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868U - 봉투밀봉장치 - Google Patents

봉투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868U
KR20170000868U KR2020150005781U KR20150005781U KR20170000868U KR 20170000868 U KR20170000868 U KR 20170000868U KR 2020150005781 U KR2020150005781 U KR 2020150005781U KR 20150005781 U KR20150005781 U KR 20150005781U KR 20170000868 U KR20170000868 U KR 201700008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hole
protruding
stopper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현
박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웅피앤피
박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웅피앤피, 박병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웅피앤피
Priority to KR2020150005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868U/ko
Publication of KR20170000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투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봉투 내에 담긴 내용물을 변질없이 보관하도록 봉투 입구를 내부틀의 내측 하부로 삽입하여 외측 하부방향으로 뒤집어씌워 외부틀과 결합시키고 뚜껑을 덮어 외부 공기를 차단하며 뚜껑에 형성된 공기배출부를 분리형 펌프와 결합하여 봉투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보관하도록 하는 봉투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투밀봉장치{Plastic bag sealing equipment}
본 고안은 봉투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봉투 내에 담긴 내용물을 변질없이 보관하도록 봉투 입구를 내부틀의 내측 하부로 삽입하여 외측 하부방향으로 뒤집어씌워 외부틀과 결합시키고 뚜껑을 덮어 외부 공기를 차단하며 뚜껑에 형성된 공기배출부를 분리형 펌프와 결합하여 봉투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보관하도록 하는 봉투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가공식품의 제조가 크게 발달하여 수많은 종류의 가공식품을 다양한 크기로 포장하여 판매하곤 한다.
1인 식사대용으로 포장되어 판매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가공식품을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반대로 매우 큰 용기에 대용량으로 포장된 가공식품류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공식품은 조리가 간편하고 비교적 평균적인 맛을 낼 수 있게 때문에 생활이 매우 바쁜 현대인들은 종종 간편하게 취식하곤 한다.
또한 가공식품은 대체로 합성수지재질의 봉투에 음식물을 담고 봉투를 봉합하기 전에 질소를 충전하여 봉투 내부의 음식물이 변질되지 않도록 포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봉투 내부에 질소를 충전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음식물이 표면에 질소가 닿아도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미생물이 증식하거나 변질의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해 봉투를 개봉하고 나면 봉투 내에 있던 질소는 외부로 빠져나가 버리고 외부공기가 음식물의 표면에 닿게 된다.
보통은 외부공기가 닿더라도 음식물을 단시간 내에 취식하면 변질의 위험이 없지만 개봉 후 음식물을 모두 취식하는 것이 불가할 때도 있다.
이와 같이 개봉하였으나 모두 취식하지 못한 경우 일반적으로 봉투 내의 공기를 빼고 봉투 입구를 접철하여 테이프로 봉투입구를 고정하여 보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접철된 봉투 사이로 외부 공기가 스며들어 음식물이 점차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정을 위해 사용하는 테이프가 떨어질 경우 접착력이 떨어져 다시 붙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외에도 종래에 공지된 등록특허공보 10-1254594에서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어 서로 포개어지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내부에는 봉투를 지지하는 암지지구가 형성되어 봉투 입구를 밀봉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봉투밀폐용 클립을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봉투 내에 담기는 음식물의 냄새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장치가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되더라도 미세하게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봉투 내에 담긴 내용물을 변질없이 보관하도록 봉투 입구를 내부틀의 내측 하부로 삽입하여 외측 하부방향으로 뒤집어씌워 외부틀과 결합시키고 뚜껑을 덮어 외부 공기를 차단하며 뚜껑에 형성된 공기배출부를 분리형 펌프와 결합하여 봉투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보관하도록 하는 봉투밀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 하부로 삽입되어 내측 상부로 돌출된 봉투 입구가 외측 하부 방향으로 감싸지도록 결합하는 상하방향으로 개방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내부틀, 상기 내부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내부틀의 외부에 결합하여 상기 내부틀의 외측 하부 방향으로 감싸진 봉투 입구를 내부틀과의 사이에서 밀봉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외부틀 및 상기 외부틀의 상부에 결합하여 외부틀의 관통구를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투 밀봉장치는 봉투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배출부, 및 상기 공기배출부와 결합 내지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뚜껑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뚜껑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뚜껑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돌출통공을 포함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마개형상으로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지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마개통공을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통공과 마개통공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틀은 상기 내부틀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부걸림턱,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걸림턱 및 상기 상부걸림턱의 상부에 형성되어 뚜껑이 안착되는 기밀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형 펌프에는 마개부를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마개부는 상기 돌출통공과 결합하도록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돌출통공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통공마개는 봉투 내부의 공기압이 집중되도록 돌출통공의 깊이보다 얕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틀은 결합형태를 고정하도록 변형이 없는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틀은 상기 내부틀의 형태에 따라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틀 보다 연성인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봉투밀봉장치에 의하면,
첫째, 공기배출부 및 공기배출부와 결합하는 분리형 펌프를 사용하여 봉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봉투 내부의 공기를 없애므로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봉투 내부의 공기를 흡입배출한 후 분리형 펌프는 따로 분리시켜 보관하므로 재포장된 봉투를 찬장이나 냉장고 등등 선반 높이가 제한적인 공간에도 쉽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부틀의 내측에는 내부틀이 안착되는 하부걸림턱 및 상부걸림턱이 돌출형성되므로 봉투 입구가 내부틀과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마개통공과 돌출통공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조작없이 공기가 봉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분리형 펌프에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마개부를 가압하므로 마개통공과 돌출통공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쉽게 봉투 내부의 공기를 흡입배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봉투밀봉장치를 나타낸 사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봉투밀봉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봉투밀봉장치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봉투밀봉장치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공기배출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공기배출부와 분리형 펌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봉투밀봉장치의 밀폐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봉투밀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인 봉투밀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틀(100), 내부틀(100)의 외부와 결합하는 외부틀(200), 및 외부틀(200)의 상부에 결합하는 뚜껑(300)을 포함한다.
먼저 내부틀(100)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구(110)가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틀(100)의 개방구(110)는 내측 하부로 봉투(600) 입구가 투입되어 외측 하부방향으로 감싸진다.
내부틀(100)은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개방구(110)에 씌워지는 봉투(600) 입구의 모양이 내부틀(100)의 모양대로 고정되므로 찌그러지거나 구겨지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외부틀(200)은 내부틀(10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내부틀(100)의 형태에 대응 하는 관통구(21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틀(200)은 가압 시 변형과 인장이 가능한 부드러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틀(200)이 내부틀(100)과 결합될 때 내부틀(100)에는 봉투(600)가 뒤집어씌워져 있기 때문에 내부틀(100)의 크기가 원래보다 더 커진 상태이므로 이를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되려면 외부틀(200)은 약간의 인장성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구(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틀(100)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홈(220), 상기 결합홈(220)의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부걸림턱(230), 상기 결합홈(220)의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걸림턱(240), 및 상기 상부걸림턱(240)의 상부에 형성되어 뚜껑(300)이 안착되는 기밀홈(25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틀(100)이 안착되어 이동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내부틀(100)에는 봉투(600)가 뒤집어씌워져 있으므로 음식물의 기름기나 이물질이 봉투(600)에 묻어 미끄러울 수 있으므로 결합홈(220)의 상부와 하부에는 내부틀(100)을 받치는 역할을 할 것이 필요하다.
이때 결합홈(220)의 하부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하부걸림턱(230)이 돌출형성된다.
하부걸림턱(230)은 상기 내부틀(100)을 받치는 역할을 하며 봉투(600)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번 더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홈(220)의 상부에도 내측 둘레를 따라 상부걸림턱(240)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상부걸림턱(240)은 봉투(600)가 뒤집어씌워진 내부틀(100)의 상부를 누르기 때문에 봉투(600)가 벗겨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상부걸림턱(240)의 상부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기밀홈(250)이 위치한다.
상기 기밀홈(250)은 외부틀(200)과 뚜껑(30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틀(200)의 상부에 덮어지는 뚜껑(300)과 끼움결합된다.
다음으로 뚜껑(300)은 외부틀(2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외부틀(200)의 관통구(21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뚜껑(300)의 재질은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뚜껑(300)의 재질이 상기 외부틀(200)과 같이 부드럽게 형성된다면 외부 가압 또는 충격에 의해 뚜껑(300)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고 이로인해 발생하는 외부틀(200)과 뚜껑(300)간의 유격으로 인해 밀폐상태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뚜껑(300)의 재질이 단단하고 뚜껑(300)의 하부는 기밀홈(250)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되어 기밀홈(250)에 맞게 결합되어 외부 충격에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밀폐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봉투밀봉장치는 봉투(60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배출부(400), 및 상기 공기배출부(400)와 결합 내지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펌프(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400)는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부(400)와 분리형 펌프(500)는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여러가지 결합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부(400)에 분리형 펌프(500)를 안착시킨 후 회전하여 고정되는 키결합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400)는 뚜껑(300)의 상면에 부착되는 돌출부(420), 돌출부(420)를 감싸는 마개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420)는 상기 뚜껑(300)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돌출통공(410)을 포함한다.
또한 돌출부(420)의 외부에는 마개부(440)가 돌출부(4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개부(44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마개부(440)를 관통하는 마개통공(430)을 포함한다.
다만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통공(410)과 마개통공(430)은 일직선상에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개부(440)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통공(410)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통공마개(450)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돌출통공마개(450)는 돌출통공(410)을 단단히 밀폐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돌출통공마개(450)는 돌출통공(410)의 깊이 보다 약간 얕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점에 대해서는 하기의 사용예시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배출부(400)와 결합되는 분리형 펌프(500)는 상기 마개부(440)를 누르는 누름부(5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형 펌프(500)는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가 아니며 봉투(6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 펌프이다.
상기 분리형 펌프(500)는 상기 내부틀(100) 및 외부틀(200) 사이에 끼워져 밀폐된 봉투(6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므로 봉투(600) 내부에 음식물이 공기에 닿아 변질되는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440)의 상단 둘레를 억지 가압하도록 하부로 돌출되며 마개부(440) 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형 펌프(500)와 공기배출부(400)의 결합은 단지 기계적 결합이므로 밀폐효과를 가지지 않지만 상기 누름부(510)는 연성 재질인 마개부(440) 둘레를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가압하므로 분리형 펌프(500)를 사용하여 봉투(600) 내의 공기를 흡입 배출시킬 때 외부공기가 분리형 펌프(5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고안인 봉투밀봉장치의 사용예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내부틀(100)의 내측 하부로 봉투(600)입구를 삽입하고 내측 상부로 돌출된 봉투(600) 입구가 외측 하부 방향으로 감싸지도록 씌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600)가 뒤집어씌워진 내부틀(100)을 외부틀(200)의 결합홈(220)에 안착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홈(220)의 하부에는 하부걸림턱(230)이 형성되어 내부틀(100)과 하부걸림턱(230) 사이에 봉투(600)가 고정되어 봉투(60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결합홈(220)의 상부에 상부걸림턱(240)이 형성되어 내부틀(100)의 상부를 감싸는 봉투(600)를 눌러주므로 봉투(600)가 내부틀(100)과 외부틀(200) 사이에 이중으로 고정되어 여타 조작 없이는 빠지지 않는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봉투(600)와 내부틀(100) 및 외부틀(200)을 결합시키고 상기 외부틀(200)의 상부에 뚜껑(300)을 덮어 외부 공기를 차단한다.
다음으로 뚜껑(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부(400)와 분리형 펌프(500)를 결합시킨다.
결합된 분리형 펌프(500)를 작동시켜 봉투(6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분리형 펌프(500)의 하단에는 공기배출부(400)의 마개부(440)를 가압하는 누름부(5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510)가 마개부(440)의 상단 둘레를 가압하게 되고 연질 재질인 마개부(440)는 상기 누름부(510)가 테두리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돌출통공마개(450)가 형성된 중앙 부분이 위쪽 방향으로 솟아오르게 되며 이로써 봉투(600) 내부의 공기가 돌출통공(410)과 마개통공(4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분리형 펌프(500)가 봉투(60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해 연질 재질인 마개부(440)의 중간부분은 더욱 더 위로 솟아오르게 되므로 돌출통공마개(450)가 폐쇄하고 있던 돌출통공(410)이 개방되고 봉투(600)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봉투(600) 내부의 공기를 빼낸 후 분리형 펌프(500)를 공기배출부(400)에서 분리하면 누름부(510)가 더 이상 마개부(440)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440)가 돌출부(420)의 상면에 밀착되어 돌출통공마개(450)가 돌출통공(410)을 폐쇄시키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마개부(440)는 그 재질이 연성 재질이므로 누름부(510)에 의해 가압받을 때는 위로 솟도록 변형되더라도 그 압력이 없어지면 돌출통공(410)을 폐쇄하던 원래 형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통공마개(450)가 돌출통공(410)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되므로 공기가 빠진 봉투(600) 내부 공간 중 외부 통로와 가장 인접한 돌출통공마개(450)하부로 공기압이 걸리게되고 공기는 항상 공기가 부족한 공간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돌출통공마개(450)를 더욱 더 안쪽을 잡아당기게 되어 외부 공기가 봉투(6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단단히 밀폐된다.
이로써 봉투(600) 내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내부공기를 빼내므로 봉투(600) 내부의 음식물의 변질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봉투밀봉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내부틀 110 : 개방구
200 : 외부틀 210 : 관통구
220 : 결합홈 230 : 하부걸림턱
240 : 상부걸림턱 250 : 기밀홈
300 : 뚜껑
400 : 공기배출부 410 : 돌출통공
420 : 돌출부 430 : 마개통공
440 : 마개부
500 : 분리형 펌프 510 : 누름부

Claims (7)

  1. 내측 하부로 삽입되어 내측 상부로 돌출된 봉투 입구가 외측 하부 방향으로 감싸지도록 결합하는 상하방향으로 개방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내부틀;
    상기 내부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내부틀의 외부에 결합하여 상기 내부틀의 외측 하부 방향으로 감싸진 봉투 입구를 내부틀과의 사이에서 밀봉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외부틀; 및
    상기 외부틀의 상부에 결합하여 외부틀의 관통구를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밀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밀봉장치는 봉투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배출부, 및 상기 공기배출부와 결합 내지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밀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뚜껑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뚜껑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뚜껑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돌출통공을 포함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마개형상으로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지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마개통공을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통공과 마개통공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밀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틀은
    상기 내부틀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부걸림턱;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걸림턱; 및
    상기 상부걸림턱의 상부에 형성되어 뚜껑이 안착되는 기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밀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펌프에는 마개부를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밀봉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돌출통공과 결합하도록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돌출통공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통공마개는
    봉투 내부의 공기압이 집중되도록 돌출통공의 깊이보다 얕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밀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틀은
    결합형태를 고정하도록 변형이 없는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틀은
    상기 내부틀의 형태에 따라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틀 보다 연성인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밀봉장치.
KR2020150005781U 2015-08-28 2015-08-28 봉투밀봉장치 KR201700008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781U KR20170000868U (ko) 2015-08-28 2015-08-28 봉투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781U KR20170000868U (ko) 2015-08-28 2015-08-28 봉투밀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68U true KR20170000868U (ko) 2017-03-08

Family

ID=5841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781U KR20170000868U (ko) 2015-08-28 2015-08-28 봉투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86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334B2 (en) Vacuum storage container with flexible diaphragm
US6789690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20170247151A1 (en) Food Container Lid System
US8967413B2 (en) Vacuum lid for use with baby food jars
RU2007140883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ар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10562690B2 (en) Valve assembly for a food storage container
US11117791B2 (en) Jar sealing and unsealing device
US20110297013A1 (en) Portable vacuum juicer
JP2014231362A (ja) エアレス容器
JP6709287B2 (ja) 容器用閉鎖要素
KR20170000868U (ko) 봉투밀봉장치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CN107777062A (zh) 一种鸭蛋包装盒
KR101844352B1 (ko)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을 갖는 스텐뚜껑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US10005607B2 (en) Vacuum lid
RU23395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куумной укупорки тары типа стеклянных банок
US20170327293A1 (en) Flexible vacuum sealing adapter for use with food storage systems and methods of use
EP2196406A1 (en) Air vent seal for containers of cosmetic products
KR20060108386A (ko) 발효식품 용기
KR20110115403A (ko) 밀폐용기
KR101951657B1 (ko) 역류 방지 뚜껑
KR20180002107U (ko) 발효식품의 제조를 위하여 용기내부의 공기층의 제거를 위한 속뚜껑
KR200383997Y1 (ko) 용기의 진공압축 밀폐뚜껑
KR200486133Y1 (ko) 원터치식 캔 뚜껑을 가지는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