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487A -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487A
KR20160150487A KR1020150088554A KR20150088554A KR20160150487A KR 20160150487 A KR20160150487 A KR 20160150487A KR 1020150088554 A KR1020150088554 A KR 1020150088554A KR 20150088554 A KR20150088554 A KR 20150088554A KR 20160150487 A KR20160150487 A KR 20160150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strate
disposed
vehicl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학래
이경철
배병성
이종모
문승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50487A/ko
Publication of KR2016015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외부의 광을 통과시키는 채광 영역으로 분리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는 기판부 및 표시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채광 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포함하며,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배치되며,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승객에게 영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WINDSCRE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와 채광부를 분리하여 광고와 함께 채광을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는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곳에 자연스럽게 설치되어 사람들에게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상품을 인식시키는데 주목적이 있다. 그런 점에서 버스, 택시, 지하철 및 철도와 같은 대중교통 광고는 매우 효과적이고 하루 1000만명이 이용하는 지하철은 곳곳에 광고판들이 설치되어 있고, 버스의 옆면에는 언제나 광고문구나 그림이 그려져 지나가는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지하철의 경우 최근에 지하철에서의 안전을 위해 도입된 안전문에 광고가 배치되고 있고, 지하철내부의 벽면과 지하철 내부의 천장에도 광고가 설치되어 하루에 수천만명의 사람들이 광고를 보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외부의 풍경을 거의 볼 수 없는 지하철의 창문에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연구는 저렴한 유지비를 자랑하는 LED 기술의 발전과 함께 탄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하철의 창문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장치는, 지하철이 이동해야 광고가 나타나거나 창문 전체를 광고로 도배하는 문제, 표시 정보의 시공간적인 한계 그리고 지하철 승객의 시야를 방해하고, 안정적인 영상을 나타내는 것이 힘들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048512호는 대중교통의 창문 하단에 별도의 외부케이스를 설치하여 외부케이스 내부의 모니터케이스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창문을 통해 영상을 제공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10-1034846호는 지하철 차량의 속도에 맞는 외부 영상을 차량 내부에 정보콘텐츠와 함께 표시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외부의 전망을 볼 수 있고, 채광 조절이 가능하며 광고 영상의 제공이 가능한 조명장치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기능적 요소를 확장하고, 지하철을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의 요소 개발을 위해서 광고영상을 나타내고, 채광을 조절하며, 외부의 전망까지 제공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 및 채광부를 사용하여 광고영상 및 외부조망을 제공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외부의 광을 통과시키는 채광 영역으로 분리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는 기판부 및 표시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채광 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포함하며,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배치되며,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승객에게 영상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채광 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상기 상부기판의 외면에 배치되는 상부강화유리 및 상기 하부기판의 외면에 배치되는 하부강화유리를 포함하는 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채광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상부강화유리의 사이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강화유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층은 액정을 포함하여, 상기 액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사이에 봉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강화유리 사이에 상기 액정으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140)영역에서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사이는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층은 유기발광층을 포함하여,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는 기판부, 유기발광층 및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걸쳐 배치되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포함하며,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배치되며,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사이에 봉입되어 승객에게 영상을 표시하거나 외부광을 투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하부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으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부는 차량의 차창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들을 표시하면서, 유리기판을 통해 외부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영상을 통한 정보습득과 외부의 풍경 중 승객들이 원하는 곳을 바라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은 액정디스플레이에 비해 백라이트가 필요없어 얇은 구조가 가능하므로 두 겹으로 형성하여 차량의 내부 및 외부를 향해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반투명의 상태로 유지되어 승객이 외부를 관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박막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화소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 및 영역에 한정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편광판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 또는 유기발광층이 발산하는 광의 입사량을 제어할 수 있어 밝은 낮에도 영상의 선명한 표시가 가능하고 외부의 광을 이용하여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영역(101) 및 채광 영역(102)으로 분리되고, 제1 표시층(110), 기판부(120), 투과부(130), 차단부(140) 및 강화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표시층(110)은 제1 액정(111)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120)는 하부기판(121) 및 상부기판(122)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140)는 자외선차단필름(142)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10)의 창문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과 상기 채광 영역(102)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액정(111)이 배치되어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 디스플레이 영역(101)으로 정의되며 상기 차단부(140)가 배치되어 외부의 풍경이 통과하는 영역이 채광 영역(10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액정(111)은 상기 하부기판(121)과 상기 상부기판(122) 사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차단부(140) 역시 상기 제1 액정(111)이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은 상기 차량(1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서 표시하는 영상을 주시하거나 상기 채광 영역(102)을 통해 외부풍경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상기 차량(10)이 지나가는 외부의 풍경을 토대로 풍경들의 자세한 설명과 원거리에 형성된 건물들에 대한 설명 등을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승객들이 지나가는 외부의 지역에 대해 광고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부기판(121) 및 상기 상부기판(122)은 차량의 차창을 형성하며, 각각 직사각형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액정(111)은 상기 하부기판(121) 및 상기 상부기판(122)의 사이에 봉입되며,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만 봉입된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121)의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백라이트(16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해당되는 상기 하부기판(12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가 실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기판(122)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화소부가 실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백라이트(160)에서 제공된 광이 상기 제1 액정(111)을 통과하며 소정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의 외부로 표시되며, 이에 따라 승객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다양하게 습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채광영역(102)에는 상기 제1 액정(111) 및 상기 백라이트(160)가 생략되며 상기 투과부(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투과부(130)는 상기 채광영역(102)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기판(122) 및 상기 하부기판(121) 사이의 공간에 해당되며, 상기 투과부(130)는 별도의 액정 등의 물질이 봉입되지 않고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기판(122) 내지 상기 하부기판(121)을 통과하는 광은 상기 투과부(130)를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판부(120)의 외부에 상기 차단부(140)를 배치하여 상기 투과부(130)를 통과하는 광에서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140)는 도면에서는 후술되는 강화부(15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강화부(150)가 생략되는 경우 상기 상부기판(122) 및 상기 하부기판(121)의 외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강화부(15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강화부(15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100)는 제1 밀폐부(103), 제2 밀폐부(104) 및 제3 밀폐부(1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3 밀폐부들(103, 105)은 각각 상기 차량의 차챵용 표시장치(100)의 양 끝단을 밀폐하며, 상기 제2 밀폐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과 상기 채광 영역(102)의 경계에서 상기 제1 액정(111)과 상기 투과부(130)를 서로 밀폐한다.
즉, 상기 제1 액정(111)은 상기 제1 및 제2 밀폐부들(103, 104) 사이에서 봉입되며, 상기 투과부(130)는 상기 제2 및 제3 밀폐부들(104, 105)의 공간으로 정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액정(111)이 상기 투과부(130)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과 상기 채광 영역(102)의 구분이 명확하게 된다.
상기 강화부(150)는 상기 하부기판(121) 및 상기 상부기판(122)의 표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1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강화부(150)의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강화필름을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강화부(150)를 대신하여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포함하는 투명한 고분자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객들은 상기 채광영역(102)을 통해 외부 조망을 볼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을 통해 광고 및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광고 및 영상으로 인한 눈의 피로와 지루함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300)는 유기발광층(200)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의 상기 제1 표시층(110)에 상기 제1 액정(111)과 상기 백라이트(160)가 배치되지 않고 유기발광층(200)이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채광영역(102)의 구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채광영역의 구조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층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박막트랜지스터, 애노드(anode), 도전층, 발광층 및 캐소드(cathode)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기판(122) 및 상기 하부기판(121)의 사이에 상기 유기발광층(20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형성된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외부의 광을 투과시키는 창문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형성된 상기 하부기판(121) 상에는 TFT 및 TFT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판(122) 상에는 애노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을 통해서는 필요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유기발광층(200)이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 풍경을 그대로 투과하는 투과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창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 풍경을 투과하면서도 정보가 표시되는 투과-표시창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TFT는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애노드가 단위영역마다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위영역은 개별적인 발광소자들로 작동하며 하나의 화소로서 상기 유기발광층(200)에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TFT를 제어하면 상기 화소들 각각의 색 또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어 상기 차량(10)의 차창용 표시장치로 쓰일 경우 외부의 풍경을 관람하는 승객의 시야를 막지 않으면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애노드는 전류가 흐를 경우 정공(hole)들이 생성되어 상기 도전층을 거쳐 상기 발광층으로 이동하며, 상기 캐소드는 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electron)들이 생성되어 상기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정공과 상기 전자들이 상기 발광층에서 만나 결합하면 엑시톤(exciton)이라는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엑시톤이 들뜬 상태에서 안정화되기 시작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상기 AMOLED 구조 외에 PMOLED(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형성된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상기 차량(10)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상기 TFT를 통해 상기 유기발광층(200) 각각의 화소별로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유기발광층(2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AMOLED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각 발광 소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내장하여 각 소자의 발광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상기 AMOLED는 상기 PMOLED 방식에 비해 정교한 화면을 구현하기 쉬우며, 소비 전력도 줄어든다. 다만, 상대적으로 정교한 공정을 요구하고, 생산에 드는 비용도 높다. 하지만, 각각의 소자들의 발광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양면으로 빛이 발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차량을 포함하여, 버스 및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의 유리창 대신에 쓰일 수 있는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300)는, 대중교통의 내부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외부의 행인들에게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AMOLED의 효용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AMOLED는 전류를 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AMOLED를 통해 외부를 주시할 수 있으므로, 투과율을 높여 채광성을 살리면서 필요할 경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기발광층(200)이 상기 AMOLED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차량(10)의 내부 및 외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AMOLED 구조로 사용될 경우 내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어를 통해 상기 유기발광층(200)이 배치된 공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상기 유기발광층(200)을 통해 외부의 풍경을 바라보며 역으로 진입하기 시작한다면 상기 유기발광층(200)의 중앙부에만 빨간색 글자로 역에 도달했다는 표시를 알리고 나머지 공간에서는 외부의 풍경이 드러나도록 하여 상기 승객이 외부의 풍경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특정한 역에 도착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다.
또는, 속보나 상기 승객이 도달하는 역에 관한 중요한 정보가 발생할 시에는 상기 유기발광층(200)의 하단부나 상단부에 정보관련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여 상기 승객들이 외부의 풍경을 관람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일반적으로 투명하므로 낮에 상기 차량(10)이 이동할 경우 상기 유기발광층(200)으로 가해지는 전류를 차단하여 외부의 광을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고, 차량이나 버스 같은 대중교통의 창문에서 상기 차단부(140)는 다양한 색과 무늬를 나타내는 조명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200)의 구동부는 상기 유기발광층(200)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영상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하부에는 상기 TFT가 형성되어 화소별로 상기 유기발광층(200)의 밝기 및 색깔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200) 및 상기 차단부(140)의 위치는 상기 하부기판(121) 상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상기 하부기판(121) 및 상기 상부기판(122)을 향해 광을 발생시켜 양쪽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300)는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의 창문에 형성되어, 승객들 및 외부의 행인들이 지하철 및 버스의 내외부에서 상기 유기발광층(200)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광고의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400)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01)에는 유기발광층(200)이 형성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102)에는 제2 액정(211)이 형성된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형성된 액정층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102)에 형성되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형성된 유기발광층(200)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01)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102)의 구조는 도 2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01)의 구조는 도 3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를 통해, 승객은 낮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01)을 통해서는 외부광의 투과가 가능하므로 외부 풍경을 선택적으로 관람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102)을 통해서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밤에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1101, 1102)을 통해 각각 표시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낮에도 승객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101)을 통해서도 외부 풍경이 아닌 별도의 표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500)는 편광판(520)을 제외하고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4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500)는 상기 편광판(5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520)은 상기 하부기판(121) 및 상기 상부기판(122)의 표면과 상기 강화부(15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편광판(520)은 상기 하부기판(121)과 상기 하부 강화유리(151)의 사이, 및 상기 상부기판(122)과 상기 상부 강화유리(152)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투명한 유리에 비해 반투명한 성질을 가지지만 광이 관통하여 상기 차량(10)의 내부로 입사되기 때문에 상기 편광판(520)을 사용하여 과도한 광의 상기 차량(10) 내부로의 입사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520)은 외부 또는 상기 유기발광층(200)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입사량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편광판(520)을 통한 광의 광량제한을 통해 상기 승객은 상기 유기발광층(2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광량이 높은 경우, 상기 편광판(520)을 통해 상기 차량(10) 내부에 입사되는 광량이 제한되여 쾌적한 조명을 유지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차량(10) 내부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광량을 제한하여 외부에 과도한 광량이 발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영역(101)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들을 표시하면서, 채광영역을 통해 외부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영상을 통한 정보습득과 외부의 풍경 중 승객들이 원하는 곳을 바라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서 정보의 표시를 위해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유기발광디스플레이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유기발광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상대적으로 얇은 구조가 가능하므로 두 겹으로 형성하여 상기 차량(10)의 내부 및 외부를 향해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반투명의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승객이 외부를 관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층(200)은 상기 AMOLED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TFT를 사용하여 각각의 화소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 및 영역에 한정하여 상기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편광판(520)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 또는 상기 유기발광층(200)이 발산하는 광의 입사량을 제어할 수 있어 밝은 낮에도 상기 영상의 선명한 표시가 가능하고 외부의 광을 이용하여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는 버스, 지하철 및 차량에서 차창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300, 400, 500: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101: 디스플레이 영역 102: 채광영역
103: 제1 밀폐부 104: 제2 밀폐부
105: 제3 밀폐부 111: 제1 액정
120: 기판부 121: 하부기판
122: 상부기판 140: 차단부
142: 자외선차단필름 150: 강화부
151: 하부강화유리 152: 상부강화유리
160: 백라이트 200: 유기발광층
211: 제2 액정 520: 편광판
1101 : 제1 디스플레이 영역 1102 : 제2 디스플레이 영역

Claims (9)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광을 통과시키는 채광 영역으로 분리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채광 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며,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배치되며,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승객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층을 포함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채광 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기판의 외면에 배치되는 상부 강화유리 및 상기 하부 기판의 외면에 배치되는 하부 강화유리를 포함하는 강화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채광 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상부 강화유리의 사이,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 강화유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액정을 포함하여, 상기 액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사이에 봉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강화유리 사이에 상기 액정으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영역에서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의 사이는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유기발광층을 포함하여,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7.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걸쳐 배치되며,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며,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배치되며,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의 사이에 봉입되어 승객에게 영상을 표시하거나 외부 광을 투과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배치되며, 상기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의 사이에 봉입되어 승객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하부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으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9. 제1항 및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차량의 차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KR1020150088554A 2015-06-22 2015-06-22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KR20160150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554A KR20160150487A (ko) 2015-06-22 2015-06-22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554A KR20160150487A (ko) 2015-06-22 2015-06-22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87A true KR20160150487A (ko) 2016-12-30

Family

ID=5773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554A KR20160150487A (ko) 2015-06-22 2015-06-22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78A (ko) 2017-10-17 2019-04-25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투명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78A (ko) 2017-10-17 2019-04-25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투명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537B1 (ko) 제어 가능한 마스킹 디스플레이를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US9343004B2 (en) LCD TFT sign for on-board use in public transportation
KR101252294B1 (ko) 투명 정보 전달 윈도우
JP7400732B2 (ja) 透明ディスプレイを備える透明ガラス、コントローラー、透明表示機器、及び透明ガラスの用法
EP2745288B1 (en) Window including integrated display signage
US9715103B2 (en) Display device
EP2765475A2 (en)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panel with integrated logo
CN103299356A (zh) 显示装置
EP2607940B1 (en) Windshield display system using electrowetting lenses.
CN114994966B (zh) 显示和挡光屏幕
US8922533B2 (en) Micro-electro-mechanical display module and display method
CN215322261U (zh) 车窗玻璃、显示装置及车辆
CN113195285A (zh) 显示装置和包括该显示装置的车辆
KR101970997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부착/삽입형 난간 광고 장치
US20180267345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US12082456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pixel-based graphical content in two directions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display device
KR20160150487A (ko) 차량의 차창용 표시장치
US9245498B2 (en) Display system having a semitransparent display device displaying symbols with a contrasted outline
US20050270432A1 (en) Digital LCD Windshield Display Unit
KR20090034109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9069A (ko) 차량용 스마트키 탐색 시스템
KR101723983B1 (ko) 인몰드 라벨링에 의해 제작된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3141626U (ja) 表示部を有する自動車用サイドミラー
KR102648411B1 (ko) 투명 표시 장치
KR20140001824U (ko) 전망용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