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465A - 과일 봉지 - Google Patents

과일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465A
KR20170000465A KR1020150089343A KR20150089343A KR20170000465A KR 20170000465 A KR20170000465 A KR 20170000465A KR 1020150089343 A KR1020150089343 A KR 1020150089343A KR 20150089343 A KR20150089343 A KR 20150089343A KR 20170000465 A KR20170000465 A KR 20170000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suture
hole
bag
seal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박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우 filed Critical 박철우
Priority to KR102015008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465A/ko
Publication of KR2017000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4Orienting or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g Fram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봉지의 앞면과 뒷면의 상단 일정 부분을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절개 또는 절취하여, 봉지의 상단 중앙에 과일 꼭지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로가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과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좌우단부 및 하단이 상호 접합된 봉지의 앞면과 뒷면 즉, 제1 및 제2포장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제1포장재의 상부 중앙에, 상기 과일의 꼭지가 관통되는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구로 상기 과일의 꼭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상단까지 연장된 제1진입로가 마련된 제1봉합부와, 상기 제2포장재의 상부 중앙에, 상기 과일의 꼭지가 관통되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구로 상기 과일의 꼭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상단까지 연장된 제2진입로가 마련된 제2봉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상기 제1봉합부와 제2봉합부가 좌우로 서로 엇갈려 있어 봉지의 입구를 양손으로 쉽게 벌릴 수 있고, 과일의 꼭지가 삽입되는 상기 관통구와, 관통구로의 꼭지의 삽입을 유도하는 상기 진입로가 마련되어 있어 여기에 꼭지를 통과시킨 다음, 봉합부를 앞뒤로 넘겨 접어 본체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작업을 간단히 마칠 수 있으므로 포장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 봉지는 과일의 꼭지가 봉지의 상단 중앙에 있는 관통구에 틈새 없이 여며지므로 과일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하지 않고 착오 없이 봉지의 가운데에 놓이게 싸질 수 있으며, 빗물의 유입도 대부분 차단하여 병충해의 발생빈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봉합부에 가로질러 각각 제1 및 제2결속용 철사를 부가하여, 이것을 과일 꼭지의 윗가지에 결속시킴으로써 꼭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봉지 작업시의 낙과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결속용 철사가 꼭지를 양쪽에서 지지해주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심한 비바람에도 과일이 떨어지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과일 봉지는 제1 및 제2봉합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봉지를 스티커처럼 적층해서 흐트러지지 않게 다발로 묶을 수 있고, 이 봉지 다발을 상기의 관통구에 끈이나 철사를 꿰어 허리에 차고 다니면서 봉지를 하나씩 떼어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과일 봉지{Fruit bag}
본 발명은 과일 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에 열린 과일의 생육을 도와주거나 약물오염 또는 병충해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과일을 감싸는 과일 재배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과일 재배용 봉지들은 일반적으로 사각으로 되어 있고, 이것을 과일에 씌울 때 주둥이를 오므려 철사로 감아주는 것이 보통이다. 겹쳐있는 봉지의 주둥이를 비집어 벌리기가 쉽지 않고, 과일을 담은 다음 꼭지에 대고 주둥이를 오므려 일일이 철사로 감아 매는 과정이 여간 번거롭지 않다. 그만큼 작업하는 데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주둥이를 오므릴 때 주름을 잘 못 잡아 느슨하게 매지거나 꼭지가 한쪽에 치우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빈번히 일어난다. 이 경우 과다한 빗물의 유입으로 병충해가 발생하기도 하고, 과육의 고른 생육에 지장을 주거나, 아니면 봉지가 터지기도 하여 그 동안 들인 노력이 헛수고가 되고 만다. 그렇다고 여린 꼭지에 무리한 힘을 가해 철사를 동여매기라도 하면 낙과되는 손실이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정도다. 태풍과 같은 심한 비바람에 의한 낙과의 피해에 대해서도 기존의 봉지만으로는 대비책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봉지를 바구니에 담아 이리 저리 옮겨 다니고, 가방에 넣어 어깨에 메거나, 아니면 앞치마를 입고 그 앞에 달린 포대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것도 거추장스럽고 불편한 일이 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793호: 기능성 포장봉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겹쳐있는 봉지의 주둥이를 손쉽게 열 수 있게 하고, 과일을 담은 다음 봉지를 여미는 일련의 과정이 단순하여 작업을 신속히 끝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일의 꼭지가 늘 봉지의 중앙에서 틈새 없이 여며지도록 하며, 포장 작업시 여린 과일의 꼭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꼭지를 지탱할 수 있게 도와주는 별도의 지지수단을 마련하도록 하고, 작업 중에 봉지를 간단하게 운반할 수 있는 방법도 모색하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과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좌우단부 및 하단이 상호 접합된 제1 및 제2포장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제1포장재의 상부 중앙에, 상기 과일의 꼭지가 관통되는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구로 상기 과일의 꼭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상단까지 연장된 제1진입로가 마련된 제1봉합부와, 상기 제2포장재의 상부 중앙에, 상기 과일의 꼭지가 관통되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구로 상기 과일의 꼭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상단까지 연장된 제2진입로가 마련된 제2봉합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작업자에 의해 접히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및 제2고정 쇠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 쇠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 하측을 지나 각각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진입로는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상기 제1봉합부의 상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진입로는 상기 제2관통구로부터 상기 제2봉합부의 상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진입로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V'자 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자형의 정점에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가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의 제1 및 제2진입로가 좌우로 서로 엇갈려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비집어 맞물려 겹쳐 있는 봉지의 주둥이를 쉽게 열 수 있다.
한편,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과일 봉지는 사각 봉지의 앞면과 뒷면의 상단 일정 부분을 각각 좌우가 서로 엇갈리게 대각선 방향으로 절취하여, 봉지의 상단 중앙에 과일 꼭지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로가 'V'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V'자형 진입로의 하단 정점에 상기 과일의 꼭지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마련된다. 남아있는 앞면 우측 상단과 뒷면 좌측 상단의 안쪽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것을 각각 앞뒤로 넘겨 접어 대응하는 앞면과 뒷면의 봉지 몸체에 접합하여 봉지를 여밀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봉지를 스티커 묶음처럼 적층해서 다발로 만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봉합부는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진입로까지 소정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봉합부는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진입로까지 소정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상기 제1봉합부가 상기 본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봉합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1봉합부의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1접착층과, 상기 제2봉합부가 상기 본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봉합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2봉합부의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2접착층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상기 과일의 꼭지가 달려있는 윗가지 좌우에 감아 봉지를 매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윗가지에 감겨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봉합부 즉, 봉지의 앞면 우측 상단과 뒷면 좌측 상단의 바깥쪽 면에 가로질러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결속용 철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상기 제1봉합부 및 제2봉합부는 상단부가 상호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포장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앞면과 뒷면 상단이 맞물려 겹쳐있지 않고, 좌우에 대각으로 서로 엇갈려 있기 때문에 봉지의 주둥이를 쉽게 벌릴 수 있다. 봉지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V'자형 진입로 또한, 서로 엇갈려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비집으면 주둥이가 쉽게 벌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의 'V'자형 진입로가 과일의 꼭지를 유도하여 그 정점에 있는 관통구에 끼울 수 있게 해주므로 과일이 착오 없이 봉지 가운데에 씌워지게 된다. 과일의 꼭지가 관통구에 끼어 틈새 없이 여며지면서 무리한 힘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앞면과 뒷면의 상단에 좌우로 어긋나 있는 주둥이를 두 손에 나누어 잡고, 벌어진 봉지에 과일을 담은 다음 꼭지에 관통구를 대고 주둥이를 앞뒤로 넘겨 여며주는 것만으로 봉지 씌우기가 끝난다. 이렇게 일관된 한 동작으로 작업을 신속히 마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어떤 경우에도 과일이 봉지의 한 가운데에 담기기 때문에 봉지가 터지거나 할 염려가 없고 과육이 고르게 자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과일의 꼭지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틈새 없이 여며지기 때문에 작업 시에 여린 꼭지가 떨어지는 낙과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빗물의 과다 유입으로 인한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농약 살포 시의 오염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앞면과 뒷면 상단에 가로질러 결속용 철사를 부가하여 이것을 각각 꼭지의 윗가지에 맬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철사가 꼭지를 좌우 양쪽에서 지지해주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심한 비바람에 의한 낙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앞면과 뒷면의 상단 안쪽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스티커 묶음처럼 다수의 봉지를 흐트러지지 않게 적층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봉지 다발의 관통구에 철사나 노끈을 꿰어 허리에 찰 수 있다. 봉지 운반용 바구니나 가방 등을 달고 다니거나 앞치마 따위를 입고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간편하게 과수 사이를 오가면서 봉지를 하나씩 떼어내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과일재배용 봉지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에는 도 3의 과일 봉지를 이용한 과일 포장 작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들을 스티커 묶음처럼 적층해서 다발로 만든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과일 봉지를 이용한 과일 포장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과일 봉지의 제1 및 제2봉합부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의 제1 및 제2봉합부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과일 봉지(100)는 과일(11)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좌우단부 및 하단이 상호 접합된 제1 및 제2포장재(111, 미도시)가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제1 및 제2포장재(1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과일(11)의 꼭지(12)를 감싸면서 봉지(100)의 주둥이가 여며지도록 하는 제1 및 제2봉합부(120,13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포장재(111)는 사각형상의 종이나 합성수지 또는 그 혼성의 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가 상호 접합된다. 한편, 제1 및 제2포장재(11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과와 같은 과일(11)의 착색을 위해 투명한 비닐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봉합부(120)는 제1포장재(111)의 상부에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제1봉합부(120)는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중앙에 과일(11)의 꼭지(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봉합부(120)는 제1관통구(121)로 과일(11)의 꼭지(12)가 진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121)로부터 상단까지 연장된 제1진입로(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진입로(122)는 제1관통구(121)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봉합부(120)의 상단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진입로(122)는 제1관통구(121)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일단부보다 제1봉합부(120)의 상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타단부가 좌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봉합부(120)는 작업자에 의해 접힐 경우, 제1봉합부(12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1고정 쇠(123)가 부착되어 있다.
제1고정 쇠(123)는 제1봉합부(120) 우측 상단 모서리로부터 좌측 하단 가장자리까지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고정 쇠(123)는 제1관통구(121)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를 지나도록 연장되며, 우측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1봉합부(120)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1고정 쇠(123)는 작업자가 구부릴 경우 소성변형 되어 제1봉합부(12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철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고정 쇠(12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봉합부(120) 좌측 상단 모서리로부터 우측 하단 가장자리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며, 좌측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될 수도 있다.
제2봉합부(130)는 제2포장재(112)의 상부에 소정길이로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제2봉합부(130)는 제1관통구(121)에 대향되는 중앙부에 과일(11)의 꼭지(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봉합부(130)는 제2관통구(131)로 과일(11)의 꼭지(12)가 진입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131)로부터 상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진입로(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진입로(132)는 제2관통구(131)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제2봉합부(130)의 상단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진입로(132)는 제1진입로(122)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2관통구(131)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일단부보다 제2봉합부(130)의 상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타단부가 우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및 제2진입로(122,132)는 'V'자형을 이루도록 서로 엇갈리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봉합부(130)는 작업자에 의해 접힐 경우, 제2봉합부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2고정 쇠(134)가 부착되어 있다.
제2고정 쇠(134)는 상기 제1고정 쇠(123)와 교차하도록 제2봉합부(130) 좌측 상단 모서리로부터 우측 하단 가장자리까지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고정 쇠(134)는 제2관통구(131)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를 지나도록 연장되며, 좌측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된다. 제2고정 쇠(134)는 작업자가 구부릴 경우, 소성변형 되어 제2봉합부(13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철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고정 쇠(134)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봉합부(130) 우측 상단 모서리로부터 좌측 하단 가장자리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며, 우측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100)를 이용하여 과일(11)을 포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V'자형으로 갈라진 제1 및 제2진입로(122,123)를 비집어 봉지의 주둥이(제1 및 제2포장재(111,112) 사이)를 벌려 과일을 담고, 제1 및 제2진입로(122,132)를 통해 제1 및 제2관통구(131)에 과일의 꼭지를 대고 통과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봉합부(120)의 우측부분과 제2봉합부(130)의 좌측부분을 각각 앞뒤로 넘겨 접는다. 이때, 제1 및 제2고정 쇠(123,134)가 구부러져 소성변형에 의해 제1 및 제2봉합부(120,130)의 접힌 상태를 유지해주므로, 이로써 포장작업이 마무리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1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봉합부(210)는 제2봉합부(220)에 대향되는 내측면 상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1접착층(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은 제1봉합부(2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접착층에 의해 제1봉합부(210)는 상단부가 제2포장재(112)의 외측면 몸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1봉합부(210)는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진입로(211)까지 소정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접착층은 제2봉합부(220)의 내측면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1접착층과 제2접착층이 서로 겹치지 않게 제2봉합부(220)에 대향되는 부분을 제외한 제1봉합부(210)에 형성되어 있다.
제2봉합부(220)는 제1봉합부(210)에 대향되는 내측면 상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2접착층(2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접착층(133)은 제2봉합부(22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접착층(133)에 의해 제2봉합부(220)는 상단부가 제1포장재(111)의 외측면 몸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2봉합부(220)는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진입로(132)까지 소정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된다. 즉, 사각 봉지의 앞면과 뒷면(제1봉합부 및 제2봉합부)의 상단 일정부분을 각각 좌우가 서로 엇갈리게 대각선 방향으로 절취하여 봉지의 상단 중앙에 과일 꼭지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로가 'V'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V'자 형 진입로의 하단 정점에 과일의 꼭지가 통과하는 제1 및 제2관통구(121,131)가 모여 있게 된다.
또한, 제2접착층(133)은 제1봉합부(210)의 내측면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1접착층과 제2접착층이 서로 겹치지 않게 제1봉합부(210)에 대향되는 부분을 제외한 제2봉합부(2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100)를 이용하여 과일(11)을 포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의 주둥이(제1 및 제2포장재(111,112) 사이)를 벌려 과일(11)을 담고, 제1 및 제2관통구(131)에 과일(11)의 꼭지(12)를 대고 통과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봉합부(120)의 우측부분과 제2봉합부(130)의 좌측부분을 각각 앞뒤로 넘겨 접어서, 제1 및 제2접착층을 각각 제1 및 제2포장재에 부착함으로써 포장작업이 마무리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착층(미도시)과 제2접착층(133)을 이용하여 봉지를 스티커 묶음처럼 적층해서 다발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봉지 다발에 형성된 관통구(121,131)에 노끈이나 철사를 꿰어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봉합부(310,3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봉합부(310)는 제1진입로(311)의 상단부가 제1관통구(121)를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1진입로(311)가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2봉합부(320)는 제2진입로(321)의 상단부가 제2관통구(122)를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2진입로(321)가 경사지게 연장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과일 봉지(230)는 상기 본체(1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과일(11)의 꼭지(12)가 달린 윗가지(13)에 감기도록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120,130)에 각각 고정된 제1 및 제2결속용 철사(231,232)를 더 구비한다.
제1결속용 철사(231)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철사소재로 형성된다. 제1결속용 철사(231)는 일단부가 제1봉합부(120)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과일나무의 가지(13)에 감길 수 있도록 제1봉합부(12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속용 철사(232)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철사 소재로 형성된다. 제2결속용 철사(232)는 일단부가 제2봉합부(130)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과일나무의 윗가지(13)에 감길 수 있도록 제2봉합부(13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과일 봉지들의 경우, 봉지 주둥이를 과일 꼭지에 대고 오므려 철사로 감아 매주는 작업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꼭지(12)를 다쳐서 과일이 떨어지는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230)는 제1 및 제2결속용 철사(231,232)를 과일 꼭지(12)의 윗가지(13)에 감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과일(11)의 꼭지(12)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시의 낙과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결속용 철사(231,232)가 과일의 꼭지를 좌우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므로 태풍과 같은 심한 비바람에 의한 낙과의 피해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수확한 과일을 낱개로 포장해서 매장에 전시할 경우, 과일을 투명한 봉지에 담아 벽에 돌출된 못이나 가로로 연장된 철봉 등에 걸어둘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과일을 매대 바닥에 그저 쌓아두는 것과 달리 멀리서도 눈에 잘 띄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일 봉지의 제1봉합부(261) 및 제2봉합부(262)는 상단부가 상호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봉합부(261) 및 제2봉합부(262)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가 상호 분리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관통구(241)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관통구(251)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봉합부(261) 및 제2봉합부(262)에는 상기 제1봉합부(261) 및 제2봉합부(262)를 각각 제1 및 제2포장재(111,112)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는 제1봉합부(261) 및 제2봉합부(262)의 상호 대향되는 하측 내면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포장재에 접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접착층(263)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스테이플러에 의해 제1봉합부(261), 제2봉합부(262), 제1 및 제2포장재(111,112)를 관통하는 연결핀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봉합부(261) 및 제2봉합부(262)를 제1 및 제2포장재(111,112)에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제1봉합부(261) 및 제2봉합부(26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및 제2포장재(111,112)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제1관통구(241) 및 제2관통구(242)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제1진입로(122) 및 제2진입로(132)의 상단 가장자리는 만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제1 및 제2포장재(111,112) 사이 본체에 과일을 담은 다음, 상단이 일체로 이어진 제1봉합부(261)와 제2봉합부(262)의 하부를 각각 제1 및 제2포장재(111,112)의 상부에 연결하여 포장작업을 마무리한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봉합부(271) 및 제2봉합부(272)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봉합부(271) 및 제2봉합부(272)는 제1봉합부(271) 및 제2봉합부(272)는 제1 및 제2접착층 대신에 제1 및 제2포장재(111,112)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좌우단부는 상호 접합되어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진입로(281,282)는 과일의 꼭지가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상단 일측 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 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봉지(29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과일 봉지(290)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291,292)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291,292)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293)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293)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291,29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호 대향되는 제1 및 제2봉합부(291,292)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수프로파일 트랙(미도시)과 암프로파일 트랙(294)을 구비한다.
수프로파일 트랙은 제1봉합부(291)에 대향되는 제2봉합부(292)의 내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훅은 제2관통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제2봉합부(292)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프로파일 트랙은 제1봉합부(291)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프로파일 트랙은 작업자가 작업시 제2봉합부(292)와 함께 용이하게 구부러지거나 암프로파일 트랙(294)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연성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프로파일 트랙(294)은 수프로파일 트랙에 대향되는 위치의 제1봉합부(291) 내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암프로파일 트랙(294)은 제1관통구(131)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제1봉합부(291)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암프로파일 트랙(294)은 상기 수프로파일 트랙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암프로파일 트랙(294)은 상기 훅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29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암프로파일 트랙(294) 및 수프로파일 트랙 대신에 해당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접착층을 이용하여 봉지를 봉합할 수도 있다.
이때, 본체는 햇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비닐소재로 형성하여 사과와 같은 과일이 색도를 내는데 충분한 빛이 봉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결합부(293)에 의해 작업자는 과일의 포장 작업시 진입로를 비집어 봉지의 주둥이를 쉽게 열고, 과일을 본체 내부에 담은 다음 과일의 꼭지를 제1 및 제2관통구에 대고 통과시켜 결합부(293)를 여며 포장작업을 끝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과일 봉지(290)는 농약 살포시에 과일의 오염을 방지하고, 빗물이나 나방으로 인한 병충해로부터 과일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산업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봉지는 과일나무에 열린 과일을 감싸는 봉지뿐만 아니라, 상품 진열용 포장이나 쇼핑백 또는 일반 물품의 보관용 봉지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품의 진열용 포장에 이 봉지를 이용할 경우, 벽에서 길게 돌출된 못이나 가로로 연장된 철봉 등 어디에나 자유자재로 걸고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상품을 편리하게 전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통구와 진입로를 응용한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서 각종 도구를 못이나 봉 등의 걸개에 걸도록 할 수 있다. 이 장치를 국자나 망치 등과 같이 자루로 된 손잡이의 끝에 부착해서 가로로 길게 연장된 철봉 걸개에 여러 개를 일렬로 걸어 둘 경우, 중간에 있는 것도 손쉽게 빼내 쓸 수 있고 다시 제자리에 걸 수도 있다. 앞에 있는 것부터 줄줄이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것이다.
100: 과일 봉지
110: 본체
111: 제1포장재
112: 제2포장재
120: 제1봉합부
121: 제1관통구
122: 제1진입로
130: 제2봉합부
131: 제2관통구
132: 제2진입로
133: 제2접착층

Claims (8)

  1. 과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좌우단부가 상호 접합된 제1 및 제2포장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제1포장재의 상부에 마련되며, 중앙부에 상기 과일의 꼭지가 관통되는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구로 상기 과일의 꼭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상단까지 연장된 제1진입로가 마련된 제1봉합부와;
    상기 제2포장재의 상부에 마련되며, 중앙부에 상기 과일의 꼭지가 관통되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구로 상기 과일의 꼭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상단까지 연장된 제2진입로가 마련된 제2봉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작업자에 의해 접히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의 접힌 상태를 유지해주는 제1 및 제2고정 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쇠는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교차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 하측을 지나 각각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입로는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상기 제1봉합부의 상단까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진입로는 상기 제2관통구로부터 상기 제2봉합부의 상단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진입로는 'V'자형을 이루도록 서로 엇갈리게 연장되어, 그 정점에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가 모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합부는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진입로까지 소정 부분이 절취되고, 상기 제2봉합부는 우측 또는 좌측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진입로까지 소정부분이 절취되어,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가 각각 좌우로 엇갈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봉합부가 상기 본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봉합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1봉합부의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1접착층과;
    상기 제2봉합부가 상기 본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봉합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2봉합부의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2접착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의 꼭지가 달려있는 가지에 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가지에 감겨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에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결속용 철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합부 및 제2봉합부는 상단부가 상호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포장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봉합부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지.
KR1020150089343A 2015-06-23 2015-06-23 과일 봉지 KR20170000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43A KR20170000465A (ko) 2015-06-23 2015-06-23 과일 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43A KR20170000465A (ko) 2015-06-23 2015-06-23 과일 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65A true KR20170000465A (ko) 2017-01-03

Family

ID=5779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343A KR20170000465A (ko) 2015-06-23 2015-06-23 과일 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4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793Y1 (ko) 2005-11-10 2006-03-31 박지언 기능성 포장봉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793Y1 (ko) 2005-11-10 2006-03-31 박지언 기능성 포장봉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07B2 (en) Compressed packaged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ransporting, shipping and using same
US7775360B2 (en) Tree cover system
KR101834381B1 (ko) 묶음 및 풀림이 용이한 과실봉지 묶음밴드 및 그 과실봉지묶음장치
KR101225095B1 (ko) 텐션 클립을 가진 과일 봉지
KR200406244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20170000465A (ko) 과일 봉지
JP4980498B1 (ja) 果菜類保護カバー
KR101368207B1 (ko) 주름부를 갖는 원터치형 과일봉지
CN104303929A (zh) 一种使用双层纸套袋的水果栽培方法
JP3200959U (ja) 農業用保護袋
FI120440B (fi) Pakkaus
US7111429B1 (en) Combination sleeve and protector for cut flower bouquets
KR200489252Y1 (ko) 열매 재배 및 포장용 봉투
KR200199901Y1 (ko) 과일재배용 봉투
US2028714A (en) Fastener
KR101963586B1 (ko) 끈-일체형 과일재배봉지,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과일의 농약오염 방지방법
KR200266319Y1 (ko) 과일재배용봉지
JP2007202574A (ja) 果実袋
CN209788031U (zh) 一种新型果蔬生长保护袋
CN219269694U (zh) 一种改善杏李果实品质的套袋
KR20180003449U (ko) 과채류 생육 포장봉지
CN210124156U (zh) 一种新型果蔬生长保护袋封口钳
KR200402902Y1 (ko) 과일 생육용 보호봉지
KR200397049Y1 (ko) 화스너를 구비하는 봉지 및 화스너
KR20090005963U (ko) 끈 일체형 식용과일 보호용 봉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