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386A -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386A
KR20140082386A KR1020120152298A KR20120152298A KR20140082386A KR 20140082386 A KR20140082386 A KR 20140082386A KR 1020120152298 A KR1020120152298 A KR 1020120152298A KR 20120152298 A KR20120152298 A KR 20120152298A KR 20140082386 A KR20140082386 A KR 20140082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dress
lighting
area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2386A/ko
Publication of KR20140082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층 단위 또는 그룹 단위의 조명기기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각 단위의 조명 기기에는 주소설정여부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각 단위의 조명기기정보 중 주소 미설정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거나 화면을 더 분할하여 주소설정을 위한 도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도면정보에 상기 선택된 주소 미설정 기기가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위치의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 미설정 기기의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할당된 주소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제어 전용수단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주변의 소정 기기를 통해 더욱 쉽고 빠르며 편리하게 조명장치에 대한 주소설정,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명산업 분야에서는 주로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과 같은 광원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광원들은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조명장치에 이용되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광원 중 백열전구와 같은 저항성 광원은 그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발열로 인한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방전등은 높은 가격과 높은 전압으로 인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형광등은 수은사용에 따른 환경문제가 제기되었었다.
이러한 이유로 조명산업 분야에서는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광원, 발광방식, 구동방식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물의 하나로 대두되는 것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인데, 발광 다이오드는 효율을 높이고, 색 다양성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자율성 등에 장점이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라 함은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대량생산에도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조명산업 분야에서 발광 다이오드가 종래 광원들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통신, 전기전자 등 기술 발전에 편승하여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를 시도하고 그를 통해 종래에 비해 효율, 편의성, 만족도 등을 더욱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다만, 종래 조명산업 분야는 빌딩, 가정 등 소정 네트워크에 속함에도 다른 기기들과 디지털 컨버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빌딩과 같은 대형건물이나 가정에서 조명장치에 대한 주소설정과 같은 설정과정뿐만 아니라 디밍(dimming), 색온도(color temperature)와 같은 제어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복잡한 조명장치 제어 전용수단만을 이용하여야 하고, 그로 인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은 해당 수단을 통해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며 쉽게 이해하기 힘들어, 시스템 효율이 떨어지고 간단한 오류 발생에도 즉각적으로 또는 쉽게 대응하기가 힘들어 불편함이나 손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의 요청에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성 및 제공함으로써 조명장치에 대한 주소할당과 같은 설정과정이나 디밍 제어 과정 등에 있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쉽고 빠르며 편리하게 상기 과정(들)을 수행할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별도로 정해진 제어 기기(조명 제어 전용 제어수단) 이외에 다양한 기기 예컨대, 네트워크로 연결된 주변의 이용 가능한 모든 기기를 조명 제어수단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조명 제어를 위하여 이동을 요하거나 별도의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도 현재 위치에서 이용 또는 접근 가능한 기기를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기를 조명장치 제어수단으로 이용하면서 해당 기기 본연의 기능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함으로써 조명장치 설정, 이용, 제어 등 모든 과정을 사용자가 쉽고 빠르며 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구매 욕구를 고취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층 단위 또는 그룹 단위의 조명 기기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각 단위의 조명 기기에는 주소설정 여부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각 단위의 조명 기기 정보 중 주소 미설정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거나 화면을 더 분할하여 주소설정을 위한 도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도면정보에 상기 선택된 주소 미설정 기기가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위치의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 미설정 기기의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할당된 주소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미할당된 주소 아이콘을 포함한 도면 정보와 제2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주소 미설정 조명 기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출력된 조명 기기 아이콘이 상기 제1 영역의 소정 주소 아이콘에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주소 아이콘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조명 기기에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할당된 주소에 기초하여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층 단위의 조명 기기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층의 그룹단위 또는 개별 조명 기기 단위의 조명 기기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각 영역의 조명 기기 정보는 단위별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항목에 대한 상태정보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에 출력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단위 항목의 상태정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조명 기기 또는 상기 복수의 조명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그룹;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상기 각 조명 기기 또는 조명 그룹의 위치에 대한 도면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주소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기 또는 그룹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출력된 소정 조명 기기 또는 그룹을 상기 제1 영역의 도면 정보에 드래그함으로써 드래그된 위치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주소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조명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그룹;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도면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선택된 그룹에 속한 조명 기기들 중 주소 설정 기기와 주소 미설정 기기를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조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조명 기기 또는 상기 복수의 조명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그룹; 디스플레이부; 및 전체 조명 기기들을 계층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하위 계층이 활성화될 때마다 화면을 분할하여 상위 계층 정보와 함께 하위 계층 정보를 제공하고, 소정 계층에서 주소 미설정 조명 기기 또는 조명 그룹 단위로 주소 정보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사용자의 요청에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GUI를 구성 및 제공함으로써 조명장치에 대한 주소할당과 같은 설정과정이나 디밍 제어과정 등에 있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쉽고 빠르며 편리하게 상기 과정(들)을 수행할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별도로 정해진 제어 기기(조명 제어 전용 제어수단) 이외에 다양한 기기 예컨대, 네트워크로 연결된 주변의 이용 가능한 모든 기기를 조명 제어수단으로 이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조명 제어를 위하여 이동을 요하거나 별도의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도 현재 위치에서 이용 또는 접근 가능한 기기를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기를 조명장치 제어수단으로 이용하면서 해당 기기 본연의 기능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구매 욕구를 고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조명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 내 각 구성요소 간 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조명장치의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조명장치와 제어수단 사이의 페어링, 데이터 흐름 등 관계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어수단의 구성요소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어수단에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예컨대, 빌딩과 같은 대형건물에 설치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실행되는 경우에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홈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 내지 8의 화면에서 선택된 소정 층의 상세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전술한 도 6(a)의 제2 영역에 출력된 마이앱에 포함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전술한 도 10의 제2 영역에 출력된 층 정보로부터 선택된 2층의 그룹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과 11과 달리 층 정보와 그룹 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상태 정보에 따라 화면 구성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6은 주소 미설정 기기에 주소 설정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주소 미설정 기기에 주소 설정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 내지 17의 제2 영역에서 사용자가 복수 개를 동시에 선택하는 경우에 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9는 그룹 단위 주소 설정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0은 층 단위로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화면 구성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하나의 층 정보로부터 주소 미설정 LED 기기의 주소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2는 상기 주소 미설정 LED 기기 이외의 LED 기기가 선택된 경우에 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3 내지 도 26은 예를 들어, 그룹 단위 편집을 위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7 내지 도 33은 도 7 내지 15와 다른 화면 구성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4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빌딩 내 CCTV 시스템의 정보 제공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5는 도 34의 제1 영역만 따로 제공하는 화면에서 조명장치 제어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6과 도 37은 도 34 내지 35의 다른 실시 예 내지 도 34 내지 35의 상세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CCTV 시스템과 조명장치의 관련성을 더욱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한 화면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9 내지 도 42는 전술한 도 6 내지 38을 적절히 결합한 화면의 실시 예들, 그리고
도 43 내지 도 45는 조명장치 제어방법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 또는 서로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편의상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중복 설명 역시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에서 일부 부재의 크기 내지 형상은,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함에 있어 단지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구성요소가 그 순서나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 “-모듈” 등도 역시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 전기전자 등의 기술의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를 활용하여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이나 가정에서 조명장치에 대한 주소 설정(address assigning or setting)과 같은 설정과정, 조명장치의 디밍(dimming), 색온도(color temperature) 등의 제어와 같은 제어과정 등을 쉽고, 빠르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설정과정, 제어과정 등에서 해당 과정 수행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명장치에 오류 발생 유무나 해당 오류의 해결 등의 경우에도, 더욱 쉽고 빠르며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이나 상기 오류 발생으로 인해 받을 수 있는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 또는/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GUI(Graphic User Interface)(또는 UI(User Interface))를 구성 및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도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도면 정보는, 맵 정보 또는 다른 명칭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조명장치 제어만을 위한 전용제어수단과 같이 미리 정해진 기기 뿐만 아니라 그 외 다양한 기기(들)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주변의 이용 가능한 모든 기기를 조명장치 제어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근거하면, 조명장치 제어를 위하여 사용자가 물리적인 위치를 이동하기 위해 움직이거나 별도의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도, 현재 위치 또는 그로부터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이용 또는 접근 가능한 기기(들)를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명장치 제어에 이용되는 해당 기기는, 조명장치 제어 과정에서 해당 기기 본연의 기능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서는 조명장치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력 내지 제어가 필요한 여러 경우에 그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시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구매 욕구를 고취시킨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청에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GUI를 구성 및 제공함으로써 조명장치에 대한 주소설정과 같은 설정과정이나 디밍, 색온도 제어와 같은 제어과정 등에 있어서,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더욱 쉽고 간편하게 상기 과정(들)을 수행할 있으며, 조명장치제어 전용수단 이외에 다양한 기기 예컨대, 네트워크로 연결된 주변의 이용 가능한 모든 기기를 조명 제어수단으로 이용 가능하며, 조명장치 제어를 위하여 이동을 요하거나 별도의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도 현재 위치 등에서 이용 또는 접근 가능한 기기를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해당 기기 본연의 기능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명장치 설정이나 제어만을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조명장치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는 조명장치 제어 전용수단은 제1 제어수단, 그 밖에 상기 제1 제어수단 이외에 조명장치를 위해 이용되는 수단은 제2 제어수단으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제어수단은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wired/wireless network)를 통해 조명장치 또는/및 제1 제어수단과 연결(connecting), 연동(linking), 페어링(pairing)(이하 ‘페어링’이라 한다) 등이 가능한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예컨대, 디지털 TV, PC와 같은 고정형 기기(standing device)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리모콘(remote controller)과 같은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등 모든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실시 예로서 조명장치를 설정, 제어 등을 위해 특히, 제2 제어수단은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하여 조명장치 제어과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존재 여부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기기에서 조명장치 제어를 위해 복잡한 과정 즉, 여러 뎁쓰(depth)를 거치거나 하지 않고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바로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페어링 과정 등은 미리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의 별도의 요청 없이도 수행되어 사용자 편의를 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 내 해당 부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상기에서,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라 함은, Wi-Fi,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RS-232, RS-485, 지그비(Zigbee)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 제1 제어수단 또는/및 제2 제어수단 사이에 프로토콜이 상이할 수도 있는바, 그와 관련하여 필요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이나 관련 어댑터(adaptor) 등을 필요에 따라 다운로드 하거나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을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간략하게 조명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조명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 내 각 구성요소 간 관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조명장치는, 크게 관리부(management part), 제어부(control part) 및 기기부(device part)로 구분한다.
관리부는, 감시반(80)을 포함하며, 웹 서버(web serve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시반(80)은 관리 소프트웨어(managing software) 또는/및 상기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되는 하드웨어(hardware)일 수 있다. 웹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른 기기(들)과 페어링될 수 있고, 조명장치에 대한 다양한 요청, (제어) 입력 등을 수신하여 해당 구성으로 전달한다.
관리부는, 제어부 내 컨트롤러(controller)(20)와 TCP/IP 또는 SOAP/XML(Simple Object Access Protoco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조명장치에 대한 설정(setting), 제어(controlling), 모니터링(monitering), 정보 교환(data exchange) 등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컨트롤러(controller)(20), 게이트웨이(gateway)(30),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10) 등을 포함한다.
컨트롤러(20)는, 인터페이스부(10), 게이트웨이(30) 등과 소정 방식 예컨대, TCP/IP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30)를 통해 기기부를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0)는, 제어터치패널(Control Touch Panel)을 제공하며, 다른 기기와의 페어링 등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기기부는, 하이브리드 솔루션(hybrid solution) 형태로 구현된 기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기기부는 레거시 솔루션(legacy solution)(미도시) 형태로 구현된 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솔루션은 예를 들어, 다양한 목적의 기기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세트(set)를 구성한 솔루션을 말한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솔루션의 일 예는, 게이트웨이(30)와 연결된 브릿지 기기(Bridge Device: BD)(40,50), 상기 브릿지 기기(BD)(40,50)에 연결되는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프로그램 스위치(program switch)(60),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sensor)(70)들 등의 조합으로 하나의 세트(SET)가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하이브리드 솔루션은, 복수의 게이트웨이들(30)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게이트웨이(30)에 복수의 브릿지 기기(BD)(40,50)들이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발광부는 본 명세서에서 조명 기기 또는 LED 기기와 같은 명칭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레거시 솔루션은, 컨트롤러(20)와 3rd 파티 프로토콜(3rd Party Protocol) 방식으로 연결되며, 망제어장치(Network Control Unit; NCU), 조명접속장치(Lighting Interface Unit; LIU),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전송장치(Transmission Unit; TU), 릴레이(relay), 프로그램 스위치 등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빌딩(Building)(B)과 같은 대형 건물과 가정(Home)(H)과 같은 중, 소형 건물에 구비될 수 있다.
건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브릿지 기기(BD)(40,50)와, 각 브릿지 기기(BD)와 연결되고 통신 가능한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 기기(BD)는,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의 온/오프(On/Off), 디밍 등의 레벨(level)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스위치(60), 조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sensor)(70) 등이 더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감시반(80)과 컨트롤러(20)는, 실시간으로 건물 내 각 층 또는 특정 구역에 설치된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의 온/오프, 조도 등을 포함하는 각 상태 정보 또는 전력 사용량 등을 관리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찾아서 그 낭비를 최소화하고, 건물의 설비 관리 및 설비 운전 보수 관리, 건물 내부 환경의 유지와 그로 인해 소비되는 에너지, 물질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조명(L)은 전술한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를 의미한다.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는, 발광유닛(Light Emitting Device; LED)을 포함하며, 평판 타입(flat type), 벌브 타입(bulb type), PAR 타입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는, 발광 유닛에 전원(power)을 공급하며, 각 발광유닛을 서로 연결/해제하는 수단을 포함한 통신모듈(communication module)(예컨대, 지그비, RS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시반(80)은, 컨트롤러(20)에 실제 연결되어 있는 조명(L)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내용 즉,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하고, 컨트롤러(20)에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감시반(80)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 등을 사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상에서 교환하는 형태의 프로토콜인 SOAP 또는 홈 자동화용 통신 프로토콜(Home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 HACnet)로 컨트롤러(2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감시반(80)은, 컨트롤러(20)에 요청하여 저장되어 있는 조명(L) 설정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컨트롤러(20)에 스케줄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조명장치에 대한 그룹 또는 개별 단위 제어를 요청할 수 있고, 조명(L)을 모니터링(monitering)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반(80)은 센서(70)에서 수집된 정보를 받아 상기와 같은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0)는, 조명(L)에 대한 제어 명령의 입력 또는 조명(L)의 상태 정보의 표시를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는, 컨트롤러(20)와 통신하며, GUI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조명에 대한 그룹 또는 개별 단위 제어 등을 위한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20)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20)로부터 수행 결과(응답)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그룹 단위라 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명(들)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러한 그룹은 건물 단위, 건물 내 각 층 단위, 건물 내 각 층의 특정 구역 단위 등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그룹핑(grouping)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조명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예를 들어, 감시반(80), 인터페이스부(10) 및 게이트웨이(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30)는, 컨트롤러(20)와 통신하여 조명에 대한 그룹 또는 개별 단위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컨트롤러(20)에 전달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30)는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브릿지 기기(BD)(40,50)는, 게이트웨이(30) 및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전달된 제어 명령을 해당 발광부로 전달한다. 또한, 브릿지 기기(BD)(40,50)는, 각 발광부의 응답(response) 또는 이벤트(event) 정보를 게이트웨이(30)로 전달할 수 있다.
각 브릿지 기기(BD)(40,50)는, 복수의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최대 12개의 발광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브릿지 기기(BD)(40,50)와 게이트웨이(30)는 지그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브릿지 기기(BD)와 해당 발광부는 직렬 연결 방식인 RS-485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브릿지 기기(BD)(40,50)와 게이트웨이(30)의 연결 방식과 각 브릿지 기기(BD)와 해당 발광 유닛(41 내지 43 또는 51 내지 53) 연결 방식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브릿지 기기(BD)(40,50)와 게이트웨이(30)의 연결 방식과 각 브릿지 기기(BD)와 해당 발광부의 연결 방식이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즉, 각 브릿지 기기(BD)와 해당 발광부 사이는 지그비로 연결될 수도 있다.
브릿지 기기(BD)(40,50)는, 주소 데이터(address data)를 생성하고 이를 패킷(packet) 형태로 각 발광부로 전달하거나 전달받은 제어 데이터를 발광부로 재전달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브릿지 기기(BD)(40,50)는 제어 데이터를 발광부로 재전달하기 위해 소정 포맷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 패킷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주소 데이터는, 브릿지 기기(BD)(40,50)가 아닌 컨트롤러(20) 등에서 생성되어 브릿지 기기(BD)(40,50)를 통해 각 발광부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0)와 각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사이의 제어 명령 전송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명령은, 컨트롤러(20), 게이트웨이(30) 및 해당 발광부(예를 들어, 4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브릿지 기기(BD)(예를 들어, 40)를 통하여 차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와 관련된 응답 또는 이벤트 정보는, 해당 발광부(예를 들어, 4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브릿지 기기(BD)(예를 들어, 40), 게이트웨이(30), 컨트롤러(20) 및 인터페이스부(10)로 차례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2의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모든 구성 요소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되거나 추가되어 조명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조명장치의 컨트롤러(20)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마이컴(MiCom)(21), 연결 관리 모듈(22), 통신 모듈(23), SOAP 커넥션 매니저(24) 및 HACnet 커넥션 매니저(2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컴(21)은, 조명 제어 처리를 담당하는 모듈로서, 각각의 SOAP 커넥션 매니저(24), HACnet 커넥션 매니저(25) 등을 통해 인터페이스부(10) 또는 감시반(80)으로부터 수신되는 조명 제어 요청을 통신 모듈(23)에게 전달하여 요청된 조명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이컴(21)은, 요청된 조명에 대한 제어에 따른 응답 또는 이벤트 정보를 연결 관리 모듈(22)을 통해서 인터페이스부(10) 또는 감시반(80)으로 전달한다.
마이컴(21)은,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또는 조명 L), 스위치(60) 또는 센서(70)의 그룹 단위 제어, 개별 단위 제어, 패턴 제어(pattern control), 스케줄 제어(schedule control), 정/복전 제어, 조도 센서 연동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은, 컨트롤러(20)와 게이트웨이(30)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통신 모듈(23)은, 마이컴(21)의 제어 요청을 발광부(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또는 조명 L), 스위치(60) 또는 센서(70) 등이 인식할 수 있는 패킷으로 재구성(변환)하여 게이트웨이(30)로 전달한다. 통신 모듈(23)과 게이트웨이(30)는 예를 들어, TCP/IP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3)은, 전달에 따른 응답 또는 이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30)로부터 수신하여 마이컴(21)에게 전달한다.
연결 관리 모듈(22), SOAP 커넥션 매니저(24) 및 HACnet 커넥션 매니저(25)는,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제어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 요청을 컨트롤러(20) 내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내부 언어로 변환하고 마이컴(21)으로 전달한다. 다시 말하면, 연결관리모듈(22) 및 각 매니저(24, 25)는, 연결된 감시반(80) 또는 인터페이스(10)와의 해당 프로토콜을 해석 또는/및 변환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조명장치와 제어수단 사이의 페어링, 데이터 흐름 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조명장치와 제어수단 사이의 페어링, 데이터 흐름 등 관계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편의상 통신 프로토콜은 지그비 방식을 차용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기기 간에 프로토콜이 상이하여 필요한 하드웨어 구비 내지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프로토콜이 동일한 경우에도 필요한 업그레이드(upgrade)나 버전(version)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업그레이드 또는 다운그레이드(downgrade)를 유도하여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하나의 조명장치(410)는, 소정 통신 프로토콜로 연결된 제1 제어수단(430) 또는/및 제2 제어수단(440)에 의해 전원 온/오프, 주소설정, 색온도, 디밍 등이 제어된다.
조명/스위치(410)는 제1 제어수단(430) 또는/및 제2 제어수단(440)과 직접 페어링되거나 또는 지그비 모듈(420)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수단(440)으로 TV(442), 스마트 폰(444) 및 태블릿 PC(446)를 예시하였으며, 상기 제2 제어수단(44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순차로 또는 동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2 제어수단으로 스마트 폰(444)을 이용하는 경우, TV(442), 지그비 모듈(420)을 거쳐 소정 제어 신호가 조명장치로 전달되어 제어에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 내에 제1 제어수단(430)과 제2 제어수단(440)을 각각 이용하여 하나의 조명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이의 처리가 문제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 내에 제2 제어수단(440)에 속한 복수의 기기를 통해 하나의 조명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는 그 처리도 문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미리 각 제어수단 또는 제어수단 내 기기 간에 우선순위를 정하여 그에 따를 수도 있고, 아니면 시간 순으로 그대로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현재 해당 조명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한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 내지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여 상호 간에 조율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어느 조명장치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제어부에서 미리 등록되었거나 현재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거나 다운로드 된 기기에 해당 조명장치의 오류 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동시에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에 대한 인지 순서에 따라 최초 인지자에게 우선권을 주어 그에 따른 제어로 다른 인지자에게는 현재 어떤 사용자가 어떤 기기를 통해 해당 사항을 처리 중에 있음을 알리며 개별 제어 입력 등이 불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 다른 인지자가 해당 제어자에게 소정 정보나 명령을 제공하여 도움을 줄 수도 있는바, 관련된 SNS 서비스나 기타 관련 서비스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각 기기에서 활성화될 수도 있다. 또한, 최종 에러 등의 처리에 대한 결과가 리포트 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조명/스위치(410)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비되며, 스위치를 거쳐 조명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수단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는 제어수단의 구성요소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구성요소는 그 자체가 전체 구성요소가 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다른 구성에 조명장치 제어와 관련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진 않았으나, 해당 기기에 따라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수단(510)은 예를 들어, 센싱부(520), 제어부(530), 변압기(540), 필터(550), 안테나(560) 및 전원 공급부(58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어수단 (510)은 전술한 제1 제어수단 또는 제2 제어수단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센싱부(52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센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내지 의도를 센싱 처리하여 해당 기기에서 제어 신호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다양한 센서로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모션 센서, 압력 센서, 온도 또는 열 감지 센서, 거리 센서 등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포함되며, 센싱부(520)는 상술한 센서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여 그로부터 센싱된 값을 수신하여 적절히 처리한다.
예를 들어, 센서가 터치 센서(touch sensor)인 경우에 센싱부(520)는, m 포인트 x n 포인트(n, m, n과 m은 양의 정수)의 그라데이션(gradation)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에 대한 포인트 정보(point information)를 생성하여 제어부(53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부(520)는, 터치 포인트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직교 좌표계(rectangular coordinates)에 근거한 좌표 정보(coordinate information)를 참조할 수 있으며, 최초 터치 후 드래그(drag)된 경우나 연속적인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각각의 터치 포인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5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드래그 된 경우를 포함하여 다수의 터치 포인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직교 좌표계에 근거하여 방향성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방향성 정보라 함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대각선 방향을 식별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터치부(520)는 생성된 포인트 정보가 한 개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좌표 정보를 전송하면 되나, 다수의 포인트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좌표 정보와 함께 각 포인트 정보 사이의 포인트 차이에 대한 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520)는 특히, 방향성 정보가 대각선 방향인 경우에는 직교 좌표계에 근거하여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한 포인트 차이 정보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530)는, IEEE 802.15.4 MAC/PHY가 내장된 2.4GHz 지그비 무선 통신 트랜시버(transceiver)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30)는, 내부에 프로세서(processor)와 플래시/메모리(FLASH/SRAM), 및 암호화 수단도 내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530)는 SPI(Ethernet, EEPROM), TWI(RTC module), JTAG(SIF)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할 수 있다.
변압기(540)는, 고 임피던스 평형 안테나를 저 임피던스 비평형 수신기,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에 정합시킬 경우, 변환율이 좀 더 큰 밸룬(balance to unbalance transformer; Balun)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변압기(540)는 예를 들어, 신호가 100옴(ohm) 차등 신호(differencial signal)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100 옴(ohm) 임피던스(impedance)를 송/수신 신호에 따라 안테나로 50옴 임피던스로 변환하며 2.4GHz 대역만 통과하도록 필터링 매칭 구동될 수 있다.
필터(550)는 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로, 출력의 고조파(harmonic) 성분을 제거하는 동시에 고주파(high frequency) 성분은 필터링한다.
안테나(560)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공중(Air)으로 방사(coupling)하며, 입력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전원 공급부(power supply)(580)는, 입력된 5Vdc 전원을 3.3Vdc로 정전압하여 지그비 칩(Zigbee chip) 부품 등의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수단(510)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기기 사이의 연결 상태를 테스트하거나 메모리에 퓨징(fusing)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지그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Zigbee S/W Program)의 다운로드(download) 및 디버그(debug) 기능을 수행하는 JTAG 커넥터(Joint Test Action Group (JTAG) Connector)(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510)은 메모리, 드라이버, 버퍼부, I/O 포트, I/F 커넥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untary memory)의 일종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28Kbyte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무선으로 지그비 펌웨어(Zigbee Firmware)를 업데이트 할 경우 임시 데이터롬(DataROM)으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는, 센싱부(520)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530)에서 제어 레벨 등을 결정함에 있어서 참고할 예컨대, 색온도, 디밍 레벨 등에 대한 미리 정의된 값인 참조 테이블을 저장할 수도 있다.
드라이버는, UART 통신에 있어 하프 듀플렉스(Half Duplexer) 방식으로 외부 기기와 차등 라인(differential line)으로 장거리 통신에 사용된다.
버퍼부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으로 예를 들어, 500Hz의 펄스를 폭 변화로 외부 기기(예를 들어, 디밍 커넥터)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I/O 포트는, 하프 듀플렉스 방식의 RS-485 통신으로 12대의 발광부와 연결하여 개별 제어가 가능하며, 외부 기기 +5Vdc를 공급받아 내부 회로를 구동한다. I/F 커넥터는, 5Vdc 전원은 외부 기기(예를 들어, 연결된 디밍 커넥터)를 통해 입력받으며, 5V PWM 신호를 출력해 다운라이트 등 펄스 폭 변조 제어로 디밍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판단 및 그에 따른 제어 신호 생성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포함한 클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510)은 도시되진 않았으나, 내부에 전술한 지그비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의 각 발광장치 역시, 제어수단의 통신 방식에 대비하여 제어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해 지그비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통신모듈은, 향후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를 위한 용도로도 이용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그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기 위해, 제어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어수단의 모션(motion)을 통하여 간단하게 제어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수단을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명령(control command)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조명 제어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 5의 제어수단은 모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센서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거리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각 실시 예는 편의상 제2 제어수단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제어수단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수단 역시 편의상 특정 기기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수단 내 다른 기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조명장치 제어라 함은 경우에 따라 조명장치의 디밍, 색온도 등의 제어과정만을 의미하거나 조명장치 설정과정 등 기타 조명장치에 대한 모든 과정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 정보는, 후술할 도 6 내지 42 각각의 영역에 구성되어 출력되는 정보들을 지시할 수도 있고, 주소 설정과 관련하여 한정 지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제어수단에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도 6(a)는, 스마트 TV(600)를 그리고, 도 6(b)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를 제2 제어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이다.
관련하여, 제2 제어수단에서는 네트워크로 페어링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일 예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였거나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TV(600)에서 컨텐트를 시청하는 중에 조명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마이앱(MY APPS)을 호출하면, 스마트 TV(600)의 화면이 분할된다. 이때, 분할된 화면의 제1 영역(610)은 기 시청 중인 컨텐트를 제공하고, 제2 영역(620)은 호출한 마이앱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2 영역(620)에 제공되는 마이앱은, 조명제어 애플리케이션(625)을 마이앱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하나로 제공되고,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하면, 스마트 TV(600)는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도 6(b)는, 전술한 도 6(a)의 스마트 TV(600)를 대신하여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가 이용되었는데, 이 경우도, 홈 또는 마이앱 화면(650)이 호출되면 기기 내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이 제공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에는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655)도 포함된다. 따라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655)이 선택되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역시 상기 선택에 따른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내용이 구성되고 제공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내용은, 별도의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가 바로가기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웹 서버를 접속하고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조명제어를 위한 화면 또는 페이지(page)가 제공될 수도 있고, 그 밖에 펌웨어(firmware) 또는 다양한 형태로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내용이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도 7 내지 42는 예를 들어, 도 6(a) 또는 6(b)에서 조명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고, 그 이후에 조명장치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 7 내지 42가 반드시 도 6의 과정을 거쳐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경로(path)나 다른 방식을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 자체가 디폴트(default)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후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이하에서 상태 정보라 함은, 일반적으로, 주소설정 여부, 전원 온/오프 유무, 디밍 레벨, 색온도 레벨 등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나, 해당 부분에서 별도로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먼저, 도 7 내지 8은 예컨대, 빌딩과 같은 대형건물에 설치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실행되는 경우에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홈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예컨대, 사용자가 해당 건물 내 제어 대상인 조명장치의 선택 편의를 위한 일실시예로, 층 단위의 조명 제어 정보(710)를 구성한 것이다.
한편, 도 8은, 도 7과 유사하게 층 단위의 조명 제어 정보(810)를 제공하되, 도 7과는 다르게 조명 제어 정보(810) 내 항목들 즉, 각 층의 정보에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상태 정보라 함은 예컨대, 해당 층에 대한 주소 설정 여부, 전원 온/오프, 에러 등 오류 발생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상태 정보는 디폴트 또는 설정에 따라 각 층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럽트(interrupt) 발생에 따라 재접속한 경우에 가장 마지막에 핸들링한 층은, 다른 층과는 컬러를 다르게 하거나 해칭, 하이라이트(highlight), 2D/3D(2-Dimensional/3-Dimensional) 형태, 깜빡거리거나 오디오 정보 등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차별화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화면상에는 상술한 상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목 내지 정보가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항목이 유사하여도 다른 항목이 다른 경우에도 서로 차별화되어 식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제공된 조명장치 제어 화면(810)은 예컨대, 상태 정보로 주소설정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 층의 주소 설정 여부를 표시하는 형태를 구성된 것이다. 빌딩 내 각 층에 대응되는 항목들은,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다양한 기준으로 리스팅될 수 있는데, 이때 하나의 층에 속한 조명장치 모두에 주소가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해당 항목은 예컨대, 제1 컬러(ex. 붉은색)로 표시되고, 반대의 경우 제2 컬러(파란색)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도면에서는 해칭 등으로 이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13층 항목(820)만이 다른 층과 다른 컬러 내지 해칭으로 표시되었는데, 이는 다른 층과 달리 13층만 해당 층의 조명장치 중 모두 또는 일부의 주소 설정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 제어 화면(810)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정 등의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13층 항목(820)의 일부 조명장치만 주소 설정이 미완료된 경우에는, 주소 미설정 조명장치 개수/전체 조명장치 개수와 같은 형태(ex, 3/20, 10/15)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해당 층에 조명장치가 N개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N개 모두가 주소 설정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그 처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컬러와 제2 컬러를 제공하는 소정 기준을 N/2개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즉, 주소 설정 완료된 조명장치가 소정 기준(N/2개) 이상이면 되면 제1 컬러로 표시하고, 반대의 경우 제2 컬러로 표시하는 것이다. 또는, 상술한 컬러를 대신하여 처음부터 숫자만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에 따라 도 7 또는 도 8의 화면이 구성되어 제공되나, 도 8은 도 7의 화면에서 사용자의 소정 요청 내지 선택에 대응한 화면일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상태 정보로 주소 설정 여부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원 온/오프 여부 등 다른 상태 정보 항목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복수의 상태 정보 항목을 위해서는 유사한 방식으로 컬러, 숫자, 하이라이트 등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인식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도 8에서 13층 항목(820)이 주소 미설정 항목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를 포함하여 도 7 내지 8에서 소정 층에 대응되는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해당 층에 대한 상세 화면이 구성되어 제공된다.
도 9는 도 7 내지 8의 화면에서 선택된 소정 층의 상세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선택된 층의 각 그룹별 현재 현황에 대한 항목이 소정 기준(예를 들어, 순차)으로 리스팅되어 제공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층, 그룹, 개별 LED 기기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설명한다. 이때, 각각은 서로 포함관계 내지 계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편의상 층이 상위 계층을 구성하고, 층에는 없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그룹이 존재할 수 있으며 차상위 계층을 구성하고, 각 그룹에는 다시 LED 기기가 하나 또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하위 계층을 구성한다. 여기서, 그룹은 존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계층 구조 이외의 계층이 더 존재할 수도 있으며, 계층 간 포함관계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다르게 정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9와 같은 선택된 층의 그룹 항목들은 도 7과 같이 단순 리스팅만 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리스팅 된 각 그룹 항목에 상태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도 9에서는 후자를 예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선택된 해당 층(910)에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LED 기기를 포함한 그룹이 15개가 존재하고, 그 중 그룹 2(Gr.2)(921), 그룹 8(Gr.8)(922), 그룹 9(Gr.9)(923), 그룹 13(Gr.13)(924) 및 그룹 15(Gr.15)(925)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그룹과 다른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차별화되어 제공된다.
한편, 여기서 상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온/오프 유무, 디밍 레벨, 색온도 레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바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상태 정보가 출력되며, 상태 정보의 타입 내지 종류에 따라 숫자를 병기하거나 다양한 컬러나 컬러 농도 내지 채도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상태 정보에 따라 그 표현 방식이 상이할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도 10은 전술한 도 6(a)의 제2 영역에 출력된 마이앱에 포함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 구성(10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실행에 따라 제어수단은 제1 영역(1010)에 이전과 동일한 내용(컨텐트 제공)을 출력하고, 제2 영역(1020)에 도 7 내지 8과 같은 층 정보를 리스팅한다. 다만, 도 10에서는 도 8과 유사하게 상태 정보가 함께 제공된 화면 구성을 예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체 15개의 층에서 2층(1031), 8층(1032), 9층(1033), 13층(1034) 및 15층(1035)는 다른 층과 상태 정보가 다름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1은 전술한 도 10의 제2 영역에 출력된 층 정보로부터 선택된 2층(1031)의 그룹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영역은 여전히 변화가 없으며, 제2 영역(1105)에는 우측 상단에 선택된 해당 층을 식별하는 항목(1110)이 출력되어 아래 그룹 정보가 2층에 대한 정보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목(1110)의 하단에는, 15개의 그룹 대응 항목들이 상태 정보와 함께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제2 그룹(1121), 제8 그룹(1122), 제9 그룹(1123), 제13 그룹(1124) 및 제15 그룹(1125)은 다른 그룹들과 다른 상태 정보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별되어 제공된다. 한편, 도 10의 층에 대한 상태 정보와 도 11의 해당 층의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는 동일할 수도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는 상태 정보가 전원 온/오프 유무였으나, 도 11의 상태 정보는 디밍 레벨일 수 있다. 이는 디폴트 또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제공될 수도 있으며 화면을 구성하는 항목들의 성격, 타입 등을 기초로 달라질 수 있으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다.
한편, 도 7 내지 10에서 도시되진 않았으나, 화면의 소정 영역(최하단 영역)에는 상태 정보의 종류가 리스팅되어 그를 액세스하면 해당 화면에서 선택된 상태 정보에 따른 화면이 차별화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10과 같이 단순하게 순차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태 정보에 따라 그 리스팅 화면 구성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이 온 된 항목과 오프된 항목이 그룹핑될 수 있으며, 디밍이나 구성의 성격, 성질 등에 따라 리스팅 순서나 배열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0과 11과 달리 층 정보와 그룹 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에도, 제1 영역은 여전히 변화가 없을 수도 있고, 제1 영역에는 층 정보가 그리고 제2 영역에는 상기 층 정보로부터 선택된 층의 그룹 정보가 순차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영역(1210)에 층 정보(제1 내지 제6 층)가 제공되고, 제3 영역(1250)에는 제2 영역(1210)에서 선택된 층의 그룹 정보(제1 내지 제6 그룹)가 제공된다.
여기서, 그룹 정보는 제2 영역(12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1211)이 선택되면, 제2 영역(1210)의 크기가 줄고 제3 영역(1250)이 생성된 후에 제공되거나 처음부터 제3 영역(1250)이 생성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그룹은 가장 최근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층의 그룹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도 제2 영역(1210)의 층 정보와 제3 영역(1250)의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태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영역(1210)에서 제2 층(1211)이 선택되면, 제3 영역(1250)에 6개의 그룹 정보가 제공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구성의 일 예로서, 특히 제어수단의 정보를 전체적으로 한눈에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면을 N분할(여기서, N은 양의 정수)하여 각 분할된 화면 영역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전술한 도 7 내지 12가 하나 또는 2개의 화면 영역만 제공된 것과는 다르게 층, 그룹, 개별 LED 기기에 대한 영역을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본래 기능과 함께 또는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의 경우, 제어수단의 화면은 4분할되어, 제1 영역(1310)에는 전체 층 정보가, 제2 영역(1320)에는 선택된 층의 그룹 정보가, 제3 영역(1330)에는 선택된 그룹의 개별 LED 기기 정보가, 그리고 제4 영역(1340)에는 선택된 LED 기기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1310) 내지 제4 영역(1340)은 아무런 정보를 출력하지 않다가 순차로 이전 계층의 선택에 연동하여 해당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해당 항목의 정보가 출력되고 상위 계층에서의 선택에 따라 정보가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계층의 정보가 수정, 변경, 선택되면, 상위 계층은 변화가 없으나 하위 계층은 일괄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제4 영역(1340)에서는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재 어느 계층을 액세스하느냐에 따라 관련 식별정보와 함께 해당 계층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는 제3 영역(1330)의 제5 그룹(1331)에 속한 여섯 개의 LED 기기 중 제3 LED 기기(1332)에 대한 기본정보(1342)와 추가정보(또는 편집정보)(1343)가 제공되는 예시가 도시되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4 영역(1340)의 출력 정보는, 제1 영역(1310)의 층 정보, 제2 영역(1320)의 그룹 정보와도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연동된 계층에 따라 또는 연동된 항목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4 영역(1340)에서 도시된 기본 정보는 예를 들어, 연동된 항목과 관련하여 해당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본 정보 주소 설정 여부, 전원 온/오프 여부, 현재 디밍 레벨, 현재 색온도 레벨,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정보, 제조 년월일, 버전, 제조사, 관리 책임자 등이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추가 정보는 상기 기본 정보에 대한 또는 그 이외의 추가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업그레이드 내지 업데이트 정보나 해당 제품 관련 새로운 소식이나 기타 각 상태 정보 등에 대한 추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간단한 화면 구성(1300)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사용자(관리자)가 도 6(a) 내지 6(b)를 통하거나 별도의 경로로 제어수단을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요청을 하면 제어수단 또는 제어수단에 연동된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1 영역(1310)에 전체 층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제1 영역(1310)에는 상단에 해당 영역이 어떤 정보를 출력하는지 식별 가능하도록 식별자(1311)(전체)를 출력하고, 그 하단에 각 층에 대응되는 항목이 제공된다. 다음으로, 제2 영역(1320)에는 상단에 해당 영역이 어느 층에 대한 그룹 정보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식별자(1321)(2층)와 함께 하단에 제1 영역(1310)에서 선택된 2층에 속한 그룹(Gr.1 내지 Gr.6)에 대한 정보가 출력된다. 제3 영역(1330)에는 상단에 각 LED 기기가 속한 그룹에 대한 식별자(1331)(Gr.5)와 함께 하단에 해당 그룹에 속한 개별 LED 기기에 대응되는 항목들(LED1 내지 LED6)가 제공된다. 또한, 제4 영역(1340)에는 상단에 해당 영역이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 식별 가능하도록 식별자(1341)(LED3)가 제공되고 그 하단에 기본정보(1342)와 추가정보(1343)가 제공된다.
한편, 도 13 내지 15는 상태 정보에 따라 화면 구성된 실시 예들일 수 있다.
도 13의 화면 구성이 단지 선택된 항목이 다른 항목과 차별화되도록 해칭되었다고 가정하거나 주소 설정 유무에 따른 것이라면, 도 14는 조도, 색온도, 그 밖에 사항을 기준으로 다른 항목과 차별화되도록 해칭된 예시이며, 도 15는 도 14와 시각적인 화면 구성 특히, 제4 영역이 보다 시각적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다시 말하면, 도 13에서 사용자는 제1 영역(1310)에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제2 층(1311)만 다른 층과 달리 아직 주소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2층을 선택하면, 제2 영역(1320)에 2층에 속한 그룹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여기서, 2층에서도 제1 그룹(1322)과 제5 그룹(1324)이 주소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먼저 제5 그룹(1324)을 선택하면, 제3 영역(1330)에서 제5 그룹에 속한 개별 LED 기기의 주소 설정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출력된다. 이때, 제5 그룹의 제3 LED 기기(LED3)(1332)와 제6 LED 기기(LED6)(1333)이 주소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사용자는 식별할 수 있고, 제4 영역(1340)에서는 이 중 제3 LED 기기(1332)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주소 설정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소 설정 편의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4 내지 15는 제1 내지 제3 영역까지는 전술한 도 13의 내용과 유사하나, 여기서 상태 정보가 도 13이 주소 설정 유무를 기준으로 하였다면, 도 14 내지 15는 조도, 색온도 등이 다르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영역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원용하여 생략하고 제4 영역(1340)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서는 제4 영역에서, 각 영역에서 선택된 항목의 층/그룹/LED 기기의 조도, 색온도 등에 대해 상기 선택된 항목의 층/그룹/LED 기기 식별 항목(1411)과, 현재 선택된 상태 정보의 레벨(1412)(+20), 그 아래 해당 상태 정보의 레벨 조정을 위한 버튼(1413)(+/-), 그리고 다른 상태 정보 선택을 위한 항목들(1414,1415,1416)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제4 영역 구성과 거의 유사하나 현재 상태 정보의 레벨을 위한 GUI(1520)가 상이하고, 사용자의 화면 터치를 통한 조정으로 레벨을 직접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14와 같이 레벨 조정을 위한 버튼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 GUI(1520)는 선택된 상태 정보에 따라 다른 모양, 다른 컬러, 다른 기준 레벨을 가질 수 있으나, 일 예로 여기서는 색온도가 0에서 100에서 45정도임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주로 주소 설정과 같은 설정과정을 위주로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다만, 하기 내용이 설정과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제어과정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차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6 내지 26은 예컨대, 도 7 내지 15의 다음 동작을 위한 화면 구성일 수도 있고, 도 6(a) 내지 6(b)의 바로 다음 실행 화면일 수도 있다.
도 16에는, 아직 설정되지 않은 주소 정보가 리스팅 된 제1 영역(1610)과 주소가 설정되지 않은 LED 기기가 리스팅 된 제2 영역(1620)가 제공된다.
본 명세에서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조차도 쉽게 주소 설정이 가능하도록 GUI를 구성하는 것이 일 목적인바, 사용자가 제2 영역(1620) 내 주소가 설정되지 않은 소정 LED 기기(1621)을 클릭하여 제1 영역(1610) 내 미설정 주소 항목(1611)에 드래그(drag)하면 해당 LED 기기(1621)에 해당 주소(1611)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드래그하여 소정 LED 기기에 하나의 주소가 설정되면, 도 16의 제1 영역(1610)과 제2 영역(1620)은 나머지 미설정 주소와 주소 미설정 LED 기기들만으로 재구성되어 제공되거나 이전 상태에서 다른 항목들과 차별화되게 주소가 설정되었음을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드래그 방식으로 주소 미설정 LED 기기의 주소를 설정할 수도 있고, 도 17과 같이, 소정 주소 미설정 LED 기기를 클릭 또는 액세스하면 주소 정보 설정 유무에 대한 GUI를 제공하고 그 선택에 따라 주소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해당 LED 기기가 소정 주소와 매칭됨을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제공하거나 제1 영역(1610) 내 추천 또는 주소 정보를 식별자만으로 리스팅하여 별도의 GUI 또는 서브 GUI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 주소 설정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18에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제2 영역에 각 LED 기기에 대응되는 항목들 중 하나가 아닌 복수 개를 동시에 선택한 경우에 그 처리에 관한 내용이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LED 기기 항목(1810)이 동시에 선택되면, 제어수단은 이를 그룹핑 목적으로 인식하여 그룹으로 설정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GUI(1820)를 구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그룹핑되었으면, 그룹핑을 식별 가능하도록 차별화하여 제공하고,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16 내지 17과 같이 개별 LED 기기 단위로 드래그 또는 GUI를 통해 주소 설정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그룹핑 된 항목을 드래그(1920)하거나 재선택하면 주소 설정 관련 GUI(1930)를 제공하여 주소 설정 편의를 기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그룹핑 된 항목이 재선택되는 경우에는 그룹 해제 여부를 문의하고, 문의 결과 해제가 아니면 주소 설정 GUI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그룹핑 된 항목이 주소가 설정된 경우에는, 그룹 단위의 주소 설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개별 LED 기기도 주소 설정을 할 것인지 추가로 문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문의에 대해 사용자가 개별 단위로 주소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그룹 내 각 LED 기기에 동일한 주소가 할당되어 항상 동일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개별 단위로 추가 주소 설정을 하는 경우에는 제1 주소(그룹 단위)와 제2 주소(개별 단위) 형태로 개별 저장한 후에 이후 사용자의 제어 의도 내지 목적에 따라 그룹 단위 제어 또는 개별 단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수단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분에 식별자를 별도로 할당하여 예컨대, 1이면 그룹 단위 제어, 2이면 개별 단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핑되었다고 하더라도 해당 그룹 내에서 개별 LED 기기 단위로 다시 개별 제어도 가능해 진다.
도 20은 층 단위로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화면 구성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서는 계층 구조에서 그룹 단위는 생략하고, 층 단위와 개별 LED 기기 단위로 구현한 화면의 예시이다.
도 20(a)는 하나의 층(4층)에 속한 복수의 개별 LED 기기를 배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이 중 3개의 LED 기기(2011,2012,2013)는 다른 LED 기기와 상태가 다름을 식별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한편, 여기서, 상태가 다르다고 함은 주소 설정 여부, 전원 온/오프 여부, 미리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디밍 레벨, 색온도 레벨이 해당 기준에 못 미치는 경우 등을 예시한 것일 수 있다.
도 20(b)와 (c)는, 도 20(a)를 기준으로 하여, 화면을 분할하지 않고 다른 층의 화면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어떻게 처리하는 지에 관한 화면 구성의 실시 예들이다.
도 20(a)를 참고하면, 화면 좌측 상단에 층 단위의 식별자(2010)가 제공된다. 다만, 사용자가 4층이 아닌 다른 층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화면 내에 빈공간을 아무 곳이나 선택, 클릭 또는 액세스하면, “다른 층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문구가 포함된 GUI가 제공되어, 상기 GUI로부터 원하는 층을 선택하여 바로 화면을 전환할 수도 있다.
또는, 도 20(a)의 층 식별자 항목(2010)을 액세스하면, 도 20(b) 또는 (c)와 같은 GUI(2020,2030)가 상기 층 식별자 항목(2010)의 바로 옆에 서브 항목이 제공된다. 도 20(b)의 경우에는 원통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2022)로 층 선택을 위한 GUI(2020)이 제공되고, 도 20(c)의 경우에는 네모 박스 형태로 층 정보가 제공된다. 이때, 층이 많아 한꺼번에 도시하기 힘든 경우에는 측면 또는/및 하부에 구성된 바(bar)(2031)를 통해 다른 층의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1은 하나의 층 정보로부터 주소가 미설정된 조명 기기의 주소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는, 전술한 도 20(a)와 같이, 화면 좌측 상단 영역에 층 식별자 항목(2111)이 제공되고, 나머지 영역에 해당 층에 속한 개별 조명 기기들이 제공된다. 여기서, 3개의 조명 기기(2121,2122,2123)가 나머지 조명 기기들과 달리 주소가 미설정되어 차별화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21(a)에서 만약에 사용자가 포인터(2124) 등으로 상술한 주소 미설정 된 조명 기기들(2121,2122,2123) 중 어느 하나를 액세스하면, 도 21(a)의 화면 구성이 도 21(b)와 같은 화면 구성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도 21(b)의 좌측 영역(2150)은 할당되지 않은 주소 항목이고, 우측 영역(2160)은 상술한 도 21(a)에서 주소 미설정된 조명 기기들(2121,2122,2123)이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21(b)의 우측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주소를 설정하는 과정은 전술한 도 16 내지 17의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1이 주소 미설정 조명 기기를 선택하여 주소 설정 과정에 대한 것임에 반해, 도 22는 상기 주소 미설정 조명 기기 이외의 조명 기기가 선택된 경우에 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와 22(b)의 기본적인 화면 구성은 전술한 도 20 내지 21과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그를 원용하고,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화면상에 주소가 설정된 조명 기기 대응 항목과 주소가 미설정된 조명 기기 대응 항목 중, 도 21과 달리 주소가 설정된 조명 기기 대응 항목(2220)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로서, 선택된 항목의 조명 기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GUI(2230)로 제공한다.
예컨대, 주소, 위치, 그룹, 전원 온/오프 여부, 밝기 정보, 기타 정보 등이 제공된다.
이와 달리, 도 22(b)는 동일한 상황에서 다른 GUI(2250)를 제공한다. 이 GUI(2250)는 예컨대, 편집 여부 문의를 위한 것으로, 기 할당된 주소를 삭제(delete)할 것인지, 아니면 재설정할 것인지 또는 그룹을 재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22(b)는 도 22(a)에 연동화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도 22(b)에서 주소/그룹 관련하여 해당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면의 내용을 참고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련 서브 GUI가 더 제공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23 내지 26은 예를 들어, 그룹 단위 편집을 위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22와 달리, 이번에는 그룹 단위 정보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23(a)를 참조하면, 좌측 상단 영역에 층 식별자 항목(2310)이 제공되고, 그 아래에 해당 층에 속한 총 20개의 조명 기기가 출력되고, 하나 이상의 조명 기기들로 구성된 그룹 정보가 출력된 조명 기기들 상에 다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직교 좌표계 표시 방식을 참고하여, 좌측에서 하단을 0이라 가정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X좌표가 증가하고, 상단으로 갈수록 Y 좌표가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1,4)(2,4)(1,3)(2,3)가 제1 그룹(2330), (3,4)(4,4)(5,4)(3,3)(4,3)(5,3)가 제2 그룹(2340), (1,2)(2,2)(1,1)(2,1)가 제3 그룹(2350), 그리고 (3,2)(4,2)(5,2)(3,1)(4,1)(5,1)가 제4 그룹(2360)이다.
여기서, 만약 사용자가 포인터(2361)를 이용하여 제4 그룹(2360)을 선택하면, 화면 우측 상단에는 층 단위 정보와 대응되게 그룹 단위 정보 항목(2315)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포인터(2361)로 특정 그룹을 선택하면, 도 23(b)와 같이 편집 GUI(237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정보 항목으로는 예를 들어, 그룹 단위 주소 설정 여부, 소정 기기 제외, 소정 기기 추가, 그룹 단위 밝기 설정 등의 항목이 제공되고 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기본적인 화면 구성은 전술한 도 23과 유사한바 그를 원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과 달리, 도 24에서는 사용자가 드래그 방식으로 그룹 또는 개별 기기 단위로 편집을 하는 것인데, 도 24(a)에서와 같이 제4 그룹(2420) 내 소정 항목(2422)을 선택하여 이를 제3 그룹(2410)으로 드래그하면, 해당 조명 기기는 도 24(b)와 같이 제4 그룹에서 제3 그룹(2410-1)으로 변경되고, 그룹 식별 화면이 재구성(2420-1,2420-1)된다.
도 25는 상술한 도 23 내지 24와 다르게, 그룹 식별 목적의 박스 모양을 도 25(b)와 같이 핸들링함으로써 그룹 단위 제어를 한다.
여기서, 도 25(a) 역시, 전술한 도 23 내지 24의 도면과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사용자가 만약 조명 기기가 아닌 그룹 식별 박스 자체를 선택하면, 고정되어 있던 박스(2510 내지 2540)가 포인터(2550) 등의 움직임에 따라 도 25(b)와 같이 확대/축소 또는 모양 변경(2510-1 내지 2540-1) 등이 되어 그룹 변경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25(b)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4개의 그룹 식별 박스(2510,2520,2530,2540)이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사용자가 제1 박스(2510)를 선택하여 축소되도록 제어하면, 나머지 그룹 식별 박스의 크기도 함께 변화되어 각 기기의 그룹이 자동으로 변경된다.
이와 달리, 선택된 그룹 식별 박스가 변경되더라도 나머지 박스의 크기가 변경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그 경우 원 그룹에서 제외된 조명 기기는 어떤 그룹에 속하지 않을 수도 있고, 추후 드래그 등의 방식으로 다른 그룹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26(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6(a)의 포인터(2650)를 통해 하나의 그룹(2640)이 선택되면, 화면이 분할되고 선택된 그룹(2640)에 대한 정보 제공 영역(2650)이 생성되어 기본 정보(2655)와 함께 편집 또는 상태 정보(2670)가 제공된다. 이 경우 기존 화면의 크기가 화면 분할에 따라 축소되어 제공(2610-2610-1, 2620-2620-1, 2630-2630-1, 2640-2640-1) 될 수도 있다.
상기 편집 정보는, 해당 그룹 내 각 조명 기기 식별자와 이동 또는 변경 가능한 그룹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쉽게 변경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7 내지 33은 도 7 내지 15와 다른 화면 구성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에서는 화면 내에 화면 분할을 통해 복수의 층 단위 정보가 제공되되, 해당 층에 속한 개별 조명 기기의 상태 정보도 한꺼번에 표시된 예시이다.
한편, 도 27에서는 주소 미설정 기기와 에러 발생 기기가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되었다.
도 27에는 좌측 상단부터 1층(2720), 우측 상단에 2층(2740), 좌측 하단에 3층(2760) 그리고 우측 하단에 4층(2780)에 속한 조명 기기들에 대한 정보가 개시되었다.
1층에 대한 정보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1층에는 총 20개의 조명 기기가 존재하고, 이 중 5개(2731,2732,2733,2734,2735)는 주소가 아직 미설정된 기기이고, 또 3개(2722,2723,2724)는 에러가 발생한 기기이다.
2층에 대한 정보도, 마찬가지로 총 20개의 LED 기기 중 5개(2751,2752,2753,2754,2755)는 주소 미설정 기기이고, 3개(2742,2743,2744)는 에러가 발생한 기기이다.
3층 역시, 총 20개에서 3개(2771,2772,2773)은 주소 미설정 기기이고, 4개(2762,2763,2764,2765)는 에러가 발생한 기기이다.
4층도 총 20개에서 7개(2791,2792,2793,2794,2795,2796,2797)은 주소 미설정 기기이고, 2개(2782,2783)은 에러 발생 기기이다.
도 28은 도 27의 화면에서 그룹핑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의 1층 영역에서 포인터(2810)를 이용하여 우측 하단의 4개의 LED 기기가 포함되도록 박스(2820)를 구성하면, 해당 박스 내 4개의 LED 기기는 하나의 그룹이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어수단은 그룹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GUI를 제공하거나 자동으로 이전 그룹명에 이은 그룹명을 할당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층 영역에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단 3개를 포함한 박스(2840)를 구성하고, 그 하단의 다시 3개를 포함한 박스(2850)를 구성하여 그룹핑할 수 있다.
도 29는 예컨대, 도 27과 다른 화면 구성이거나 도 28과 같이 그룹핑을 통해 형성된 그룹 화면일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화면에는 4개의 영역(2910,2920,2930,2940)이 분할 제공되고, 각 영역에는 층/그룹 식별자(2911/2912,2921/2922,2931/2932,2941/2942)가 제공된다. 또한, 각 영역에는 해당 층의 층 단위 정보로서, 해당 층에 속한 LED 기기들이 그룹단위로 그룹 박스를 통해 구분되어 표시된다.
도 30은 전술한 도 6(a)에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1 영역(3010)에 제어수단 본연의 기능으로 컨텐트가 제공되고, 제2 영역(3020)에는 상술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하나의 층 단위 정보가 제공된다.
여기서, 층 단위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층에 속하는 개별 LED 기기들이 리스팅되고, 리스팅 된 각 LED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도 제공된다. 이때, 상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총 20개 중 3개(3025,3033,3034)는 주소 미설정 상태이고, 1개(3031)는 에러 발생 상태임을 표시한다.
한편, 본 명세서 내에서 화면 구성과 관련하여, 제1 영역이 상부나 좌측에만 위치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일뿐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1은 도 30과 달리 도 6(a)에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 도 6(a)의 각 영역이 좌측으로 쉬프트 된 것처럼 기존 제1 영역에 제공되던 컨텐트는 중지 내지 타임-쉬프트(time-shift) 상태가 되고, 기존 제2 영역에 제공되던 마이앱 화면이 제1 영역에 위치한다. 이는 사용자가 현재 조명장치 제어에 보다 집중하거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의도에 기초하여 화면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에는 전술한 도 30의 제2 영역과 동일한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2와 33은 도 6에서의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구성한 화면(32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달리, 화면이 복수 개로 분할되되, 화면 상단의 제1 영역(3210)에는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목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이름이 표시(LED Apps 즉, 조명 제어 애플리케이션) 된다. 분할 화면 내 제2 영역(3220)에는 컨텐트 제공과 관련된 항목들과 디스플레이 화면이 제공되고, 제3 영역(3230)에는 4개의 서브 영역이 구성되어 각 서브 영역에 층 단위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제4 영역(3240)에는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항목들 예컨대, 기본정보 항목, 조도 항목, 색온도 항목 등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3 영역(3230) 서브 영역 중 좌측 상단의 서브 영역(3231)을 선택하면, 해당 영역의 항목은 하이라이트 되고, 제4 영역(3240)의 항목 중 색온도를 선택하면, 제5 영역(3250)에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바(3250)가 제공된다. 제어 바(3250)는 조절수단(3255)을 통해 -90에서 +90 사이에서 0을 기준으로 색온도를 조절 가능하다.
도 33은 화면 구성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다른 영역은 도 32와 동일하고, 제2 영역(3310)만 도 32와 달리 TV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32 내지 33에서, 제3 영역(3230)은 층 단위뿐만 아니라 그룹 단위 정보도 제공 가능하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정보 제공의 단위 식별자를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여 사용자의 식별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3230)의 하이라이트 레벨은, 제4 내지 제5 영역을 통해 제어에 따라 그 정도가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색온도를 낮추면 그에 따라 하이라이트도 색온도가 낮은 것으로 표시되고, 반대의 경우 높은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4 내지 42는 예컨대, 사용자가 비록 전술한 내용들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이동하거나 별도의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 조명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나, 그 제어 내용이 정확하게 수행되었는지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못하여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4 내지 42에서는 다른 시스템과 결합하여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며, 설정과정이나 제어과정에서도 보다 직관적이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여기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되는 다른 시스템은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는데, 편의상 CCTV 시스템을 예로 하여 결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기하고자 한다.
도 34는 예컨대, 조명장치가 구비된 빌딩 내 CCTV 시스템의 정보 제공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영역(3410)은 기기 즉, CCTV 장치가 리스팅되고, 제2 영역(3420)은 상기 제1 영역(3410)과 연동되어 비디오 퀄리티 설정 항목이 리스팅되고, 제3 영역(3430)은 상기 제1 영역(3410)의 각 CCTV 장치의 이벤트 스케쥴 설정 항목이 리스팅되고, 제4 영역(3440)은 제1 내지 3 영역(3410 내지 3430)과 연동되거나 별도로 각 층의 주소 설정 유무에 대한 상태 정보가 리스팅된다.
도 35는 도 34의 제1 영역(3410)만 따로 제공하는 화면에서 조명장치 제어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각 CCTV 기기가 리스팅되어 제공되고, 사용자가 소정 CCTV 기기를 선택하면, 해당 CCTV 기기가 현재 촬영 중인 화면(3510)이 제공된다.
이때, CCTV 화면(3510)에는 촬영 중인 화면과 함께 관련 정보들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정보는 도 34에서 각 영역의 정보에서 해당 CCTV 기기에 설정된 정보가 제공되며, 관련하여 해당 CCTV 기기 촬영 범위 내에 속해 있는 조명장치 기기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주소설정 유무, 전원 온/오프 유무와 같은 상태정보도 제공된다.
이러한 조명장치 기기들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단지 정보 제공의 측면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선택 가능한 항목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CCTV 기기는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조명장치를 포커싱하여 그에 대한 화면을 촬영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6과 37은 예컨대, 도 34 내지 35의 다른 실시 예일 수도 있으며, 도 34 내지 35의 상세 화면일 수도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1 영역(3610)에 계층 구조로 CCTV 기기, 로그(Log), 이벤트, 유저 및 조명장치에 대한 정보가 리스팅된다.
제2 영역(3620)에는 카메라 써머리(Camera Summary) 정보가 제공되어, CCTV 기기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며 이때, 관련 조명장치 내지 층, 그룹 단위의 연동된 정보 예를 들어, 주소설정 유무, 전원 온/오프와 같은 상태정보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2 영역(3620)의 하부에는 상기 제2 영역(3620)에서 선택된 항목의 상세 정보, 그래프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카메라와 연관된 층, 그룹 내지 조명기기들의 주소설정 유무, 전원 온/오프 유무 등에 대한 상태 정보가 식별 편의를 위해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CCTV 기기를 추가하는 경우에 대한 설정 과정에 이용되는 화면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이 경우 CCTV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과 각 항목에 대한 상세 설정 화면이 제공된다. 이러한 상세 설정 화면에는 주소 설정 정보, 전원 온/오프 정보와 같은 조명 상태 정보도 포함된다.
한편, 도 37에서는 CCTV 화면을 설정할 때, 각도, 시간, 이벤트 등 다양한 항목 설정에 따라 해당 CCTV 기기와 관련되는 조명장치도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8은 CCTV 시스템과 조명장치의 관련성을 더욱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한 화면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영역(3810)에는 해당 제어 시스템을 식별하고 기본정보 항목이 제공되고, 제2 영역에는 전술한 도 34 내지 37과 달리 맵 형태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항목이 제공되어,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제3 영역(3830)과 같은 화면이 제공된다.
한편, 제3 영역(3830)은, 제1 서브 영역(3840)에 건물 외관을 포함한 전체 건물에서 CCTV 기기 설정 위치를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제1 서브 영역(3840)에서 하나의 CCTV 기기가 선택되면, 제2 서브 영역(3850)에 관한 상세 기기 위치 정보가 맵 형태로 건물 배치와 함께 제공된다.
이때, 제3 영역(3830)의 화면 소정 영역에는 화면 축소/확대를 위한 제어 바(3855)가 제공되고, 그 하단에 영역 확대를 위한 아이콘(3860)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영역(3850)에 제공되는 맵 화면에는, 각 CCTV 기기의 위치 및 방향 내지 각도와 함께 해당 맵 화면상에 설치된 조명 기기들이 점선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CCTV와 조명장치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정 CCTV 기기가 선택되면, 제2 서브 영역(3850) 내 조명 기기 중 선택된 해당 CCTV 기기에 관계된 조명 기기가 하이라이트 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조명 기기 또는 그룹이 선택되면, 관련된 CCTV 기기가 하이라이트 되어 사용자의 선택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도 39 내지 42는, 전술한 도 6 내지 38을 적절히 결합한 화면의 실시 예들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도 32 내지 33과 대비될 수 있다.
다른 영역(3920,3930,3940)은 전술한 도 32 내지 33과 동일하나, 제1 영역(3910)의 화면이 컨텐트나 TV 방송 프로그램이 아닌 이용 가능한 CCTV 네트워크 화면이다.
이 경우 다른 영역(3920,3930,3940)을 통해 조명장치에 대한 제어 등이 이루어지면 제1 영역(3910)에도 동일하게 실시간으로 반영되거나 해당 조명장치와 관련된 CCTV 화면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1 영역(3910)의 화면을 보면서 조명장치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조명장치에 대한 제어 정확성도 확보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제어 이후에 불안함 등을 방지하여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0의 경우, 도 39와 달리 제2 영역(4020)에 제1 영역(4010)에서 선택된 CCTV 기기 또는 조명장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제3 영역(4030)에 해당 층 내지 그룹 단위의 정보가 제공된다.
도 41은 도 40과 유사하나 더욱 많은 정보가 한꺼번에 제공된다. 즉, 도 41에는 전술한 도 14의 내용이 결합된 형태이다.
도 42는 제1 영역(4210)에 CCTV 배치 맵이 제공되고, 제2 영역(4220)에 제1 영역(4210)에서 선택된 CCTV 기기 또는 조명장치에 대응되는 녹화 화면이 제공되고, 제3 영역(4230)에 정보 영역(4232)과 편집 영역(4234)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도 34 내지 42 중 적어도 하나를 전술한 도 6 내지 33 중 하나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접근 가능한 제어수단으로 자신이 제어함에 따라 제어되는 정도를 직접 보고 제어 레벨을 조절할 수도 있고, 정확한 제어 및 오류 발생의 원인 등도 보다 실제적이고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오류 수정 등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맵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 정보의 일 부분이거나 그와 동등한 의미를 가진다.
이하, 도 43 내지 45는 조명장치 제어방법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10).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층 단위 또는 그룹 단위의 조명기기 정보를 출력한다(S120). 이때, 상기 각 단위의 조명 기기에는 주소설정여부 정보가 표시된다.
출력된 각 단위의 조명기기 정보 중 주소 미설정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거나 화면을 더 분할하여 주소설정을 위한 도면정보를 출력한다(S130).
출력된 도면정보에 상기 선택된 주소 미설정 기기가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위치의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 미설정 기기의 주소를 할당한다(S140).
할당된 주소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 기기를 제어한다(S150).
도 44를 참조하면,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10).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미할당된 주소 아이콘을 포함한 도면정보와 제2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주소 미설정 조명 기기 아이콘을 출력한다(S220).
상기 제2 영역에 출력된 조명 기기 아이콘이 상기 제1 영역의 소정 주소 아이콘에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주소 아이콘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조명 기기에 주소를 할당/설정한다(S230).
할당/설정된 주소에 기초하여 조명 기기를 제어한다(S240).
도 45를 참조하면,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10).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층 단위의 조명기기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층의 그룹단위 또는 개별 조명기기 단위의 조명기기 정보를 출력한다(S320). 이때, 상기 각 영역의 조명기기 정보는 단위별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항목에 대한 상태정보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출력한다(S330).
상기 제3 영역에 출력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단위 항목의 상태정보를 제어한다(S340).
상술한 도 43 내지 45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태정보는, 주소설정 여부, 전원 온/오프 여부, 디밍 레벨, 색온도 레벨 및 에러 발생 유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정보는, 상기 상태정보 중 상기 선택된 단위 항목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상태그래프정보, 도면정보, 상태레벨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영역의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단위 항목의 상태정보를 제어하면, 상기 제어된 단위 항목이 포함된 영역의 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화면은, 조명 기기 제어 전용의 커미셔닝 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DTV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은 하나의 실시 예일 수 있으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적어도 둘 이상의 도면이 결합되어 하나의 실시 예를 구성하여 더욱 뛰어난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 사용자의 요청에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GUI를 구성 및 제공함으로써 조명장치에 대한 주소할당과 같은 설정과정이나 디밍 제어과정 등에 있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쉽고 빠르며 편리하게 상기 과정(들)을 수행, ii) 별도로 정해진 제어 기기(조명 제어 전용 제어수단) 이외에 다양한 기기 예컨대, 네트워크로 연결된 주변의 이용 가능한 모든 기기를 조명 제어수단으로 이용 가능, iii) 조명 제어를 위하여 이동을 요하거나 별도의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도 현재 위치에서 이용 또는 접근 가능한 기기를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기를 조명장치 제어수단으로 이용하면서 해당 기기 본연의 기능도 동시에 이용 및 iv)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구매 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인터페이스 20: 컨트롤러
21: 마이컴 22: 연결 관리 모듈
23: 통신 모듈 26, 27: 메모리부
30: 게이트웨이 40, 50: 브릿지 기기
41 내지 43 및 51 내지 53: 발광 유닛
60: 스위치 70: 센서
L: 조명

Claims (18)

  1.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층 단위 또는 그룹 단위의 조명 기기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각 단위의 조명 기기에는 주소설정 여부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각 단위의 조명 기기 정보 중 주소 미설정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거나 화면을 더 분할하여 주소설정을 위한 도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도면정보에 상기 선택된 주소 미설정 기기가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위치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 미설정 기기의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할당된 주소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명장치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주소설정 여부, 전원 온/오프 여부, 디밍 레벨, 색온도 레벨 및 에러 발생 유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상태정보 중 상기 선택된 단위 항목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그래프 정보, 도면정보, 상태 레벨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단위 항목의 상태 정보를 제어하면, 상기 제어된 단위 항목이 포함된 영역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조명 기기 제어 전용의 커미셔닝 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DTV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7.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미할당된 주소 아이콘을 포함한 도면정보와 제2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주소 미설정 조명 기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출력된 조명 기기 아이콘이 상기 제1 영역의 소정 주소 아이콘에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주소 아이콘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조명 기기에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할당된 주소에 기초하여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8.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층 단위의 조명 기기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층의 그룹단위 또는 개별 조명 기기 단위의 조명 기기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각 영역의 조명 기기 정보는 단위별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항목에 대한 상태정보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에 출력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단위 항목의 상태정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9. 조명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 기기 또는 상기 복수의 조명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그룹;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상기 각 조명 기기 또는 조명 그룹의 위치에 대한 도면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주소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기 또는 그룹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출력된 소정 조명 기기 또는 그룹을 상기 제1 영역의 도면 정보에 드래그함으로써 드래그된 위치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주소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명 기기 또는 그룹을 표시하기 위해 아이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된 계층 중 상기 소정 계층에 연계된 도면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주소 정보 설정에 이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계층에 출력된 주소 미설정 조명 기기 또는 조명 그룹이 상기 출력된 도면 정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위치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조명 기기 또는 조명 그룹의 주소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출력된 각 계층에서 소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조명 기기 또는 조명 그룹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편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더 분할하거나 화면상에 팝-업 형태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각 계층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계층에 속한 조명 기기들 또는 조명 그룹들 각각에 대해 상태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각 조명 기기 또는 조명 그룹이 구분되도록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로 주소 설정 여부, 전원 온/오프 여부, 디밍 레벨, 색온도 레벨 및 에러 발생 유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명 기기 제어 전용의 커미셔닝 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DTV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7. 조명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그룹;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도면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선택된 그룹에 속한 조명 기기들 중 주소 설정 기기와 주소 미설정 기기를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8. 조명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 기기 또는 상기 복수의 조명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그룹;
    디스플레이부; 및
    전체 조명 기기들을 계층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하위 계층이 활성화될 때마다 화면을 분할하여 상위 계층 정보와 함께 하위 계층 정보를 제공하고, 소정 계층에서 주소 미설정 조명 기기 또는 조명 그룹 단위로 주소 정보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0120152298A 2012-12-24 2012-12-24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2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298A KR20140082386A (ko) 2012-12-24 2012-12-24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298A KR20140082386A (ko) 2012-12-24 2012-12-24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386A true KR20140082386A (ko) 2014-07-02

Family

ID=5173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298A KR20140082386A (ko) 2012-12-24 2012-12-24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23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552A1 (ko) * 2015-06-18 2016-12-22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80137785A (ko) * 2017-06-19 2018-12-28 조수호 전등 점등 제어 시스템
KR102042358B1 (ko) * 2018-10-12 2019-11-07 주식회사 송촌조명 터치 타입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552A1 (ko) * 2015-06-18 2016-12-22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80137785A (ko) * 2017-06-19 2018-12-28 조수호 전등 점등 제어 시스템
KR102042358B1 (ko) * 2018-10-12 2019-11-07 주식회사 송촌조명 터치 타입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5241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wireless device, and network registration method of the wireless device
US20130141009A1 (en)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with remote lighting controller
CN107182144B (zh) 照明系统、终端装置以及照明系统的设定方法
EP2843638B1 (en) Lighting system,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method
CN111262761B (zh) 一种电子设备和用于操作电子设备的方法
KR101100228B1 (ko)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에서의 주소 설정, 관리 및 제어 방법
CN107182145B (zh) 照明系统、照明器具以及终端装置
JP6310457B2 (ja) 1又は複数の制御可能な装置を有するシステムの制御
WO2013121311A1 (en) Remote control of light source
JP2020167177A (ja) 照明システム
JP6418710B2 (ja) 照明システム、設定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照明制御プログラム
JP6400735B2 (ja) 照明システム
JP2012088433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用表示装置
KR20140082386A (ko)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67707A (ja) 照明システム
JP2021157922A (ja) 情報設定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1925029B1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097390A (ja) データ書換システム
KR20140122909A (ko) 조명 시스템, 조명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JP2017060096A (ja) 操作器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582883B1 (ko)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KR101581364B1 (ko) 조명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KR102352926B1 (ko) 설정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581367B1 (ko) 조명 장치
KR20180089662A (ko) 전구 및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