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420A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420A
KR20160150420A KR1020150088379A KR20150088379A KR20160150420A KR 20160150420 A KR20160150420 A KR 20160150420A KR 1020150088379 A KR1020150088379 A KR 1020150088379A KR 20150088379 A KR20150088379 A KR 20150088379A KR 20160150420 A KR20160150420 A KR 2016015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
hybrid vehicle
vehicle
value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기
이성화
이형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50420A/ko
Publication of KR2016015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B60L11/1861
    • B60L11/18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8Distance trav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연비 향상을 위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분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주행 거리 정보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타겟 SOC를 나타내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SOC 레퍼런스 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베터리 SOC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분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에너지 자원의 고갈은 물론, 에너지 수요의 폭증에 따라, 세계 각국은 석유 의존 경제로부터의 탈피와 이를 통한 에너지 안보 및 자주의 확보를 위하여 신재생 에너지 등을 활용한 분산 발전 시스템의 대중화와 석유 의존 경제의 핵심적 과제인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원의 변화를 추구해왔다. 이를 통해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의 지역 분산 발전 시스템이 전국적으로 널리 설치되었고, 이러한 흐름은 정부의 꾸준한 보급 노력으로 앞으로도 확대될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지역 분산 발전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 중앙 전력망의 일방적 확대를 지양하고, 각 수요처의 특성에 맞도록 전력 수급을 유연하게 할 수 있어, 단순히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환경 부담을 덜어주는 방식의 발전 방식이라는 특성, 그 이상의 효과가 있다.
한편,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원 변화로서는, 기존의 석유제품, 즉 가솔린, 경유, LPG 등의 연료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배터리를 보조 동력원으로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이 등장하였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회생제동 또는 기존의 엔진을 구동하여 발전기(제너레이터)를 구동하여, 발전기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을 자동차 내 설치된 배터리로 충전한다. 이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은 하이브리드 특유의 동력 제어를 이용한 전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전환되고, 이 구동력은 엔진의 구동력과 함께 속도 구간별, 토크 구간별로 적당히 분배 사용함으로써, 단위 주행구간 당 연료 소모를 줄여 전체적인 연비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내고 있다.
반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기존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단순히 엔진의 연료 소모율을 높이고 주행 중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보조 동력원으로서 이용됨에 대해, 이를 벗어나 적극적으로는 자동차 주행에 있어서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발전된 방식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는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크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배터리가 충전된 상태에서는 EV(Electric Vehicle) 모드로 주행하고, 배터리가 고갈되면 HEV(Hbrid Electric Vehicle) 모드로 주행한다. 즉, 기존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 모터만을 이용하는 EV 모드로 주행후 배터리 SOC(State Of Charge)가 임계값 이하로 낮아지면 HEV 모드로 주행하기 때문에, 효율이 낮은 저속 구간에서 엔진이 구동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연비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7808호가 있다.
본 발명은 연비 향상을 위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주행 거리 정보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타겟 SOC를 나타내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SOC 레퍼런스 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베터리 SOC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주행 거리 정보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및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타겟 SOC를 나타내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레퍼런스 정보 생성부; 및 상기 SOC 레퍼런스 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베터리 SOC를 제어하는 SOC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에너지가 주행중에 지속적으로 차량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달리 저속 구간에서도 전기 에너지가 이용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OC 레퍼런스 값과, SOC 레퍼런스 값에 따라 조절된 배터리 SOC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누적 휠 에너지(Energywhl)와, 실제 주행 거리(distance)를 비교한 도면으로서, NEDC(New European Driving Cycle) 모드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주행 거리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누적 휠 에너지 패턴과 유사하게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가 소비될 수 있도록 차량의 배터리 충전량 즉, SOC를 제어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휠 에너지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누적 휠 에너지 패턴과 유사하게 차량의 배터리 SOC 패턴이 형성되도록 전기 에너지 사용을 제어하면,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가 차량의 운행 종료 시점까지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휠 에너지는 휠의 토크 및 각속도의 곱으로 구해질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에너지의 패턴은 비선형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누적 휠 에너지의 패턴과 유사한 주행 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SOC를 제어하며, 결국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에너지가 주행중에 지속적으로 차량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종래와 달리 저속 구간에서도 전기 에너지가 이용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누적 휠 에너지는 [수학식 1]과 같이 구해질 수 있으며, 실제 주행 거리는 [수학식 2]와 같이 구해질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01
는 휠의 토크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02
는 휠의 각속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Figure pat00003
는 휠 스피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는 정보 수신부(210), 레퍼런스 정보 생성부(220) 및 SOC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210)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주행 거리 정보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다. 제1주행 거리 정보는 운전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목적지를 네비게이션에 입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출발지는 차량의 GPS 장치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제2주행 거리는 차량의 휠속도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수학식 2]와 같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때, tfinal이 제어 시점이 될 수 있다.
레퍼런스 정보 생성부(220)는 제1 및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겟 SOC를 나타내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한다. SOC 제어부(230)는 SOC 레퍼런스 값에 따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베터리 SOC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상태의 베터리 SOC 값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SOC인 SOC 레퍼런스 값을 추적하며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퍼런스 정보 생성부(220)는 제1 및 제2주행 거리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남은 주행 거리가 감소할수록 감소하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즉, SOC 레퍼런스 값과 제2주행 거리는 반비례 관계이며, 레퍼런스 정보 생성부(220)는 일실시예로서,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제2주행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Figure pat00007
는 SOC 초기값이며,
Figure pat00008
는 SOC 초기값보다 작은 SOC 최종 값이다. 그리고
Figure pat00009
는 제1주행 거리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0
는 제2주행 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2주행 거리가 0인 경우, 즉 출발 시점과 제어 시점이 동일한 경우에는 SOC 레퍼런스 값은 SOC 초기 값이 되며, 제1주행 거리와 제2주행 거리가 동일한 경우, 즉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에는 SOC 레퍼런스 값은 SOC 최종 값이 된다. 결국, SOC 레퍼런스 값은 초기 값에서, 최종 값으로 감소한다. SOC 최종 값이 0에 근접한 경우,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할 때 차량의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대부분 소모된다. 한편, 초기 값 및 최종 값은 운전자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또는 제어 전략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SOC 제어부(230)는 SOC 레퍼런스 값과 주행 상태의 SOC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한다. 즉, SOC 제어부(230)는 주행 상태의 SOC 값이 SOC 레퍼런스 값을 추적하도록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하며, 일실시예로서, 차량의 연료 에너지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결정하는 등가 인자(equavalent factor) 값을 조절하여 차량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SOC 제어부(230)는 SOC 레퍼런스 값과 주행 상태의 SOC 값을 비교하는 SOC 비교부 및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등가 인자 값을 조절하는 등가 인자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SOC 제어부(230)는 [수학식 4]를 이용하여, 등가 인자를 결정할 수 있으며, SOC 레퍼런스 값과 주행 상태의 SOC 값의 차이가 커질수록 등가 인자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K는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상수이다.
Figure pat00011
결정된 등가 인자를 이용하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수학식 5]와 같이, 연료 에너지 및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Figure pat00013
는 주행중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겟 에너지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4
는 연료 에너지,
Figure pat00015
는 전기 에너지를 나타낸다. 타겟 에너지가 결정되었을 때, 등가 인자 값이 커지면 전기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등가 인자 값이 작아지면 전기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한다. 즉, 연료 에너지 사용량은 등가 인자 값이 커질수록 커지고, 전기 에너지 사용량은 등가 인자 값이 작아질수록 커진다.
본 발명에 따른 SOC 레퍼런스 값과, SOC 레퍼런스 값(SOC-ref)에 따라 조절된 주행 상태의 배터리 SOC(SOC(t))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주행 거리가 증가할수록 SOC 레퍼런스 값은 감소하고, 감소하는 SOC 값에 따라 배터리 SOC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1200초 동안 주행이 이루어질 때, 배터리 SOC가 높은 초반에 전기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지 않고, 주행 시간 동안 비교적 일정하게 소모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동안 전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저속 구간과 같이 연료 효율이 좋지 않은 구간에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와 같이 NEDC 모드가 8사이클 반복할 때,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는 기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 사용량(CDCS)과 본 발명이 적용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 사용량(ECMS)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초반에 배터리를 모두 사용하므로, 초반 연료 사용량은 기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더 적다. 하지만 기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배터리를 모두 사용한 이후 연료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결국 총 연료 사용량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더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설명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도 2에서 설명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목적지까지의 제1주행 거리 정보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입력받고(S510), 제1 및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타겟 SOC를 나타내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S520)한다.
이 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제1 및 제2주행 거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남은 주행 거리가 감소할수록 감소하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며, SOC 초기 값에서, SOC 최종 값으로 감소하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SOC 레퍼런스 값에 따라, 차량의 베터리 SOC를 제어(S530)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SOC 레퍼런스 값과 주행 상태의 SOC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일실시예로서 차량의 연료 에너지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결정하는 등가 인자 값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SOC 레퍼런스 값과 주행 상태의 SOC 값의 차이가 커질수록 등가 인자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차량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차량의 휠속도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주행 거리 정보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타겟 SOC를 나타내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SOC 레퍼런스 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베터리 SOC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주행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남은 주행 거리가 감소할수록 감소하는 상기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초기 값 및 최종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값에서, 상기 최종 값으로 감소하는 상기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터리 SOC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SOC 레퍼런스 값과 주행 상태의 SOC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연료 에너지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결정하는 등가 인자 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에너지 사용량은 상기 등가 인자 값이 커질수록 커지고, 상기 전기 에너지 사용량은 등가 인자 값이 작아질수록 커지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등가 인자 값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SOC 레퍼런스 값과 상기 주행 상태의 SOC 값의 차이가 커질수록 상기 등가 인자 값을 증가시키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휠속도 및 상기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8.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주행 거리 정보 및 출발 시점부터 제어 시점까지의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및 제2주행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타겟 SOC를 나타내는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레퍼런스 정보 생성부; 및
    상기 SOC 레퍼런스 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베터리 SOC를 제어하는 SOC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주행 거리를 비교하고, 남은 주행 거리가 감소할수록 감소하는 상기 SOC 레퍼런스 값을 생성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OC 제어부는
    상기 SOC 레퍼런스 값과 주행 상태의 SOC 값을 비교하는 SOC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연료 에너지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결정하는 등가 인자 값을 조절하는 등가 인자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에너지 사용량은 상기 등가 인자 값이 커질수록 커지고, 상기 전기 에너지 사용량은 등가 인자 값이 작아질수록 커지는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장치.
KR1020150088379A 2015-06-22 2015-06-2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50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79A KR20160150420A (ko) 2015-06-22 2015-06-2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79A KR20160150420A (ko) 2015-06-22 2015-06-2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20A true KR20160150420A (ko) 2016-12-30

Family

ID=5773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379A KR20160150420A (ko) 2015-06-22 2015-06-2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4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784A (ko) * 2017-01-05 2018-07-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027625B2 (en) 2017-09-12 2021-06-08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784A (ko) * 2017-01-05 2018-07-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027625B2 (en) 2017-09-12 2021-06-08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563B2 (en) PHEV energy management control with trip-oriented energy consumption preplanning
Onori et al. On Adaptive-ECMS strategies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KR102371236B1 (ko) 친환경 차량의 타행 주행 제어 방법
Akhegaonkar et al. Smart and green ACC: Energy and safety optimization strategies for EVs
CN106043288B (zh) 用于减少混合电动车辆的废气的系统和方法
CN108944903B (zh) 混合动力车辆
KR101260030B1 (ko) 직렬형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동력분배방법
CN104608764A (zh) 车辆和动力传动系控制系统以及运转该系统的方法
JP5656736B2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CN107640038B (zh) 插电式混合动力电动汽车及其能量管理方法
KR20180032092A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4024039A (zh) 车辆和车辆的控制方法
CN111204231A (zh) 车辆的控制系统
JP6435789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車両の出力制御装置
CN103906652B (zh) 车辆和车辆的控制方法
JP2017534522A (ja) 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Liu et al. Fuel Minimization of a Hybrid Electric Racing Car by Quasi-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KR20130037028A (ko) 차량용 고속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50420A (k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026400A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량 최적화 제어 장치 및 그의 충전량 최적화 제어 방법
Kazemi et al. Utilizing situational awareness for efficient control of powertrain in parallel hybrid electric vehicles
Larsson et al. Comparing two approaches to precompute discharge strategies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CN104890664A (zh) 驱动控制系统以及具备驱动控制系统的移动体
KR102529600B1 (ko)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 방법 및 하이브리드 차량 제어를 위한 soc 궤적 생성 방법
Qiu et al. Power distribution scheduling for electric vehicles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