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581A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581A
KR20160150581A KR1020160061885A KR20160061885A KR20160150581A KR 20160150581 A KR20160150581 A KR 20160150581A KR 1020160061885 A KR1020160061885 A KR 1020160061885A KR 20160061885 A KR20160061885 A KR 20160061885A KR 20160150581 A KR20160150581 A KR 20160150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lamp
piece
side wall
sectio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15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과제) 발거력을 유지하면서 삽입력을 저감시키는 것에 더하여, 보다 간이하고 보다 실시 용이하고 범용성이 우수한 구조를 실현한다.
(해결수단) 파이프(5) 등의 장척물을 수용하는 오목부(1)와,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1쌍의 측벽(10,11) 중 적어도 일방의 측벽의 상부에서 오목부의 바닥부(12) 측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 빠짐 방지편(3)을 구비하며, 탄성 빠짐 방지편(3)이 장척물을 오목부(1)에 삽입할 때에 측벽의 상부에 접합된 연결부분(4)을 지지점으로 하여 측벽 방향으로 요동 변위하여 도피하고, 삽입 후는 복귀하여 오목부(1)에 수용된 장척물의 둘레면에 하단(32)을 맞닿게 하여 장척물의 빠짐을 방지하는 클램프로서, 탄성 빠짐 방지편(3)은, 장척물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으로서 이 단면적이 가장 적은 하중 저감부(34)를 연결부분(4)과 상기 하단(32)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으며, 연결부분(4)에서부터 하중 저감부(34)의 사이에 걸쳐서 상기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발명은 파이프 등의 장척물을 원터치로 유지 가능한 클램프 중, 특히 장척물을 수용하는 오목부 및 오목부에 수용된 장척물의 빠짐을 방지하는 탄성 빠짐 방지편을 가진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클램프를 나타내며, (a)는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b)는 클램프의 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클램프(K)는 장척물(H)을 수용하는 오목부(2)와, 오목부(2)를 구획하고 있는 1쌍의 측벽(3)의 상부에서 오목부의 바닥부 측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 빠짐 방지편(4)과, 패널(P)에 대한 장착부(8)를 구비하며, 탄성 빠짐 방지편(4)이 상기 장척물을 오목부에 삽입할 때에 측벽의 상부에 접합된 연결부분(접합부분)(5)을 지지점으로 하여 측벽 방향으로 요동 변위하여 도피하고, 삽입 후는 복귀하여 오목부(2)에 수용된 장척물의 둘레면에 하단(4a)을 맞닿게 하여 장척물의 빠짐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클램프는, 예를 들면 차량에 있어서 각종 배관 등을 유지할 경우에, 복수개를 사용하여 배관 등을 복수 개소에서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탄성 빠짐 방지편과의 관계에서는, 작업성 및 유지성의 점에 있어서, 배관 등을 오목부에 압입하는 삽입력은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낮게 억제하고(삽입력의 저감), 반대로 삽입 후의 빠짐 방지력은 진동 등에 의해서 불필요한 빠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높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거력(拔去力)의 향상).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상반되는 요구에 대해서 검토 추구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탄성 빠짐 방지편(4)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발거력을 유지한다. 동시에, 탄성 빠짐 방지편(4)의 상단과 측벽(3)의 연결부분(접합부분)(5)에 소정 길이의 공소(空所)(7)를 형성하여 탄성 빠짐 방지편(4)의 변위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장척물을 오목부에 삽입할 때의 삽입력을 저감시킨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4-44698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요동 지지점이 되는 연결부분(접합부분)이 공소(空所)의 크기에 비례하여 단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오목부에 장척물을 삽입할 때 및 빼낼 때에 가해지는 하중 내지는 부하가 좁아진 단면적 부분에 집중하게 되고, 그 결과 탄성 빠짐 방지편의 파손 요인이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여, 상기한 발거력을 유지ㆍ향상시키면서 삽입력을 저감시키는 것에 더하여, 보다 간이하고 보다 실시 용이하고 범용성이 우수한 구조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분명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의 본 발명은, 도 1∼도 4를 참조하여 특정하면, 파이프(5) 등의 장척물을 수용하는 오목부(1)와,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1쌍의 측벽(10,11) 중 적어도 일방의 측벽의 상부에서 오목부의 바닥부(12) 측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 빠짐 방지편(3)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3)이 상기 장척물을 상기 오목부에 삽입할 때에 상기 측벽의 상부에 접합된 연결부분(4)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측벽 방향으로 요동 변위하여 도피하고, 삽입 후는 복귀하여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장척물의 둘레면에 하단(32)을 맞닿게 하여 장척물의 빠짐을 방지하는 클램프로서,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3)은, 상기 장척물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이 가장 적은 하중 저감부(34)를 상기 연결부분(4)과 상기 하단(32)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부분(4)에서부터 상기 하중 저감부(34)의 사이에 걸쳐서 상기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상의 장척물에는 파이프 이외에 봉형상 부재, 선상(線狀) 부재, 이것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은, 상기 하중 저감부에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해서 상기 단면적을 서서히 증가시키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2)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은,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의 돌출 방향을 따라서 리브를 형성하는 구성이다(청구항 3).
(3)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은, 상기 연결부분과 상기 하단의 사이에 형성된 구멍부 또는 오목홈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 5). 이 구멍부 또는 오목홈부는, 본 발명의 하중 저감부를 형성하는 형상을 설정한 것이며, 도 6에 예시한 삼각형 이외에도 반원형, 사다리꼴, 이들과 유사한 형상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발거력을 유지ㆍ향상시키면서 삽입력을 저감시키는 것에 대해서 검토와 시험을 거듭하여 완성된 것이며, 도 4(c)를 참조하여 구성과 작용 특징을 분명하게 한다.
첫째로, 본 발명에서는, 우선 탄성 빠짐 방지편(3)이 장척물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으로서 이 단면적이 가장 적게 되는 하중 저감부를 연결부분(4)과 하단(32)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필수로 하고 있다. 이 점은, 탄성 빠짐 방지편이 연결부분과 하단의 사이에 장척물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으로서 최소가 되는 하중 저감부(34)를 가지고 있으면, 장척물을 오목부에 삽입할 때에 탄성 빠짐 방지편에 가해지는 부하가 하중 저감부에서 탄성 빠짐 방지편 전체로 분산되기 쉽게 되며, 그 결과로서 삽입력이 저감되는 것이라 추측된다.
둘째로,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분(4)에서부터 상기 하중 저감부(34)의 사이에 걸쳐서 상기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것도 필수로 하고 있다. 이 점도, 장척물을 오목부에 삽입할 때에 탄성 빠짐 방지편에 가해지는 부하를 하중 저감부에서 탄성 빠짐 방지편 전체로 분산되기 쉽게 한다. 또한, 시험에서는 탄성 빠짐 방지편이 본 발명의 하중 저감부의 존재에 의해서 발거력을 향상시키면서 삽입력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환언하면, 이상의 2개의 구성은 특허문헌 1과 같은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게다가 간이하고 실시 용이하므로, 이러한 점에서도 우수하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하중 저감부에서부터 하단을 향해서 단면적을 서서히 증가시키고 있기 때문에, 탄성 빠짐 방지편에 가해지는 부하가 하중 저감부를 사이에 둔 상하 부분에 효율 좋게 분산되며, 외관적으로도 양호하고, 성형상에 있어서도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구성에서는 장척물을 오목부에 삽입할 때에 가해지는 하중 내지는 부하에 의해서 탄성 빠짐 방지편 전체가 하중 저감부 부근에서 활처럼 탄성 변위하기 쉬워지게 되며, 부하가 전체로 분산됨으로써 삽입력을 낮게 억제하는데 있어서 유효하게 작용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탄성 빠짐 방지편의 돌출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리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성 빠짐 방지편에 가해지는 부하가 리브를 통해서 전체로 더 효율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며, 또 리브의 보강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청구항 4, 5의 발명은, 탄성 빠짐 방지편이 도 6의 (a)와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분과 하단의 사이에 형성된 구멍부 또는 오목홈부를 가지며, 이들에 의해서 하중 저감부를 형성함으로써 더 간이하고 실시 가능하게 된다. 구멍부 또는 오목홈부는 연결부분 이외의 개소에 형성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파손의 요인이 되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클램프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b)는 도 2(b)의 B-B선 단면도, (c)는 상기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a)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a)는 상측 방향에서 본 부분도, (b)는 (a)의 좌측 방향에서 본 부분도, (c)는 (a)의 C-C선 단면도, (d)는 (a)의 하측 방향에서 본 부분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탄성 빠짐 방지편의 형상을 변경한 3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변형예 1로서 나타내는 탄성 빠짐 방지편의 사시도, (b)는 변형예 2로서 나타내는 탄성 빠짐 방지편의 사시도, (b)는 변형예 3으로서 나타내는 탄성 빠짐 방지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의 형상을 더 변형한 3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변형예 4로서 나타내는 탄성 빠짐 방지편의 사시도, (b)는 변형예 5로서 나타내는 탄성 빠짐 방지편의 사시도, (c)는 변형예 6으로서 나타내는 탄성 빠짐 방지편의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a)와 (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도 1과 도 6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 후, 도 5에 나타낸 3개의 변형예와 도 6에 나타낸 3개의 변형예를 언급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작용적으로 같은 부위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구조)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클램프는 수지의 사출 성형품이며, 대향하는 측벽(10)과 측벽(11) 및 양 측벽(10,11)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12)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는 수용(收容)용의 오목부(1)와; 오목부(1)를 구획하고 있는 일방의 측벽(10)의 외측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되어 패널 등의 피장착부(6)에 고정되는 장착부(2)와; 양 측벽(10,11) 중 적어도 일방의 측벽(11)의 상부에 상단(31)을 접합한 상태에서 바닥부(12) 측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 빠짐 방지편(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클램프에서는 탄성 빠짐 방지편(3)이, 파이프(5)를 오목부(1)에 삽입할 때에 측벽(11)의 상부에 접합된 상단(31) 부근(즉, 연결부분(4))을 지지점으로 하여 측벽 내면 방향으로 요동 변위하여 도피하고, 삽입 후는 복귀하여 오목부(1)에 수용된 파이프(5)의 둘레면에 하단(32)을 맞닿게 하여 파이프(5)를 빠짐 방지한다. 이하, 각부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분명하게 한다.
오목부(1)는 양 측벽(10,11) 사이에 파이프(5)를 삽입하는 홈 형상이며, 바닥부(12)의 유지면이 파이프(5)에 대응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10)의 외면은, 상측이 수직면이고, 하측이 장착부(2)를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 본체(20)와 연결되어 있다. 측벽(10)의 내면은, 상측이 파이프(5)를 오목부 내로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아래로 갈수록 돌출되는 완만한 경사면(10a)으로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한 바닥부(12)의 원호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측벽(11)의 외면은 수직면이다. 측벽(11)의 내면은, 상측이 수직면(11a)이며 탄성 빠짐 방지편(3)과 대향하고 있고, 하측이 아래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11b)을 개재하여 상기한 바닥부(12)의 원호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부호 13과 14는 바닥부(12)와 각 측벽(10,11)이 교차하는 코너 부분에 있어서 전후로 도려낸 공동부이다. 이 공동부(13,14)는 경량화와 함께 바닥부(12)의 원호 형상의 유지면에 적당한 탄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가 하나인 단일 구성이다. 다만, 본 발명의 오목부는, 예를 들면 오목부(1)를 장착부(2)를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 본체(20)의 양측에 형성하여도 좋으며, 다양한 전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장착부(2)는, 피장착부(6)에 돌출 설치된 스터드 볼트(7)를 이용하여 클램프 전체를 피장착부(6)에 고정하는 구조이다. 장착부(2)의 케이스 본체(20)는 대략 중공 직사각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20) 내는 좌우 측벽에 의해서 외부와 구획되고 전후가 관통된 내부 공간(21)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하벽에는 스터드 볼트(7)가 끼워지는 삽입구멍(22,23)이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삽입구멍(23)은 상측의 삽입구멍(2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스터드 볼트(7)의 플랜지 형상의 기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양 측벽의 서로 대향하고 있는 내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탄성 돌조편(24,25)이 복수 쌍(본 실시예에서는 2쌍)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중심을 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벽의 삽입구멍(23)에 가까운 내면에는 탄성 돌조편(26,27)이 삽입구멍(23)을 사이에 두고서 대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중심을 향하고 있다. 이들 탄성 돌조편(24,25)과 탄성 돌조편(26,27)은 그 대향하는 선단부끼리의 사이의 치수가 스터드 볼트(7)의 나사산의 최대 외경 치수보다도 작고, 또한 나사산에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지의 것으로 변경 가능하다.
탄성 빠짐 방지편(3)은,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며,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분(4)의 두께(t1)가 하단(32)의 두께(t2)에 비해서 같거나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 빠짐 방지편(3)은, 도 1과 도 3 및 도 4로부터 추측되는 바와 같이, 파이프(5)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으로서, 상면에 형성되는 절결부(notch)(30)에 의해서 이 단면적이 가장 작게 내지는 적게 되도록 형성된 개소, 즉 하중 저감부(34)를 연결부분(4)과 하단(32)의 사이에 가지고 있다. 도 4(c)에 있어서의 두께 t3은 하중 저감부(34)의 최소 두께이다.
환언하면, 하중 저감부(34)는, 탄성 빠짐 방지편(3)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 중 파이프(5)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판 폭 방향의 단면적)으로서, 이 단면적이 가장 적게 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 빠짐 방지편(3)은, 연결부분(4)에서부터 하중 저감부(34)의 사이가 하중 저감부(34)를 향해서 이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절결(切缺)되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중 저감부(34)에서부터 하단(32)의 사이가 하단(32)을 향해서 이 단면적이 서서히 증가되도록 절결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 빠짐 방지편(3)은, 양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일단(一段) 높게 형성된 리브(33,33)를 가지고 있다. 각 리브(33)는 탄성 빠짐 방지편(3)의 상면 양측에 위치하여 절결부(30)의 양측을 구획하고 있음과 아울러 소폭의 긴 돌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파이프(5)가 오목부(1)에 삽입될 때에 파이프의 둘레면에 맞닿아서 파이프 하중을 받고, 이것에서부터 탄성 빠짐 방지편(3) 전체로 부하를 분산하는 구성이다.
(작동)
이상의 구성에서는, 특허문헌 1에 비해서, 연결부분(4) 전체에서 굽힘 하중 내지는 부하를 받아내기 때문에, 상기한 특허문헌 1과 같은 파손의 우려를 일으키지 않는다.
또, 이 구조에서는, 탄성 빠짐 방지편(3)이 연결부분(4)과 하단(32)의 사이에 파이프(5)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으로서 최소가 되는 하중 저감부(34)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이프(5)를 오목부(1)에 삽입할 때에 탄성 빠짐 방지편(3)에 가해지는 하중 내지는 부하가 하중 저감부(34)에서 탄성 빠짐 방지편(3) 전체로 분산되기 쉽게 되며, 그 결과 파이프(5)를 오목부(1)에 삽입할 때의 삽입력을 종래품에 비해서 저감시킬 수 있고, 또 파이프(5)를 오목부(1)에서 빼낼 때의 발거력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의 변형예)
도 5의 (a)∼(c)는 상기한 탄성 빠짐 방지편의 3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 변형예 1∼3의 탄성 빠짐 방지편(3A,3B,3C)은 하중 저감부(34)의 형성 개소 내지는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이하지만, 상면 양측에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브(33)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공통된다. 따라서, 이들의 설명에서는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와 다른 변경점만을 설명한다.
도 5(a)는 변형예 1의 탄성 빠짐 방지편(3A)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 1은,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3)의 경우는 하중 저감부(34)가 선상(線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이 탄성 빠짐 방지편(3A)의 경우는 하중 저감부(34)가 양 리브(33)의 사이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고서 형성된 구성이다.
도 5(b)는 변형예 2의 탄성 빠짐 방지편(3B)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3)의 경우는 리브(33)가 상하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하중 저감부(34)가 상하 대략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변형예 2의 탄성 빠짐 방지편(3B)의 경우는 양측의 리브(33)가 상측이 하측에 비해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과, 하중 저감부(34)가 상하 대략 중간보다도 하단(32) 측에 가까운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변경되어 있다.
도 5(c)는 변형예 3의 탄성 빠짐 방지편(3C)을 나타내고 있다.
이 탄성 빠짐 방지편(3C)은, 양측의 리브(33)가 상하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한 실시예 및 도 5(a)와 같지만, 하중 저감부(34)가 상하 대략 중간보다 하단(32) 측에 가까운 개소에 소정의 폭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는 점이 변경되어 있다.
(도 6의 변형예)
도 6의 (a)∼(c)는 상기한 탄성 빠짐 방지편을 더 변경한 3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 4와 5의 탄성 빠짐 방지편(3D,3E)에서는 하중 저감부(34)의 형성 개소 내지는 형성 방법이 변경되어 있다. 변형예 6의 탄성 빠짐 방지편(3F)에서는 리브의 형성 개소 내지는 형성 방법이 변경되어 있다. 이들의 설명에서도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와 다른 변경점만을 설명한다.
도 6(a)는 변형예 4의 탄성 빠짐 방지편(3D)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 4에서는,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3)에 비해서, 특히 양측의 리브가 생략되고, 또 하중 저감부(34)가 탄성 빠짐 방지편(3)에 소정 크기의 구멍부(35)를 형성함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부(35)는 삼각형상이며, 하단(32) 측이 큰 폭으로 되고 상측으로 향해서 좁아지는 배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멍부(35) 중 가장 큰 폭으로 되어 있는 구멍 하측에 있어서, 폭 방향의 단면적이 가장 적게 된다. 즉, 이 변형예에서는 구멍부(35)를 구성하고 있는 구멍 하측의 양측이 하중 저감부(34)가 된다.
도 6(b)는 변형예 5의 탄성 빠짐 방지편(3E)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 5는, 변형예 4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3D)의 구멍부(35) 대신해 오목홈부(3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오목홈부(36)는 삼각형상이며, 하단(32) 측이 큰 폭으로 되고 상측으로 향해서 좁아지는 배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홈부(36) 중 가장 큰 폭으로 되어 있는 오목홈부 하측에 있어서, 폭 방향의 단면적이 가장 적게 된다. 즉, 이 변형예에서도 오목홈부(36)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홈부 하측의 양측이 하중 저감부(34)가 된다.
도 6(c)는 변형예 6의 탄성 빠짐 방지편(3F)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 6에서는,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3)에 비해서, 특히 양측의 리브 대신에 좌우 중간부에 리브(38)를 형성한 점과, 하중 저감부(34)를 리브(38)의 양측에 형성하고 있는 점이 변경되어 있다. 리브(38)는 탄성 빠짐 방지편(3F)의 상면에 있어서 좌우 중간에 돌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중 저감부(34)는, 리브(38)의 양측의 절결부(37)로서, 연결부분(4)에서부터 상하 대략 중간에 걸쳐서 폭 방향의 단면적을 서서히 감소시키고, 또한 상하 대략 중간에서부터 하단(32)으로 향해서 폭 방향의 단면적을 서서히 증가시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탄성 빠짐 방지편(3F)은, 상면 측에 리브(38)나 절결부(37)를 형성한 구성이지만, 예를 들면 외관 등의 이유에 의해서 절결부(37)나 리브(38)를 하면 측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프는,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구항 1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세부는 실시예 및 각 변형예를 참고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또, 패널 등의 피장착부에 장착되는 장착부는, 스터드 볼트에 고정하는 구조 대신에, 도 7(a)에 예시되는 장착부의 외주의 탄성편에 의해서 고정하는 구조, 또한 용착이나 접착 등의 접합 구조이어도 괜찮다.
1 - 오목부 2 - 장착부
3 - 탄성 빠짐 방지편 31 - 상단
32 - 하단 4 - 연결부분
5 - 파이프(장척물) 6 - 패널
7 - 스터드 볼트 10 - 측벽
11 - 측벽 30 - 절결부
33 - 리브 34 - 하중 저감부
35 - 구멍부 36 - 오목홈부
37 - 절결부 38 - 리브
t1 - 상단의 두께 t2 - 하단의 두께
t3 - 하중 저감부의 최소 두께

Claims (5)

  1. 파이프 등의 장척물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1쌍의 측벽 중 적어도 일방의 측벽의 상부에서 오목부의 바닥부 측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 빠짐 방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이 상기 장척물을 상기 오목부에 삽입할 때에 상기 측벽의 상부에 접합된 연결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측벽 방향으로 요동 변위하여 도피하고, 삽입 후는 복귀하여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장척물의 둘레면에 하단을 맞닿게 하여 장척물의 빠짐을 방지하는 클램프로서,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은, 상기 장척물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이 가장 적은 하중 저감부를 상기 연결부분과 상기 하단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부분에서부터 상기 하중 저감부의 사이에 걸쳐서 상기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은, 상기 하중 저감부에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해서 상기 단면적을 서서히 증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은,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의 돌출 방향을 따라서 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은, 상기 연결부분과 상기 하단의 사이에 형성된 구멍부 또는 오목홈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 빠짐 방지편은, 상기 연결부분과 상기 하단의 사이에 형성된 구멍부 또는 오목홈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20160061885A 2015-06-22 2016-05-20 클램프 KR20160150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5000A JP6373802B2 (ja) 2015-06-22 2015-06-22 クランプ
JPJP-P-2015-125000 2015-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81A true KR20160150581A (ko) 2016-12-30

Family

ID=5773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885A KR20160150581A (ko) 2015-06-22 2016-05-20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73802B2 (ko)
KR (1) KR201601505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2497A1 (en) * 2020-02-26 2021-08-26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component cla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7423B2 (en) * 2015-08-19 2017-10-24 Schneider Electric USA, Inc. Device for attaching a sensor to a lu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284U (ja) * 1984-04-12 1985-11-06 加藤発条株式会社 保持クランプ
JPH08121653A (ja) * 1994-10-21 1996-05-17 Nifco Inc 線、棒状物のクランプ
JPH10115306A (ja) * 1996-10-11 1998-05-06 Takeo Suzuki 片手で差し替え出来るクサビクリップ
JPH10252719A (ja) * 1997-03-18 1998-09-22 Togo Seisakusho Corp パイプクランプ
JP2004044698A (ja) 2002-07-12 2004-02-12 Vtec Co Ltd 長尺物のクランプ
JP2010096332A (ja) * 2008-10-20 2010-04-30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長尺部材の保持具
JP2012067785A (ja) * 2010-09-21 2012-04-05 Honda Motor Co Ltd クランプ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290U (ja) * 1993-01-25 1994-08-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棒状体の保持具
JP2003185061A (ja) * 2001-12-20 2003-07-03 Togo Seisakusho Corp クランプ
JP2005133783A (ja) * 2003-10-29 2005-05-26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5331044A (ja) * 2004-05-20 2005-12-02 Maruyasu Industries Co Ltd パイプ保持具
JP5848888B2 (ja) * 2011-05-11 2016-01-27 日本スタッドウェルディング株式会社 防振クランプ装置
WO2013188473A1 (en) * 2012-06-12 2013-12-19 Illinois Tool Works Inc. Rotation limiting tube faste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284U (ja) * 1984-04-12 1985-11-06 加藤発条株式会社 保持クランプ
JPH08121653A (ja) * 1994-10-21 1996-05-17 Nifco Inc 線、棒状物のクランプ
JPH10115306A (ja) * 1996-10-11 1998-05-06 Takeo Suzuki 片手で差し替え出来るクサビクリップ
JPH10252719A (ja) * 1997-03-18 1998-09-22 Togo Seisakusho Corp パイプクランプ
JP2004044698A (ja) 2002-07-12 2004-02-12 Vtec Co Ltd 長尺物のクランプ
JP2010096332A (ja) * 2008-10-20 2010-04-30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長尺部材の保持具
JP2012067785A (ja) * 2010-09-21 2012-04-05 Honda Motor Co Ltd クランプ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2497A1 (en) * 2020-02-26 2021-08-26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component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73802B2 (ja) 2018-08-15
JP2017009030A (ja)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7930B2 (ja) 防水クリップ
US20080217488A1 (en) Device for Retaining at Least One Elongate Object
US20120284974A1 (en) Engaging clip
JP6399383B2 (ja) 防振クランプ
JP6306299B2 (ja) 樹脂トルクロッド
KR20160150581A (ko) 클램프
JP6368176B2 (ja) 保持具
KR101843300B1 (ko) 차량 내 고정 장치
JP5069193B2 (ja) 配線・配管材保持具
JP2007113647A (ja) クランプ
JP2016001030A (ja) 被挟持部材へのクリップ取付構造
JP2005133783A (ja) クリップ
JP7402018B2 (ja) 伸縮棒用取付具
JP2006348999A (ja) クリップ
JP6246106B2 (ja) 棒状物のクランプ
KR20210000863U (ko) 철근 연결용 나사식 원터치 커플러
JP5404529B2 (ja) 長尺部材の保持具
JP6819992B2 (ja) 連結具を備える仕切り
JP7050722B2 (ja) スタッド用保持具
JP6009611B1 (ja) くさびクランプ
KR101621319B1 (ko) 수납함
JP6854131B2 (ja) 連結具
JP2010019388A (ja) 留め具
JP2022108879A (ja) 長尺部材の保持具
JP2023080622A (ja) リール取付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