깊이를 측정한 뒤, 측정된 탄성받침의 높이와 깊이 비에 의한 기울기가 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유지관리 대책수립을 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수평 깊이를 측정하여 탄성받침의 높이와 깊이 비에 의해 기울기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되고, 전,후면에 수평눈금자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눈금자에는 관통홀이 수평눈금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탄성받침까지의 수평 깊이를 측정하여 본체부의 수평눈금자에 표시하는 수평가늠자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손잡이레버가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강선에 의해 손잡이부의 손잡이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레버의 작동에 맞춰 강선이 이동되면서 상,하측으로 구동되어 탄성받침의 높이를 측정하는 수직가늠자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강선과 연결되고, 상기 강선의 이동거리를 수치화시켜 탄성받침의 높이를 수치화하는 수직가늠자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가늠자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 끝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가 있는 제 1 판스프링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손잡이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레버의 작동에 맞춰 수평 이동하는 강선과;
상기 강선의 끝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판스프링의 타측과 고정되어 강선에 의해 제 1 판스프링의 타측을 당겨서 하측으로 내려주는 제 2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가늠자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양끝단부에 형성된 소켓에 의해 본체부에 밀착되면서 이동되는 수평가늠자 몸체와;
상기 수평가늠자 몸체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평가늠자 가늠바와;
상기 수평가늠자 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수평눈금자(11)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수평가늠자 가늠바의 이동거리를 수평눈금자에 표시하는 수평가늠자 조절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가늠자 조절대를 사용자가 관통홀의 길이방향 측으로 밀면 수평가늠자 몸체가 이동되는 동시에 수평가늠자 가늠바도 타측으로 이동되고, 이상태에서 상기 수평가늠자 가늠바가 탄성받침에 접촉되면 그 위치에 수평가늠자 조절대가 가르키는 수평눈금자의 눈금수치가 탄성받침의 수평 깊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수직가늠자 표시부는,
상기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는 표시부 본체와;
상기 표시부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강선에 고정되고, 상기 강선의 수평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장치와;
상기 표시부 본체 내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수평이동장치와 연결되어 수평이동장치의 이동에 맞춰 회동되는 눈금표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 본체의 전,후면에는 표시부 본체의 내부가 투영되는 투명한 수직눈금자가 형성되고,
상기 눈금표시대의 전,후면에는 투명한 수직눈금자의 눈금에 투영되는 눈금지시선이 형성되며,
상기 눈금표시대의 타측에는 수평이동장치와 연결되도록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가 연결되는 수평이동장치에는 연결돌기가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은 눈금표시대의 회동에 맞춰 양끝단부가 상측으로 곡선진 장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는 교량의 상,하부구조 사이의 높이가 낮고 깊어 협소한 곳에 설치된 교량의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 손잡이부의 손잡이레버를 잡아당겨 강선에 의해 제 2 판스프링을 변화시켜 제 1 판스프링의 상,하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강선이 제 1 판스프링에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강선에 설치된 수평이동장치가 이동하면서 눈금표시대가 가르키는 투명 수직눈금자의 수치를 확인하여 탄성받침의 높이를 측정하고,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 수평가늠자부를 탄성받침에 접촉할 때까지 수평으로 이동시켜 본체부의 수평눈금자의 눈금에 위치한 수평가늠자 조절대를 확인하여 탄성받침의 수평깊이를 측정한 뒤, 측정된 탄성받침의 높이와 깊이 비에 의한 기울기가 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유지관리 대책수립을 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가늠자 표시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가늠자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가늠자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작동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가늠자 표시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가늠자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가늠자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작동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100)는 교량 상부구조(1)와 하부구조(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3)의 높이 및 수평 깊이를 측정한 뒤, 탄성받침(3)의 높이와 깊이 비에 의해 기울기를 산출하는 장치로써, 본체부(10)와, 수평가늠자부(20)와, 손잡이부(30)와, 수직가늠자부(40)와, 수직가늠자 표시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통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되고, 도 1과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의 전,후면에는 수평가늠자부(20)에 의해 측정된 탄성받침(3)까지의 수평 깊이를 수치화하는 수평눈금자(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눈금자(11)는 본체부(10)의 전,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수평눈금자(11)에는 수평가늠자부(20)의 수평가늠자 조절대(23)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2)이 수평눈금자(11)에 표시된 눈금 수치만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12)은 수평눈금자(11)의 눈금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가늠자 조절대(23)는 관통홀(12)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수평가늠자 조절대(23)의 위치에 표시된 눈금 수치가 탄성받침(3)까지의 수평 깊이 값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일측면에는 수평가늠자부(20)와 수직가늠자부(40)를 통해 측정시, 탄성받침 부위가 어둡기에 랜턴 등의 조명부(미도시)가 부착된다.
상기 수평가늠자부(2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설치되어 탄성받침(3)까지의 수평 깊이를 측정하여 본체부(10)의 수평눈금자(11)에 표시하도록 수평가늠자 몸체(21)와, 수평가늠자 가늠바(22)와, 수평가늠자 조절대(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가늠자 몸체(21)는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수평가늠자 몸체(21)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소켓(24)에 의해 본체부(10)에 말착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소켓(24)은 수평가늠자 몸체(21)의 양끝단부 상부에 구비되는데 본체부(10)의 내측 상부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가늠자 몸체(21)가 본체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수평가늠자 몸체(21)가 본체부(10)의 개방된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소켓(24)으로 방지하고 수평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되는 구조이다. 그렇기에 상기 소켓(24)은 수평가늠자 몸체(21)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가늠자 가늠바(22)는 수평가늠자 몸체(21)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가늠자 조절대(23)는 수평가늠자 몸체(2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부(10)의 수평눈금자(11)에 형성된 관통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수평가늠자 가늠바(22)의 이동거리를 수평눈금자(11)에 표시한다.
이렇듯, 상기 수평가늠자 조절대(23)는 수평가늠자 몸체(21)의 관통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된 수평가늠자 조절대(23)를 사용자가 관통홀(12)의 길이방향 측으로 밀면 수평가늠자 몸체(21)가 이동되는 동시에 수평가늠자 가늠바(22)도 타측으로 이동되고, 이상태에서 상기 수평가늠자 가늠바(22)가 탄성받침(3)에 접촉되면 그 위치에 수평가늠자 조절대(23)가 가르키는 수평눈금자(11)의 눈금수치가 탄성받침(3)의 수평 깊이이다.
한편, 상기 수평가늠자부(20)는 탄성받침(3)의 하측과 상측에 수평 깊이를 각각 측정하여 탄성받침(3)의 기울기 산출에 사용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일측 끝단부(수평가늠자 가늠바(22)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수직가늠자부(40)를 작동시키도록 손잡이 양측판(31)과, 간격부재(32)와, 손잡이레버(33)로 구성된다. 이때, 일측이란 도 1 내지 도 6의 도면을 기준으로 왼쪽편을 뜻하는 것으로 이하에 기재된 일측은 모두 동일한 방향을 뜻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양측판(31)은 본체부(10)의 일측 끝단부의 전,후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기에 상호 간에 본체부(10)의 폭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재(32)는 손잡이 양측판(31) 사이에 설치되어 손잡이 양측판(31)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가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 양측판(31)의 가장자리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손잡이 양측판(31)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손잡이레버(33)는 손잡이 양측판(31) 사이에 손잡이레버(33)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손잡이레버(33)의 타측이 회동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손잡이레버(33)의 회동시, 일단부에 연결되는 강선(43)을 회동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레버(33)는 손잡이 양측판(31)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데, 회동되는 간격을 정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 양측판(31)의 일단면에는 회동홀(35)이 손잡이레버(33)의 회동에 맞춰 상측으로 곡선진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레버(33)의 양측으로 연결부재(34)가 관통 형성되어 회동홀(35)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레버(33)는 회동홀(35)의 길이만큼만 회동되어 강선(43)을 이동시킨다.
상기 수직가늠자부(4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타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강선(43)에 의해 손잡이부(30)의 손잡이레버(33)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레버(33)의 작동에 맞춰 강선이 이동되면서 상,하측으로 구동되어 탄성받침(3)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제 1 판스프링(41)과, 제 2 판스프링(42)과, 강선(43)으로 구성된다. 이때, 타측이란 도 1 내지 도 6의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편을 뜻하는 것으로 이하에 기재된 타측은 모두 동일한 방향을 뜻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판스프링(41)은 본체부(10)의 상부면 끝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 1 판스프링(41)의 타측은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항시 올라가 있는 상태로써, 상기 제 1 판스프링(41)의 몸체는 양끝단부가 하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판스프링(42)은 강선(43)의 끝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판스프링(41)의 타측과 고정되어 강선(43)에 의해 제 1 판스프링(41)의 타측을 당겨서 하측으로 내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2 판스프링(42)의 몸체는 양끝단부가 상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강선(43)은 본체부(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손잡이레버(33)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 2 판스프링(42)과 연결되어 손잡이레버(33)의 작동에 맞춰 수평 이동하면서 제 2 판스프링(42)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판스프링(42)의 작동에 의해 제 1 판스프링(41)이 하측으로 내려지는 것이다.
상기 수직가늠자 표시부(5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강선(43)과 연결되고, 상기 강선(43)의 이동거리를 수치화시켜 탄성받침(3)의 높이를 수치화하도록 표시부 본체(51)와, 수평이동장치(52)와, 눈금표시대(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 본체(51)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10)의 외부에 설치되어 본체부(10)의 상측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 본체(51)는 내부가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 1과 도 3을 기준으로 전,후면에 내부 공간부가 투영되는 투명한 수직눈금자(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 본체(51)의 외부는 본체부(10)의 상부에 놓일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장치(52)는 표시부 본체(51)의 내측에 구비되는 동시에 본체부(10) 내에 구비되어 강선(43)에 고정되고, 상기 강선(43)의 수평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수평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강선(43)과의 연결은 수평이동장치(52)의 길이방향으로 강선(43)이 관통 고정되는 방식과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수평이동장치(52)의 상부에 강선(43)이 고정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이동장치(52)가 강선(43)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장치(52)는 표시부 본체(51) 내에서만 수평이동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눈금표시대(53)는 수직으로 바(bar), 막대로 형성되어 일측이 표시부 본체(51) 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눈금표시대(53)의 타측은 수평이동장치(52)와 연결되어 수평이동장치(52)의 이동에 맞춰 회동되며,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눈금표시대(53)의 전,후면에는 투명한 수직눈금자(54)의 눈금에 투영되는 눈금지시선(55)이 형성된다.
즉, 상기 눈금표시대(53)는 수평이동장치(52)의 수평이동에 맞춰 좌,우로 회동되어 눈금지시선(55)이 가르키는 수직눈금자(54)의 눈금에 수치로 탄성받침(3)의 높이를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눈금표시대(53)의 타측에는 수평이동장치(52)와 연결되도록 연결돌기(5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56)가 연결되는 수평이동장치(52)에는 연결돌기(56)가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연결홀(5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홀(57)은 눈금표시대(53)의 회동에 맞춰 양끝단부가 상측으로 곡선진 장홀로 형성된다. 즉, 상기 눈금표시대(53)는 연결홀(57)에 연결돌기(56)에 의해 연결되어 연결홀(57)을 따라 좌,우로 그네와 같은 반경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3)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100)의 작동방법과 기울기 산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3)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100)의 작동방법과 기울기 산출방법은 우선, 손잡이레버(33)를 당기면 강선(43)이 당겨지면서 제 2 판스프링(42)도 당겨지고, 상기 당겨진 제 2 판스프링(42)에 의해 제 1 판스프링(41)의 타측이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에서 탄성받침(3)의 높이를 측정할 위치에 본 발명의 측정장치(100)를 위치시킨 뒤, 당겨진 손잡이레버(33)의 작동을 풀면 당겨진 강선(43)과 제 2 판스프링(42)은 반대측으로 이동되면서 하측으로 내려진 제 1 판스프링(41)의 타측은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올려져 탄성받침(3)의 높이 위치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정지한다.
그러면, 상기 강선(43)과 연결된 수직가늠자 표시부(50)를 통해 제 1 판스프링(41) 타측이 올라간 거리만큼 강선(43)의 이동거리를 수치 측정하여 탄성받침(3)의 높이 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수평가늠자 조절대(23)를 사용자가 관통홀(12)의 길이방향 측으로(탄성받침(3)방향으로) 밀면 수평가늠자 몸체(21)가 이동되는 동시에 수평가늠자 가늠바(22)도 타측으로 이동되고, 이동되던 수평가늠자 가늠바(22)는 탄성받침(3)에 접촉하면서 멈추게 되고, 이 상태에서 수평가늠자 조절대(23)가 가르키는 수평눈금자(11)의 눈금수치가 탄성받침(3)의 수평 깊이를 수치로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황에 따라 수평가늠자부(20)는 탄성받침(3)의 하측과 상측에 수평 깊이를 각각 측정한다.
이렇게, 상기 탄성받침(3)의 높이 값과 탄성받침(3)의 수평 깊이 값을 아래의 [수학식 1,2]에 대입하여 탄성받침의 기울기 값을 산출하고, 이 값을 통해 탄성받침(3)의 교체 또는 보수공사 등의 여부에 대입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수학식 1]
탄성받침 기울기 값(ΔS) = 깊이(d) / 높이(h)
θ ≒ tan-1θ = 깊이(d) / 높이(h)
[수학식 2]
탄성받침 기울기 값(ΔS) = (하단 깊이(d_down) - 상단 깊이(d_upper)) / 높이(h)
θ ≒ tan-1θ = (하단 깊이(d_down) - 상단 깊이(d_upper)) / 높이(h)
10 : 본체부 11 : 수평눈금자
12 : 관통홀
20 : 수평가늠자부 21 : 수평가늠자 몸체
22 : 수평가늠자 가늠바 23 : 수평가늠자 조절대
24 : 소켓
30 : 손잡이부 31 : 손잡이 양측판
32 : 간격부재 33 : 손잡이레버
34 : 연결부재 35 : 회동홀
40 : 수직가늠자부 41 : 제 1 판스프링
42 : 제 2 판스프링 43 : 강선
50 : 수직가늠자 표시부 51 : 표시부 본체
52 : 수평이동장치 53 : 눈금표시대
54 : 수직눈금자 55 : 눈금지시선
56 : 연결돌기 57 : 연결홀
100 : 측정장치

Claims (2)

  1. 교량의 상부구조(1)와 하부구조(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3)의 높이 및 수평 깊이를 측정하여 탄성받침(3)의 높이와 깊이 비에 의해 기울기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되고, 전,후면에 수평눈금자(11)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눈금자(11)에는 관통홀(12)이 수평눈금자(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탄성받침(3)까지의 수평 깊이를 측정하여 본체부(10)의 수평눈금자(11)에 표시하는 수평가늠자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손잡이레버(33)가 형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타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강선(43)에 의해 손잡이부(30)의 손잡이레버(33)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레버(33)의 작동에 맞춰 강선(43)이 이동되면서 상,하측으로 구동되어 탄성받침(3)의 높이를 측정하는 수직가늠자부(4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강선(43)과 연결되고, 상기 강선(43)의 이동거리를 수치화시켜 탄성받침(3)의 높이를 수치화하는 수직가늠자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가늠자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타측 끝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가 있는 제 1 판스프링(41)과;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손잡이레버(33)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레버(33)의 작동에 맞춰 수평 이동하는 강선(43)과;
    상기 강선(43)의 끝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판스프링(41)의 타측과 고정되어 강선(43)에 의해 제 1 판스프링(41)의 타측을 당겨서 하측으로 내려주는 제 2 판스프링(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가늠자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양끝단부에 형성된 소켓(24)에 의해 본체부(10)에 밀착되면서 이동되는 수평가늠자 몸체(21)와;
    상기 수평가늠자 몸체(21)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평가늠자 가늠바(22)와;
    상기 수평가늠자 몸체(2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10)의 수평눈금자(11)에 형성된 관통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수평가늠자 가늠바(22)의 이동거리를 수평눈금자(11)에 표시하는 수평가늠자 조절대(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가늠자 조절대(23)를 사용자가 관통홀(12)의 길이방향 측으로 밀면 수평가늠자 몸체(21)가 이동되는 동시에 수평가늠자 가늠바(22)도 타측으로 이동되고, 이상태에서 상기 수평가늠자 가늠바(22)가 탄성받침(3)에 접촉되면 그 위치에 수평가늠자 조절대(23)가 가르키는 수평눈금자(11)의 눈금수치가 탄성받침(3)의 수평 깊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늠자 표시부(50)는,
    상기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10)의 외부에 설치되는 표시부 본체(51)와;
    상기 표시부 본체(51)의 내측에 구비되어 강선(43)에 고정되고, 상기 강선(43)의 수평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장치(52)와;
    상기 표시부 본체(51) 내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수평이동장치(52)와 연결되어 수평이동장치(52)의 이동에 맞춰 회동되는 눈금표시대(5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 본체(51)의 전,후면에는 표시부 본체(51)의 내부가 투영되는 투명한 수직눈금자(54)가 형성되고,
    상기 눈금표시대(53)의 전,후면에는 투명한 수직눈금자(54)의 눈금에 투영되는 눈금지시선(55)이 형성되며,
    상기 눈금표시대(53)의 타측에는 수평이동장치(52)와 연결되도록 연결돌기(5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56)가 연결되는 수평이동장치(52)에는 연결돌기(56)가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연결홀(57)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57)은 눈금표시대(53)의 회동에 맞춰 양끝단부가 상측으로 곡선진 장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KR1020180122963A 2018-10-16 2018-10-16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KR101991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63A KR101991888B1 (ko) 2018-10-16 2018-10-16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63A KR101991888B1 (ko) 2018-10-16 2018-10-16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888B1 true KR101991888B1 (ko) 2019-06-21

Family

ID=6705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963A KR101991888B1 (ko) 2018-10-16 2018-10-16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977B1 (ko) 2023-06-28 2024-05-29 (재)한국건설안전기술원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균열 및 이격폭 계측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408A (ja) * 1997-10-20 1999-04-30 Mitsutoyo Corp 測定機用保持装置
JP2003090722A (ja) * 2001-09-20 2003-03-28 Nagano Keiki Co Ltd 変位計、変位調整器
KR100519073B1 (ko) 2005-07-12 2005-10-05 한국씨엠이엔지(주) 교량구조물의 안전진단장치
KR100910743B1 (ko) * 2009-04-06 2009-08-05 한국시설기술주식회사 교량 강교 상부 켄틸레버 구간의 판스프링형 처짐진단장치
KR101615962B1 (ko) * 2015-10-19 2016-04-28 신종현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1765891B1 (ko) * 2016-12-16 2017-08-23 (주) 토건테크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KR101771132B1 (ko) * 2017-03-28 2017-08-24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구조물의 공간간격 측정장비
KR101858002B1 (ko) * 2017-11-28 2018-05-16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안전진단시 구조물 간격 측정을 위한 정밀 계측장치
KR101876828B1 (ko) * 2017-11-29 2018-08-07 대진컨설턴트 주식회사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408A (ja) * 1997-10-20 1999-04-30 Mitsutoyo Corp 測定機用保持装置
JP2003090722A (ja) * 2001-09-20 2003-03-28 Nagano Keiki Co Ltd 変位計、変位調整器
KR100519073B1 (ko) 2005-07-12 2005-10-05 한국씨엠이엔지(주) 교량구조물의 안전진단장치
KR100910743B1 (ko) * 2009-04-06 2009-08-05 한국시설기술주식회사 교량 강교 상부 켄틸레버 구간의 판스프링형 처짐진단장치
KR101615962B1 (ko) * 2015-10-19 2016-04-28 신종현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1765891B1 (ko) * 2016-12-16 2017-08-23 (주) 토건테크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KR101771132B1 (ko) * 2017-03-28 2017-08-24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구조물의 공간간격 측정장비
KR101858002B1 (ko) * 2017-11-28 2018-05-16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안전진단시 구조물 간격 측정을 위한 정밀 계측장치
KR101876828B1 (ko) * 2017-11-29 2018-08-07 대진컨설턴트 주식회사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977B1 (ko) 2023-06-28 2024-05-29 (재)한국건설안전기술원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균열 및 이격폭 계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890B1 (ko) 교량에 설치되는 받침의 고무재 높이 및 변형량 측정장치
CN106225665B (zh) 室内结构面平整度检测装置及方法
KR102074435B1 (ko)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US9528827B2 (en) Device for measurement of deviation from a reference axis
KR102191175B1 (ko)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장치
CN206223076U (zh) 一种靠尺顶撑机构
KR102137556B1 (ko)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장치
CN210441865U (zh) 一种城市道路桥梁路基工程测量设备
KR101991888B1 (ko)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KR102571428B1 (ko) 교량 받침의 안전 진단용 변위 측정 장치
KR101938404B1 (ko)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량용 표척기구
CN217786167U (zh) 一种用于测量建筑倾斜率的装置
CN211178499U (zh) 一种电梯井模板垂直度测量仪
CN206073833U (zh) 一种钢卷尺零位检定装置
KR101613240B1 (ko) 고층 건물의 시설물 설치용 레벨장치
KR100970938B1 (ko) 중성자 유도관 지지대의 위치 설정을 위한 피측정장치
CN111044015A (zh) 一种圆形钢柱倾斜度测量装置
CN206223077U (zh) 一种平整度检测靠尺
CN208456533U (zh) 一种井下传感器安装装置
CN207019668U (zh) 铁路桥梁摇轴支座倾斜角度测量仪
CN213875688U (zh) 一种混凝土收缩膨胀仪
KR100854134B1 (ko) 경사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변위측정장치
KR200379011Y1 (ko) 교량 구조물 교좌장치의 안전진단 장치
CN210922595U (zh) 一种圆形钢柱倾斜度测量装置
CN217052952U (zh) 一种公路工程用平整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