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598A - 충전 크래들 - Google Patents

충전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598A
KR20160149598A KR1020150086818A KR20150086818A KR20160149598A KR 20160149598 A KR20160149598 A KR 20160149598A KR 1020150086818 A KR1020150086818 A KR 1020150086818A KR 20150086818 A KR20150086818 A KR 20150086818A KR 20160149598 A KR20160149598 A KR 2016014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otation
mounting
stationary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598A/ko
Publication of KR2016014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눕히거나 세우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하여 무선 충전을 하도록 하기 위해,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면을 포함하고 무선 충전 코일이 실장된 단말기 거치부재, 상면에서 리세스 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가 삽입되는 거치부재 수용부를 포함하고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수용부의 좌우 내측에서 둘출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 일단의 양측면에 삽입되는 회전 힌지부 및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일단과 마주보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제1 길이만큼 돌출된 회전복원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복원 방지부재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가 상기 회전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각도가 벌어지는 경우에는 닿지 않고,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거치면에 거치된 단말기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 크래들{RECHARGEABLE DOCK}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등을 거치하면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충전 크래들은 단말기, 특히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인 이동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받침을 하는 역할을 한다. 충전 크래들에는 단말기와 거치대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충전하는 유선 방식과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거치 등의 결합으로만 연결하여 충전하는 무선 방식이 있다.
특히 무선 방식의 충전 크래들은 단말기 거치대에 실장된 무선충전 코일과 단말기의 무선 충전 모듈이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야 하고, 따라서 단말기가 단말기 거치대에 적절히 위치하는 것이 충전의 신뢰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무선 방식의 충전 크래들은 바닥면과 평행한 단말기 거치대에 단말기를 눕혀서 얹어놓는 방식과 기울어진 단말기 거치대에 단말기를 기대어 얹어놓는 방식이 있다. 단말기 거치대에 단말기를 눕혀서 얹어놓는 방식은 전체 부피가 크지 않은 장점이 있으며 단말기 거치대에 단말기를 기대어 얹어놓는 방식은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등을 확인하기 비교적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무선 충전 코일과 위치를 맞추는데 용이하다.
하지만, 상기 두 가지 방식은 상황에 따라 단말기를 눕혀서 얹어놓거나 비스듬히 세워 기대어 얹어 놓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눕히거나 세우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하여 무선 충전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거치부재를 세울 때 일정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세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단말기 거치부재에 세워서 거치하였을 때,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거치부재에 커넥터 홀이 구비된 경우, 케이블을 커넥터 홀에 연결하더라도 단말기 거치부재의 회전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거치부재를 세워서 단말기를 거치할 때 세워진 각도가 자동적으로 더 커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거치부재에 단말기를 거치하였을 때, 의도하지 않게 단말기가 충전 적정 위치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거치부재에 단말기를 거치할 때, 단말기가 충전 적정 위치로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거치부재에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단말기의 충전 기능외에 다른 통신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면을 포함하고 무선 충전 코일이 실장된 단말기 거치부재, 상면에서 리세스 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가 삽입되는 거치부재 수용부를 포함하고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수용부의 좌우 내측에서 둘출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 일단의 양측면에 삽입되는 회전 힌지부 및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일단과 마주보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제1 길이만큼 돌출된 회전복원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복원 방지부재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가 상기 회전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각도가 벌어지는 경우에는 닿지 않고,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거치면에 거치된 단말기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가 제1 각도 회전시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 일단이 걸리는 제1 회전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복원 방지부재의 돌출된 제1 길이가 가변하도록 슬라이드시키는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된 커넥터 홀 및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상기 커넥터 홀을 연결하는 플렉서블피씨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커넥터 홀 및 상기 커넥터 홀에 대응되는 상기 수용부의 제1 영역에 구비된 관통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과 상기 단말기 거치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돌출된 단말기 거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거치면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는, 단말기에 구비된 가이드 자석과 대응되는 제2 영역에 구비된 단말기 거치 가이드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는,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단말기의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눕히거나 세우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 거치부재를 세울 때 일정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세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를 단말기 거치부재에 세워서 거치하였을 때,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 거치부재에 커넥터 홀이 구비된 경우, 케이블을 커넥터 홀에 연결하더라도 단말기 거치부재의 회전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 거치부재를 세워서 단말기를 거치할 때 세워진 각도가 자동적으로 더 커지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 거치부재에 단말기를 거치하였을 때, 의도하지 않게 단말기가 충전 적정 위치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 거치부재에 단말기를 거치할 때, 단말기가 충전 적정 위치로 위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 거치부재에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단말기의 충전 기능외에 다른 통신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 크래들의 결합전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 크래들의 결합 후 사시도이다.
도 3및 도 4 는 도 2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 크래들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각도조절 단말기 크래들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각도조절 단말기 크래들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 크래들(100)의 결합전 정면 사시도이다.
단말기 거치부재(110)는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면(111)을 포함하고 무선 충전 코일(112)을 실장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거치면(111)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일반적인 단말기의 가로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직사각형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기의 형상 또는 심미적인 효과 등 필요에 따라 모서리가 둥근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질 수 있고, 특히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거치면(111)은 무선 충전 코일(112)에서 발생한 전자기장이 단말기의 충전 모듈까지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히 얇은 두께 및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20)는 바닥(300)에 안착되어 충전 크래들(100)가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바닥(300)을 지지되어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회전이 바닥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된다.
수용부(121)는 지지부재(120)의 상면에서 리세스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부(121)는 지지부재(120)의 길이 방향 일측에 치우쳐져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121)는 단말기 거치부재(110)를 지지부재(120)에 접었을 때 단말기 거치부재(11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부(121)는 단말기 거치부재(110)를 수용한 경우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거치면(111)의 이면과 마주보는 안착면(1211) 및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측면과 마주보는 좌우측벽(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일단과 마주보는 내측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20)의 수용부(121)가 구비된 일측의 반대편에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120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203)는 지지부재(120)의 길이를 더 길게 하여 지지부재(120)를 포함한 충전 크래들(100)가 안정적으로 바닥에 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복원방지부재(140)가 슬라이딩할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회전 힌지부(130)는 수용부(121)의 좌우 내측에서 돌출되어 단말기 거치부재(110) 일단의 양측면에 삽입되어 수용부(121)와 단말기 거치부재(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회전 힌지부(130)는 단말기 거치부재(110) 일단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수용부(121)의 좌우 내측에 삽입될 수도 있다.
회전 힌지부(130)는 단말기 거치부재(110)와 지지부재(120)를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고, 또는 공차를 두어 헐거운끼워맞춤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된 경우,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세워진 각도를 별도의 장치 없이 유지할 수 있으며, 헐거운끼워맞춤으로 결합된 경우,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세워진 각도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 크래들(100)의 결합 후 사시도이다.
회전 힌지부(130)를 회전축으로하여 단말기 거치부재(110)는 지지부재(120)에 대해 회전하여 각도 G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회전축은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측면 일단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복원방지부재(140)는 수용부(121)의 내측면(123)에서 수용부(121)의 내측으로 제1 길이 D만큼 돌출될 수 있다. 단말기가 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 거치부재(110)를 회전 힌지부(130)를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지지부재(120)의 회전복원방지부재(140)와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면에 단말기 거치부재(110)와 지지부재(120)의 각도 G가 벌어진 상태에서 단말기(200)가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거치면(111)과 회전복원방지부재(140)에 끼워진 경우에는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각도 G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복원방지부재(140)의 제1 길이 D가 고정된 경우, 단말기 거치부재(110)와 지지부재(120)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의 두께 W가 된다. 단말기의 두께 W가 두꺼울수록 단말기 거치부재(110)와 지지부재(120) 사이의 각도 G는 커지고 단말기의 두께 W가 얇을수록 단말기 거치부재(110)와 지지부재(120) 사이의 각도는 작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 크래들(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 홀(124)은 회전복원방지부재(140)의 제1 길이 D가 변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시키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회전복원방지부재(140)는 지지부재(120)의 가이드 홀(124)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회전복원방지부재(140)의 제1 길이 D가 변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두께가 다르더라도 회전복원방지부재(140)의 제1 길이 D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동일한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동일한 두께의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각도가 되도록 제1 길이 D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홀(124)은 제1 길이 D가 슬라이딩 되는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재(12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홀(124)의 내측으로 회전복원방지부재(140)가 구비되고 가이드 홀(124)에 끼워져 외부로 사용자가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돌출된 슬라이딩 스위치(141)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스위치(141)는 가이드 홀(124)과 중간끼워맞춤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일정 힘 이상으로 슬라이딩 하지 않는 이상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각도 복원력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회전걸림 부재(125)는 수용부(121)에서 돌출되어 단말기 거치부재(110)가 제1 각도 g 회전시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일단이 걸리는 역학을 할 수 있다. 제1 회전걸림 부재(125)는 수용부(121)의 안착면(1211) 내측에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일단이 회전되는 경로에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121)의 좌우 측벽(122, 도 1 참조)의 내측 등 단말기 거치부재(110)가 특정 각도 회전하여 걸리는 구조를 만족하는 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와 결합하는 커넥터 홀(150)은 지지부재(12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커넥터 홀(150)은 충전 크래들(1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홀(150)이 지지부재(120)에 구비되는 경우 지지부재(120)로부터 단말기 충전 거치부재의 무선 충전 코일(112)까지 플렉서블피씨비 또는 전선이 연결시켜 줄 수 있다.
플렉서블피씨비 또는 전선이 지지부재(120)의 수용부(121) 내측면(123)에 구비된 제1 관통홀(126) 및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제2 관통홀(127)을 통과하여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무선 충전 코일(112)의 회로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각도조절 단말기 거치부재(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커넥터 홀(150)은 단말기 거치부재(110)에 직접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커넥터 홀(150)이 단말기 거치부재(110)에 직접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무선 충전 코일(112)와 곧바로 연결이 가능하므로 지지부재(120)에 커넥터 홀이 있는 경우와 달리 무선 충전 코일(112)과 연결되는 플렉서블피씨비 또는 전선이 지나가기 위한 관통홀을 생략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 홀(150)은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외부 전원 공급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측면에 에 커넥터 홀(150)이 구비되는 경우, 단말기 거치부재(110)를 접어 수용부(121)에 삽입하였을 때 수용부(121)의 측벽(122)과 간섭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 홀(150)이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좌우 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지지부재(120)의 좌우측벽(122)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커넥터 홀(150)이 회전 힌지부(130)상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좌우측벽(122)영역에 제3 관통홀(1271)이 구비되는 경우 커넥터 홀(150)에 케이블을 연결하고 단말기 거치부재(110)을 회전시키더라도 지지부재(120)의 측벽과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 홀(150)은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후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지지부재(120)의 후측벽에는 개구부(127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각도조절 단말기 거치부재(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지지부재(120)의 전면과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거치면(111)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단말기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지지부재(120)의 전면에 돌출된 단말기 거치 가이드부(129)가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거치면(111)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패드(115)는 무선 충전 영역에 단말기가 거치된 경우 의도하지 않게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단말기에는 배면 영역에 자성을 발생시키도록 내부에 가이드 자석(116)을 실장할 수 있고, 단말기의 가이드 자석(116)과 대응되는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제2 영역에는 단말기 거치 가이드 자석(116)을 실장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재(110)는 근거리무선통신부(117),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실장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재(110)의 근거리무선통신부(117)는 단말기의 근거리무선통신부(117)와 무선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기 거치부재(110)는 근거리무선통신부(117)를 통해 입력된 단말기의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무선통신부(117) 및 제어부(118)가 구비되는 경우 각도조절 단말기 거치부재(100)는 단말기의 충전과 동시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근거리무선통신부(117)를 통해 제공하면서 단말기의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배터리 충전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서 간단히 충전을 하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을 근거리무선통신부(117)를 통해 제공함과 동시에 충전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근거리무선통신부(117)를 통해 POS(point of sales)등을 구현하여 충전기능과 동시에 결제 또는 특정 컨텐츠의 광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에 각도조절 단말기 거치부재(100)가 구비되는 경우 차량의 정보 등을 근거리무선통신부(117)를 통해 제공받고 동시에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각도조절 단말기 충전 거치대 110: 단말기 거치부재
111: 거치면 112: 무선 충전 코일
1121: 무선 충전 코일 회로부 113: 단말기 거치부재 측면
114: 단말기 거치부재 후면 115: 미끄럼 방지패드
116: 가이드 자석 117: 근거리무선통신부
118: 제어부 120: 지지부재
1201: 후면 1202: 정면
1203: 연장부 121: 수용부
1211: 안착면 122: 측벽
123: 내측면 124: 가이드 홀
125: 제1 회전걸림 부재 126: 제1 관통홀
127: 제2 관통홀 1271: 제3 관통홀
1272: 개구부 128: 지지부재 전면
129: 단말기 거치 가이드부 130: 회전 힌지부
140: 회전복원방지부재 141: 슬라이딩 스위치
150: 커넥터 홀 200: 단말기
300: 바닥

Claims (10)

  1.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면을 포함하고 무선 충전 코일이 실장된 단말기 거치부재;
    상면에서 리세스 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가 삽입되는 거치부재 수용부를 포함하고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수용부의 좌우 내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 일단의 양측면에 삽입되는 회전 힌지부; 및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일단과 마주보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제1 길이만큼 돌출된 회전복원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복원 방지부재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가 상기 회전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각도가 벌어지는 경우에는 닿지 않고,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거치면에 거치된 단말기와 걸려 상기 회전 힌지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가 제1 각도 회전시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 일단이 걸리는 제1 회전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복원 방지부재의 돌출된 제1 길이가 가변하도록 슬라이드시키는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된 커넥터 홀; 및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상기 커넥터 홀을 연결하는 플렉서블피씨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커넥터 홀; 및
    상기 커넥터 홀에 대응되는 상기 수용부의 제1 영역에 구비된 관통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과 상기 단말기 거치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돌출된 단말기 거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의 거치면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는,
    단말기에 구비된 가이드 자석과 대응되는 제2 영역에 구비된 단말기 거치 가이드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부재는,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단말기의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KR1020150086818A 2015-06-18 2015-06-18 충전 크래들 KR20160149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818A KR20160149598A (ko) 2015-06-18 2015-06-18 충전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818A KR20160149598A (ko) 2015-06-18 2015-06-18 충전 크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598A true KR20160149598A (ko) 2016-12-28

Family

ID=5772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818A KR20160149598A (ko) 2015-06-18 2015-06-18 충전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5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998A1 (ko) * 2017-03-02 2018-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998A1 (ko) * 2017-03-02 2018-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159034B2 (en) 2017-03-0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linked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90940A1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9915976B2 (en) Pivotable vehicle mounting system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9059592B2 (en)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CN111384750A (zh) 具有可旋转磁性支架的感应充电器
US9601934B2 (en) Charging stands arranged adjacently to reduce occupied area
US20190326767A1 (en)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US925329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olding stand and desk telephone
KR20130094402A (ko) 데스크 탑 유형 유니버셜 도크
KR102119928B1 (ko)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KR102045078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US8789800B2 (en) Supporting apparatus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JP2021122135A (ja) 保持装置
TWM467240U (zh) 可平置及傾斜充電的無線充電發射裝置
US20150373866A1 (en) Retaining apparatus for a terminal device that can be coupled in a wireless mann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retaining apparatus
KR101751820B1 (ko)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KR20160149598A (ko) 충전 크래들
US20160061379A1 (en) Attachment apparatus, cover apparatus and attachment system
KR200491593Y1 (ko)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JP6503503B1 (ja) ワイヤレス充電器
US20140349591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olding base and desk telephone
KR20160129511A (ko) 충전 장치
KR101620688B1 (ko) 충전 거치대
KR20140082546A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구비한 책상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