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637A - 인고트 주형장치 - Google Patents

인고트 주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637A
KR20160149637A KR1020150086933A KR20150086933A KR20160149637A KR 20160149637 A KR20160149637 A KR 20160149637A KR 1020150086933 A KR1020150086933 A KR 1020150086933A KR 20150086933 A KR20150086933 A KR 20150086933A KR 20160149637 A KR20160149637 A KR 20160149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sprue
mold
curved surface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637A/ko
Publication of KR2016014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12Appurtenances, e.g. for sintering, for preventing spl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인고트 주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인고트 주형장치는: 용강이 하향 주입되는 탕구부와, 탕구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탕도부와, 인고트의 주형을 이루며, 탕도부를 통과한 용강이 내부에 주입되는 주형부와, 주형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탕도부와 연결되며, 주형부로 인입되는 용강의 수평 방향 유동을 유도하는 수평면을 가지는 평활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고트 주형장치{INGOT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고트 주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고트를 주조하기 위한 인고트 주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고트(ingot)를 제조하는 방식은 주형의 하측으로부터 용강을 주입하는 하주법과, 주형의 상측으로부터 용강을 주입하는 상주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용강을 하주입으로 주입하는 경우, 용강은 래들로부터 탕구, 탕도를 통해 주형 내부로 주입되어 채워지게 되고, 목적한 높이까지 채워지면 주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457235호(2004.11.04. 등록, 발명의 명칭: 대형 스텐레스 강괴 주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인고트 및 단조 제품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고트 주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는: 용강이 하향 주입되는 탕구부; 상기 탕구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탕도부; 인고트의 주형을 이루며, 상기 탕도부를 통과한 용강이 내부에 주입되는 주형부; 및 상기 주형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탕도부와 연결되며, 상기 주형부로 인입되는 용강의 수평 방향 유동을 유도하는 수평면을 가지는 평활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활주입부는, 상기 주형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주입홀부; 및 상기 주입홀부의 상부에 상기 주입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용강의 측방향 유동을 유도하는 확장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홀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장단턱부는, 상기 주입홀부의 둘레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확장부; 및 상기 수평확장부의 가장자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확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장단턱부는, 상기 수평확장부와 상기 확산안내부의 경계부에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1곡면연결부; 및 상기 확산안내부의 상부에 상기 주형부의 바닥면과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2곡면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탕구부는, 상기 주형부보다 연장된 수직 방향 길이를 가지는 탕구본체부; 및 용강이 유동되는 통로를 이루도록 상기 탕구본체부 상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난류완화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탕도부는, 상기 탕구부와 상기 주형부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탕도본체부; 상기 탕구본체부 상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용강이 유동되는 통로를 이루는 탕도유로부; 및 상기 탕구부에서 낙하되는 용강의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상기 탕구부와의 연결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탕구부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충격완화부; 및 상기 제1충격완화부의 상부에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에 의하면, 주형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용강의 유동이 평활주입부에 의해 보다 확장된 횡면적에 걸쳐 분산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용강 표면에 형성된 피막층의 요동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피막제에 의한 인고트의 결함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단조 제품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B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의 충격완화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 3과 비교하여 설명하고자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의 평활주입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의 평활주입부에 의한 주형 내 용강의 유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B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의 충격완화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 3과 비교하여 설명하고자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의 평활주입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의 평활주입부에 의한 주형 내 용강의 유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1)는 탕구부(10), 탕도부(20), 주형부(30), 평활주입부(40)를 포함한다.
탕구부(10)는 용강(2)의 하향 주입 및 유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탕도부(20)는 탕구부(10)의 하부와, 주형부(30)의 하부에 형성된 평활주입부(40)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부분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탕도부(20)의 일단부는 탕구부(10)와 연결되고, 탕도부(20)의 타단부는 평활주입부(40)와 연결된다.
주형부(30)는 인고트를 목적한 형상으로 주조하기 위한 주형을 이루는 부분이다. 탕구부(10)와 탕도부(20), 평활주입부(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용강(2)은 주형부(30)의 내부로 최종 진입되어 채워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유체의 형태를 가지는 단조 소재의 상태를 용강(2), 용강(2)이 주형부(30)의 내부에서 응고된 상태를 인고트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형부(30)는 인고트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내면부 형상을 가지는 주형본체(31)와, 주형본체(31)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주형부(30)의 바닥부를 이루는 디쉬(32)를 포함한다. 평활주입부(40)는 주형부(30)의 내부로 용강(2)이 최종 주입될 수 있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주형부(30)의 하부에, 즉 디쉬(32)상에 형성된다.
평활주입부(4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연장 경로 상에는 용강(2)의 수평 방향 유동을 유도하는 수평면이 형성된다. 평활주입부(40)를 통과하는 용강(2)의 일부는 수직 방향으로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평활주입부(40)에 마련된 수평면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유동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탕구부(10)는 탕구본체부(11)와 난류완화유로부(12)를 포함한다.
탕구본체부(11)는 탕구부(10)의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용강(2)에 대한 내화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주형부(30)보다 연장된 수직 방향 길이를 가진다. 탕구본체부(11)의 상단부는 주형부(30)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주형부(30)보다 상측에서 용강(2)을 주입함으로써, 주형부(30)측의 용강(2)이 탕구부(10)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난류완화유로부(12)는 용강(2)이 유동되는 수직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탕구본체부(11) 상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난류완화유로부(12)는 탕구본체부(11)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난류완화유로부(12)의 상부로 투입된 용강(2)은 중력가속도에 의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속도가 빨라지면서 난류완화유로부(12)의 하부에 도달된다. 베르누이 법칙에 따르면, 용강(2)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난류완화유로부(12)의 하부가 상부에 비해 용강(2)의 압력이 낮게 조성된다. 난류완화유로부(12)가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한 횡단면 너비를 가지는 경우, 난류완화유로부(12)의 하부의 충진률이 그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이에 따라 난류완화유로부(12)의 하부에는 난류가 발생하기 쉽다.
상기와 같이 난류완화유로부(12)를 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하면, 용강(2)이 난류완화유로부(12)의 상부에서 하부에 도달되기까지 난류완화유로부(12)내에 일정한 충진율로 채워진 상태로, 난류가 발생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하향 유동될 수 있다.
난류완화유로부(12)의 하부를 상부에 비해 좁은 너비로 형성함에 있어서는, 난류완화유로부(12)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에 걸쳐 그 내면부가 일정한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진 형상에 의하면, 난류완화유로부(12)가 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면서도 연속된 표면을 가지게 되므로 난류 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탕구부(10)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용강(2)의 난류에 의해 탕구본체부(11)가 마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모된 탕구본체부(11) 부분이 용강(2)에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난류로 인한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어, 인고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탕도부(20)는 탕도본체부(21), 탕도유로부(22), 충격완화부(23)를 포함한다.
탕도본체부(21)는 탕도부(20)의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용강(2)에 대한 내화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탕구부(10)와 주형부(30)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탕도유로부(22)는 용강(2)이 유동되는 수평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탕구본체부(11) 상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탕도유로부(22)는 탕도본체부(21)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일단부가 탕구부(1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평활주입부(40)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탕도유로부(22) 중 탕구부(10)와의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탕구부(10)와의 연결을 위해 'ㄴ'자 형상을 가진다(도 3 참조). 탕구부(10)를 통해 수직 낙하된 용강(2)은 탕도유로부(22) 중 탕구부(10)와의 연결부에서 그 흐름이 수평 방향으로 전환된다.
충격완화부(23)는 탕구부(10)에서 수직 낙하되는 용강의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탕도유로부(22) 중 탕구부(10)와의 연결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충격완화부(23)는 용강(2)이 충격완화부(23)의 표면을 타고 충격완화부(23)의 내외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매끈한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충격완화부(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半球)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탕도유로부(22) 중 탕구부(10)와의 연결부 하부에 충격완화부(23)를 형성하면, 탕구부(10)를 통해 수직 낙하되는 용강(2)은 충격완화부(23)가 제공하는 보다 확장된 표면적에 걸쳐 접하게 되면서, 그 충격력이 보다 완화된다. 또한, 충격완화부(23)의 곡면을 타고 그 유동이 수평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충격완화부(23) 상에 설정 두께로 미리 고여 있던 용강(2)은 하향 낙하된 용강(2)의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완충층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탕구부(10)에서 수직 낙하되는 용강(2)의 충격력과, 용강(2)의 유동이 수평 방향으로 원활하게 전환되지 않아 발생되는 난류로 인해 탕도본체부(21)가 마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모된 탕도본체부(21) 부분이 용강(2)에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난류로 인한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어, 인고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격완화부(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탕구부(10)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충격완화부(24)와, 제1충격완화부(24)의 상부에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충격완화부(2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용강(2)이 충격완화부(23)의 표면에 충돌 시, 용강(2)은 충격완화부(23)의 곡면의 접선과 직각되는 방향, 즉 충격완화부(23)의 곡률중심부를 향해 반탄되게 유도된다. 도 3에 도시된 충격완화부(2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충격완화부(24)에 의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제2충격완화부(25)에 의해 탕구부(10)와의 연결부 중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도 4상에서 우측부)와 접하게 되는 용강(2)의 유동을 그 진행이 이루어지는 수평 방향측(도 4상에서 좌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활주입부(40)는 주입홀부(41)와 확장단턱부(42)를 포함한다.
주입홀부(41)는 주형부(30)의 하부에, 즉 주형부(30)의 디쉬(32) 상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탕도부(20)를 통과한 용강(2)은 주입홀부(41)를 통해 주형부(30)의 내부로 최종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홀부(41)는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확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주입홀부(41)를 통과하는 용강(2)의 일부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입홀부(41)의 내면부와 접하는 일부는 자연히 수평 방향으로의 방향 성분을 가지게 된다.
확장단턱부(42)는 주입홀부(41)의 상부에 주입홀부(41)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어, 용강(2)의 측방향 유동을 유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단턱부(42)는 수평확장부(43), 확산안내부(44), 제1곡면연결부(45), 제2곡면연결부(46)를 포함한다.
수평확장부(43)는 주입홀부(41)의 둘레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확산안내부(44)는 수평확장부(43)의 가장자리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주입홀부(41)를 통해 상향 유동 중인 용강(2)은 수평확장부(43)와 확산안내부(44)가 함께 형성하는 보다 확장된 공간부로 진입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보다 분산, 확산된다.
수평확장부(43)와 확산안내부(44)가 함께 형성하는 보다 확장된 공간부로 진입한 용강(2) 중 수평확장부(43) 또는 확산안내부(44)와 접하는 부분은, 수평확장부(43)의 수평면과 확산안내부(44) 경사면을 타고 수평 방향으로 보다 분산, 확산된다. 수평확장부(43)와 확산안내부(44)가 함께 형성하는 공간부로 진입한 용강(2)은 확산안내부(44)의 경사면을 타고 디쉬(32)의 수평한 상면부, 즉 주형부(30)의 바닥면측으로 원활하게 유동, 확산될 수 있다.
제1곡면연결부(45)는 수평확장부(43)와 확산안내부(44)의 경계부에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된다. 제2곡면연결부(46)는 확산안내부(44)의 상부에 주형부(30)의 바닥면과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된다.
확장단턱부(42)는 제1곡면연결부(45)와 제2곡면연결부(46)에 의해 모서리 없이 연속된 매끈한 표면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용강(2)이 수평확장부(43)를 타고 확산안내부(44)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고, 확산안내부(44)를 타고 주형부(30)의 바닥면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강(2)은 평활주입부(40)를 통과하면서 상기와 같이 수직 방향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도 그 유동이 분산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상적으로는 주형부(30)의 내부에는 설정 높이의 수평선(H) 전반에 걸쳐 일정한 용강 분사압을 형성하게 된다. 도 6 상의 P1, P2, P3, P4, P5 지점은 수평선(H)상의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지점을 각각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평활주입부(40)에 의하면 P1, P2, P3, P4, P5 지점은 동일한 압력을 가진다.
평활주입부(40)상에 수평면을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주형부(30) 내 설정 높이의 수평선(H) 전체에 걸쳐 용강 분사압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주형부(30) 내부의 용강(2) 부분은 동일한 수평선(H)상에 상향 유동되는 용강(2)의 흐름과, 하향 유동되는 용강(2)의 흐름이 혼재되는 일 없이, 상방으로의 유동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주형부(30)의 하부로부터 용강(2)을 주입, 충진 시, 주형부(30)의 내부에 이미 채워진 용강(2)의 상부는 요동 없이 전체가 그대로 상향 이동하게 되고, 용강(2)의 최상부에 형성된 피막층(3) 또한 요동 없이 그대로 상향 이동된다.
피막층(3)은 용강(2)의 상부가 대기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산화물로 이루어진 파우더 형태의 산화피막제를 투입함에 따라 형성된다. 피막층(3)은 용강(2)의 재산화를 방지하는 코팅층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활주입부(40)에 의하면, 주형부(30) 내 용강(2) 표면의 피막층(3)이 잔잔하게 유지될 수 있어, 피막제 자체의 산화방지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피막층(3)이 요동됨으로 인해 피막층(3)의 일부가 용강(2)의 내부로 혼입됨에 따른 인고트의 결함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고트 주형장치(1)에 의하면, 주형부(30)의 내부로 주입되는 용강(2)의 유동이 평활주입부(40)에 의해 보다 확장된 횡면적에 걸쳐 분산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용강(2) 표면에 형성된 피막층(3)의 요동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피막제에 의한 인고트의 결함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단조 제품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인고트 주형장치 2 : 용강
3 : 피막층 10 : 탕구부
11 : 탕구본체부 12 : 난류완화유로부
20 : 탕도부 21 : 탕도본체부
22 : 탕도유로부 23 : 충격완화부
24 : 제1충격완화부 25 : 제2충격완화부
30 : 주형부 31 : 주형본체
32 : 디쉬 40 : 평활주입부
41 : 주입홀부 42 : 확장단턱부
43 : 수평확장부 44 : 확산안내부
45 : 제1곡면연결부 46 : 제2곡면연결부

Claims (8)

  1. 용강이 하향 주입되는 탕구부;
    상기 탕구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탕도부;
    인고트의 주형을 이루며, 상기 탕도부를 통과한 용강이 내부에 주입되는 주형부; 및
    상기 주형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탕도부와 연결되며, 상기 주형부로 인입되는 용강의 수평 방향 유동을 유도하는 수평면을 가지는 평활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고트 주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주입부는,
    상기 주형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주입홀부; 및
    상기 주입홀부의 상부에 상기 주입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용강의 측방향 유동을 유도하는 확장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고트 주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홀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고트 주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단턱부는,
    상기 주입홀부의 둘레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확장부; 및
    상기 수평확장부의 가장자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확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고트 주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단턱부는,
    상기 수평확장부와 상기 확산안내부의 경계부에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1곡면연결부; 및
    상기 확산안내부의 상부에 상기 주형부의 바닥면과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2곡면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고트 주형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탕구부는,
    상기 주형부보다 연장된 수직 방향 길이를 가지는 탕구본체부; 및
    용강이 유동되는 통로를 이루도록 상기 탕구본체부 상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난류완화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고트 주형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탕도부는,
    상기 탕구부와 상기 주형부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탕도본체부;
    상기 탕구본체부 상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용강이 유동되는 통로를 이루는 탕도유로부; 및
    상기 탕구부에서 낙하되는 용강의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상기 탕구부와의 연결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고트 주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탕구부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충격완화부; 및
    상기 제1충격완화부의 상부에 연속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고트 주형장치.
KR1020150086933A 2015-06-18 2015-06-18 인고트 주형장치 KR20160149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33A KR20160149637A (ko) 2015-06-18 2015-06-18 인고트 주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33A KR20160149637A (ko) 2015-06-18 2015-06-18 인고트 주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637A true KR20160149637A (ko) 2016-12-28

Family

ID=5772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933A KR20160149637A (ko) 2015-06-18 2015-06-18 인고트 주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6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6556A (zh) * 2020-12-02 2021-04-20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可提高模铸钢锭质量的浇注装置
KR102271101B1 (ko) * 2021-03-15 2021-06-29 임종찬 잉곳 제조 장치의 상부 정반
KR20220087128A (ko) * 2020-12-17 2022-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잉곳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6556A (zh) * 2020-12-02 2021-04-20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可提高模铸钢锭质量的浇注装置
KR20220087128A (ko) * 2020-12-17 2022-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잉곳의 제조방법
KR102271101B1 (ko) * 2021-03-15 2021-06-29 임종찬 잉곳 제조 장치의 상부 정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8004A (zh) 防止旋涡产生的滑动水口装置
JP3662973B2 (ja) 連続鋳造用排出ノズル
JP4665056B1 (ja) 浸漬ノズル
KR20160149637A (ko) 인고트 주형장치
MX2008015194A (es) Boquilla de moldeo.
KR102153440B1 (ko) 주조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통기성 주형
CN102825229A (zh) 防止中间包内产生旋涡的控流结构
US81518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NF metal baths, particularly copper or copper alloys
CZ20031461A3 (cs) Ponorná vstupní hubice a její použití
EP1854571B1 (en) Refractory nozzle for the continous casting of steel
CN202356599U (zh) 防止旋涡产生的滑动水口装置
JP5249425B2 (ja) タンディッシュのインパクトパッド
Sama et al. Sand casting design rules
KR101864562B1 (ko) 저압 주조 장치의 탕구 구조 및 당해 탕구를 갖는 저압 주조 장치
JP2018051598A (ja) 下注ぎ造塊設備
KR100907949B1 (ko) 대형 박육 알루미늄 합금의 주조용 탕구계
CN203292475U (zh) 高拉速ftsc薄板坯连铸结晶器用四孔式浸入式水口
CN202291394U (zh) 减少板坯结晶器内部湍流的浸入式水口
KR100211757B1 (ko) 주형구조
JP2016215238A (ja) 下注ぎ造塊用の湯道及び下注ぎ造塊方法
JP6638142B2 (ja) 下注造塊方法
JP2019072729A (ja) 下注造塊方法
RU2490092C2 (ru) Погружной разливочный стакан
KR101981455B1 (ko) 용융물 처리 장치
RU2691021C2 (ru) Разли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а из промковша в изложниц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