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908U -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908U
KR20170000908U KR2020150005844U KR20150005844U KR20170000908U KR 20170000908 U KR20170000908 U KR 20170000908U KR 2020150005844 U KR2020150005844 U KR 2020150005844U KR 20150005844 U KR20150005844 U KR 20150005844U KR 20170000908 U KR20170000908 U KR 201700009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obstacle body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029Y1 (ko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그린비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비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비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2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4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a model being viewed and manoeuvred from a remote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OBSTACLE STRUCTURE FOR GAME OF UNMANNED AIRCRAFT}
본 고안은 무인 비행체 게임을 진행할 때 사용 가능한 장애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무선 조종기의 사용자 조작을 통해 항로 조정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예컨대, 드론)를 이용하여 조종술을 연마하고 게임(경기)을 수행하는데 사용 가능한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항공 산업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의 충족을 위해 무인 비행체의 활용이 다양한 분야(예컨대, 레저, 물류 배송, 재난 구조, 위험지역의 촬영, 군사용 등)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근래 들어서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미 욕구에 편승하여 레저(게임, 오락)용 무인 비행체의 보급이 현저하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에서는 무인 비행체가 통과하는 장애물(예컨대, 폴대 등을 지면에 꼽은 형상의 장애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이용되는 장애물은, 예컨대 반구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무인 비행체의 레이싱 게임에서는 특정 지역에 몇 개의 장애물을 설치해 두고 사용자의 원격 무인 조정(조작)을 통해 무인 비행체가 각 장애물을 얼마나 정확히 혹은 얼마나 빠른 시간 내 통과하느냐를 놓고 조종술을 경쟁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폴대 등을 지면에 꼽는 방식으로 장애물을 설치하는 경우 FPV(영상) 무인 비행체 조종자의 입체감과 직관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비행고도의 변화가 없어지면 가까이 낮게 비행하는 등 이러한 문제는 무인 비행체 레이싱 게임의 본질은 조종술의 향상이나 게임자의 흥미 유발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은 폴대를 지면에 꼽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애물의 높낮이를 조절, 즉 고난이도 레이싱 경로 등의 설정을 위해 장애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7210호(공고일: 2015. 06. 09)
본 고안은,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에 의해 원형 형상이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는 형상의 장애물 몸체를 무인 비행체 게임을 위한 장애물로서 제공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은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에 의해 원형 형상이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고,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가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형상의 장애물 몸체를 무인 비행체 게임을 위한 장애물로서 제공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안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일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장애물 몸체는, 원형 단면 구조, 타원형 단면 구조, 역삼각 단면 구조 및 삼각 단면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장애물 몸체가 상기 역삼각 단면 구조일 때, 상기 외측 폴대는, 역삼각 외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1 외측 폴대와, 역삼각 외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2 외측 폴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장애물 몸체가 상기 삼각 단면 구조일 때, 상기 내측 폴대는, 삼각 내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1 내측 폴대와, 삼각 내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2 내측 폴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장애물 몸체는, 그 후면 측에 몸체 내부로의 자유로운 삽입을 위한 출입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에어 튜브가 착탈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출입부재는, 지퍼, 버클 및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내측 면의 둘레 전체에 걸쳐 상기 원형 통공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는 추돌 방지용 안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애물의 몸체를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측면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측면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몸체는, 지면에서의 부동 지지를 위해 하단부에 물 충전용의 고정 주머니가 형성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통공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을 상기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장력 유지부재는, 스트랩, 투웨이 버클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을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타단을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통공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몸체는, 지면에서의 부동 지지를 위해 평탄 접힘 부분 측의 하단부에 물 충전용의 고정 주머니가 형성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내측 구조체는, 통기성의 메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내측 구조체는,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장애물 몸체는, 원형 단면 구조, 타원형 단면 구조, 역삼각 단면 구조 및 삼각 단면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장애물 몸체가 상기 역삼각 단면 구조일 때, 상기 외측 폴대는, 역삼각 외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1 외측 폴대와, 역삼각 외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2 외측 폴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장애물 몸체가 상기 삼각 단면 구조일 때, 상기 내측 폴대는, 삼각 내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1 내측 폴대와, 삼각 내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2 내측 폴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장애물 몸체는, 그 후면 측에 몸체 내부로의 자유로운 삽입을 위한 출입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에어 튜브가 착탈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출입부재는, 지퍼, 버클 및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애물의 몸체를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측면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측면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몸체는, 지면에서의 부동 지지를 위해 하단부에 물 충전용의 고정 주머니가 형성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통공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와,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을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장력 유지부재는, 스트랩, 투웨이 버클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을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타단을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통공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평탄 접힘 부분의 후면 측에 장착되며,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부동 지지하기 위한 물체가 착탈 자유롭게 삽입되는 부동 지지용 포켓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미줄 형상의 내측 구조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제 1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제 1 장애물 몸체와, 상기 제 1 원형 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측에 제 2 원형 통공이 형성된 제 2 장애물 몸체와,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의 일측과 상기 제 2 장애물 몸체의 일측 간을 연결하며, 상기 제 1 원형 통공과 제 2 원형 통공 간을 관통하는 비행을 위한 터널식 비행 공간을 제공하는 터널형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터널형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의 일측과 상기 제 2 장애물 몸체의 일측 간에 착탈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터널형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를 기준으로 할 때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터널형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를 기준으로 할 때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터널형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를 기준으로 할 때 상향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은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에 의해 원형 형상이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는 형상의 장애물 몸체를 무인 비행체 게임을 위한 장애물로서 제공함으로써, 무인 비행체를 조정하는 게임선수에게 시각적으로 지나가는 물체가 아닌 통과해야 할 경기의 목적을 확실시하고 원형에서 주는 미학적 입체감을 이용하여 단계를 통과하여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아래 부분이 좁은 관계로 낮은 비행으로 전진 할 수 없게 하여 조종술 연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애물 몸체의 하단부를 지면 지지대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의 길이를 원하는 만큼으로 조절함으로써,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의 높낮이를 원하는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레이싱 게임의 난이도 조절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싱 게임 참가자들의 흥미 유발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의 장소에 따라 쉽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케 하여 선수들이 레이싱을 어느 곳에서든 쉽게 즐기며 조종술을 연마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e는 본 고안의 실시 예1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와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실시 예1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각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1에 따라 다수의 장애물 구조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 레이싱 게임장을 구축한 일례의 일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1에 따라 에어튜브의 자유로운 착탈을 위해 출입부재가 형성된 장애물 몸체의 후면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1에 따라 외측 폴대(들)와 내측 폴대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장애물 몸체의 후면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2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3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4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고안의 실시 예5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6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1는 본 고안의 실시 예7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 예8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 예8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라 내측 구조체의 형상을 달리하는 변형 실시 예의 정면도이다.
도 15a는 본 고안의 실시 예9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5b는 본 고안의 실시 예9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 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1]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 예1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에 적용되는 원형의 장애물 몸체(1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예컨대, 드론 등)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104)이 내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장애물 몸체(102)로서는, 예컨대 충돌 시 무인 비행체에 충격을 흡수하거나 적게 주는 직물 재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레이싱 게임 중에 무인 비행체가 지나가는 통공을 원형으로 하는 것은 게임 참가자가 게임 중 FPV(영상)을 통해 보는 관점(게임 참가자 또는 영상 중계 관람자)에서 볼 때 무인 비행체가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통과 목표물에 대한 인식과 목표물을 통과한다는 시각적인 느낌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장애물 몸체(102)의 외측 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106)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데, 이러한 외측 폴대(106)는, 예컨대 탄성을 갖는 유리섬유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내부의 탄성 끈(장력 유지용 탄성끈)을 통해 다수의 서브 폴대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면서 인접하는 각 서브 폴대들이 착탈 자유롭게 서로 삽입되는 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외측 폴대(106)는,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장애물 몸체(102)의 외측 면을 따라 형성된 지지홈(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편)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거나 혹은 장애물 몸체(102)의 외측 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리에 걸리는 방식으로 착탈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장애물 몸체(102)의 내측 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108)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데, 이러한 내측 폴대(108)는 그 재질 및 구조가 외측 폴대(106)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내측 폴대(108)는, 예컨대 장애물 몸체(102)의 내측 면을 따라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착탈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 폴대(108)는 일체형 팝업 폴대(예컨대, 고탄력 파이버글라스(Fiberglass) 재질, 고탄소강 등)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애물 몸체(102)의 내측 면에는 그 둘레 전체에 걸쳐 원형 통공(104)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예컨대, 바람 등에 의해 나풀거림이 가능한 형태로 신장)되는 추돌 방지용의 안전부재(10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부재(105)는 장애물 몸체(102)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일 재질의 부재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안전부재(105)를 형성하는 것은 레이싱 게임 중에 원형 통공(104)을 통과하는 무인 비행체의 회전 날개 등이 장애물 몸체(102)에 직접 부딪쳐 회전 날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기를 지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에 채용되는 장애물 몸체는, 일례로서 도 1b 내지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 구조, 타원형 단면 구조 및 역삼각 단면 구조를 갖거나 혹은 삼각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102)가 원형 단면 구조일 때, 장애물 몸체(102)에는 하나의 외측 폴대(106)와 하나의 내측 폴대(108)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삽입)될 수 있다. 도 1c에 있어서, 미설명 참조번호 107은 장애물 몸체(102)의 내부에 착탈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에어튜브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102)가 타원형 단면 구조일 때, 장애물 몸체(102)에는 하나의 외측 폴대(106)와 하나의 내측 폴대(108)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삽입)될 수 있다. 이때, 장애물 몸체가 타원형 단면 구조일 경우, 그 내부에 에어튜브가 장착되지 않는 형태로 적용(제작)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102)가 역삼각 단면 구조일 때, 장애물 몸체(102)에는 2개의 외측 폴대(106a, 106b)와 하나의 내측 폴대(108)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삽입)될 수 있다.
즉, 외측 폴대는 역삼각 외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삽입)될 수 있는 제 1 외측 폴대(106a)와 역삼각 외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삽입)될 수 있는 제 2 외측 폴대(106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장애물 몸체로서 삼각 단면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애물 몸체에는 하나의 외측 폴대와 두 개의 내측 폴대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삽입)될 수 있다.
즉, 내측 폴대는 삼각 내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삽입)될 수 있는 제 1 내측 폴대와 삼각 내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삽입)될 수 있는 제 2 내측 폴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 1a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장애물 몸체(102)를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데, 고정수단은 장애물 몸체(102)를 지면에 밀착 고정 지지하거나 혹은 장애물 몸체(102)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예컨대, 1미터 내지 5미터 등)만큼 이격시키는 형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수단은, 일례로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몸체(102)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0)와 장애물 몸체(102)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으로 된 적어도 2세트의 측면 연결부재(112a, 11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2세트의 측면 연결부재라 함은 4개의 측면 연결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10)를 통해 장애물 몸체(102)를 지면에 고정시킨 후 장애물 몸체(102)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2세트의 연결부재(112a, 112b)로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장애물 구조가 지면에 맞닿아 직각 형태로 세워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연결부재(112a, 112b)로서는, 예컨대 일반적인 텐트 등에 사용되는 줄과 팩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토퍼 등을 이용하여 각 줄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고정수단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몸체(102)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갖는 재질(예컨대, 알루미늄, 목재 등)을 가지며, 장애물 몸체(102)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예컨대, 1미터 내지 5미터 등)만큼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0)와 장애물 몸체(102)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으로 된 적어도 2세트의 측면 연결부재(112a, 11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2세트의 측면 연결부재라 함은 4개의 측면 연결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장애물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간격)만큼 이격시켜 고정 지지시키는 것은,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 레이싱 게임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장애물 구조(302a - 302d)를 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낮이로 위치시킴으로써,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레이싱 게임의 난이도 조절하거나 혹은 레이싱 게임의 재미를 증진시켜 주기 위해서이다. 도 3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현된 화살표 A는 레이싱 게임을 진행하는 무인 비행체가 지나가야 할 바람직한 경로를 의미한다.
그리고, 장애물 몸체(102)의 후면에는, 예컨대 단면 또는 양면 단면 구조형 구조로서,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구조 내부에 원형의 에어 튜브(113)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출입부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부재(114)로서는, 예컨대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출입부재(114)를 통해 장애물 몸체(102)의 내부에 원형의 에어튜브를 삽입하는 것은 장애물 구조에 시각적인 볼륨감 또는 입체감 등을 주기 위해서이다.
또한, 장애물 몸체(102)의 후면에는, 장애물의 원형 모양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폴대(106)와 내측 폴대(108) 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116)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애물 몸체(102)의 후면 측에 다수의 탄성 스트랩(116)을 설치하는 것은 당겨짐 탄성에 의해 장애물 몸체(102)의 내측 부분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즉 원형 통공(104)을 통과하는 무인 비행체가 들어왔다가 나가는 방향으로 장애물 몸체(102)의 내측 부분이 당겨지도록 하기 위해서인데, 이것은 무인 비행체 조정자(게임 참가자) 등에게 시각적인 몰입감 또는 재미 등을 주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장애물 구조의 고정 지지를 위해 4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애물 몸체의 앞뒤 양 측면과 지면 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 또는 용도 등에 따라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연결부재를 장애물 몸체의 앞뒤 양 측면에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애물 구조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장애물 몸체에서의 연결부재의 연결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예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장애물 구조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 등의 구성은, 장애물 몸체(602) 내부의 하단부를 물로 채울 수 있는 고정 주머니(610)로 형성하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부재들은 전술한 실시 예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6의 참조번호 602는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2, 참조번호 604는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4, 참조번호 605는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5, 참조번호 606은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6, 참조번호 608은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8과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들의 기능 및 구조 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전술한 도 1의 실시 예1에서와 같이 장애물 구조를 지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다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도 1의 장애물 구조와는 차이점을 갖는다.
즉,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무인 비행체 레이싱 게임장이 실내에 설치되어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위한 고정핀 등을 바닥(예컨대, 콘크리트 바닥, 대리석 바닥 등)에 꼽을 수 없는 경우일 때 적용하기 위한 모델로서, 장애물 몸체(602)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 주머니(610)가 장애물 구조를 목표 위치에 직각으로 세워주는 부동 지지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 주머니(610)는 입체적으로 장애물 몸체(602)맞게 제작된 주머니로 무게가 나가는 물체나 고정 주머니 모양의 튜브에 채워지는 물의 양이 장애물 구조를 흔들림 없이 지면에 직각으로 세워 유지(지면에서의 부동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4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602)의 내부에 에어 튜브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출입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에어 튜브를 장애물 몸체(602)의 내부, 즉 물 충전용의 고정 주머니(610)를 제외한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부재로서는, 예컨대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5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602)의 후면에서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한 효과(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3]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3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장애물 구조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 등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704)이 내측에 형성되는 장애물 몸체(702)가 원형 통공(704)의 형상(원형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되는 점과, 이를 위해 장애물 몸체(702)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706)가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부재들은 전술한 실시 예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7의 참조번호 704는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4, 참조번호 705는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5, 참조번호 708은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8과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들의 기능 및 구조 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채용되는 장애물 몸체(702)는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일정 길이의 평탄 접힘 부분(710)이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고정부재만을 연결시키는 전술한 실시 예1과는 달리,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 각각에 고정부재(2개의 고정부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물 구조의 자세를 보다 안정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장애물 몸체(702)의 하단부에 형성된 평탄 접힘 부분(710)의 일단과 타단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부재, 즉 장력에 의해 평탄 접힘 부분(710)의 일단과 타단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력 유지부재(7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력 유지부재(712)는, 예컨대 스트랩,투웨이 버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2a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702)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연결부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4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702)의 내부에 에어 튜브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출입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에어 튜브를 장애물 몸체(702)의 내부, 즉 평탄 접힘 부분(710)을 제외한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부재로서는, 예컨대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5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702)의 후면에서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한 효과(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장애물 구조의 고정 지지를 위해 4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애물 몸체의 앞뒤 양 측면과 지면 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하게, 필요 또는 용도 등에 따라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연결부재를 장애물 몸체의 앞뒤 양 측면에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구조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장애물 몸체에서의 연결부재의 연결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예4]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4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장애물 구조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 등의 구성은, 장애물 몸체(802)의 평탄 접힘 부분(810) 측의 내부 하단부를 물로 채울 수 있는 고정 주머니(812)로 형성하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부재들은 전술한 실시 예3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8의 참조번호 802는 도 7의 대응 참조번호 702, 참조번호 804는 도 7의 대응 참조번호 704, 참조번호 806은 도 7의 대응 참조번호 706, 참조번호 808은 도 7의 대응 참조번호 708과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7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들의 기능 및 구조 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전술한 도 1의 실시 예1에서와 같이 장애물 구조를 지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다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도 1의 장애물 구조와는 차이점을 갖는다.
즉,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무인 비행체 레이싱 게임장이 실내에 설치되어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위한 고정핀 등을 바닥(예컨대, 콘크리트 바닥, 대리석 바닥 등)에 꼽을 수 없는 경우일 때 적용하기 위한 모델로서, 장애물 몸체(802)의 평탄 접힘 부분(810) 측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 주머니(812)가 장애물 구조를 목표 위치에 직각으로 세워주는 부동 지지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 주머니(812)는 입체적으로 장애물 몸체(802)맞게 제작된 주머니로 무게가 나가는 물체나 고정 주머니 모양의 튜브에 채워지는 물의 양이 장애물 구조를 흔들림 없이 지면에 직각으로 세워 유지(지면에서의 부동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4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802)의 내부에 에어 튜브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출입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에어 튜브를 장애물 몸체(802)의 내부, 즉 물 충전용의 고정 주머니(812)를 제외한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부재로서는, 예컨대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5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802)의 후면에서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한 효과(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5]
도 9a는 본 고안의 실시 예5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장애물 구조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 등의 구성은, 도 1의 전술한 실시 예1과 비교해 볼 때, 장애물 몸체(902)의 내측에 형성된 원형 통공에 원형의 내측 구조체(910)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며, 내측 구조체(910)의 소정 위치(예컨대, 상하좌우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 또는 상하좌우의 각 중간 위치 중 어느 한 위치 또는 원형 통공의 중심 위치 등)에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908)을 형성하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부재들은 전술한 실시 예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참조번호 902는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2, 참조번호 904는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6, 참조번호 906은 도 1의 대응 참조번호 108과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들의 기능 및 구조 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장애물 몸체(902)의 내측에 형성된 원형 통공에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910)의 내측의 소정 위치, 즉 관통공(908)이 형성되지 않은 소정 위치에는 다수의 통기공(예컨대, 바람의 영향이 최소될 수 있도록 바람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구멍)(9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구조체(910)는 무인 비행체 레이싱 게임장에 설치되어 있을 때 바람의 영향이 덜 받을 수 있는 형상(구조), 예컨대 통기성의 메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 구조체(910)는 지퍼 또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장애물 몸체(902)의 내측에 형성된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라 장애물 몸체(902)의 내측의 원형 통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관통공(908)이 형성된 내측 구조체(910)를 부착하는 것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레이싱 게임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레이싱 게임의 참가자를 초급자, 중급자, 상급자로 분류한다고 가정할 때, 상급자에 속한 참가자를 위한 레이싱 게임을 진행할 때 본 실시 예에 따라 내측 구조체가 부착된 장애물 구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라 원형 통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관통공(908)이 형성된 내측 구조체(910)를 부착한 장애물 구조는 상대적으로 작은 무인 비행체들을 위한 레이싱 게임의 장애물 구조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일례로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참가자들에게 시각적 인식을 명확하게 줄 수 있도록 장애물 몸체(902)의 색상과 내측 구조체(910)의 색상을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2a와 동일하게 고정수단으로서 장애물의 몸체(902)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하나의 고정부재와 장애물 몸체(902)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거나 혹은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2b와 동일하게 고정수단으로서 장애물의 몸체(902)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하나의 고정부재와 장애물 몸체(902)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4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902)를 단면 또는 양면 단면 구조형 구조로 구성하고, 단면 구조 내부에 원형의 에어 튜브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출입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시 예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부재로서는, 예컨대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5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902)의 후면 측에 외측 폴대(904)와 내측 폴대(906) 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시 예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6]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6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장애물 구조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 등의 구성은, 도 6의 전술한 실시 예2와 비교해 볼 때, 장애물 몸체(1002)의 내측에 형성된 원형 통공에 원형의 내측 구조체(1010)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며, 내측 구조체(1010)의 소정 위치(예컨대, 상하좌우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 또는 상하좌우의 각 중간 위치 중 어느 한 위치 또는 원형 통공의 중심 위치 등)에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008)을 형성하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부재들은 전술한 실시 예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10의 참조번호 1002는 도 6의 대응 참조번호 602, 참조번호 1004는 도 6의 대응 참조번호 606, 참조번호 1006은 도 6의 대응 참조번호 608, 참조번호 1012는 도 6의 대응 참조번호 610과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6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들의 기능 및 구조 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의 참조번호 1008은 도 9의 908, 참조번호 1010은 도 9의 910, 참조번호 1012는 도 9의 912와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러한 동일 기능 및 구조를 통해 도 9의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전술한 도 9의 실시 예5에서와 같이 장애물 구조를 지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다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도 9의 장애물 구조와는 차이점을 갖는다.
즉,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무인 비행체 레이싱 게임장이 실내에 설치되어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위한 고정핀 등을 바닥(예컨대, 콘크리트 바닥, 대리석 바닥 등)에 꼽을 수 없는 경우일 때 적용하기 위한 모델로서, 장애물 몸체(1002)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 주머니(1012)가 장애물 구조를 목표 위치에 직각으로 세워주는 부동 지지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 주머니(1012)는 물팩에 채워지는 물의 양이 장애물 구조를 흔들림 없이 지면에 직각으로 세워 유지(지면에서의 부동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4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1102)의 내부에 에어 튜브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출입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에어 튜브를 장애물 몸체(1102)의 내부, 즉 고정 주머니(1112)를 제외한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부재로서는, 예컨대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5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1002)의 후면에서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한 효과(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7]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 예7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장애물 구조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 등의 구성은, 도 7의 전술한 실시 예3과 비교해 볼 때, 장애물 몸체(1102)의 내측에 형성된 원형 통공에 원형의 내측 구조체(1110)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며, 내측 구조체(1110)의 소정 위치(예컨대, 상하좌우의 위치 중 어느 한 위치 또는 상하좌우의 각 중간 위치 중 어느 한 위치 또는 원형 통공의 중심 위치 등)에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08)을 형성하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부재들은 전술한 실시 예3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11의 참조번호 1102는 도 7의 대응 참조번호 702, 참조번호 1104는 도 7의 대응 참조번호 706, 참조번호 1106은 도 7의 대응 참조번호 708, 참조번호 1114는 도 7의 대응 참조번호 710과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7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들의 기능 및 구조 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1의 참조번호 1108은 도 9의 908, 참조번호 1110은 도 9의 910, 참조번호 1112는 도 9의 912와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러한 동일 기능 및 구조를 통해 도 9의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장애물 몸체(1102)의 하단부에 형성된 평탄 접힘 부분(1114)의 일단과 타단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부재, 즉 장력에 의해 평탄 접힘 부분(1114)의 일단과 타단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력 유지부재(1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력 유지부재(1116)는, 예컨대 스트랩, 투웨이 버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평탄 접힘 부분(1114)의 일단과 타단 각각에 고정부재(2개의 고정부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2a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1102)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연결부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4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1102)의 내부에 에어 튜브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출입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에어 튜브를 장애물 몸체(1102)의 내부, 즉 평탄 접힘 부분(1114)을 제외한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부재로서는, 예컨대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5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1102)의 후면에서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한 효과(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장애물 구조의 고정 지지를 위해 4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애물 몸체의 앞뒤 양 측면과 지면 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하게, 필요 또는 용도 등에 따라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연결부재를 장애물 몸체의 앞뒤 양 측면에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구조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장애물 몸체에서의 연결부재의 연결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예8]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 예8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 예8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장애물 구조에 적용되는 장애물 몸체 등의 구성은, 장애물 몸체(1202)의 평탄 접힘 부분(1214)의 후면 측에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부동 지지하기 위한 물체가 착탈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부동 지지용 포켓(1216)을 장착하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부재들은 전술한 실시 예7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12의 참조번호 1202는 도 11의 대응 참조번호 1102, 참조번호 1204는 도 11의 대응 참조번호 1104, 참조번호 1206은 도 11의 대응 참조번호 1106, 참조번호 1208은 도 11의 대응 참조번호 1108, 참조번호 1210은 도 11의 대응 참조번호 1110과 그 기능 및 구조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1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재들의 기능 및 구조 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6과 동일하게, 무인 비행체 레이싱 게임장이 실내에 설치되어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위한 고정핀 등을 바닥(예컨대, 콘크리트 바닥, 대리석 바닥 등)에 꼽을 수 없는 경우일 때 적용하기 위한 모델로서, 장애물 몸체(1202)의 평탄 접힘 부분(1214)의 후면 측에 장착된 부동 지지용 포켓(1216)이 장애물 구조를 목표 위치에 직각으로 세워주는 부동 지지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부동 지지용 포켓(1216)에는 장애물 구조가 흔들림 없이 지면에 직각으로 세워져 유지(지면에서의 부동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무게를 갖는 물체(예컨대, 물, 돌, 무쇠 등)가 착탈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4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1202)의 내부에 에어 튜브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출입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에어 튜브를 장애물 몸체(1202)의 내부, 즉 평탄 접힘 부분(1214)을 제외한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입부재로서는, 예컨대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실시 예1의 도 5에서와 동일하게, 장애물 몸체(1202)의 후면에서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한 효과(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일례로서 도 9a 내지 도 13에 된 다양한 실시 예들, 즉 장애물 몸체의 내측의 원형 통공에 내측 구조체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실시 예들(실시 예5 내지 8)에서는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를 채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관련 실시 예들에 채용되는 내측 구조체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례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구조체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실시 예들(실시 예5 내지 8)에서는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미줄 형상의 내측 구조체(1410)를 장애물 몸체(1402)의 내측에 형성된 원형 통공에 부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예9]
도 15a는 본 고안의 실시 예9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물리적으로 착탈 자유롭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장애물 몸체(1510), 제 2 장애물 몸체(1520) 및 터널형 연결 부재(1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장애물 몸체(151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제 1 원형 통공(1512)이 형성되며, 제 1 장애물 몸체(1510)의 내측 면에는 그 둘레 전체에 걸쳐 제 1 원형 통공(1512)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예컨대, 바람 등에 의해 나풀거림이 가능한 형태로 신장)되는 추돌 방지용의 안전부재(15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장애물 몸체(1520)의 내측에는 제 1 원형 통공(1512)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측에 제 2 원형 통공(도시 생략)이 형성되며, 제 2 장애물 몸체(1520)의 내측 면에는 그 둘레 전체에 걸쳐 제 2 원형 통공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는 추돌 방지용의 안전부재(도시 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널형 연결 부재(1530)는, 예컨대 일자형 터널 구조로서, 제 1 장애물 몸체(1510)의 일측과 제 2 장애물 몸체(1520)의 일측 간을 물리적으로 연결(착탈 자유롭게 연결)함으로써, 제 1 원형 통공(1512)과 제 2 원형 통공 간을 관통하는 비행을 위한 터널식 비행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제 1 및 제 2 장애물 몸체(1510, 1520) 각각은,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와 동일하게, 각 하나의 외측 폴더와 내측 폴더, 두개의 외측 폴더와 하나의 내측 폴더, 하나의 외측 폴더와 두 개의 내측 폴더 등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에어튜브를 각각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와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한 방식으로 지면상의 목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에 채용되는 터널형 연결 부재(1530)는, 일례로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장애물 몸체(1510)를 기준으로 할 때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에 채용되는 터널형 연결 부재는 제 1 장애물 몸체(1510)를 기준으로 할 때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더욱이, 비록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에 채용되는 터널형 연결 부재는 제 1 장애물 몸체를 기준으로 할 때 상향 방향(즉, 지상에 대향하는 상측의 공중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몸체는,
    원형 단면 구조, 타원형 단면 구조, 역삼각 단면 구조 및 삼각 단면 구조 중 어느 하나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몸체가 상기 역삼각 단면 구조일 때,
    상기 외측 폴대는,
    역삼각 외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1 외측 폴대와,
    역삼각 외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2 외측 폴대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몸체가 상기 삼각 단면 구조일 때,
    상기 내측 폴대는,
    삼각 내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1 내측 폴대와,
    삼각 내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2 내측 폴대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몸체는,
    그 후면 측에 몸체 내부로의 자유로운 삽입을 위한 출입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에어 튜브가 착탈 자유롭게 삽입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재는,
    지퍼, 버클 및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면의 둘레 전체에 걸쳐 상기 원형 통공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는 추돌 방지용 안전부재
    를 더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애물의 몸체를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측면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측면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
    을 더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몸체는,
    지면에서의 부동 지지를 위해 하단부에 물 충전용의 고정 주머니가 형성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통공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을 상기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유지부재는,
    스트랩, 투웨이 버클을 이용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을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타단을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6.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통공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몸체는,
    지면에서의 부동 지지를 위해 평탄 접힘 부분 측의 하단부에 물 충전용의 고정 주머니가 형성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7.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구조체는,
    통기성의 메시 형상을 갖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구조체는,
    지퍼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몸체는,
    원형 단면 구조, 타원형 단면 구조, 역삼각 단면 구조 및 삼각 단면 구조 중 어느 하나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몸체가 상기 역삼각 단면 구조일 때,
    상기 외측 폴대는,
    역삼각 외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1 외측 폴대와,
    역삼각 외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2 외측 폴대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몸체가 상기 삼각 단면 구조일 때,
    상기 내측 폴대는,
    삼각 내측의 일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1 내측 폴대와,
    삼각 내측의 타측 모서리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 2 내측 폴대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몸체는,
    그 후면 측에 몸체 내부로의 자유로운 삽입을 위한 출입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에어 튜브가 착탈 자유롭게 삽입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재는,
    지퍼, 버클 및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애물의 몸체를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측면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상기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측면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폴대와 내측 폴대 간을 각각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 스트랩
    을 더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8.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
    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몸체는,
    지면에서의 부동 지지를 위해 하단부에 물 충전용의 고정 주머니가 형성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29.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통공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와,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을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과 타단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유지부재는,
    스트랩, 투웨이 버클을 이용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일단을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평탄 접힘 부분의 타단을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양 측면의 앞뒤와 지면 간을 각각 연결시키는 적어도 4개의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3.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통공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그 하단부가 평탄하게 접히는 구조로 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하단부의 평탄 접힘을 위한 절첩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내측 구조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평탄 접힘 부분의 후면 측에 장착되며,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부동 지지하기 위한 물체가 착탈 자유롭게 삽입되는 부동 지지용 포켓
    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4.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장애물 몸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외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외측 폴대와,
    상기 장애물 몸체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내측 폴대와,
    상기 원형 통공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며,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미줄 형상의 내측 구조체와,
    상기 장애물 몸체를 지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5.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임용 무인 비행체가 통과 가능한 일정 크기의 제 1 원형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 제 1 장애물 몸체와,
    상기 제 1 원형 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측에 제 2 원형 통공이 형성된 제 2 장애물 몸체와,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의 일측과 상기 제 2 장애물 몸체의 일측 간을 연결하며, 상기 제 1 원형 통공과 제 2 원형 통공 간을 관통하는 비행을 위한 터널식 비행 공간을 제공하는 터널형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형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의 일측과 상기 제 2 장애물 몸체의 일측 간에 착탈 자유롭게 연결되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형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를 기준으로 할 때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갖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형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를 기준으로 할 때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갖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형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장애물 몸체를 기준으로 할 때 상향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곡면지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갖는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KR2020150005844U 2015-09-01 2015-09-01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KR200485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44U KR200485029Y1 (ko) 2015-09-01 2015-09-01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44U KR200485029Y1 (ko) 2015-09-01 2015-09-01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08U true KR20170000908U (ko) 2017-03-09
KR200485029Y1 KR200485029Y1 (ko) 2017-11-20

Family

ID=5841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844U KR200485029Y1 (ko) 2015-09-01 2015-09-01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1365A (ja) * 2017-08-17 2020-11-05 コロンビアド ローンチ サービ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航空機システムに電力を分配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1241809A1 (ko) * 2020-05-26 2021-12-02 주식회사 매드벤처 드론 통과 다중 감지 센서 게이트
US11890552B2 (en) 2019-03-04 2024-02-06 Madventure Co., Ltd. Drone-passing multiple detection sensor gat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9016A1 (en) * 2008-01-25 2009-07-30 Insitu,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and controlling post-recovery motion of unmanned aircraft
KR20100000812U (ko) * 2008-07-16 2010-01-26 전승훈 놀이용 과녁
KR20120113502A (ko) * 2011-04-05 2012-10-15 서정수 접철식 놀이 기구
KR101527210B1 (ko) 2014-12-01 2015-06-09 이병철 드론 이착륙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9016A1 (en) * 2008-01-25 2009-07-30 Insitu,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and controlling post-recovery motion of unmanned aircraft
KR20100000812U (ko) * 2008-07-16 2010-01-26 전승훈 놀이용 과녁
KR20120113502A (ko) * 2011-04-05 2012-10-15 서정수 접철식 놀이 기구
KR101527210B1 (ko) 2014-12-01 2015-06-09 이병철 드론 이착륙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1365A (ja) * 2017-08-17 2020-11-05 コロンビアド ローンチ サービ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航空機システムに電力を分配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890552B2 (en) 2019-03-04 2024-02-06 Madventure Co., Ltd. Drone-passing multiple detection sensor gat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same
WO2021241809A1 (ko) * 2020-05-26 2021-12-02 주식회사 매드벤처 드론 통과 다중 감지 센서 게이트
KR20210145956A (ko)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매드벤처 드론 통과 다중 감지 센서 게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29Y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023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KR200485029Y1 (ko)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US8157094B2 (en) Container apparatus and container assembly
US7611427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ayer competitive recreation
US7448968B1 (en) Training device for soccer players
US20090312111A1 (en) Free-fall simulator capable of displaying a simulated visual environment
US20200378147A1 (en) Tent or Shade Providing Structure
US20120042578A1 (en) Inflatable Enclosure and Inflatable Enclosure System
US20190184253A1 (en) Floating Game Assembly and Float with Game Features
KR20180128816A (ko) 드론 비행 연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놀이기구
ES1137682U (es) Dispositivo de arquitectura efimera
US8727897B2 (en) Amusement apparatus
US10035061B1 (en) Magnetic receptive board and accessories for tabletop gaming system
US7931564B1 (en) Assembled rock climbing device
US20150321061A1 (en) Multi-sport inflatable cage/structure
KR101278084B1 (ko)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CN101411947A (zh) 室内漂流系统
KR20200031836A (ko)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WO2008152175A1 (es) Porterías deportivas antilesiones con rebote normalizado
CN209471595U (zh) 一种便携式快装航空飞行器训练安全网
US20120042919A1 (en) Multi-purpose structure for seated humans in transportation vehicles
KR20210084940A (ko) 튜브형 무인 항공기 경기장
JP6554749B2 (ja) 自動移動糸目を有する模型飛行機。
US20230166194A1 (en) Inflatable entertainment structures
CA2859520A1 (en) Large following/popular competitive activities/interests and sports hall of fame/enternatinment wor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