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567A -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567A
KR20160149567A KR1020150086748A KR20150086748A KR20160149567A KR 20160149567 A KR20160149567 A KR 20160149567A KR 1020150086748 A KR1020150086748 A KR 1020150086748A KR 20150086748 A KR20150086748 A KR 20150086748A KR 20160149567 A KR20160149567 A KR 20160149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lighting
smart device
contro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549B1 (ko
Inventor
송호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Priority to KR102015008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549B1/ko
Priority to JP2017563047A priority patent/JP6510079B2/ja
Priority to PCT/KR2016/006444 priority patent/WO2016204552A1/ko
Publication of KR2016014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549B1/ko
Priority to US15/828,730 priority patent/US10816153B2/en
Priority to JP2019071361A priority patent/JP679201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H01L51/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05B33/0815
    • H05B37/028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 H05B47/19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7Outdoor lighting of the exterior of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복수의 조명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조명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조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은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1 스마트 장치; 상기 제1 스마트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1 조명 장치; 상기 제1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2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2 스마트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Wireless light control system}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조명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조명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조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 굴절 및 투과시켜서 조명의 목적을 달성시키는 것이다. 조명 장치는 배광(配光)에 따라, 간접 조명 장치, 반간접 조명 장치, 전반확산 조명 장치, 반직접 조명 장치 및 직접 조명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술발전으로 인해 조명 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조명 장치는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를 연출하는데 사용된다. 미디어 파사드란 건물 외벽 등에 조명 장치를 설치해 미디어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예로, 조명 장치는 일정 조도 이하의 환경에서 진행되는 운동경기나 콘서트 등에서 소형 응원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환경에서는 복수의 조명기구가 개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조명 패턴이나 형상을 생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조명 장치에 배치된 광원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기대만큼의 응원 효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5-0112540 (발명의 명칭: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공개일: 2005년 12월 01일)
복수의 조명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조명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조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은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1 스마트 장치; 상기 제1 스마트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1 조명 장치; 상기 제1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2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2 스마트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조명 장치의 조명부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조명부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스마트 장치의 표시부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표시부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 제어 정보는 조명 색상, 조명 밝기, 조명 점등 시각, 조명 점멸 간격 및 조명 소등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 제어 정보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화면 색상, 화면 밝기, 화면 표시 시작 시간, 화면 점멸 간격, 화면 표시 종료 시간 및 화면을 통해 표시할 콘텐츠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마트 장치 및 상기 제2 스마트 장치는 상기 제1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조명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로 요청하되, 상기 데이터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스마트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조명 패턴들에 대응하는 아이콘,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조명 제어 종료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및 동작 대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복수의 조명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조명 패턴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조명 장치의 자원 및 조명 장치와 연동된 스마트 장치의 자원을 활용하여 조명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조명 장치 사용으로 인한 조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조명 장치 및 복수의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조명 장치 및 복수의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출입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1)은 조명 장치(100), 스마트 장치(200), 네트워크(300) 및 서버(400)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100)는 광원의 빛을 반사, 굴절, 투과시켜 광원을 고정하거나 보호하는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조명 장치(1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100)는 스마트 장치(200)와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장치(200)와의 전기적 연결이 감지되면, 조명 장치(100)는 스마트 장치(200)와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조명 장치(100)는 스마트 장치(200)에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장치(100)는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조명 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스마트 장치(200)는 조명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마트 장치(200)는 조명 장치(100)와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장치(200)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조명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조명 장치(100)로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스마트 장치(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서버(4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장치(200)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요청 신호나 콘텐츠를 요청하는 콘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버(400)로부터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를 수신한다.
한편,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스마트 장치(2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조명 장치(100)로 전송하고, 조명 제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한다. 조명 제어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조명 제어와 관련된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 장치(200)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장치(200)가 예시된 바와 같은 통신 장치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라면 스마트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조명 장치(100) 및 스마트 장치(200)와 통신한다. 일 예로, 서버(400)는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 서버(400)는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요청된 콘텐츠를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콘텐츠로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1에서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서버(400)에 의해 스마트 장치(200)로 배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조명 장치(100)에 의해 스마트 장치(200)로 배포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조명부(110), 유선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무선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조명부(110)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로 들 수 있다. 조명부(110)는 서로 다른 색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LED, 녹색 LED, 청색 LED 및 백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LED에서 각각 방출되는 빛을 혼합하면, 넓은 범위의 색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혼합된 색은 각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의 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데, 각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는 각 LED의 구동 전류에 비례한다. 즉, 각 LED의 구동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명부(110)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LED는 도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특정 문구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조명부(110)의 광원으로서 LED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광원의 종류가 LE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으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유선 통신부(120)는 조명 장치(100)와 스마트 장치(200) 간의 유선 통신을 담당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선 통신부(120)는 유선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의 유선 통신부(120)에 구비된 유선 통신 포트는 스마트 장치(200)의 유선 통신부(250)에 구비된 유선 통신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조명 장치(100)의 유선 통신 포트가 스마트 장치(200)의 유선 통신 포트에 결합되면, 조명 장치(100)와 스마트 장치(200) 간에는 신호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요청 신호가 스마트 장치(200)로 송신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된다.
무선 통신부(140)는 조명 장치(100)와 다른 조명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직비(ZigBee)를 예로 들 수 있다.
직비(ZigBee)는 868 MHz, 902-928 MHz 및 2.4 GHz에서 동작하는 주변장치의 접속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개인영역 통신망인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규격이다. 직비는 IEEE-SA에 의해 승인된 IEEE 802.15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직비를 사용하면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내에서 통상 50m 이내의 거리에 떨어져 있는 주변장치들 간에 최고 250 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무선 통신부(14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직비(ZigBee)를 예로 들었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부(140)는 예시된 것 외에도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하나 이상 지원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조명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조명 장치(100)와 스마트 장치(200) 간의 전기적인 연결 여부를 감지한다. 스마트 장치(200)와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수신된 조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부(110)의 조명 패턴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 신호는 조명부 제어 정보 및 표시부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130)는 조명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110)의 조명 패턴을 제어한다. 조명부 제어 정보로는 조명 색상, 조명 밝기, 조명 점등 시각, 조명 소등 시각 및 조명 점멸 속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조명부 제어 정보는 사전에 미리 정의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장치(100)에서는 전원부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장치(100)는 스마트 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다른 예로, 조명 장치(100)에는 전원부(건전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부는 조명 장치(100)로부터 분리된 후에 다른 전원부로 교체되거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장치(20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 유선 통신부(250) 및 무선 통신부(26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 및/또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조명 패턴을 선택하는 조명 패턴 선택 명령, 동작 대기 명령, 조명 제어를 시작하는 조명 제어 실행 명령, 및 실행 중인 조명 제어를 종료하는 조명 제어 종료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210)는 조이스틱, 마우스, 키패드 및 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키보드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표시부(220)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조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조명 제어 화면에는 다양한 정보 및/또는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조명 제어 패턴들에 대응하는 아이콘,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조명 제어 종료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 제어 화면에 배치되는 아이콘들이 예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 제어 화면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종류 및 배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조명 패턴들 중에서 소정 조명 패턴이 선택되거나 설정된 후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조명 패턴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데, 표시부(220)는 이러한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 신호에는 조명부 제어 정보 및 표시부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표시부(200)는 조명 제어 신호의 표시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표시부 제어 정보로는 화면 색상, 화면 밝기, 화면 표시 시작 시간, 화면 점멸 간격, 화면 표시 종료 시간, 화면을 통해 표시할 콘텐츠의 식별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스마트 장치(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230)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장치(200)의 표시부(220) 및 조명 장치(100)의 조명부(1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버(400)에 의해 배포될 수 있다.
유선 통신부(250)는 스마트 장치(200)와 조명 장치(100) 간의 유선 통신을 담당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선 통신부(250)는 유선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장치(200)의 유선 통신부(250)에 구비된 유선 통신 포트는 조명 장치(100)의 유선 통신부(120)에 구비된 유선 통신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마트 장치(200)의 유선 통신 포트가 조명 장치(100)의 유선 통신 포트에 결합되면, 스마트 장치(200)와 조명 장치(100) 간에는 신호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요청 신호가 조명 장치(100)로부터 수신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조명 장치(100)로 전송된다.
무선 통신부(260)는 스마트 장치(200)와 서버(400) 간의 무선 통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260)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 무선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RF) 및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40)는 스마트 장치(2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한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100)로부터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장치(200) 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부(240)는 어플리케이션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 후, 서버(400)로부터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수신된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된 후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240)는 조명 제어 화면을 구성한다. 조명 제어 화면은 미리 정의된 조명 패턴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조명 제어 종료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및 동작 대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명 제어 화면에서 소정의 조명 패턴을 선택하거나, 조명 제어에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 후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선택된 조명 패턴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신호는 스마트 장치(200)의 표시부(220) 및 조명 장치(100)의 조명부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1은 하나의 조명 장치(100) 및 하나의 스마트 장치(2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조명 장치(100) 및 스마트 장치(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조명 장치(100)는 제1 조명 장치(100A) 및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스마트 장치(200)는 제1 스마트 장치(200A) 및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 장치(100A)에는 제1 스마트 장치(200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제1 조명 장치(100A)는 마스터(master)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에는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는 슬레이브(slave)로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로 동작하는 제1 조명 장치(100A)는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로 동작 대기 신호 및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복수의 조명 장치(100A, 100B, 100C, 100D) 및 복수의 스마트 장치(200A, 200B, 200C, 200D)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마스터로 동작하는 제1 조명 장치(100A) 및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은 제1 조명 장치(100A)의 무선 제어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우선, 제1 조명 장치(100A)는 제1 스마트 장치(200A)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감지한다. 이 후, 제1 조명 장치(100A)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제1 스마트 장치(200A)로 전송한다.
제1 스마트 장치(200A)는 제1 스마트 장치(200A) 내에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서버(400)는 요청받은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1 스마트 장치(200A)로 전송한다
조명 제어 어플리케션이 제1 스마트 장치(200A)에 설치된 후 실행되면, 조명 제어 화면이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제어 화면은 미리 설정된 조명 패턴들에 대응하는 아이콘,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조명 제어 종료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및 동작 대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 제어 화면은 제1 스마트 장치(200A)의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된다.
이 후, 사용자가 조명 제어 화면을 통해 동작 대기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동작 대기 명령은 유선 통신부(250)를 통해 제1 조명 장치(100A)로 전송된다. 제1 조명 장치(100A)는 제1 스마트 장치(200A)로부터 수신한 동작 대기 명령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로 전송한다.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은 제1 조명 장치(100A)로부터 수신한 동작 대기 명령에 기초하여 조명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들에게 동작 대기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예를 들면, 조명부(110)의 광원을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점멸시켜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동작 대기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동작 대기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사용자들은 각자의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를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에서는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와의 전기적 연결이 감지된다.
이처럼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와의 전기적 연결이 감지되면,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요청 신호를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로 전송한다.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한 결과,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갱신이 필요한 경우,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은 서버(400)로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요청 신호나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갱신을 요청하는 갱신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서버(400)는 요청받은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로 전송한다. 이 후, 서버(400)는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로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1 스마트 장치(20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제1 스마트 장치(200A)의 사용자가 조명 제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조명 패턴들 중에서 소정의 조명 패턴을 선택하거나 조명 패턴을 설정한 다음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제1 스마트 장치(200A)는 선택된 조명 패턴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조명 제어 신호는 제1 조명 장치(100A)를 통해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로 전송된다(S41).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은 수신된 조명 제어 신호를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로 각각 전송한다. 그 결과,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의 조명부(110) 및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의 표시부(220)는 조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예를 들어, 조명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조명 제어 정보 중에서 조명 색상에 대한 정보가 적색으로 설정되어 있고, 표시부 제어 정보 중에서 화면 색상에 대한 정보가 적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의 조명부(110)에서는 적색 광이 출력되고,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의 표시부에는 적색 화면이 표시된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의 조명부(110)와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의 표시부(220)가 동시에 제어되므로,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의 조명부(110)만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각적인 응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조명 장치(100A, 100B, 100C, 100D) 및 복수의 스마트 장치(200A, 200B, 200C, 200D)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마스터로 동작하는 제1 조명 장치(100A) 및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은 제1 조명 장치(100A)의 무선 제어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또한, 제1 조명 장치(100A)는 제1 스마트 장치(2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며,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은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그리고 제1 스마트 장치(200A) 및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에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스마트 장치(200A)의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조명 제어 화면이 구성되고, 구성된 조명 제어 화면은 제1 스마트 장치(200A)의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된다. 이 때, 조명 제어 화면은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의 조명부(11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이하, '조명부 제어 정보'라 한다) 및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의 표시부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이하, '표시부 제어 정보'라 한다)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창이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 제어 정보로는 조명 색상, 조명 밝기, 조명 시작 시간, 조명 점멸 간격 및 조명 종료 시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표시부 제어 정보로는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할 화면 색상, 화면 밝기, 화면 표시 시작 시간, 화면 점멸 간격, 화면 표시 종료 시간 및 화면을 통해 표시할 콘텐츠의 식별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조명부 제어 정보 및 표시부 제어 정보가 입력된 후,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스마트 장치(200A)는 입력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조명 제어 신호는 제1 조명 장치(100A)를 통해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로 각각 전송된다(S51).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은 제1 조명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조명 제어 신호를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로 각각 전송한다.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은 조명 제어 신호에 포함된 표시부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서버(400)와의 통신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 제어 정보 중에서 콘텐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은 서버(400)로 콘텐츠 요청 신호를 각각 전송한다(S52, S53).
서버(400)는 요청받은 콘텐츠(예를 들어, 이미지나 동영상)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로 전송한다(S54, S55).
요청한 콘텐츠(예를 들어, 이미지나 동영상)가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면, 제2 스마트 장치들(200B, 200C, 200D)은 수신된 콘텐츠를 표시부(220)를 통해 각각 표시한다. 이 때, 콘텐츠는 조명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표시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 제어 정보에 포함된 화면 표시 시작 시간, 화면 점멸 간격, 화면 표시 종료 시간 및 화면 밝기 등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은 조명부(110)를 제어한다. 이 때, 제2 조명 장치들(100B, 100C, 100D)의 조명부(11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조명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부 제어 정보에 포함된 조명 색상, 조명 밝기, 조명 시작 시간, 조명 점멸 간격 및 조명 종료 시간 등에 기초하여 조명부(110)가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의 조명부(110)와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의 표시부(220)가 동시에 제어되므로, 제2 조명 장치(100B, 100C, 100D)의 조명부(110)만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각적인 응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스마트 장치(200B, 200C, 200D)를 통해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의 시각적인 응원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명령을 포함하는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매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는데, 상기 매체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 기록 매체(예를 들면, CD-ROM, Blu-Ray, DVD)와 같은 기록 매체, 반송파(carrier wave)와 같은 전송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들은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전송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단지 일 예로써, 처리 요소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요소는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분산 및/또는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100: 조명 장치
100A: 제1 조명 장치
100B, 100C, 100D: 제2 조명 장치
200: 스마트 장치
200A: 제1 스마트 장치
200B, 200C, 200D: 제2 스마트 장치

Claims (5)

  1.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1 스마트 장치;
    상기 제1 스마트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1 조명 장치;
    상기 제1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2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2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조명 장치의 조명부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조명부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스마트 장치의 표시부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표시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제어 정보는 조명 색상, 조명 밝기, 조명 점등 시각, 조명 점멸 간격 및 조명 소등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 제어 정보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화면 색상, 화면 밝기, 화면 표시 시작 시간, 화면 점멸 간격, 화면 표시 종료 시간 및 화면을 통해 표시할 콘텐츠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장치 및 상기 제2 스마트 장치는 상기 제1 조명 장치 및 상기 제2 조명 장치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조명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로 요청하되,
    상기 데이터는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스마트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조명 패턴들에 대응하는 아이콘, 조명 제어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조명 제어 종료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및 동작 대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150086748A 2015-06-18 2015-06-18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72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748A KR101727549B1 (ko) 2015-06-18 2015-06-18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JP2017563047A JP6510079B2 (ja) 2015-06-18 2016-06-17 無線照明制御システム
PCT/KR2016/006444 WO2016204552A1 (ko) 2015-06-18 2016-06-17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US15/828,730 US10816153B2 (en) 2015-06-18 2017-12-01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JP2019071361A JP6792019B2 (ja) 2015-06-18 2019-04-03 無線照明制御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748A KR101727549B1 (ko) 2015-06-18 2015-06-18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533A Division KR101985851B1 (ko) 2017-04-11 2017-04-11 응원용 조명의 무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567A true KR20160149567A (ko) 2016-12-28
KR101727549B1 KR101727549B1 (ko) 2017-04-17

Family

ID=5754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748A KR101727549B1 (ko) 2015-06-18 2015-06-18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16153B2 (ko)
JP (2) JP6510079B2 (ko)
KR (1) KR101727549B1 (ko)
WO (1) WO20162045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4127B2 (en) 2017-05-12 2021-07-13 Fanlight Co., Lt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8202B1 (en) * 2016-05-02 2020-03-10 Technology For Humankind Llc Communicative lighting systems
KR102220750B1 (ko) 2017-05-12 2021-02-26 주식회사 팬라이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CN107489982A (zh) * 2017-08-04 2017-12-1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内置无线接入设备的照明系统及方法
KR102008267B1 (ko) * 2017-12-12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라이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JP7246003B2 (ja) * 2018-11-09 2023-03-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照明システム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47269B1 (ko) * 2020-04-21 2021-04-30 최지선 공연연출시스템
KR102437858B1 (ko) 2019-10-08 2022-08-31 주식회사 팬라이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WO2021210729A1 (ko) *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이음하나 디지털 컨텐츠 재생 및 동기화된 무선 라이팅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59469B1 (ko) * 2020-04-20 2020-09-23 전대훈 실내환경 관리시스템
KR102447873B1 (ko) * 2020-08-05 2022-09-28 영광정공(주) 디지털 응원봉을 이용한 응원 운영시스템
KR20220123501A (ko) 2021-02-22 2022-09-07 주식회사 팬라이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540A (ko) 2004-05-27 2005-12-01 장소영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생성하는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1626B1 (en) * 1997-08-26 2001-04-03 Color Kinetics, Incorporated Illumination components
EP1428415B1 (en) 2001-09-17 2012-07-18 Philips Solid-State Lighting Solutions, Inc. Light emitting diode based products
JP2005318148A (ja) * 2004-04-28 2005-11-10 Shinko Electric Co Ltd 照明灯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2006140764A (ja) * 2004-11-12 2006-06-0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無線送受信装置及び調光制御システム
JP2009507335A (ja) * 2005-09-06 2009-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所望の照明効果を作り出すように照明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照明設定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US7697925B1 (en) * 2007-01-23 2010-04-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nchronized light shows on cellular handsets of users at a gathering
TW201132085A (en) * 2009-04-22 2011-09-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s and apparatus for light-based social communications
JP2011029053A (ja) 2009-07-28 2011-02-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システム
KR20110106702A (ko) * 2010-03-23 2011-09-29 주식회사 이랜텍 조명 제어장치
KR20120006254A (ko) * 2010-07-12 2012-01-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와 조명 장치를 이용한 감정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JP5570438B2 (ja) * 2011-01-12 2014-08-13 京楽産業.株式会社 発光制御装置および発光制御システム
KR101135036B1 (ko) * 2011-12-27 2012-04-13 주식회사 네오패드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JP5910192B2 (ja) 2012-03-13 2016-04-27 ソニー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34901B1 (ko) * 2012-09-04 2015-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82386A (ko) * 2012-12-24 201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2805A (ko) 2013-03-14 2014-09-24 김성수 무선 통신 제어로 동작하는 발광 기기
KR101566698B1 (ko) 2013-07-11 2015-11-06 주식회사 엔젤럭스 스마트 회전 led 조명장치
JP2015041438A (ja) * 2013-08-21 2015-03-02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端末およびその照明制御方法
KR101414083B1 (ko) 2013-12-11 2014-07-01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WO2015135166A1 (en) * 2014-03-12 2015-09-1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s via a social networking platform
CN103986630B (zh) * 2014-04-30 2018-11-30 生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led照明装置的无线网络系统及智能设备管理方法
US9467809B2 (en) * 2014-06-30 2016-10-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pot location identification
CN104202878A (zh) * 2014-09-04 2014-12-10 浙江生辉照明有限公司 照明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540A (ko) 2004-05-27 2005-12-01 장소영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생성하는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4127B2 (en) 2017-05-12 2021-07-13 Fanlight Co., Lt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user terminals
US11297253B2 (en) 2017-05-12 2022-04-05 Fanlight Co., Lt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user terminals
US11647297B2 (en) 2017-05-12 2023-05-09 Fanlight Co., Lt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user terminals based on seat information of ticket of event ven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4552A1 (ko) 2016-12-22
KR101727549B1 (ko) 2017-04-17
JP2019125586A (ja) 2019-07-25
US20180080618A1 (en) 2018-03-22
JP6510079B2 (ja) 2019-05-08
US10816153B2 (en) 2020-10-27
JP6792019B2 (ja) 2020-11-25
JP2018520473A (ja)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549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740642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176911B1 (ko) 응원용 조명의 무선 제어 시스템
KR20180015701A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985851B1 (ko) 응원용 조명의 무선 제어 시스템
KR20190034182A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501741B1 (ko) 스마트 장치 기반의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326421B1 (ko) 스마트 장치 기반의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131384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80015699A (ko) 응원용 조명의 무선 제어 시스템
KR102134011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932527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593834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291414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JP2023118928A (ja) 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