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890U - 약음용기 - Google Patents

약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890U
KR20170000890U KR2020160003084U KR20160003084U KR20170000890U KR 20170000890 U KR20170000890 U KR 20170000890U KR 2020160003084 U KR2020160003084 U KR 2020160003084U KR 20160003084 U KR20160003084 U KR 20160003084U KR 20170000890 U KR20170000890 U KR 201700008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andy
medicine
shap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선
Original Assignee
변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선 filed Critical 변재선
Priority to KR2020160003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890U/ko
Publication of KR201700008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는, 일 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실린더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피스톤부; 및 외형 형상이 사탕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사탕형상의 외부로 배출되는 사탕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약음용기의 투약 부분을 사탕형상으로 형성하고, 사탕형상에서 액상의 약이 나오도록 하여, 소아나 유아가 사탕형상을 핥으면서 약을 먹을 수 있어 약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음용기{MEDICINE DRINKING TOOL}
본 고안은 약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아이에게 약을 음용시킬 때 약을 음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약음용기에 관한 것이다.
소아나 유아에게 약을 먹이기 위해서는 스푼형 스틱이 투약기를 이용하여 투약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아나 유아는 약의 맛과 질감으로 인해 약을 먹이는 것이 쉽지 않다. 소아의 경우에는 약을 싫어함에 따라 설명하고 달래면서 약을 먹일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약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한사코 먹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소아나 유아의 경우, 약을 정량에 맞게 먹여야 하는데, 통상적인 투약기의 경우, 눈금이 표시되어 있지만 투명한 용기이더라도 소아나 유아가 정량을 먹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다. 투명한 용기에 눈금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소아나 유아가 약을 먹을 때는 눈금에 맞도록 정확히 음용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4896(2006.08.21)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유아나 소아에게 약을 먹일 때, 약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약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 중 하나는, 유아나 소아에게 정확한 양의 약을 먹일 수 있는 약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는, 일 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실린더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피스톤부; 및 외형 형상이 사탕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사탕형상의 외부로 배출되는 사탕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탕형상부는, 일 측에 상기 실린더부가 삽입되는 실린더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홈의 내측 끝단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상기 사탕형상 외부로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약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탕형상부는 상기 실린더홈의 내측 끝단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약이 상기 하나 이상의 약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부에 눈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부에 형성된 눈금은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있을 때의 수용공간의 부피에서 상기 수용부의 부피를 뺀 부피에 대한 눈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수용공간에 일정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의 배출구를 덮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약음용기의 투약 부분을 사탕형상으로 형성하고, 사탕형상에서 액상의 약이 나오도록 하여, 소아나 유아가 사탕형상을 핥으면서 약을 먹을 수 있어 약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아나 유아에게 정확한 양을 먹일 수 있도록 주사기의 실린더부에 조절부가 결합되어, 주사기의 피스톤부가 조절부에 의해 더 이상 밀리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양을 소아나 유아에게 먹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에 약을 주입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에 주입된 약이 정량 투입될 수 있도록 조절부를 조절한 것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의 실린더부에 직접 약을 수용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100)는 실린더부(110), 피스톤부(120), 사탕형상부(130) 및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실린더부(110)는 주사기에 약(D)이 채워지기 위한 것으로 일 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실린더부(110)의 일 측은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약(D)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6)이 실린더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실린더부(110)의 타 측은 수용공간(116)에 수용된 약(D)이 조금씩 배출될 수 있는 실린더 배출구(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부(110)의 외측면에는 제1 볼트부(112)와 제2 볼트부(114)가 각각 형성된다. 제1 볼트부(112)는 사탕형상부(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실린더부(110) 외측면 중간에 형성되며, 실린더부(110)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나사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볼트부(112)가 형성되는 위치는 실린더 배출구(118)가 가까운 쪽의 실린더부(110) 외측면에 형성된다.
제2 볼트부(114)는 실린더부(110) 외측면에 형성되되, 수용공간(116)의 개방된 일 측에 형성된다. 그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140)가 실린더부(110)의 끝단과 일치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볼트부(114)는 제1 볼트부(112)와 마찬가지로 실린더부(110) 외측면에서 돌출된 나사산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부(120)는 실린더부(110)의 수용공간(1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부(120)의 일 측은 손잡이(124)가 형성되고, 타 측은 개스킷(122)이 형성된다. 피스톤부(120)의 손잡이(124)는 피스톤부(120)가 실린더부(110)의 수용공간(116)에 완전히 삽입되면 실린더부(110)의 개방된 면의 끝단에 닿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손잡이(124)는 피스톤부(120)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피스톤부(120)의 몸체의 직경은 실린더부(110)의 수용공간(11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부(120)의 타 측 끝단에는 개스킷(122)이 형성되며, 개스킷(122)의 직경은 수용공간(116)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개스킷(122)은 실리콘이나 러버 등과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16)에 수용된 약(D)을 실린더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되도록 밀어 올릴 수 있다.
또한, 피스톤부(120)의 몸체에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눈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4) 측에서부터 개스킷(122)이 형성된 방향으로 눈금의 숫자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눈금은 수용공간(116)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눈금의 단위도 1㎖, 5㎖, 10㎖ 등 다양한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사탕형상부(130)는 외형형상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 실린더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실린더홈(134)이 형성된다. 사탕형상부(130)의 외측 형상은 둥근 사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탕과 같이, 다양한 색상과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사탕형상부(130)는 소아나 유아가 외면을 혀로 핥더라도 무해하도록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홈(134)은 실린더부(110)가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실린더 배출구(118)측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실린더부(110)가 사탕형상부(130)를 거의 관통하도록 일 측의 반대측인 타 측 끝단에 가까운 위치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실리더홈의 내측 끝단에는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배출구(118)에 대응되는 위치에 약수용부(136)가 형성되며, 약수용부(136)는 실린더홈(134)과 연동된다.
즉, 실린더부(110)가 사탕형상부(130)의 실린더홈(134)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피스톤부(120)의 동작에 의해 실린더부(110)의 수용공간(116)에 수용된 약(D)이 실린더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되면, 배출된 약(D)은 약수용부(136)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수용부(136)는 사탕형상부(130)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약수용부(136)는 사탕형상부(130)의 외형 형상을 따라 사탕형상부(130) 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약수용부(136)는 실린더홈(134)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실린더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된 약(D)이 약수용부(136)에서 넓은 면적으로 퍼지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약수용부(136)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사탕형상부(130)의 외측면에는 약수용부(136)와 관통할 수 있는 약 배출구(138)가 형성될 수 있다. 약 배출구(138)는 양수용부에 수용된 약(D)이 사탕형상부(13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약 배출구(138)의 크기는 약수용부(136)의 약(D)이 미량으로 배출될 수 있게 실린더 배출구(118)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탕형상부(130)의 실린더홈(134)의 내측면에는 제1 너트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너트부(132)는 실린더부(110)가 실린더홈(134)에 삽입되었을 때 실린더부(110)와 사탕형상부(130)를 고정되게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너트부(132)는 제1 볼트부(112)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린더홈(134)의 내측 끝단에 실린더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된 약(D)이 실린더홈(134)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오링(o-ring)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140)는 실린더부(110)에 체결되며, 실린더부(110)의 일 측 끝단 외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부(140)는 내부에 실린더부(110)가 삽입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내면에 제2 너트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너트부(144)는 제2 볼트부(114)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조절부(140)는 실린더부(110)의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되, 수용공간(116)의 개방된 면 측 끝단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조절부(140)는 실린더부(110) 수용공간(116)의 개방된 끝단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140)에는 사용자가 조절부(140)를 회전시켜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외측면에 조절 손잡이(142)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 손잡이(142)는 사용자가 조절부(14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실린더부(1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110)를 치약을 짜듯이 쥐어짜면 약 배출구(138)를 통해 약(D)이 배출된다.
또한, 사탕형상부(130)는 반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들을 나사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탕형상부(130)를 반으로 분리하면 세척이 용이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에 약(D)을 주입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에 주입된 약(D)이 정량 투입될 수 있도록 조절부(140)를 조절한 것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본 고안의 약음용기를 이용하여 소아나 유아에게 약을 먹이이기 위해 약의 정량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주사기를 이용하여 5㎖의 약(D)을 소아나 유아에게 먹이기 위해 실린더 배출구(118)를 통해 실린더부(110)에 약(D)을 수용시키면 통상적으로 5㎖보다 많은 약(D)이 실린더부(110)의 수용공간(116)이 수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실린더 배출구(118)가 외부 약통에 담긴 상태에서 피스톤부(120)를 당기면서 약(D)을 수용공간(116)에 수용시키는데, 정확히 5㎖의 약(D)이 수용되도록 피스톤부(120)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D)이 5㎖ 이상 수용공간(116)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실린더부(110)를 사탕형상부(130)에 체결시킨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조절부(140)를 조절하면 된다. 조절부(140)를 조절하여, 조절부(140)의 끝단이 피스톤부(120)에 형성된 5㎖의 눈금에 맞도록 조절부(140)를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피스톤을 일 측에서 타 측으로 누르면 수용공간(116)에 수용된 약(D)이 약수용부(136)를 채우고, 약 배출구(138)를 통해 사탕형상부(13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부(120)를 실린더부(110) 측으로 최대한 눌린 상태가 되면 수용공간(116)에 수용된 약(D)이 모두 약수용부(136)와 약 배출구(138)를 통해 사탕형상부(130) 외측으로 배출되는데, 조절부(140)에 의해 피스톤부(120)가 실린더부(110) 끝단까지 눌리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한 5㎖의 약(D)이 정확하게 사탕형상부(13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부(120)에 형성된 눈금인 5㎖는 실제 수용공간(116)에 수용된 약(D)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즉, 피스톤부(120)에 형성된 눈금은 실린더부(110)의 수용공간(116)에 피스톤부(120)가 위치했을 때의 부피에서 사탕형상부(130)의 약수용부(136)의 부피가 뺀 부피를 표시한 것이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피스톤부(120)에 형성된 눈금에 따라 조절부(140)를 조절하여 소아나 유아에게 정확한 양의 약(D)을 먹일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약(D)은 액상일 수 있으며, 점성이 있을 수 있다. 점성이 있는 약(D)인 경우, 사탕형상부(130) 외형으로 배출되더라도 사탕형상부(130)를 따라 천천히 흐르기 때문에 소아나 유아가 약(D)을 사탕과 같이 먹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음용기의 실린더부에 직접 약을 수용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약음용기(100)의 실린더부(110)에 약(D)을 직접 채울 수 있다. 실린더부(110)에서 피스톤부(120)와 사탕형상부(130)를 제거한 다음, 실린더 배출구(118)가 아래를 향하도록 실린더부(110)를 세운 상태에서 실린더부(110)의 수용공간(116)에 약(D)을 채울 수 있다. 이때, 실린더 배출구(118)를 통해 약(D)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마개(150)를 이용하여 실린더 배출구(118)를 덮어 막을 수 있다. 마개(150)는 실린더 배출구(118)에 끼워 실린더 배출구(118)를 막을 수 있도록 실린더 배출구(118)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형상은 어떤 형상으로든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실린더 배출구(118)를 마개(150)를 이용하여 덮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마개는 실린더 배출구(118)가 아닌 사탕형상부(130)의 약 배출구(138)를 덮어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마개는 약 배출구(138)를 덮을 수 있도록 사탕형상부(130)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약음용기
110: 실린더부 112: 제1 볼트부
114: 제2 볼트부 116: 수용공간
118: 실린더 배출구
120: 피스톤부 122: 개스킷
124: 손잡이
130: 사탕형상부 132: 제1 너트부
134: 실린더홈 136: 약수용부
138: 약 배출구
140: 조절부 142: 조절 손잡이
144: 제2 너트부
150: 마개
D: 약

Claims (10)

  1. 일 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실린더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피스톤부; 및
    외형 형상이 사탕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사탕형상의 외부로 배출되는 사탕형상부를 포함하는 약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탕형상부는, 일 측에 상기 실린더부가 삽입되는 실린더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홈의 내측 끝단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상기 사탕형상 외부로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약 배출구가 형성된 약음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탕형상부는 상기 실린더홈의 내측 끝단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약이 상기 하나 이상의 약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약음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에 눈금이 형성된 약음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에 형성된 눈금은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있을 때의 수용공간의 부피에서 상기 수용부의 부피를 뺀 부피에 대한 눈금인 약음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수용공간에 일정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약음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약음용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의 배출구 또는 사탕형상부의 약 배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약음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모양이 변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모양이 복원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약음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탕형상부는 세척이 용이하도록 반으로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약음용기.
KR2020160003084U 2016-06-07 2016-06-07 약음용기 KR201700008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84U KR20170000890U (ko) 2016-06-07 2016-06-07 약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84U KR20170000890U (ko) 2016-06-07 2016-06-07 약음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096 Division 2015-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90U true KR20170000890U (ko) 2017-03-08

Family

ID=5841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084U KR20170000890U (ko) 2016-06-07 2016-06-07 약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89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896A (ko) 2002-09-17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및 소거 특성이 개선된 sonos eeprom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896A (ko) 2002-09-17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및 소거 특성이 개선된 sonos eeprom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6370B (zh) 用于安装在液体容器上的封闭帽
US5137183A (en) Compressible feeding apparatus
JP5631734B2 (ja) 流体薬物を供給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5244122A (en) Medicine dispensing baby bottle
US5879699A (e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US20040006874A1 (en) Travel feeding utensil
CN101528185B (zh) 婴幼儿喂养容器
JPH08510153A (ja) 薬剤投与式哺乳びん
US8887904B2 (en) Feeding nipple container
CA3061917C (en) System for dosing and dispensing medication
US20190380910A1 (en) Device for packaging two products to be mixed and for dispensing the mixture of these products
US20110106156A1 (en) Pacifier and feeding device
US20150217913A1 (en) Cap with concentrate
US20070194060A1 (en) Dosing Dummy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WO2008094028A2 (es) Método y aparato para suministrar sustancias tipo pasta
KR20170000890U (ko) 약음용기
KR100421502B1 (ko) 액체 정량 투입용기
KR20050004799A (ko) 내복용 유체나 분말 물질의 투여 장치
KR200491744Y1 (ko)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
US20030146116A1 (en) Medicament applicator or dispenser
US1325660A (en) Medicine-dispensing device
KR200378019Y1 (ko) 투약용기
JP2020078395A (ja) 薬剤経口投与器具およびそれに適用される筒部材
KR100684881B1 (ko) 투약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