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278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278A
KR20160149278A KR1020167034001A KR20167034001A KR20160149278A KR 20160149278 A KR20160149278 A KR 20160149278A KR 1020167034001 A KR1020167034001 A KR 1020167034001A KR 20167034001 A KR20167034001 A KR 20167034001A KR 20160149278 A KR20160149278 A KR 2016014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broadcast
matrix
transmission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159B1 (ko
Inventor
융 류
둥 리
하이유 궈
윈 덩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6014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16Time-frequency-code
    • H04W72/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 왈시 행렬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제1 행을 제외한 모든 행들을 포함하는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 제1 행렬 H2는 왈시 행렬 H1과 -1의 곱임 - ; -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 및 - 결정된 행에 대응하는 송신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송신 패턴은 결정된 행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다음의 절차들: - 엘리먼트가 제1 값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는 것; - 엘리먼트가 제2 값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연속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EVICE-TO-DEVICE BROADCAST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개시내용은 이동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대-디바이스(Device-to-device)(D2D) 통신은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한 LTE-어드밴스드(LTE-Advanced)(Long Term Evolution; 롱텀 에볼루션)에 대한 중요한 개량으로서 도입되었다. 관련된 표준화는 디바이스 탐색 및 직접 통신 기법들의 양자를 연구하기 위하여 3GPP(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에서 수행되었다.
D2D 직접 통신을 위하여, 아웃-오브-커버리지(out-of-coverage) 시나리오에서의 브로드캐스트 통신은 릴리즈(Release) 12 시간 프레임에 대하여 우선순위화된다.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이 VoIP 트래픽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결정적인 작업이다.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에 가능한 한 멀리 도달하는 것이 요구된다.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2 또는 3 RB들만큼 낮은) 협대역은 브로드캐스트 VoIP 패킷의 송신을 위한 적당한 선택이다. 큰 채널 대역폭(10 MHz 대역폭에 대한 50 RB들)에 대하여, 우리는 이용가능한 스펙트럼 자원들을 완전히 이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UE들로부터의 송신들을 FDM(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주파수 도메인 멀티플렉싱) 브로드캐스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브로드캐스트 성능에 궁극적으로 영향을 주는 하프-듀플렉스(half-duplex) 제약 및 대역내 방사(in-band emission)들을 초래한다.
이것을 고려하여, 이 발명은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상기 방법은: - 왈시 행렬(Walsh matrix)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제1 행(row)을 제외한 모든 행들을 포함하는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 제1 행렬 H2는 왈시 행렬 H1과 -1의 곱(product)임 - ; -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 및 - 결정된 행에 대응하는 송신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송신 패턴은 결정된 행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element)에 기초하여 다음의 절차들: - 엘리먼트가 제1 값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는 것; - 엘리먼트가 제2 값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연속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도, 송신 패턴 세트는 왈시 행렬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짝수 행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적당한 송신 패턴들을 다운-선택(down-select)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추가적인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3 MHz 및 5 MHz와 같은 협대역을 위하여 설계된다. 이 메커니즘을 통해, VoIP 패킷의 송신들은 더욱 균일하게 확산되고, 이것은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를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이 메커니즘은 VoIP 패킷의 전체적인 송신 레이턴시(transmission latency)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사용자 장비가 제안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 왈시 행렬(Walsh matrix)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제1 행을 제외한 모든 행들을 포함하는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 - 제1 행렬 H2는 왈시 행렬 H1과 -1의 곱임 - ; -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행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 및 - 결정된 행에 대응하는 송신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브로드캐스팅 유닛을 포함하고, 송신 패턴은 결정된 행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다음의 절차들: - 엘리먼트가 제1 값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는 것; - 엘리먼트가 제2 값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연속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송신 패턴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본원에서, 송신 패턴들의 총 수는 (N-1)*2이다. N은 왈시 행렬의 차수이다. 이것은 자원 할당에서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고 송신 패턴 선택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신 패턴은 왈시 기반 송신 패턴 세트의 특징을 여전히 유지한다.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위한 상기 송신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하드-듀플렉스 제약이 해결될 수 있고, 수신하는 UE들에서 보이는 대역내 방사가 완화될 수 있다.
발명의 개개의 양태들은 특정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발명의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장점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취해진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검토 시에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예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예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2개의 행렬들 내의 2개의 대응하는 행들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2개의 행렬들 내의 2개의 임의적인 행들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예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예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예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예시하고;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를 예시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상이한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컴포넌트(component)들 또는 특징들을 나타낸다.
먼저,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위한 설계는 다음의 인자들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LTE 프레임 구조는 레거시 셀룰러 통신(legacy cellular communication)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재이용된다.
1. LTE에서, 자원들은 시간-주파수 평면에서 분할된다.
2. LTE에서, 최소 스케줄링(자원 할당) 유닛은, 자원-블록(resource-block)(RB) 쌍으로 지칭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2개의 시간-연속적 자원 블록들로 구성된다.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유닛은 RB 쌍들의 배수이어야 한다.
D2D 통신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UE에 가능한 한 멀리 도달하는 것이 요구된다.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2 또는 3 RB들만큼 낮은) 협대역은 브로드캐스트 VoIP 패킷의 송신을 위한 적당한 선택이다. 큰 채널 대역폭(10 MHz 대역폭에 대한 50 RB들)에 대하여, 우리는 이용가능한 스펙트럼 자원들을 완전히 이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UE들로부터의 송신들을 FDM(주파수 도메인 멀티플렉싱) 브로드캐스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설계는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트래픽 타입인 VoIP 트래픽에 맞아야 한다. VoIP 트래픽은 다음의 속성들을 가진다:
1. VoIP 트래픽은 주기적이다. 인코더 프레임 길이는 20 ms이고, 이것은 음성 인코더가 각각의 20 ms에 대한 음성 패킷을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화 스퍼트(talk spurt)의 평균 길이는 2.5 s이다.
2. 스피치 프레임 당 음성 페이로드는 헤더 압축을 갖는 328 비트들이다.
3. VoIP 트래픽에 대한 종단-대-종단 레이턴시의 요건은 200 ms이다. 프로세싱 시간의 추론으로,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단방향성 송신)을 위한 VoIP 패킷의 용인가능한 송신 지연은 약 160 ms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구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에서, 왈시 행렬의 차수 N은 오직 예시를 위하여 8로서 설정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왈시 행렬 H1이 먼저 선택된다. 그것은 N의 차수를 가진다.
둘째, 제1 행렬 H2는 왈시 행렬 H1과 -1의 곱으로서 획득된다.
마지막으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행렬에서의 제1 행을 제외한, 왈시 행렬 H1 및 제1 왈시 행렬 H2에서의 나머지 행들은 송신 패턴 세트를 구성한다.
이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각각의 행은 UE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행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는 UE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송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수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먼트 +1에 대하여, UE는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엘리먼트 -1에 대하여, UE는 브로드캐스트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에서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예시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에서, UE는 왈시 행렬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제1 행을 제외한 모든 행들을 포함하는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고, 여기서, 제1 행렬 H2는 왈시 행렬 H1과 -1의 곱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UE 및 기지국은 대응하는 송신 패턴 세트를 사전정의(predefine)할 수 있고, UE에서 그것을 사전구성(preconfigure)할 수 있다. UE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그것은 송신 패턴 세트를 이용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기지국은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송신 패턴 세트를 제1 표시 메시지에 의해 UE로 송신할 수 있다. UE는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제1 표시 메시지는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절차 동안에 송신될 수 있다.
도 3을 여전히 참조하면, 단계 S12에서, UE는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한다.
이것은 다음의 방법들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기지국으로부터 제2 표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제2 표시 메시지는 연관된 행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UE는 제2 표시 메시지에 따라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행을 결정한다. 본원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브로드캐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사용에 따라 개개의 UE에 대한 대응하는 행을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UE 자체는 사전정의된 조건들에 따라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행을 결정할 수 있다. 그 사전정의된 조건들은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각각의 행의 현재의 사용 상황;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현재 관심 있는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현재의 채널의 품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UE가 또 다른 UE의 브로드캐스트에 매우 관심 있을 때, 그것은 개개의 서브프레임에서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적당한 행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UE가 또 다른 UE의 브로드캐스트에 관심 있지 않을 때, 그것은 개개의 서브프레임에서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적당한 행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3에서, UE는 결정된 행에 대응하는 송신 패턴에 따라 D2D 브로드캐스트를 수행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 패턴은 결정된 행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다음의 절차들: - 엘리먼트가 제1 값(예를 들어, +1)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는 것; - 엘리먼트가 제2 값(예를 들어, -1)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연속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2개의 행렬들 내의 2개의 대응하는 행들 사이의 관계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2개의 행렬 내의 2개의 임의적인 행 사이의 관계를 예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송신 패턴 세트의 속성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H(i,:)는 행렬 H에서의 행 i를 나타낸다.
1. 제1 행을 제외한, 왈시 행렬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임의의 행, 즉, i≠1인 H1(i,:) 및 H2(i,:)에 대하여, 엘리먼트들의 절반은 +1이고, 엘리먼트들의 절반은 -1이다.
2. 제1 행을 제외한, 왈시 행렬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임의의 2개의 대응하는 행들(예를 들어, 도 4에서 표기된 2개의 제3 행), 즉, i≠1인 H1(i,:) 및 H2(i,:)에 대하여, {+1, -1} 및 {-1, +1}의 N/2 쌍들이 있다. 본원에서는, 왈시 행렬의 차수가 도 4에서 8로서 선택되므로, {+1, -1}의 4개의 쌍 및 {-1, +1}의 4개의 쌍이 있다.
3. 제1 행을 제외한, 왈시 행렬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임의적인 2개의 행들, 즉, i≠j≠1인 Hm(i,:) 및 Hn(j,:)에 대하여, 이것은 그 2개의 행들이 동일한 행렬로부터 나올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상이한 행렬들로부터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4개의 상황: 왈시 행렬 H1에서의 제3 및 제6 행들, 제1 왈시 행렬 H2에서의 제3 및 제6 행들, 왈시 행렬 H1에서의 제3 행 및 제1 왈시 행렬 H2에서의 제6 행, 및 왈시 행렬 H1에서의 제6 행 및 제1 왈시 행렬 H2에서의 제3 행을 도시한다. 도 5를 관찰한 후에는, 이 상황에서, {+1, -1}의 N/4 쌍들 및 {-1, +1}의 N/4 쌍들이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도 5에서의 왈시 행렬의 차수는 8로서 선택되므로, {+1, -1}의 2개의 쌍들 및 {-1, +1}의 2개의 쌍들이 존재한다.
링크 레벨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VoIP 패킷의 재송신들이 필요하게 되고, 시간 도메인에서 확산된다. VoIP 패킷에 대한 잠재적인 송신 서브프레임들의 수는 N으로서 사전구성된다. 순차적인 잠재적 송신 서브프레임들의 갭들이 또한 사전구성될 수도 있고, 이것들은 동일(Np_1=Np_2=…=Np_(N-1))할 수 있거나 상이할 수 있다. 왈시 행렬 H1과 제1 왈시 행렬 H2 양자의 어떤 행(2개의 제1 행들을 제외함)에서의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UE는 잠재적인 송신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수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예시한다. UE1은 왈시 행렬 H1에서의 제3 행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수행하고, UE2는 제1 왈시 행렬 H2에서의 제6 행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상기 언급된 2개의 행렬의 특징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는 다음의 속성들을 가진다:
1. 각각의 브로드캐스트 UE는 VoIP 패킷을 N/2회 송신한다.
2. 상이한 행들, 즉, 상이한 송신 패턴들을 이용하는 임의의 2개의 브로드캐스트 UE들에 대하여, UE1은 적어도 UE2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송신들을 N/4회 수신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며, 이것은 하프-듀플렉스 제약을 해결한다.
본원에서, 송신 패턴이 제1 행을 제외한, 상이한 행렬들에서의 2개의 대응하는 행들, 즉, i≠1인 H1(i,:) 및 H2(i,:)에 기초할 경우, UE1은 UE2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송신들을 N/2회 수신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원에서, 송신 패턴이 제1 행을 제외한, 2개의 행렬에서의 임의적인 2개의 행들, 즉, i≠j≠1인 Hm(i,:) 및 Hn(j,:)에 기초할 경우, UE1은 UE2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송신들을 N/4회 수신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원에서, 이용가능한 송신 패턴들의 수는 (N-1)*2로 두 배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예시한다. 송신 패턴들이 H1 및 H2에서의 2개의 대응하는 행들에 기초할 경우, 모든 잠재적인 송신 서브프레임들은 송신을 위하여 점유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예에서, UE1은 행렬 H1에서의 제3 행을 이용하고, UE2는 행렬 H2에서의 제3 행을 이용한다. UE3은 행렬 H1에서의 제6 행을 이용하고, UE4는 행렬 H2에서의 제6 행을 이용한다.
송신 패턴 세트를 이용함으로써, VoIP 패킷의 다수의 송신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무작위화(randomize)되고, 이것은 수신하는 UE들에서 보이는 대역내 방사를 완화시킨다. 일단, 송신 패턴에 대한 왈시 행렬의 행이 선택되면, 송신 패턴이 고정된다. 고정된 송신 패턴은 수신하는 UE들에서의 패킷 수신/조합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송신 패턴 정보가 데이터 송신 전에 배정을 스케줄링함에 있어서 전달될 경우에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를 감소시킨다.
3 MHz(15개의 자원 블록) 및 5 MHz(25개의 자원 블록)와 같은 더 좁은 채널 대역폭들에 대해서는, 송신 패턴 세트의 모든 행들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 대하여, 송신 패턴 세트는 추가적인 이득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1. VoIP 패킷의 송신들은 더욱 균일하게 확산되고, 이것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획득하는 것을 돕는다.
2. DRX(discontinuous reception; 불연속 수신)이 실현되고, (서브-프레임들의 측면에서) 연속적 송신들 사이의 갭은 VoIP 패킷을 위한 충분한 디코딩 시간을 보장할 정도로 충분히 크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 메커니즘은 VoIP 패킷의 전체적인 송신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왈시 행렬-기반 송신 패턴 세트를 예시한다. 본원에서, UE1은 왈시 행렬 H1에서의 제2 행을 이용하고, UE2는 제1 행렬 H2에서의 제4 행을 이용한다. 본원에서, Np_1, Np_3, …, Np_(N-1)은 1로서 설정될 수 있고, 이것은 2개의 순차적인 잠재적 송신 서브프레임들 사이에 갭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를 예시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 하나의 행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 및 브로드캐스팅 유닛을 포함한다.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왈시 행렬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제1 행을 제외한 모든 행들을 포함하는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행렬 H2는 왈시 행렬 H1과 -1의 곱이다.
유리하게도, 송신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UE에서 송신 패턴 세트를 사전구성하도록 구성된 사전구성 유닛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송신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 - 제1 표시 메시지는 송신 패턴 세트를 표시함 -; 및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하나의 행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도, 하나의 행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기지국으로부터 제2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 - 제2 표시 메시지는 행을 표시함 -; 및 제2 표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하나의 행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브로드캐스팅 유닛은 결정된 행에 대응하는 송신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를 구현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송신 패턴은 결정된 행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다음의 절차들: - 엘리먼트가 제1 값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는 것; - 엘리먼트가 제2 값일 때에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연속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이지만, 발명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임의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나타나는 상이한 기술적 특징들, 방법들이 장점을 위해 조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발명의 범위 내로 속할 것이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왈시 행렬(Walsh matrix)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제1 행을 제외한 모든 행들을 포함하는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행렬 H2는 상기 왈시 행렬 H1과 -1의 곱(product)임 -;
    상기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행에 대응하는 송신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를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패턴은 상기 결정된 행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element)에 기초하여 다음의 절차들:
    상기 엘리먼트가 제1 값일 때에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는 것;
    상기 엘리먼트가 제2 값일 때에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연속으로 구현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패턴 세트가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사전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표시함 -; 및
    상기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 제2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표시 메시지는 상기 행을 표시함 -; 및
    상기 제2 표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상기 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다음의 것들:
    i. 상기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각각의 행의 현재의 사용 상황;
    ii.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현재의 관심 있는 브로드캐스트(current interested broadcast); 및/또는
    iii. 현재의 채널의 품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는 상기 왈시 행렬 H1 및 상기 제1 행렬 H2에서의 짝수 행들을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사용자 장비로서,
    왈시 행렬 H1 및 제1 행렬 H2에서의 제1 행을 제외한 모든 행들을 포함하는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 - 상기 제1 행렬 H2는 상기 왈시 행렬 H1과 -1의 곱임 -;
    상기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하나의 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행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 및
    상기 결정된 행에 대응하는 송신 패턴에 따라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브로드캐스팅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패턴은 상기 결정된 행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다음의 절차들:
    상기 엘리먼트가 제1 값일 때에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는 것;
    상기 엘리먼트가 제2 값일 때에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것을 연속으로 구현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사전구성하도록 구성된 사전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표시함 -; 및
    상기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송신 패턴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행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기지국으로부터 제2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 - 상기 제2 표시 메시지는 상기 행을 표시함 -; 및
    상기 제2 표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패턴 세트로부터 상기 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행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다음의 것들:
    i. 상기 송신 패턴 세트에서의 각각의 행의 현재의 사용 상황;
    ii.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현재의 관심 있는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iii. 현재의 채널의 품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패턴 세트는 상기 왈시 행렬 H1 및 상기 제1 행렬 H2에서의 짝수 행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KR1020167034001A 2014-05-08 2015-05-0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15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92977.8A CN105101043B (zh) 2014-05-08 2014-05-08 在无线网络中进行设备到设备的广播通信的方法
CN201410192977.8 2014-05-08
PCT/IB2015/001122 WO2015173644A1 (en) 2014-05-08 2015-05-04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evice-to-device broadcast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278A true KR20160149278A (ko) 2016-12-27
KR101915159B1 KR101915159B1 (ko) 2018-11-06

Family

ID=5414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001A KR101915159B1 (ko) 2014-05-08 2015-05-0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41067A1 (ko)
KR (1) KR101915159B1 (ko)
CN (1) CN105101043B (ko)
TW (1) TWI565351B (ko)
WO (1) WO20151736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53B1 (ko) 2006-08-25 2007-12-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PL2505028T3 (pl) * 2009-11-27 2020-11-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Komunikacja urządzenie do urządzenia
CN102014475B (zh) * 2010-01-08 201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映射、码分复用方法及装置
US20150057006A1 (en) * 2011-11-08 2015-02-26 Chunyan Gao Method and Apparatus for D2D Transmission
CN102843162B (zh) * 2012-09-12 2014-11-05 西安交通大学 一种蜂窝网络中采用d2d技术的扩频通信方法
CN103686985B (zh) * 2012-09-25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设备发现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1067A1 (en) 2017-03-15
WO2015173644A1 (en) 2015-11-19
CN105101043A (zh) 2015-11-25
CN105101043B (zh) 2018-11-06
TW201545596A (zh) 2015-12-01
TWI565351B (zh) 2017-01-01
KR101915159B1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243B2 (en) Allocation and logical to physical mapping of scheduling request indicator channel in wireless networks
JP696167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d2d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EP3499994B1 (en) Method whereby terminal transmits data to another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69068B1 (en) Defining sub-subchannels for data communication using separately provided frequency and time resources and related terminals and network nodes
CN108810976B (zh) 发送数据的方法及其装置
US116900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resource and transmitting PSS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26217B2 (en) Sidelink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of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176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fi (slot format information) 충돌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439050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设备到设备通信信道的装置和方法
EP29195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device-to-device (d2d)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968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an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07344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control signal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611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279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de 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106433A1 (en) Method for selecting transmission resource for transport block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6681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to set transmit power for plurality of ccs during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3869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EP3402276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906647B (zh) 数据复用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CN10743188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未授权频带发送设备到设备通信信号的方法及其装置
CA3052508A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141557A1 (en) Group-based pdcch overbooking and dropping
CN105409296B (zh) 在蜂窝网络中实现基于设备到设备的组播通信的方法
KR101915159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417422B (zh) 在新无线接入网络中收发同步信号和系统信息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