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62U - 옹벽용 블록 구조체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362U
KR20170000362U KR2020150004823U KR20150004823U KR20170000362U KR 20170000362 U KR20170000362 U KR 20170000362U KR 2020150004823 U KR2020150004823 U KR 2020150004823U KR 20150004823 U KR20150004823 U KR 20150004823U KR 20170000362 U KR20170000362 U KR 201700003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retaining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624Y1 (ko
Inventor
성기호
Original Assignee
성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호 filed Critical 성기호
Priority to KR2020150004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2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과 상기 옹벽용 블록을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여 고정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옹벽용 블록에는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봉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형태를 단순화함으로써 대량 생산시에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으며, 그 생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옹벽 구조체의 형성시 결합의 견고함을 유지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고, 옹벽 구축시 상하 적층 시공되는 옹벽 블록 간 위치를 정밀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련 없이 정확한 위치에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종래 옹벽 구조물 구축시 상하 블록간 채움 토양 또는 그리드 등이 블록 고정물이 유실되는 경우에도 옹벽 구조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할 옹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록 구조체{BLOCK STRUCTURE FOR REVETMENT}
본 고안은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땅을 깎아 내거나 흙을 쌓아 놓은 비탈이 흙의 압력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을 깎아 내거나 흙을 쌓아 놓은 비탈(예컨대, 도로, 하천 등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유출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이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옹벽의 시공에는 옹벽용 블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옹벽 구조물을 구축할 때에는 옹벽용 블록을 횡열로 적층시키되, 위로 겹치게 다수 개를 적층시킨다. 특히, 성토체와 벽 블록이 보강재를 통해 벽 뒤에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적층된 옹벽용 블록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옹벽용 블록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옹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 또는 그러한 구조를 갖는 옹벽용 블록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공개 특허(10-2005-0080861호)는 다양한 보강재와 블록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블록은 그 블록 자체에 굴곡이 많고, 그 외부에 고정핀과 결합을 위한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대량 생산시 상기 굴곡과 홈을 정밀하게 형성하는 작업으로 인해 생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옹벽 구축시 상하 적층 시공되는 옹벽 블록 간 위치를 정밀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어려운 반면 옹벽용 블록에는 이를 위한 구조를 갖지 않아 정밀한 시공은 오롯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시공시 정밀한 시공이 어렵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 옹벽 구조물 구축시 상하 블록간 채움 토양 또는 그리드 등이 고정물이 유실되는 경우 옹벽 구조체 자체의 안정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어 이를 새로운 구조의 보강할 옹벽 구조체 요청되고 있다.
한편, 그리드 설치 작업시 특히 강성 그리드의 작업시 강성 그리드를 고정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시공되는 고정핀의 시공이 필요하여, 고정핀의 시공에 많은 작업시간이 투여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 특허 10-2005-0080861 옹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형태를 단순화함으로써 대량 생산시에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으며, 그 생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옹벽 구조체의 형성시 결합의 견고함을 유지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옹벽 구축시 상하 적층 시공되는 옹벽 블록 간 위치를 정밀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련 없이 정확한 위치에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종래 옹벽 구조물 구축시 상하 블록간 채움 토양 또는 그리드 등이 블록 고정물이 유실되는 경우에도 옹벽 구조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할 옹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연성 그리드 및 경성 그리드를 모두에 대하여 동일한 시공방법으로 고정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키고, 그리드 설치 작업시 특히 강성 그리드의 작업시 강성 그리드를 고정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시공되는 고정핀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거나 그 시공 소요 수를 줄 임으로서 시공자제 및 고정핀을 시공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절약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과 상기 옹벽용 블록을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여 고정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옹벽용 블록에는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봉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옹벽용 블록과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은 옹벽용 블록의 높이의 3 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은 삼각형 형태의 본체의 후방의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은 옹벽용 블록 고정봉의 삽입 시공시 유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길쭉한 양측변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 형상 (
Figure utm00001
)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120)의 폭(w)은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지름(d)의 3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옹벽용 블록에는 상기 옹벽용 블록 본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전방부분의 사다리꼴 모양의 제1 관통공과 후방부분의 사다리꼴 모양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삼각형 형태의 본체의 후방의 꼭지점 부분 상부면에 수평유지돌기가 성형되어,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은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수평유지돌기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양측 상부면에 복수의 결합돌기들(110a, 110b)이 성형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들(110a, 110b)은 상부면에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들(110a, 110b)을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측면에 접한 제1 부분(112)과 상기 옹벽용 벽돌의 측면에 접한 제2 부분(113)으로 분리시키는 크랙선(111)을 포함하여, 상기 크랙선은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사다리꼴의 일 측변의 평행선에서 상기 옹벽용 벽돌의 측면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옹벽용 블록(100)에는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 결합구멍(120)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제2 고정봉 고정구멍(160)이 형성되고,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완충하고 고정시키는 그리드(20) 및 상기 제2 고정봉 결합구멍(210)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2 고정봉(21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고정봉(210)이 상기 제2 고정봉 결합구멍(210)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20)를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형태를 단순화함으로써 대량 생산시에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으며, 그 생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옹벽 구조체의 형성시 결합의 견고함을 유지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옹벽 구축시 상하 적층 시공되는 옹벽 블록 간 위치를 정밀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련 없이 정확한 위치에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종래 옹벽 구조물 구축시 상하 블록간 채움 토양 또는 그리드 등이 블록 고정물이 유실되는 경우에도 옹벽 구조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할 옹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100)과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으로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100)과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으로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시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기준으로 옹벽용 블록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100)과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으로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그리드가 부가된 실시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에 제2 고정봉 고정구멍(160)이 추가로 옹벽용 블록(100)형성되고, 제2 고정봉(210)이 부가되어 추가로 구성된 경우의 구성도.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옹벽용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옹벽용 블록 구조체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옹벽용 블록과 시공시 상기 옹벽용 블록을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포함하여,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통해 옹벽용 블록을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옹벽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옹벽 구축시 상하 적층 시공되는 옹벽 블록 간 위치를 정밀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련 없이 정확한 위치에 적층이 가능하므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개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 구조체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옹벽용 블록(100)과 상기 옹벽용 블록을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옹벽용 블록(100)은 일정한 높이(h)를 가지며, 본 실시예의 경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며, 상기 옹벽용 블록(100)에는 상기 고정봉(20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옹벽용 블록(100)과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은 일정한 길이(L)를 가지며,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은 옹벽용 블록(100)의 높이(h)의 3 배 이상의 길이(L)를 갖는다.
이를 통해 당해 옹벽용 블록(100)의 고정봉 결합구멍(120)을 관통한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당해 옹벽용 블록(100)이 적층된 옹벽용 블록(100)의 하단의 타 옹벽용 블록(100)의 고정봉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옹벽용 블록(100)이 고정 결합 되며, 시공시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옹벽용 블록(100)의 높이(h)의 3 배 이상의 길이(L)의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사용되는 이유는 옹벽용 블록에 대하여 당해 옹벽용 블록이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 하단의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결합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도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당해 옹벽용 블록의 상면에 돌출되어 그리드 등을 고정하는 고정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옹벽용 블록의 높이(h)가 20 Cm 인 경우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은 70 C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은 옹벽용 블록(100)간의 그리드를 고정하는 그리드 고정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옹벽용 블록(100)의 높이(h)의 3 배 이상의 길이(L)를 가짐으로써, 적층된 옹벽용 블록의 하단의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고정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도 당해 옹벽용 블록의 상면에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된 부분을 통해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당해 옹벽용 블록 상면의 그리드 고정핀의 역할을 수행하며, 아울러 당해 옹벽용 블록의 하면의 그리드를 관통하여 마찬가지로 하면의 그리드에 대하여도 고정핀과 같은 그리드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으로 고정봉 결합구멍(120)을 통해 2 이상의 옹벽용 블록을 연결 고정함으로써 이를 통해 옹벽 구조체의 형성시 결합의 견고함을 유지 또는 보강시킬 수 잇으며, 종래 옹벽 구조물 구축시 상하 블록간 채움 토양 또는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간을 완충하고 고정시키는 그리드 등의 블록 고정물이 유실되는 경우에도 옹벽 구조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옹벽 시공시 타 옹벽용 블록에 삽입 고정된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기준으로 당해 옹벽용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는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옹벽 구축시 상하 적층 시공되는 옹벽 블록 간 위치를 정밀한 위치를 조정하여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련 없이 정확한 위치에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100)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삼각형 형태의 본체 후방 쪽 꼭지점 부분에 전면부와 평행한 날개부(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옹벽용 블록 본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전방부분의 사다리꼴 모양의 제1 관통공(140)과 후방부분의 사다리꼴 모양의 제2 관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옹벽용 블록 본체 후방 상부면에 수평유지돌기(130)가 성형되며, 상기 제1 관통공(140) 양측 상부면에 복수의 결합돌기들(110a, 110b)이 성형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봉 결합구멍(120)은 본체의 후방의 꼭지점 부분 즉, 제2 관통공(150)과 상기 수평유지돌기(13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삽입 시공시 유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120)은 측면으로 길쭉한 양측변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 형상 즉,
Figure utm00002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폭(w)은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지름(d)의 3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높이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삽입시 적절한 유격 즉,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지름의 1/3 정도의 유격을 가지도록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지름(d)의 4/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옹벽용 고정봉의 지름(d)가 1.5 Cm인 경우 폭(w)은 대략 4.5 Cm 내지 5 Cm 정도로 높이는 대략 2 Cm 로 제작된다.
위와 같이, 고정봉 결합구멍(120)이 본체의 후방 부분 즉, 삼각형 형태의 본체 꼭지점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옹벽 시공시 당해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결합구멍(120)과 타 옹벽용 블록(당해 옹벽용 블록이 적층된 옹벽용 블록 하단의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결합구멍(1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기준으로, 옹벽용 블록의 당해 옹벽용 블록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옹벽 구축시 상하 적층 시공되는 옹벽용 블록 간 위치를 정밀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곡선형의 옹벽 시공시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련 없이 정확한 위치에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봉 결합구멍(120)이 본체의 후방에 제2 관통공과 상기 수평유지돌기 사이에 형성되므로, 본체의 후방에서 시공시 고정핀의 역할을 수행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상면 돌출부분 또는 이를 관통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 자체와 함께 상기 수평유지돌기가 그리드를 고정 결합하므로 고정력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그리드를 위치시키고 블록당 하나의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고정봉 결합구멍(120)에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그리드를 고정하므로 그리드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결합돌기들(110a, 110b)은 적층된 옹벽용 블록간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림 방지를 위해 상위에 적층되는 다른 옹벽용 블록의 제1 관통공과 결합한다. 특히, 상기 제1 관통공(140) 우측의 결합돌기(110b)는 상위에 적층되는 다른 옹벽용 블록의 제1 관통공 좌측면에 접하고, 상기 제1 관통공(140) 좌측의 결합돌기(110a)는 상위에 적층되는 다른 옹벽용 블록의 제1 관통공 우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관통공과 결합돌기들을 이용하여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작업 품질 및 이를 위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2의 'A'는 결합돌기(110a)를 확대하여 표시한 부분으로서, 'A'를 참조하면, 결합돌기(110a)는 그 폭이 상기 제1 관통공(140) 우측 상부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 결합돌기(110a)를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좌측면에 접한 제1 부분(112)과 상기 옹벽용 블록(100)의 우측면에 접한 제2 부분(113)으로 분리시키는 크랙선(111)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크랙선(111)은 옹벽용 블록(100)이 곡면의 옹벽을 형성할 때, 결합돌기(110a)의 일부만을 포함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부분(112)은 제거되고, 제2 부분(113)만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곡면 옹벽 시공시 곡율에 따라 그 각을 조절가능하도록 제작된다.
특히, 상기 크랙선은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사다리꼴의 일 측변의 평행선에서 상기 옹벽용 블록의 측면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옹벽용 블록이 곡면의 옹벽을 형성할 때, 상기 크랙선(111)에 의해 분리된 제2 부분(113)만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부분(113)의 상기 제1 관통공(140) 방향 측면이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사다리꼴의 일 측변의 평행선에서 상기 옹벽용 블록의 측면 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거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결합돌기(110b)는 그 폭이 상기 제1 관통공(140) 좌측 상부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 결합돌기(110b)를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우측면에 접한 부분과 상기 옹벽용 블록(100)의 좌측면에 접한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크랙선을 포함하는 동일한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수평유지돌기(130)와 결합돌기(110)는 옹벽용 블록(100)을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이동할 때, 적재된 옹벽용 블록들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수평유지돌기(130)와 결합돌기(11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는 고정봉 결합구멍(120) 및 수평유지돌기(130)가 형성된 옹벽용 블록의 후방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부분으로, 상기 옹벽용 블록의 후방 부분에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120) 및 수평유지돌기(130)가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기준으로, 옹벽용 블록의 당해 옹벽용 블록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본체의 후방에서 시공시 옹벽 블록 고정봉(200)이 고정핀 역할을 수행하여 이와 함께 수평유지돌기가 그리드를 고정 결합하므로 고정력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그리드를 위치시키고 블록당 하나의 고정봉을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그리드를 고정하므로 그리드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100)과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으로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100)과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으로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시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기준으로 옹벽용 블록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은 본체의 후방의 고정봉 결합구멍(120)을 통해 당해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결합구멍과 타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결합구멍을 동시에 관통하여 옹벽용 블록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옹벽용 블록 고정봉을 기준으로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어 옹벽용 블록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옹벽용 블록(100)과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으로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한 방법으로 도 3(a)에서와 같이, 당해 옹벽용 블록이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의 하단의 옹벽용 블록의 후방 즉, 삼각형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고정봉 결합구멍에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하단을 삽입 고정한 뒤 고정봉의 상단을 당해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결합구멍에 끼우는 방식으로 당해 옹벽용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옹벽용 블록들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와 같이,당해 블록을 적층한 상태에서 옹벽용 블록 고정봉을 당해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결합구멍을 관통시켜 관통된 옹벽용 블록 고정봉의 하단을 타 옹벽용 블록의 고정봉 결합구멍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당해 옹벽용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옹벽용 블록들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 좌측의 직선형 옹벽의 시공에 있어서는 직선 옹벽을 구성하는 옹벽용 블록의 적층에 있어서 옹벽용 블록의 전후 위치가 중요요소로 옹벽용 블록 고정봉을 기준으로 위치 및 각도가 조정되며, 곡선 옹벽을 구성하는 옹벽용 블록의 적층에 있어서 옹벽용 블록의 타 옹벽용 블록과의 상대적 위치뿐만 아니라 상대적 각도가 중요요소로서 옹벽용 블록 고정봉을 기준으로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삽입 시공시 유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으로 길쭉한 양측변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 형상 즉,
Figure utm00003
형상을 가지는 고정봉 결합구멍(120)을 통해 후방에서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의 후방 위치를 좌우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면으로 길쭉한 양측변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은 그 폭(w)은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지름(d)의 3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100)과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으로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의 부분 단면도로서,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당해 옹벽용 블록이 적층된 옹벽용 블록의 하단 옹벽용 블록과 연결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 옹벽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구축시 상하 블록간 채움 토양 또는 그리드 등이 블록 고정물이 유실되는 경우에도 옹벽 구조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의 구성도이며, 도 6의 경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에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간을 완충하고 고정시키는 그리드(20)가 부가되어 구성된다.
상기 그리드(20)는, 도 1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인 고정봉 결합구멍(120)이 본체의 후방에 제2 관통공과 상기 수평유지돌기 사이에 형성되므로, 본체의 후방에서 시공시 고정핀의 역할을 수행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과 함께 상기 수평유지돌기가 그리드(200)를 고정 결합하므로 고정력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위치되고 블록당 하나의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고정봉 결합구멍(120)에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상기 그리드(20)이 고정되므로 그리드(20)의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그리드가 부가된 실시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의 부분 단면도로서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이 당해 옹벽용 블록이 적층된 옹벽용 블록의 하단 옹벽용 블록과 연결되어 결합되고, 그리드(2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옹벽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구축시 상하 블록간의 그리드의 유실을 방지하고, 채움 토양 또는 그리드 등이 블록 고정물이 유실되는 경우에도 옹벽 구조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기존의 그리드 고정핀의 사용이 불필요하거나 소요되는 소정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용 블록 구조체에 제2 고정봉 고정구멍(160)이 추가로 옹벽용 블록(100)형성되고, 제2 고정봉(210)이 부가되어 추가로 구성된 경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옹벽용 블록(100)에는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 결합구멍(120)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제2 고정봉 고정구멍(160)이 추가로 형성되고,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완충하고 고정시키는 그리드(20) 및 상기 제2 고정봉 결합구멍(210)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2 고정봉(21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고정봉(210)이 상기 제2 고정봉 결합구멍(210)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20)를 고정하는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고정봉 고정구멍(160)은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 결합구멍(120)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되며, 제2 고정봉(160)이 고정봉 결합구멍(210)에 수직으로 결합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주로 시공시 그리드(20)을 고정하는 고정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짧은 길이를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옹벽용 블록(100)과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도록 하는 길이 예컨대, 상기 제2 고정봉(210)을 옹벽용 블록(100)의 높이(h)의 3 배 이상의 길이(L)를 갖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핀의 역할뿐만 아니라 당해 옹벽용 블록(100)의 제2 고정봉 결합구멍(160)을 관통한 제2 고정봉(210)이 당해 옹벽용 블록(100)이 적층된 옹벽용 블록(100)의 하단의 타 옹벽용 블록(100)의 제2 고정봉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옹벽용 블록(100)을 고정 결합하고, 시공시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는 기준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의 특별한 조합들이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고안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통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옹벽용 블록, 200 : 옹벽용 블록 고정봉
210 : 제2 고정봉 110 : 결합돌기
120 : 고정봉 결합구멍 130 : 수평유지돌기
140, 150 : 관통구멍 160 : 제2 고정봉 결합구멍

Claims (7)

  1.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과 상기 옹벽용 블록을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여 고정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100)에는 상기 고정봉(20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봉 결합구멍(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과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은 상기 옹벽용 블록과 타 옹벽용 블록과 연결하는 옹벽용 블록 고정봉은 옹벽용 블록의 높이의 3 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은 삼각형 형태의 본체의 후방의 꼭지점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120)은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삽입 시공시 유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길쭉한 양측변이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 형상 (
    Figure utm00004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120)의 폭(w)은 옹벽용 블록 고정봉(200)의 지름(d)의 3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
  5. 제2 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에는 상기 옹벽용 블록 본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전방부분의 사다리꼴 모양의 제1 관통공과 후방부분의 사다리꼴 모양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삼각형 형태의 본체의 후방의 꼭지점 부분 상부면에 수평유지돌기가 성형되어, 상기 고정봉 결합구멍은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수평유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양측 상부면에 복수의 결합돌기들(110a, 110b)이 성형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들(110a, 110b)은 상부면에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들(110a, 110b)을 상기 제1 관통공(140)의 측면에 접한 제1 부분(112)과 상기 옹벽용 벽돌의 측면에 접한 제2 부분(113)으로 분리시키는 크랙선(111)을 포함하여, 상기 크랙선은 상기 제1 관통공의 사다리꼴의 일 측변의 평행선에서 상기 옹벽용 벽돌의 측면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
  7.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에는 상기 옹벽용 블록 고정봉 결합구멍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제2 고정봉 고정구멍(160)이 형성되고,
    적층되는 옹벽용 블록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완충하고 고정시키는 그리드(20) 및 상기 제2 고정봉 결합구멍(210)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2 고정봉(21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고정봉(210)이 상기 제2 고정봉 결합구멍(210)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구조체.
KR2020150004823U 2015-07-17 2015-07-17 옹벽용 블록 구조체 KR200489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823U KR200489624Y1 (ko) 2015-07-17 2015-07-17 옹벽용 블록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823U KR200489624Y1 (ko) 2015-07-17 2015-07-17 옹벽용 블록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62U true KR20170000362U (ko) 2017-01-25
KR200489624Y1 KR200489624Y1 (ko) 2019-07-12

Family

ID=5796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823U KR200489624Y1 (ko) 2015-07-17 2015-07-17 옹벽용 블록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2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861A (ko) 2004-02-11 2005-08-18 강용구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60059409A (ko) * 2004-11-29 2006-06-02 김식원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90005627U (ko) * 2007-12-05 2009-06-10 두강만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100029934A (ko) * 2008-09-09 2010-03-18 문광균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861A (ko) 2004-02-11 2005-08-18 강용구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60059409A (ko) * 2004-11-29 2006-06-02 김식원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90005627U (ko) * 2007-12-05 2009-06-10 두강만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100029934A (ko) * 2008-09-09 2010-03-18 문광균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24Y1 (ko)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8377A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1226948B1 (ko) 개선된 구조의 항두 지지대
JP6087995B2 (ja) 建築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構造物
KR200489624Y1 (ko) 옹벽용 블록 구조체
CN105735609A (zh) 插接式地板
CN204934980U (zh) 钢筋搭接焊接头辅助器
KR101306055B1 (ko) 내력 및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구조 및 우각부 보강방법
KR101828576B1 (ko) 보강토 옹벽의 축조 구조
JP2010168877A (ja) 残存型枠、およびこれに用いる型枠パネル
CN105442719A (zh) 一种钢管填充混凝土型鱼骨形芯材屈曲约束支撑
CN108979146A (zh) 建筑模板的对接连接件以及建筑模板的对接连接方法
CN211949614U (zh) 夹固式复合铝合金建筑模板系统
CN209369830U (zh) 一种外壳先行型非开挖隧道构筑结构
CN204803750U (zh) 一种防水型桥梁伸缩缝
CN204151684U (zh) 一种用于墩柱系梁混凝土施工的自适应系梁模板
JP3172859U (ja) プラスチック型枠構造
CN209441831U (zh) 一种料框
RU104206U1 (ru) Узел угл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элементов "в полдерева" на шпонках в венцах здания
CN111173280A (zh) 夹固式复合铝合金建筑模板系统
KR10103135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 및 보강용 거푸집
KR20110048093A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 장착구조
KR20160003941A (ko) 보강 h 빔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KR20190055930A (ko) 유로폼
JP6203553B2 (ja) 外壁の補修方法
CN109537802B (zh) 一种叠合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87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8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05

Effective date: 201906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