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974A -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 Google Patents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974A
KR20160149974A KR1020150161860A KR20150161860A KR20160149974A KR 20160149974 A KR20160149974 A KR 20160149974A KR 1020150161860 A KR1020150161860 A KR 1020150161860A KR 20150161860 A KR20150161860 A KR 20150161860A KR 20160149974 A KR20160149974 A KR 2016014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shock
absorbing portion
absorb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179B1 (ko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Publication of KR2016014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있어서, 구멍이 관통 형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복수 개의 메인 충격흡수부; 및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 측면을 보호하는 한 쌍의 측면 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Internal material for shock absorption of the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현장에서 충격이나 추락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모를 의무적으로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모는 모체, 해드밴드 및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내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부재는 스티로폼 및 우레탄폼 등으로 발포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으로,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 모체와 착용자의 머리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내부재는 주로 스티로폼으로 많이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티로폼은 통풍이 잘 되지 않아 땀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곤 하였다.
이처럼 내부재가 스티로폼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이즈 조절이 어렵게 되면서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내부재를 자주 교체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 중 스티로폼을 이루는 미세한 덩어리들의 박리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이로 인한 작업환경에서 곰팡이 등이 생기는 현상으로 작업효율이 감소하곤 하였다.
뿐만 아니라, 내부재가 모체의 형상과 유사한 반구 형상으로 제조될 경우 충격에 의한 에너지가 내부재 전체로 직접 전달되면서 충격에너지의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체의 내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내부재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한 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37220호, 2005.12.09.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있어서, 구멍이 관통 형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복수 개의 메인 충격흡수부; 및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 측면을 보호하는 한 쌍의 측면 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는 제1 충격흡수부, 제2 충격흡수부, 제3 충격흡수부 및 제4 충격흡수부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차례대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는, 상기 중앙부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대칭리브와, 상기 한 쌍의 대칭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대칭연결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대칭연결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메인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대칭연결리브의 타측에는, 상기 모체와 상기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밴드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복수 개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체의 내면에는 핀과, 상기 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돌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대칭리브 단부에는 상기 돌기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로 이루어진 결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결착홀은, 상기 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핀이 수용되는 제1 결착홀; 상기 제1 결착홀의 일측에 연통되고, 상기 핀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핀을 고정하는 제2 결착홀; 및 상기 핀이 상기 제1 결착홀과 상기 제2 결착홀 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착홀과 상기 제2 결착홀의 사이에 상기 제2 결착홀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충격흡수부는 충격방지판과, 상기 충격방지판과 상기 중앙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연결리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격방지판에는, 상기 충격방지판이 유연성있게 구부러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보조홀; 및 상기 보조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충격방지부재와, 상기 보조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측면 충격흡수부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측면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충격방지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충격방지부재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띠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띠가 형성된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띠에는,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고정띠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후면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의 대칭리브에는, 상기 메인 충격방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상향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보조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충격흡수부와 상기 제4 충격흡수부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의 개수 합이 상기 제2 충격흡수부와 상기 제3 충격흡수부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의 개수 합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는, 메인 충격흡수부에 상향 돌출된 메인 충격방지부재와, 측면 충격흡수부에 상향 돌출된 측면 충격방지부재가 모체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모체 내면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체의 돌기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1 결착홀, 제2 결착홀 및 슬라이딩로드로 이루어진 결착홀이 한 쌍의 대칭리브 단부에 형성됨으로써, 모체와의 결합력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 고정띠가 형성됨으로써,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와 모체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밴드의 높낮이를 착용 편의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띠에 후면 충격방지부재가 모체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 후면을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체와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의 결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충격방지부재 및 제2 충격방지부재의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는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제조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ABS수지로 이루어진 모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는 메인 충격흡수부(100)와 측면 충격흡수부(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로, 메인 충격흡수부(100)는 구멍(102a)이 관통 형성된 중앙부(10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 충격흡수부(100a), 제2 충격흡수부(100b), 제3 충격흡수부(100c) 및 제4 충격흡수부(100d)로 이루어져 중앙부(102)의 둘레를 따라 차례대로 형성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메인 충격흡수부(100)는 중앙부(102)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대칭리브(110)와, 한 쌍의 대칭리브(110) 사이를 연결하는 대칭연결리브(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칭연결리브(130)의 일측에는 모체(10)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메인 충격흡수부(100)를 모체(10)의 내면으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는 원형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의 메인 충격방지부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충격에 의해 메인 충격방지부재(132)의 일단부가 모체(10)의 내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면서, 모체(10)의 내면과 메인 충격흡수부(1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 착용자의 머리가 모체(10)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메인 충격방지부재(132)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육각 기둥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충격 시 메인 충격방지부재(1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무수한 실험을 해본 결과, 메인 충격방지부재(132)가 원통 형상이면 외부충격을 견디기에 다소 어려워 구겨질 가능성이 있으나, 육각 기둥으로 형성됨에 따라 여섯 개의 각을 이루어 외부충격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메인 충격방지부재(132)가 육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개시하였하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대칭연결리브(130)의 타측에는 모체(10)와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밴드(미도시)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복수 개의 체결공(134a)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13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134)와 헤드밴드와의 결합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한 정도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체(10)와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체(10)에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가 결합되는 방식을 알 수 있다.
내용인즉, 모체(10)의 내면에는 핀(12a)과, 핀(12a)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편(12b)으로 이루어진 돌기부재(12)가 설치되며, 한 쌍의 대칭리브(110) 단부에는 돌기부재(12)에 탈착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122)로 이루어진 결착부재(120)가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결착홀(122)은 제1 결착홀(122a), 제2 결착홀(122b) 및 슬라이딩로드(122c)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착홀(122a)은 핀(12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핀(12a)이 수용되는 구성이며, 제2 결착홀(122b)은 제1 결착홀(122a)의 일측에 연통되고 핀(12a)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핀(12a)을 고정하는 구성이며, 슬라이딩로드(122c)는 핀(12a)이 제1 결착홀(122a)과 제2 결착홀(122b) 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1 결착홀(122a)과 제2 결착홀(122b)의 사이에 제2 결착홀(122b)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착홀(122)이 돌기부재(12)에 결합되는 원리를 설명해보자면, 제1 결착홀(122a)에 헐겁게 끼워 맞춰 수용된 핀(12a)이 슬라이딩로드(122c)를 통해 제2 결착홀(122b)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딩로드(122c)는 제2 결착홀(122b)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되, 핀(12a)의 직경보다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2 결착홀(122b)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된 핀(12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결착부재(120)의 외측에는 단턱(124)이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단턱(124)은 제2 결착홀(122b)에 고정된 핀(12a)의 상부에 돌출된 걸림편(12b)의 외측을 감싸 돌기부재(12)의 안정적인 고정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메인 충격흡수부(100)의 대칭리브(110)에는 메인 충격방지부재(13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상향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보조 충격방지부재(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충격흡수부(100a)와 제4 충격흡수부(100d)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112)의 개수 합이, 제2 충격흡수부(100b)와 제3 충격흡수부(100c)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112)의 개수 합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자면, 제1 충격흡수부(100a)와 제4 충격흡수부(100d)는 착용자의 머리 후면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제2 충격흡수부(100b)와 제3 충격흡수부(100c)는 착용자의 머리 전면에 대응되는 부분이다. 말하자면, 착용자의 머리 후면에 대응되는 제1 충격흡수부(100a)와 제4 충격흡수부(100d)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112)의 개수 합을, 제2 충격흡수부(100b)와 제3 충격흡수부(100c)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112)의 개수 합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게 함으로써, 안전모 착용시 착용자의 머리 후면을 안정적으로 받쳐줌으로써 안정감을 더 향상시켜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로, 측면 충격흡수부(200)는 메인 충격흡수부(1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 측면을 보호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충격방지판(210)과, 충격방지판(210)과 중앙부(10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리브(220)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측면 충격흡수부(200)는 제1 충격흡수부(100a)와 제2 충격흡수부(100b)의 사이와, 제3 충격흡수부(100c)와 제4 충격흡수부(100d)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충격방지판(210)은 보조홀(214)과 측면 충격방지부재(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보조홀(214)은 충격방지판(210)이 유연성있게 구부러지도록 충격방지판(21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충격방지판(210)의 중앙에 보조홀(214)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모체(10) 내부에서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충격방지판(210)의 플렉시블한 굽힘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보조홀(214)을 형성시키는 또 다른 이유로는 사출 제조 시 제품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인데, 만약 충격방지판(210)에 보조홀(214)이 관통 형성되지 않으면 흐름성을 비롯한 가공성 개선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으므로, 보조홀(214)이 형성되도록 사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측면 충격방지부재(212)는 모체(10)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측면 충격흡수부(200)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조홀(214)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충격방지부재(212a)와, 원형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조홀(214)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충격방지부재(212b)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제2 충격방지부재(212b)와 달리 제1 충격방지부재(212a)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안전모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은 주로 머리의 상부 측면에 가해져 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 상부 측면에 보다 넓은 범위의 충격방지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충격방지부재(212a) 및 제2 충격방지부재(212b)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충격방지판(210)의 하면을 도시하였으며, 도 4-(b)는 충격방지판(210)의 측면을 도시하였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충격방지부재(212a)의 높이가 제2 충격방지부재(212b)의 높이보다 더 놓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제1 충격방지부재(212a) 및 제2 충격방지부재(212b)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 전달에 따른 흡수를 효율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이중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제2 충격방지부재(212b)보다 제1 충격방지부재(212a)가 머리의 상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하는데, 이러한 위치로 인하여 외부충격이 제1 충격방지부재(212a)에 먼저 전달된다.
다시 말해, 안전모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제2 충격방지부재(212b)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제1 충격방지부재(212a)에서 먼저 충격을 1차 흡수한 후, 제1 충격방지부재(212a)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2 충격방지부재(212b)에서 충격을 2차 흡수하는 이중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측면 충격방지부재(212) 즉, 제1 충격방지부재(212a) 및 제2 충격방지부재(212b)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육각 기둥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충격 시 측면 충격방지부재(212)의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측면 충격방지부재(212)가 원통 형상이면 외부충격을 견디기에 다소 어려워 측면 충격방지부재(212)가 구겨지면서 착용자의 머리 측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해 주기에는 부족할 수 있으나, 여섯 개의 각을 이루는 육각 기둥은 구겨짐 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 측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적으로, 연결리브(220)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모체(10)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면 충격흡수부(200)와 모체(10) 내면과 유연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셋째로, 추가적 구성을 덧붙여, 제1 충격흡수부(100a) 또는 제4 충격흡수부(100d) 중 일측에는 고정홀(310)이 관통 형성된 고정띠(3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고정띠(300)가 형성된 제1 충격흡수부(100a) 또는 제4 충격흡수부(100d)를 제외한 제1 충격흡수부(100a) 또는 제4 충격흡수부(100d) 중 일측에는 고정홀(310)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14)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고정띠(300)에는 모체(10)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모체(10)의 내면으로부터 고정띠(300)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후면 충격방지부재(31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면 충격방지부재(312)를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육각 기둥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외부충격 시 후면 충격방지부재(3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무수한 실험을 해본 결과, 후면 충격방지부재(312)가 원통 형상이면 외부충격을 견디기에 다소 어려워 착용자의 머리 후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해줄 수 없으나, 여섯 개의 각을 이루는 육각 기둥은 외부충격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메인 충격흡수부(100)에 상향 돌출된 메인 충격방지부재(132)와, 측면 충격흡수부(200)에 상향 돌출된 측면 충격방지부재(212)가 모체(1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모체(10) 내면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모체(10)의 돌기부재(12)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1 결착홀(122a), 제2 결착홀(122b) 및 슬라이딩로드(122c)로 이루어진 결착홀(122)이 한 쌍의 대칭리브(110) 단부에 형성됨으로써, 모체(10)와의 결합력이 용이하다.
또한 제1 충격흡수부(100a) 또는 제4 충격흡수부(100d) 중 일측에 고정띠(300)가 형성됨으로써,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와 모체(10)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밴드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띠(300)에 후면 충격방지부재(312)가 모체(1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 후면을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모체 12: 돌기부재
12a: 핀 12b: 걸림편
100: 메인 충격흡수부 100a: 제1 충격흡수부
100b: 제2 충격흡수부 100c: 제3 충격흡수부
100d: 제4 충격흡수부 102: 중앙부
102a: 구멍 110: 대칭리브
112: 보조 충격방지부재 114: 고정돌기
120: 결착부재 122: 결착홀
122a: 제1 결착홀 122b: 제2 결착홀
122c: 슬라이딩로드 124: 단턱
130: 대칭연결리브 132: 메인 충격방지부재
134: 체결부재 134a: 체결공
200: 측면 충격흡수부 210: 충격방지판
212: 측면 충격방지부재 212a: 제1 충격방지부재
212b: 제2 충격방지부재 214: 보조홀
220: 연결리브 300: 고정띠
310: 고정홀 312: 후면 충격방지부재

Claims (7)

  1.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있어서,
    구멍이 관통 형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복수 개의 메인 충격흡수부; 및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 측면을 보호하는 한 쌍의 측면 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는 제1 충격흡수부, 제2 충격흡수부, 제3 충격흡수부 및 제4 충격흡수부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차례대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는,
    상기 중앙부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대칭리브와, 상기 한 쌍의 대칭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대칭연결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대칭연결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메인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대칭연결리브의 타측에는,
    상기 모체와 상기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밴드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복수 개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의 내면에는 핀과, 상기 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돌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대칭리브 단부에는 상기 돌기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로 이루어진 결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결착홀은,
    상기 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핀이 수용되는 제1 결착홀;
    상기 제1 결착홀의 일측에 연통되고, 상기 핀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핀을 고정하는 제2 결착홀; 및
    상기 핀이 상기 제1 결착홀과 상기 제2 결착홀 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착홀과 상기 제2 결착홀의 사이에 상기 제2 결착홀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충격흡수부는 충격방지판과, 상기 충격방지판과 상기 중앙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연결리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격방지판에는,
    상기 충격방지판이 유연성있게 구부러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보조홀; 및
    상기 보조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충격방지부재와, 상기 보조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측면 충격흡수부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측면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방지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충격방지부재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띠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띠가 형성된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띠에는,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고정띠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후면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의 대칭리브에는,
    상기 메인 충격방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상향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보조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충격흡수부와 상기 제4 충격흡수부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의 개수 합이 상기 제2 충격흡수부와 상기 제3 충격흡수부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의 개수 합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KR1020150161860A 2015-06-18 2015-11-18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KR101725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704 2015-06-18
KR20150086704 2015-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974A true KR20160149974A (ko) 2016-12-28
KR101725179B1 KR101725179B1 (ko) 2017-04-11

Family

ID=5772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860A KR101725179B1 (ko) 2015-06-18 2015-11-18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1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692Y1 (ko) * 1984-07-02 1986-04-24 최용근 충격흡수용 안전모의 내피
KR100537220B1 (ko) 2004-01-14 2005-12-20 주식회사 산청 안전모 내피와 그 제조방법
JP5591984B1 (ja) * 2013-07-19 2014-09-17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
JP2015025226A (ja) * 2013-07-29 2015-02-05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692Y1 (ko) * 1984-07-02 1986-04-24 최용근 충격흡수용 안전모의 내피
KR100537220B1 (ko) 2004-01-14 2005-12-20 주식회사 산청 안전모 내피와 그 제조방법
JP5591984B1 (ja) * 2013-07-19 2014-09-17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
JP2015025226A (ja) * 2013-07-29 2015-02-05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179B1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098B2 (ja) 回転衝撃緩和ヘルメット
JP5878202B2 (ja) 産業用安全帽
KR20130062076A (ko) 2중 충격 감쇄형 안전모
US10595577B1 (en) Lewis helmet
JP7373356B2 (ja) 保護帽
KR101725179B1 (ko)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JP6236243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US20160242486A1 (en) Impact diverting helmet system
JP5591984B1 (ja) ヘルメット
KR101590581B1 (ko) 접이식 헬멧
JP5540138B2 (ja) ヘルメット
JP5307573B2 (ja) ヘルメット装着具
JP6335043B2 (ja) 産業用安全帽
JP6414963B2 (ja) ヘルメット
JP7327035B2 (ja) ヘルメット
JP6236566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JP6236244B2 (ja)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バンド
JP6236567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JP7363020B2 (ja) 衝撃を吸収する構造、およびヘルメット
JP6247143B2 (ja) ヘルメット
JP6474224B2 (ja) ヘルメット
JP2017133124A (ja) 安全帽用ハンモック
JP5694589B2 (ja) ヘルメット
JP5475370B2 (ja) ヘルメット及びヘルメット用ライナー
KR200342128Y1 (ko) 안전모의 헤드밴드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