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353B1 -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353B1
KR100786353B1 KR1020060081196A KR20060081196A KR100786353B1 KR 100786353 B1 KR100786353 B1 KR 100786353B1 KR 1020060081196 A KR1020060081196 A KR 1020060081196A KR 20060081196 A KR20060081196 A KR 20060081196A KR 100786353 B1 KR100786353 B1 KR 100786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gonal code
orthogonal
code
quasi
aoc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형윤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8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04J13/0048Wal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W×W의 왈시행렬(Walsh Matrix)에 포함된 직교부호(OC)와 증진직교부호그룹(AOCG)을 이용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에 있어서, M개의 길이를 갖는 입력데이터[a1, ..., aM]가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M×L 행렬의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L)에 의해 L개의 길이를 갖는 2M개의 부호로 확산되는 제 1확산 단계; 및 2M개로 확산된 부호가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N개의 직교부호(OC)에 의해 2M×N개의 준직교부호로 확산되는 제 2확산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에 따르면, 입력데이터와 직교부호 및 증진직교부호그룹을 이용한 부호 확산 방식을 통해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준직교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분할다중접속, CDMA, 직교부호, 준직교부호, 왈시행렬, 확산

Description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Method for generating quasi-orthogonal code for CDM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직교부호 생성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도에 따른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왈시행렬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H8×8 행렬에 포함된 직교부호 및 중간직교부호그룹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중간직교부호그룹을 형성하는 부호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제 1곱셈부 120...제 2곱셈부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전송시 사용되는 부호인 준직교부호(Quasi Orthogonal Code;QOC)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입력신호는 도 4와 같은 왈시행렬(Walsh Matrix)에 포함된 각각의 직교부호(OC;Orthogonal Code)를 이용하여 서로 구분되는 신호로서 동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직교부호를 이용한 전송 방식에 따르면, 각각의 입력신호마다 직교성이 있는 서로 다른 직교부호를 곱하여 각 입력신호가 구분되도록 전송하고, 이에 따라 한정된 대역폭 내에서 다양한 입력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왈시행렬에 포함된 직교부호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직교부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 개수도 한정되게 된다.
즉, 종래의 직교부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한정된 대역폭 내에서 입력신호의 전송량이 한정됨으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입력신호의 동시 전송이 곤란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왈시행렬에 포함된 직교부호와 증진직교부호그룹을 이용하여 다양한 개수를 갖는 준직교부호를 생성함에 따라 입력신호의 전송용량 증대 및 전송속도 향상이 실현 가능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 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은, W×W의 왈시행렬(Walsh Matrix)에 포함된 직교부호(OC)와 증진직교부호그룹(AOCG)을 이용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에 있어서, M개의 길이를 갖는 입력데이터[a1, ..., aM]가 상기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M×L 행렬의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L)에 의해 L개의 길이를 갖는 2M개의 부호로 확산되는 제 1확산 단계; 및 상기 2M개로 확산된 상기 부호가 상기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N개의 상기 직교부호(OC)에 의해 2M×N개의 준직교부호로 확산되는 제 2확산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직교부호(OC)는, C개의 길이[OC1, OC2, ..., OCC]를 갖는 상기 왈시행렬의 행성분 부호이며, 상기 C개는, 상기 W개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L의 1배 또는 짝수배의 개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확산 단계에서 상기 직교부호(OC)의 선택 개수 N은, 상기 왈시행렬의 1행 내지 W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성분에 해당되는 상기 직교부호(OC)의 선택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M×L 행렬을 갖는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과 M개의 길이를 갖는 상기 입력데이터[a1, ..., aM]의 상기 M은, 2 내지 L의 범위에서 2의 지수배의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은 CDMA 방식으로 통신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직교부호 생성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도에 따른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왈시행렬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H8 ×8 행렬에 포함된 직교부호 및 중간직교부호그룹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중간직교부호그룹을 형성하는 부호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과 같이 W×W의 왈시행렬(Walsh Matrix)에 포함된 직교부호(OC;Orthogonal Code)와 증진직교부호그룹(AOCG;Advanced Orthogonal Code Group)을 이용한 준직교부호(QOC)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상기 준직교부호(QOC)는 실제 입력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부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W가 16 이내인 경우의 왈시행렬(Walsh Matrix)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W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욱 확장된 32×32 또는 64×64의 왈시행렬에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M개의 길이를 갖는 입력데이터[a1, ..., aM]가 상기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M×L 행렬의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에 의해 L개의 길이를 갖는 2M개의 부호로 확산된다(S200).
여기서,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의 상기 입력데이터[a1, ..., aM]는 상기 준직교부호(QOC)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기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입력신호와는 상이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입력데이터[a1, ..., aM]는 상기 준직교부호(QOC)의 생성에 필요한 임의 데이터이고, 상기 입력데이터[a1, ..., aM]와 상기 직교부호(OC) 및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상기 준직교부호(QOC)는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새로운 직교부호로 작용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에서의 부호 확산은 도 1의 제 1곱셈부(1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곱셈부(110)에 의하면 상기 입력데이터[a1, ..., aM]에 포함된 a1, ..., aM 데이터 각각이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에 포함된 AOC1, ..., AOCM 부호와 각각 곱해짐에 따라 2M개의 부호로 확산될 수 있다. (2M개의 부호; a1×AOC1 , ..., a1×AOCM, ..., aM×AOC1 , ..., aM×AOCM)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8×8의 왈시행렬인 H8 ×8 내에서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L)은 -H2 ×2, -H4 ×4의 행렬영역에 해당되는 AOCG2 ×2 또는 AOCG4 ×4로부터 선택 가능하다.
또한, 16×16의 왈시행렬인 H16 ×16 내에서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은 -H2×2, -H4 ×4, -H8 ×8의 행렬영역에 해당되는 AOCG2 ×2, AOCG4 ×4 또는 AOCG8 ×8로부터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왈시행렬 H8 ×8과 반대 부호를 갖는 왈시행렬 -H8 ×8 내에서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은 H2 ×2, H4 ×4의 행렬영역 에 해당되는 AOCG2×2 또는 AOCG4 ×4에서 선택 가능하다.
도 5와 같이, 상기 왈시행렬 -H8 ×8에 포함된 AOCG2 ×2는 M=L=2인 행렬로서, AOC1=[1,1], AOC2=[1,-1]를 포함한 2개(M개)의 부호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AOCG2 ×2 행렬 중, M=1이고 L=2인 경우인 AOCG1 ×2 행렬은 AOC1=[1,1]인 1개(M개)의 부호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왈시행렬 -H8 ×8에 포함된 AOCG4 ×4는 M=L=4인 행렬로서, AOC1=[1,1,1,1], AOC2=[1,-1,1,-1], AOC3=[1,1,-1,-1], AOC4=[1,-1,-1,1]를 포함한 4개(M개)의 부호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AOCG4 ×4 행렬 중, M=2이고 L=4인 경우인 AOCG2 ×4 행렬은 AOC1=[1,1,1,1], AOC2=[1,-1,1,-1]를 포함한 2개(M개)의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의 행의 개수인 상기 M은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L)에 포함된 부호의 개수를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왈시행렬 -H8 ×8 내에서 선택 가능한 M×L 행렬의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L)은 AOCG1 ×2, AOCG2 ×2, AOCG1 ×4, AOCG2 ×4, AOCG3 ×4 또는 AOCG4 ×4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에서 생성가능한 부호의 개수는 2M개이고,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과 상기 입력데이터[a1, ..., aM]의 상기 M 개수는 2 내지 L의 범위에서 2의 지수배의 개수(2(=21),4(=22),8(=23),...)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M=1인 경우에 해당되는 상기 AOCG1 ×2, AOCG1 ×4, 및 상기 M이 2의 지수배가 아닌 AOCG3 ×4의 증진직교부호그룹은 본 발명의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에서 선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M=4인 경우의 상기 입력데이터는 [a1,a2,a3,a4]이고 상기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증진직교부호그룹이 AOCG4 ×4이면, 상기 각 입력데이터 a1,a2,a3,a4는 상기 AOCG4 ×4에 포함된 AOC1, AOC2, AOC3, AOC4의 각 4개 부호와 곱해짐에 따라 2M개인 16개의 부호로 확산될 수 있다.
(확산된 16개의 부호; a1×AOC1, a1×AOC2, a1×AOC3, a1×AOC4, a2×AOC1, a2×AOC2, a2×AOC3, a2×AOC4, a3×AOC1, a3×AOC2, a3×AOC3, a3×AOC4, a4×AOC1, a4×AOC2, a4×AOC3, a4×AOC4)
그런데, 상기 M=1인 경우의 상기 입력데이터는 [a1]이고 선택된 증진직교부호그룹이 AOCG1 ×4이면, 상기 입력데이터 a1은 상기 AOCG1 ×4에 포함된 AOC1 부호와 곱 해짐에 따라 1개의 부호(a1×AOC1)가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부호 확산을 통해 2M 개의 다양한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 어긋나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 M이 2의 지수배가 아닌 경우에는 2M개가 아닌 MM 개의 부호 확산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M은 2 내지 L의 범위에서 2의 지수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입력데이터[a1, ..., aM]는 2개의 길이를 갖는 [-1,1]이 선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a1=-1, a2=1, M=2를 의미한다. (상기 M=2인 경우, 상기 입력데이터는 [1,1], [1,-1], [-1,1], [-1,-1] 중 선택된 하나의 임의 데이터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데이터가 [-1,1]인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왈시행렬이 -H8 ×8인 경우, 상기 -H8 ×8 행렬로부터 M=2이고 L=4인 2×4의 증진직교부호그룹(AOCG2 ×4)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2인 경우에 선택 가능한 증진직교부호그룹은 AOCG2 ×2 또는 AOCG2 ×4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된 증진직교부호그룹이 AOCG2 ×4인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입력데이터인 [-1,1]은 상기 선택된 증진직교부호그룹(AOCG2 ×4)에 포함된 AOC1[1,1,1,1], AOC2 [1,-1,1,-1]의 부호와 함께 상기 제 1곱셈부(110)에서 각각 곱해진 후 다음과 같은 2M개인 22=4개의 서로 다른 부호로 확산될 수 있다.
a1×AOC1=[-1]×[1, 1, 1, 1]=[-1,-1,-1,-1] ; 부호①
a1×AOC2=[-1]×[1,-1, 1,-1]=[-1, 1,-1, 1] ; 부호②
a2×AOC1= [1]×[1, 1, 1, 1]=[1, 1, 1, 1] ; 부호③
a2×AOC2= [1]×[1,-1, 1,-1]=[1,-1, 1,-1] ; 부호④
여기서, 상기 확산된 각 부호의 길이는 상기 선택된 증진직교부호그룹(AOCG2×4)의 열의 수에 해당하는 L 값(4)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제 1확산 단계(S200)에서는 M개의 길이를 갖는 입력데이터와 M개의 행을 갖는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의 곱에 의해 2M개의 부호로 확산되고, 상기 확산된 부호는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의 열의 수인 L 값과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 이후에는, 2M개로 확산된 상기 부호가 상기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N개의 상기 직교부호(OC)에 의해 2M×N개의 준직교부호로 확산된다(S210).
이러한 상기 제 2확산 단계(S200)에서의 부호 확산은 도 1의 제 2곱셈부(1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곱셈부(120)에 의하면 2M개로 확산된 상기 부호 각각이 상기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N개의 상기 직교부호(OC)와 각각 곱해짐에 따라 2M×N개의 준직교부호로 확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교부호(OC)는 C개의 길이[OC1, OC2, ..., OCC]를 갖는 상기 W×W 왈시행렬의 행성분 부호를 의미한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왈시행렬이 W=8인 -H8 ×8인 경우, 상기 직교부호(OC)는 상기 -H8 ×8 행렬내에서 OC(1), ..., OC(8) 까지 최대 8개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교부호 OC(1)은 [-1,-1,-1,-1,-1,-1,-1,-1]로서 상기 왈시행렬 -H8 ×8의 첫번째 행성분에 해당되고 C=8인 8개의 길이[OC1, OC2, ..., OC8]를 갖는다.
한편, 상기 직교부호(OC)의 길이에 해당되는 C개는 상기 W개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L의 1배 또는 짝수배의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상기 왈시행렬이 W=8인 -H8 ×8이고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에서 사용된 상기 입력데이터[a1, ..., aM]의 길이 M이 4인 경우, 상기 직교부호(OC)의 길이 C는 W=8개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L의 1배인 4개 또는 2배인 8개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확산 단계(S210)에서 상기 직교부호(OC)가 선택되는 개수 N 은, 상기 왈시행렬의 1행 내지 W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성분에 해당되는 상기 직교부호(OC)의 선택 개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8인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OC(1) 내지 OC(8)의 8개의 직교부호(OC) 중에서 선택 가능하고, C=4인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H8 × 8행렬에 포함된 H4 ×4 또는 -H4×4의 행성분에 해당되는 4개의 직교부호(OC)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도 4를 참고하면 C=8의 길이를 갖는 OC(1) 내지 OC(8)의 8개의 직교부호(OC) 중 N=2개의 직교부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2개의 직교부호는 OC(1)과 OC(2), OC(3)과 OC(4), OC(1)과 OC(3), OC(7)과 OC(8) 등일 수 있는데, 이러한 8개의 직교부호 중 2개의 직교부호가 선택되는 경우의 수는 8C2=28개일 수 있다.
즉, C=8의 길이를 갖는 8개의 직교부호 중 N개의 직교부호가 선택되는 모든 경우의 수는 아래와 같이 총 255개일 수 있다.
8C1+8C2+8C3+8C4+8C5+8C6+8C7+8C8=8+28+56+70+56+28+8+1=28-1=255
이러한 상기 제 2확산 단계(S210)에서는 상기 직교부호(OC)가 선택되는 개수 N에 따라 2M×N개의 준직교부호(QOC)로 확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제 2확산 단계(S210)에 대하여 상기 제 1확산 단계(S210)의 실시예에 이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에서 2M 개로 확산된 4개의 부호인 부호① 내지 부호④는 다음과 같다.
[-1,-1,-1,-1]=[①1,①2,①3,①4] ; 부호①
[-1, 1,-1, 1]=[②1,②2,②3,②4] ; 부호②
[1, 1, 1, 1] =[③1,③2,③3,③4] ; 부호③
[1,-1, 1,-1] =[④1,④2,④3,④4] ; 부호④
상기 제 2확산 단계(S210)에서는, 상기 왈시행렬 -H8 ×8로부터 C=8의 길이를 갖는 OC(1), OC(2)를 포함한 N=2개의 직교부호(OC)가 선택될 수 있다.
OC(1)=[OC1,OC2,OC3,OC4,OC5,OC6,OC7,OC8]=[-1,-1,-1,-1,-1,-1,-1,-1]
OC(2)=[OC1,OC2,OC3,OC4,OC5,OC6,OC7,OC8]=[-1, 1,-1, 1,-1, 1,-1, 1]
그리고, 위와 같이 2M개로 확산된 각 4개의 부호는 상기 OC(1) 및 OC(2)와 곱해짐에 따라 아래와 같은 2M×N=4×2=8개의 준직교부호(QOC)로 확산될 수 있다.
(확산된 8개의 준직교부호; 부호①×OC(1), 부호①×OC(2), 부호②×OC(1), 부호②×OC(2), 부호③×OC(1), 부호③×OC(2), 부호④×OC(1), 부호④×OC(2))
상기 8개의 준직교부호(QOC)는 아래와 같은 곱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QOC(1); 부호①×OC(1)=[①1,①2,①3,①4]×[OC1,OC2,OC3,OC4,OC5,OC6,OC7,OC8]
=[①1×OC1,①1×OC2,①2×OC3,①2×OC4,①3×OC5,①3×OC6,①4×OC7,①4×OC8]
=[-1,-1,-1,-1]×[-1,-1,-1,-1,-1,-1,-1,-1]
=[-1×-1,-1×-1,-1×-1,-1×-1,-1×-1,-1×-1,-1×-1,-1×-1]
=[1, 1, 1, 1, 1, 1, 1, 1]
QOC(2); 부호①×OC(2)=[-1,-1,-1,-1]×[-1, 1,-1, 1,-1, 1,-1, 1]
=[-1×-1,-1×1,-1×-1,-1×1,-1×-1,-1×1,-1×-1,-1×1]
=[1,-1, 1,-1, 1,-1, 1,-1]
QOC(3); 부호②×OC(1)=[-1, 1,-1, 1]×[-1,-1,-1,-1,-1,-1,-1,-1]
=[1, 1,-1,-1, 1, 1,-1,-1]
QOC(4); 부호②×OC(2)=[-1, 1,-1, 1]×[-1, 1,-1, 1,-1, 1,-1, 1]
=[1,-1,-1, 1, 1,-1,-1, 1]
QOC(5); 부호③×OC(1)=[1, 1, 1, 1]×[-1,-1,-1,-1,-1,-1,-1,-1]
=[-1,-1,-1,-1,-1,-1,-1,-1]
QOC(6); 부호③×OC(2)=[1, 1, 1, 1]×[-1, 1,-1, 1,-1, 1,-1, 1]
=[-1, 1,-1, 1,-1, 1,-1, 1]
QOC(7); 부호④×OC(2)=[1,-1, 1,-1]×[-1,-1,-1,-1,-1,-1,-1,-1]
=[-1,-1, 1, 1,-1,-1, 1, 1]
QOC(8); 부호④×OC(2)=[1,-1, 1,-1]×[-1, 1,-1, 1,-1, 1,-1, 1]
=[-1, 1, 1,-1,-1, 1, 1,-1]
여기서, 상기 확산된 각각의 준직교부호(QOC)의 길이는 상기 곱해지는 직교부호(OC)의 길이와 동일한 C=8개의 길이[QOC1,QOC2,QOC3,QOC4,QOC5,QOC6,QOC7,QOC8]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제 2확산 단계(S210)에서는 상기 제 1확산 단계(S200)에서 확산된 2M개의 부호와 상기 선택된 N개의 직교부호(OC) 간의 곱에 의해 서로 다른 2M×N개의 준직교부호(QOC)로 확산되고, 상기 확산된 준직교부호(QOC)는 상기 선택된 직교부호(OC)의 길이와 동일한 C개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하기 표 1에는 8×8 왈시행렬 범위에서 선택 가능한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L)의 M과 L값, 및 선택 가능한 직교부호(OC)의 개수 N에 따른 준직교부호(QOC)의 생성 개수가 개시되어 있다.
[표 1]
선택된 증진직교부호그룹 (AOCGM ×L)의 M과 L 직교부호(OC)의 선택개수 N 확산된 준직교부호(QOC)의 개수(2M×N)
M=8, L=8 N=2 28×2=512
M=4, L=8 N=8 24×8=128
M=4, L=8 N=2 24×2=32
M=4, L=4 N=4 24×4=64
M=2, L=4 N=2 22×2=8
M=2, L=4 N=4 22×4=16
M=2, L=2 N=8 22×8=32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준직교부호(QOC)의 확산 개수는 상기 M과 N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왈시행렬의 크기가 8×8 이상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선택 가능한 증진직교부호그룹의 M 값 또는 상기 선택되는 직교부호의 개수 N이 증가되면, 상기 확산된 준직교부호(QOC)의 개수는 더욱더 증가될 수 있다.
종래에는 각 입력신호마다 왈시행렬에 포함된 서로 다른 직교부호(OC)를 곱 함에 따라 각 입력신호가 서로 구분되도록 전송하고 있는데, 일정 크기의 왈시행렬 내에서 선택 가능한 직교부호(OC)의 수는 상기 왈시행렬의 크기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직교부호(OC)의 개수가 한정됨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가능 개수도 한정되게 되므로, 왈시행렬에 포함된 상기 직교부호(OC)만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한정된 대역폭 내에서 보다 많은 양의 입력신호를 전송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데이터[a1, ..., aM]와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 및 상기 직교부호(OC)를 이용함에 따라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많은 개수의 준직교부호(QOC)의 생성이 가능하므로 고용량의 입력신호 전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입력신호의 전송에 필요한 부호로서 종래와 같이 왈시행렬 내의 직교부호(OC)를 그대로 이용하지 않으며, 왈시행렬 내에 포함된 직교부호 및 증진직교부호그룹을 이용하여 다양한 개수의 준직교부호(QOC)를 생성함에 따라 전송되는 입력신호의 양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은 CDMA 방식으로 통신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는 CDMA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 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에 따르면, 왈시행렬에 포함된 직교부호와 증진직교부호그룹을 이용하여 다양한 개수의 준직교부호의 생성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준직교부호에 의해 전송되는 입력신호의 전송용량이 증대되고 전송속도의 향상이 실현될 수 있다.

Claims (5)

  1. W×W의 왈시행렬(Walsh Matrix)에 포함된 직교부호(OC)와 증진직교부호그룹(AOCG)을 이용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에 있어서,
    M개의 길이를 갖는 입력데이터[a1, ..., aM]가 상기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M×L 행렬의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에 의해 L개의 길이를 갖는 2M개의 부호로 확산되는 제 1확산 단계; 및
    상기 2M개로 확산된 상기 부호가 상기 왈시행렬에서 선택된 N개의 상기 직교부호(OC)에 의해 2M×N개의 준직교부호로 확산되는 제 2확산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부호(OC)는,
    C개의 길이[OC1, OC2, ..., OCC]를 갖는 상기 왈시행렬의 행성분 부호이며,
    상기 C개는,
    상기 W개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L의 1배 또는 짝수배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확산 단계에서 상기 직교부호(OC)의 선택 개수 N 은,
    상기 왈시행렬의 1행 내지 W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성분에 해당되는 상기 직교부호(OC)의 선택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M×L 행렬을 갖는 상기 증진직교부호그룹(AOCGM ×L)과 M개의 길이를 갖는 상기 입력데이터[a1, ..., aM]의 상기 M은,
    2 내지 L의 범위에서 2의 지수배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5. 삭제
KR1020060081196A 2006-08-25 2006-08-25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KR100786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196A KR100786353B1 (ko) 2006-08-25 2006-08-25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196A KR100786353B1 (ko) 2006-08-25 2006-08-25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353B1 true KR100786353B1 (ko) 2007-12-14

Family

ID=3914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196A KR100786353B1 (ko) 2006-08-25 2006-08-25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159B1 (ko) 2014-05-08 2018-11-06 알까뗄 루슨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763A (ko) * 1999-01-11 2000-09-25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및 이를 이용한 채널 확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763A (ko) * 1999-01-11 2000-09-25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및 이를 이용한 채널 확산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159B1 (ko) 2014-05-08 2018-11-06 알까뗄 루슨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28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crambling code in UM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148313A (en) Correlator method and apparatus
CN1754324A (zh) 扩频码在信号中的应用
CN1384635A (zh) 生成伪噪声状态的装置和方法
KR20010012192A (ko) 유사-랜덤 잡음 생성기를 위한 마스크 생성 다항식
KR100786353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
EP1145456B1 (en) Method for generating complex quasi-orthogonal cod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preading channel data using the quasi-orthogonal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KR10040653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가변팩터직교확산 코드를 이용하여데이터 메시지를 변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9072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CN1286851A (zh) 在移动通信系统中生成准正交码和扩展信道信号的设备和方法
Chandra et al. Small set orthogonal Kasami codes for CDMA system
CN1175828A (zh) 一种扩频地址编码技术
Li et al. The application of the ZCZ sequence pairs set in QS-CDMA system
KR100273048B1 (ko) 직교특성을 가지는 확산코드 발생방법
KR100594754B1 (ko)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역 방향 채널 확산을 위한 직교부호 생성 장치
KR100319643B1 (ko) 직교가변확산계수 코드 발생회로
Yoshioka et al. Study on optical CDMA communications using orthogonal codes with negative auto-correlation
US20080288568A1 (en) Low power Fast Hadamard transform
US71739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p generation of a chip sequence
KR10042462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확산부호 생성장치 및 방법
Tirkel et al. Sequences with large ZC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