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39A -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39A
KR20170001039A KR1020150090397A KR20150090397A KR20170001039A KR 20170001039 A KR20170001039 A KR 20170001039A KR 1020150090397 A KR1020150090397 A KR 1020150090397A KR 20150090397 A KR20150090397 A KR 20150090397A KR 20170001039 A KR20170001039 A KR 2017000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queegee
rotary screen
web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관
김광수
한정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39A/ko
Publication of KR2017000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001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H01L51/4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2031/0344Organ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시에 용액 손실을 줄이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는 웹이 권출되는 권출롤과, 권출롤에서 권출된 웹에 적층 소재를 인쇄하는 스퀴지를 구비하는 로터리 스크린과, 웹에 인쇄된 적층 소재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인쇄되어 건조된 상기 웹을 권취하는 권취롤을 포함하고,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에는 인쇄후에 넘쳐 오르는 용액을 막아주는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액 손실을 줄여 적은 양으로도 많은 양의 프린팅이 가능하며, 스퀴지 기구에서 용액 넘침 방지 가이드와 용액 주입구를 일체로 하여 용액 주입을 용이하게 하며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ROLL TO ROLL ROTARY SCRE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GARNIC SOLAR CELL}
본 발명은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시에 용액 손실을 줄이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므로 공해 발생이 적으나, 실리콘 기판에 광전 변환층을 형성하고, 금속 산화물을 이용하여 광전 변환층과의 연결을 위한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제조 공정은 진공 환경을 요구하는 바, 발전 효율 대비 제조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신하여 고분자 필름에 광전 변환층과 전극을 형성하는 유기태양전지를 통해 제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며, 통상 "웹(web)"이라 지칭되는 고분자 필름의 이송 경로 상에서 슬롯 다이 또는 스크린을 통해 소재를 토출하고, 웹에 적층하는 롤투롤(Roll To Roll) 인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슬롯 다이를 이용한 인쇄방식은 고점도, 즉 500 ~ 10,000 cp(바람직하게는 500 ~ 2,000 cp) 이상의 소재들을 이용한 코팅시 두께 조절이 어렵고, 슬롯다이 내부의 저장조(Reservoir) 때문에 필요한 코팅 용액 외에 추가 용액이 필요하여 소재의 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로터리 스크린을 포함하여 스크린을 이용한 인쇄방식은 틀에 견포, 기타 스크린을 걸고 손작업 혹은 사진 원리의 방법에 의해 화상 이외 부분의 스크린 결을 막고 스퀴지로 스크린 결을 통해 잉크(적층 소재)를 압출하여 인쇄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인쇄법에서는 인쇄하기 곤란한 강한 표면이나 곡면체에도 쉽게 인쇄되며, 잉크의 선택도 자유로우며, 잉크층이 두껍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스퀴지는 스크린 인쇄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인쇄될 물체 위에 스텐실이나 망사에 잉크가 통과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잉크는 인쇄가 행해지는 동안에 스퀴지 압에 의해 스텐실(stencil)이나 망사를 통해 밀려 나오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스크린 프린팅의 스퀴지와 스크린 사이의 각도는 70 ~ 80도 정도가 적합하지만, 로터리 스크린의 경우 스퀴지는 고정되어 있으며, 웹 패스(web path)의 최소화로 인해 스퀴지의 각도가 매우 낮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퀴지로 잉크 용액을 로터리 스크린을 통해 밀어낼 때 잉크 용액이 스퀴지 위쪽까지 밀리게 되어 스퀴지 위에 용액이 묻어 많은 양의 용액 손실이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터리 스크린 공정에서 코팅 액을 주사기에 담아 주입하거나 수작업으로 직접 용액을 로터리 제판에 주입하게 되므로 용액 손실이 많고 용액주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434658호 (유기 태양 전지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2 : 공개특허 제10-2014-0118023호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3 : 공개특허 제10-2012-0097894호 (로터리 스크린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프린팅)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액 손실을 줄여 적은 양으로도 많은 양의 프린팅이 가능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퀴지 기구에서 용액 넘침 방지 가이드와 용액 주입구를 일체로 하여 용액 주입을 용이하게 하며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는 웹이 권출되는 권출롤과, 권출롤에서 권출된 웹에 적층 소재를 인쇄하는 스퀴지를 구비하는 로터리 스크린과, 웹에 인쇄된 적층 소재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인쇄되어 건조된 웹을 권취하는 권취롤을 포함하고,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에는 인쇄후에 넘쳐 오르는 용액을 막아주는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된다.
넘침 방지 가이드는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면에서 돌출하여 절곡된 ㄱ자의 단면의 절곡판 형태로 되어 있다.
스퀴지에는 적층 소재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주입관이 일체로 구비된다. 용액 주입관은 로터리 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용액 주입관에는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하측으로 용액을 토출시키는 토출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는 웹의 이송 경로 일측에 설치되어 웹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제1 복합롤과, 웹의 이송 경로 타측에 설치되어 웹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제2 복합롤과, 제1 복합롤에서 권출된 웹에 적층 소재를 인쇄하는 스퀴지를 구비하는 제1 로터리 스크린과, 제2 복합롤에서 권출된 웹에 적층 소재를 인쇄하는 스퀴지를 구비하는 제2 로터리 스크린과, 제1 로터리 스크린과 제2 로터리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어 웹에 인쇄된 적층 소재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양방향 인쇄장치에 적용되어,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에는 인쇄 후에 넘쳐 오르는 용액을 막아주는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로터리 스크린의 스퀴지와 제2 로터리 스크린의 스퀴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넘침 방지 가이드는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면에서 돌출하여 절곡된 ㄱ자 단면의 절곡판 형태로 되어 있다. 스퀴지에는 적층 소재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주입관이 일체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에 의하면, 웹패스가 짧을 때 낮은 각도로 장착되어 있는 스퀴지에서 프린팅 후 위쪽으로 넘쳐 올라가는 용액이 넘침 방지 가이드에 막혀서 다시 스퀴지 쪽으로 내려가므로 용액 손실을 줄여 적은 양으로도 많은 양의 프린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즉, 스퀴지의 경사각도가 낮을 경우에 스퀴지로 용액을 로터리 스크린을 통해 밀어낼 때 용액이 스퀴지 위쪽으로 밀리지 않게 하므로 스퀴지 위에 묻어 손실되는 용액의 양을 줄이게 된다.
또한, 스퀴지 기구에서 용액 넘침 방지 가이드와 용액 주입구를 일체로 하여 용액 주입을 용이하게 하며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 패스를 짧게 할 수 있는 양방향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에 적용하여, 웹 이송 방향을 양방향으로 전환하면서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으로 복수의 재료를 한 장비에서 연속적으로 인쇄할 수 있으며, 로터리 스크린의 배열 순서와 관계없이 다양한 방식의 인쇄 조합이 가능하다. 이때, 웹 패스(Web pass)를 짧게 할 수 있는 양방향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에서는 웹의 손실이 최소화되며, 설비 유지와 관리 및 조작이 용이하고 장치의 조작성,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념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터리 스크린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쇄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넘침 방지 가이드 및 용액 주입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념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웹에 적층 소재를 도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념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로터리 스크린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100)는 일방향 인쇄장치로서, 권출롤(110)과, 로터리 스크린(120)과, 건조기(130)와, 권취롤(140)을 포함한다. 로터리 스크린(120)과 건조기(130)는 웹(W)의 이송 경로 상에 복수 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복수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하나의 로터리 스크린(120)과 하나의 건조기(130)만 표시한 예로 설명한다.
권출롤(110)은 웹(W)이 권출되는 롤이고, 권취롤(140)은 적층 소재가 인쇄된 웹(W)이 귄취되는 롤이다. 웹(W)은 권출롤(110)과 권취롤(140) 사이에서 A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 경로 상에 권출롤(110) 측에 배치된 로터리 스크린(120)에서 토출되는 적층 소재에 의해 도포되어 인쇄되고, 건조기(130)에서 건조되며, 복수의 방향전환롤(DR) 및 안내롤(GR)에 의해 안내된다. 로터리 스크린(120)에 연동하는 방향전환 롤은 로터리 스크린(120)의 백업 롤의 역할을 한다.
로터리 스크린(120)은 인쇄통(121)과, 인쇄통(121)을 통해 적층 소재의 용액을 밀어내어 웹(W)에 인쇄되게 하는 스퀴지(122)와, 인쇄 후에 넘쳐 상측으로 넘쳐 오르는 용액을 막아주는 넘침 방지 가이드(123)와, 적층 소재인 용액(M)을 공급하는 용액 주입관(124)을 포함한다.
인쇄통(1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의 롤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주입된 적층 소재의 용액이 스퀴지(122)에 의해 밀려 나오는 개구부(121a)와, 개구부(121a)의 양측에 형성된 미개구부(121b)로 이루어진다. 개구부(121a)는 다양한 형태의 개구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퀴지(122)는 스테인레스, 철, 수지재 등으로 된 블레이드로서, 블레이드의 단부에는 천연고무, 니트릴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불소 고무 등의 고무부재가 부착될 수 있으며, 용액에 의한 열화가 방지되는 내성을 가지는 에틸렌플로필렌 고무(EPDM)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퀴지(122)는 용액 주입관(124)을 통해 스퀴지(122)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적층 소재 용액(M)을 밀어내어 웹(W)에 인쇄되게 한다. 스퀴지(122)는 인쇄통(121)의 내부에 설치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 바(pusher bar)(125)에 볼트(BT)로 체결되어 푸셔 바(125)의 가압력에 의해 용액(M)을 인쇄통(121) 외부로 밀어낸다.
넘침 방지 가이드(123)는 용액(M)이 스퀴지(122)에 의해 밀려나가 인쇄된 후 스퀴지(122)의 상측으로 넘쳐 오르는 상승 용액(MF)을 막아서 스퀴지(122) 하측으로 다시 내려가게 하는 가이드로서, 스퀴지(122)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면에서 돌출하여 절곡된 ㄱ 자 단면의 절곡판 형태로 되어 있다.
용액 주입관(124)은 스퀴지(122)의 폭방향 상단에 스퀴지(122)와 일체로 설치되며, 로터리 스크린(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인쇄통(121)의 외측으로 배관되어 용액 공급원에 연결된다(도 4 참조). 용액 주입관(124)에는 스퀴지(122)의 경사 설치방향 하측으로 용액(M)을 토출시키는 복수의 토출관부(124a)가 형성되어 있다.
건조기(130)는 웹(W)에 인쇄된 적층 소재를 건조시키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건조기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가열된 공기를 계속해서 순환시켜 원하는 온도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열풍건조방식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조기(130)는 건조 본체와 히터와 건조 팬을 포함하며 다양한 형태의 건조기가 사용될 수 있다. 건조기(1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100)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출롤(110)에서 웹(W)이 풀린 후, 방향전환 롤(DR)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터리 스크린(120)에서 공급되는 적층소재의 용액이 도포된 다음, 건조기(130)를 거치면서 건조된 후, 권취롤(140)에 감겨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터리 스크린(120)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용액 주입관(124)을 통해 인쇄통(121)의 내부에 유입되는 적층 소재의 용액(M)은 토출관부(124a)를 통해 토출되어 스퀴지(122)의 하측에 유입된다(도 2 참조).
인쇄통(121)이 회전하고 스퀴지(122)의 가압력에 의해 밀리는 용액(M)은 인쇄통(121)의 개구부(121a)를 통해 외부로 유출하여 웹(W)에 인쇄되며, 인쇄후 스퀴지(122)의 상측으로 넘쳐 오르는 상승 용액(MF)는 넘침 방지 가이드(123)에 의해 막아져서 다시 스퀴지(122) 쪽으로 내려가게 한다. 따라서, 스퀴지(122) 위쪽에 잔류하는 용액이 줄어지게 되므로 용액 손실을 줄여 적은 양으로도 많은 양의 프린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용액 주입관(124)을 스퀴지(122)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하여 용액(M)을 토출관부(124a)를 통해 토출되게 함으로써, 용액 주입을 용이하게 하며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개념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200)는 양방향 인쇄장치로서, 제1 복합롤(210)과, 제2 복합롤(220)과, 제1 로터리 스크린(230)과, 제2 로터리 스크린(240)과, 건조기(250)를 포함한다.
제1 복합롤(210)과 제2 복합롤(220)은 웹을 정방향(A) 또는 역방향(B)로 이송하면서 권출 또는 권취하는 롤로서, 제1 복합롤(210)와 제2 복합롤(220) 사이에 웹(W)이 감기고, 웹(W)은 제1 복합롤(210)과 제2 복합롤(220)의 회전에 의해 정방향(A) 또는 역방향(B)으로 이동한다. 이때, 웹(W)은 제1 복합롤(210)과 제2 복합롤(220) 사이의 이송 경로상에 배치되는 제1, 제2 로터리 스크린(230, 240)에서 토출되는 소재에 의해 도포되어 인쇄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로터리 스크린(230)의 스퀴지와 상기 제2 로터리 스크린(240)의 스퀴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 제2 로터리 스크린(230, 240)의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에는 인쇄 후에 넘쳐 오르는 용액을 막아주는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제1, 제2 로터리 스크린(230, 240) 및 건조기(250)는 제 1실시예의 로터리 스크린(120) 및 건조기(13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인쇄 영역은 제1, 제2 로터리 스크린(230, 240)에서 토출되는 소재가 중첩되어 도포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게 되는데,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양방향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200)를 사용하여 유기태양전지 제조에 이용되는 경우, 유기 태양전지를 구성하는 적층물은 유기 태양전지를 구성하는 음극, 광 활성층, 전자 전달층, 정공 전달층, 금속 산화물 박막층 및 양극의 층 등을 지칭한다.
여기서, 적층물은 제1, 제2 로터리 스크린(230, 240)이 웹(W)에 도포하는 소재가 적층되어 구성되는데, 소재의 적층을 위해서는 제1, 제2 로터리 스크린(230, 240)에서 소재를 도포 후, 건조기(250)에서 건조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200)는 제1 복합롤(210)와 제2 복합롤(220)이 웹(W)을 정방향(A)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역방향(B)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웹(W)에 인쇄 영역이 형성되면, 인쇄 영역이 형성된 웹(W)을 건조기(250)로 회송시켜 건조를 시킨 후, 다음 공정에 필요한 로터리 스크린(230, 240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고, 해당 로터리 스크린을 구동하여 인쇄 영역이 건조된 웹(W)에 소재를 추가로 도포하며, 웹(W)에 소재가 추가로 도포되면 재차 인쇄 영역이 적층된 웹(W)을 건조기(250)로 이송시켜 건조시킨다. 이처럼,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200)는 하나의 건조기(250)를 이용하여 모든 로터리 스크린(230, 240)에서 도포된 소재를 건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재 건조를 위해 복수의 건조기가 요구되지 않고, 단일 건조기(250)만이 요구됨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크기와 부피는 대폭 감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로터리 스크린을 구비한 양방향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예시로 들었으나, 세 개 이상의 로터리 스크린을 구비한 경우에도 로터리 스크린이 건조기 양측에 나누어 배치되어 하나의 건조기로 건조할 수 있다.
한편, 웹(W)의 이송 방향이 정방향(A)으로 고정되는 일방향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200)는 웹(W)의 이송 방향이 양방향이며, 양방향의 특성을 이용하여 건조기(250)와 제1 복합롤(2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로터리 스크린(230), 및 건조기(250)와 제2 복합롤(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로터리 스크린(240)에서 도포되는 소재는 단일 건조기(250)에서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웹(W)을 이송 경로 중 적정한 위치에 포지셔닝 하고, 이후, 로터리 스크린(230, 240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함으로써 웹(W)에 인쇄 영역을 형성하고, 또한 형성된 인쇄 영역에 소재를 추가로 적층하고 건조하여 적층 인쇄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웹(W)은 2개의 로터리 스크린(230, 240)에서 도포되는 소재를 순차대로, 또는 공정 순서에 따라 적층 및 건조할 수 있다. 이는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웹에 적층 소재를 도포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6a는 웹(W)의 P0 영역에서 P1 영역으로 이동할 때, 제1 로터리 스크린(230)이 소재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a에서 제1 로터리 스크린(230)이 P0 영역에 소재를 도포하면, 웹(W)의 P0 영역은 P1 영역으로 이동하고, 이때, 건조기(250)를 통해 건조된다. 이때, 웹(W)의 P0 영역은 제1 로터리 스크린(230)이 도포한 소재가 건조기(250)에서 건조되어 인쇄 영역(L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6b는 건조기(250)에서 건조된 웹(W)의 P1 영역이 P2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제2 로터리 스크린(240)가 소재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로터리 스크린(230)이 도포한 소재가 건조기(250)에서 건조되어 인쇄 영역(L1)을 형성하고 나면, 제1 복합롤(210) 및 제2 복합롤(220)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웹(W)의 이송방향을 역방향으로 전환한다.
소재가 제1 로터리 스크린(230)에 의해 도포된 소재 위에 제2 로터리 스크린(240)을 통해 다른 소재를 도포한다. 웹(W)이 계속 이동하면, 건조기(250)를 지나면서 소재가 건조되어 인쇄 영역(L2)를 형성한다(도 6b의 P2 영역 참조).
통상적으로 웹(W)이 일방향(정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경우, 로터리 스크린 하나 당 건조기가 하나씩 배당되어야 하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 장치(200)는 복수의 로터리 스크린(230, 240)이 하나의 건조기(250)를 공유하며, 웹(W)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소재를 도포할 로터리 스크린으로 웹(W)을 이송하면서 유기 태양전지 공정을 처리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로터리 스크린(230, 240) 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로터리 스크린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가 유기 태양전지의 적층물을 생성하는 공정의 수만큼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인쇄시 제1, 제2 로터리 스크린(230, 240)의 작동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110 : 권출롤 120 : 로터리 스크린
121 : 인쇄통 122 : 스퀴지
123 : 넘침 방지 가이드 124 : 용액 주입관
124a : 토출관부 125 : 푸셔 바
130, 250 : 건조기 140 : 권취롤
210 : 제1 복합롤 220 ; 제2 복합롤
230 : 제1 로터리 스크린 240 : 제2 로터리 스크린
BT : 볼트 W : 웹
DR : 방향전환 롤 GR : 안내롤
M : 용액 MF : 상승 용액

Claims (9)

  1. 웹이 권출되는 권출롤과,
    상기 권출롤에서 권출된 웹에 적층 소재를 인쇄하는 스퀴지를 구비하는 로터리 스크린과,
    상기 웹에 인쇄된 적층 소재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인쇄되어 건조된 상기 웹을 권취하는 권취롤을 포함하고,
    상기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에는 인쇄 후에 넘쳐 오르는 용액을 막아주는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가이드는 상기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면에서 돌출하여 절곡된 ㄱ자 단면의 절곡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에는 적층 소재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주입관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액 주입관은 상기 로터리 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액 주입관에는 상기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하측으로 용액을 토출시키는 토출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6. 웹의 이송 경로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웹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제1 복합롤과,
    상기 웹의 이송 경로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웹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제2 복합롤과,
    상기 제1 복합롤에서 권출된 상기 웹에 적층 소재를 인쇄하는 스퀴지를 구비하는 제1 로터리 스크린과,
    상기 제2 복합롤에서 권출된 상기 웹에 적층 소재를 인쇄하는 스퀴지를 구비하는 제2 로터리 스크린과,
    상기 제1 로터리 스크린과 상기 제2 로터리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웹에 인쇄된 적층 소재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에는 인쇄 후에 넘쳐 오르는 용액을 막아주는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터리 스크린의 스퀴지와 상기 제2 로터리 스크린의 스퀴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가이드는 상기 스퀴지의 경사 설치방향 상측면에서 돌출하여 절곡된 ㄱ자 단면의 절곡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에는 적층 소재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주입관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KR1020150090397A 2015-06-25 2015-06-25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KR20170001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97A KR20170001039A (ko) 2015-06-25 2015-06-25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97A KR20170001039A (ko) 2015-06-25 2015-06-25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39A true KR20170001039A (ko) 2017-01-04

Family

ID=5783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397A KR20170001039A (ko) 2015-06-25 2015-06-25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1289B2 (en) 2017-05-02 2021-11-09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solar cell and organic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same
KR20230116246A (ko) *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플렉소 필름 인쇄 및 로터리 실크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점자 스티커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894A (ko) 2011-02-25 2012-09-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로터리 스크린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프린팅
KR101434658B1 (ko) 2011-12-28 2014-08-2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KR20140118023A (ko) 2013-03-27 2014-10-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894A (ko) 2011-02-25 2012-09-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로터리 스크린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프린팅
KR101434658B1 (ko) 2011-12-28 2014-08-2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KR20140118023A (ko) 2013-03-27 2014-10-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1289B2 (en) 2017-05-02 2021-11-09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solar cell and organic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same
KR20230116246A (ko) *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플렉소 필름 인쇄 및 로터리 실크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점자 스티커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84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lexible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a roll-to-roll printing process
US8991314B2 (en) Roller microcontact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thereof
KR101574516B1 (ko) 플랙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장치
JP2019096890A (ja) デバイス製造方法
KR20170001039A (ko) 유기태양전지 제조용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JP5757777B2 (ja) 基板塗布方法及び基板塗布装置並びに同方法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の製造方法
JP2012155988A (ja)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全固体電池の製造装置
KR20130076609A (ko)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KR20060125881A (ko) 도너 시트 송출 방법
JP6600079B2 (ja) 基板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これを含む伝導性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装置
KR20140115515A (ko) 다층 투명 전극 및 이를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US9478765B2 (en) Electro-optical device stack, having patches covering layer breaches
KR20160116826A (ko) 롤투롤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제조 방법
JP521247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KR101573955B1 (ko) 광전자 소자 형성 방법, 광전자 소자 형성용 장치 및 광전자 소자 형성용 롤러
EP2206171B1 (en) Method of fabricating an electronic device
JP5057017B2 (ja) 拡散層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657135B2 (ja) 電池製造用装置
CN107086187B (zh) 蚀刻装置、蚀刻方法以及由所述蚀刻方法所蚀刻的挠性膜
KR20190127257A (ko) 척을 적용한 롤투롤 시스템
KR102583837B1 (ko) 롤투롤 멀티 코팅장비
Ponjanda-Madappa Roll to roll manufacturing of flexible electronic devices
KR20160080261A (ko) 롤투롤 인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 제조 방법
JPWO2009051036A1 (ja) 薄膜形成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素子
JP5050518B2 (ja) 樹脂凸版の製造方法及び現像装置並びに印刷物の製造方法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