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947A -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947A
KR20160148947A KR1020150085777A KR20150085777A KR20160148947A KR 20160148947 A KR20160148947 A KR 20160148947A KR 1020150085777 A KR1020150085777 A KR 1020150085777A KR 20150085777 A KR20150085777 A KR 20150085777A KR 20160148947 A KR20160148947 A KR 20160148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unit
upper plate
folding type
type rotary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세광
Original Assignee
서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세광 filed Critical 서세광
Priority to KR102015008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947A/ko
Publication of KR2016014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접이식 회전유닛;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접이식 회전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에 형성되는 높낮이조절공에 대한 걸림단속 작용을 수행하는 조작유닛; 및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의 회전운동 진행방향에 대하여 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압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상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조작 손잡이와, 상기 가압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걸림단속편과, 상기 걸림단속편을 지지하며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조작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걸림단속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이 급격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판 위에 다수의 물품 등이 올려져 큰 하중이 부여된 상태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height adjustable desk}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상판의 높낮이를 가변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학교 및 각종 사무실에 비치하여 의자와 함께 사용된다.
통상의 책상은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추지 않고, 최초 설계 제작된 규격에 따라 고정된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짧은 기간 내에 빨리 성장하기 때문에 이들이 이용하는 책상이 고정된 높이를 유지할 경우에는 그 성장 치수에 맞지 않아 올바른 자세로 책상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학교 등에서 책상을 일괄적으로 구입하여 각 교실에 배치할 때, 모든 학생들 각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책상을 구입하여 보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실에 작은 규격의 책상부터 큰 규격의 책상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같은 학년생이더라도 체격이 큰 학생과 체격이 작은 학생이 똑같이 동일한 책상을 배정받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었다.
아울러,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책상을 사용하여 업무나 학업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자세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는 건강을 위해 피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건강 유지를 위해 업무나 학업 중 자세를 변경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졸음을 방지하여 업무나 학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도 자세를 변경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책상에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한 구조는 책상의 다리부분을 신축조절가능하도록 다리부분을 수용하는 받침대로부터 고정공이 마련되고, 상기 다리측에는 높낮이조절공이 형성되며, 고정공으로부터 고정볼트와 너트로서 해당하는 높낮이조절공을 일치시켜 조립하는 구조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책상은 고정볼트를 풀거나 조여 책상의 높이를 조정하야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외에 다른 사용자가 다시 재 조정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이 구비되었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조절에 불편함이 있어 그대로 책상에 몸을 맞추어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책상 상판의 무게가 상당하므로 상판의 순간적인 하강작용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를 입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78183호(2005.03.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 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상판의 높낮이를 가변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는,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접이식 회전유닛;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접이식 회전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에 형성되는 높낮이조절공에 대한 걸림단속 작용을 수행하는 조작유닛; 및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의 회전운동 진행방향에 대하여 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압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상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조작 손잡이와, 상기 가압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걸림단속편과, 상기 걸림단속편을 지지하며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조작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걸림단속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공은 상기 가압돌기가 힌지운동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운동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1단계 조작시 상기 제1 스프링이 인장되며, 상기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2단계 조작시 상기 제2 스프링이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 손잡이의 1단계 조작시 상기 결합공의 일측에 위치한 가압돌기는 상기 결합공의 타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2단계 조작시 상기 가압돌기가 결합공의 타측을 가압을 전달하여 상기 걸림단속편을 직선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유닛의 높낮이조절공은 원호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높낮이조절공과 상호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회전유닛의 회전운동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부여하는 압력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이 급격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판 위에 다수의 물품 등이 올려져 큰 하중이 부여된 상태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조작 손잡이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운동과 상기 조작 손잡이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상기 걸림단속편이 직선운동하는 2단 조작 구성으로써, 조작의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의 높낮이 조절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조작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작유닛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는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접이식 회전유닛(200)과,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300)과, 상기 상판(300)과 접이식 회전유닛(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에 형성되는 높낮이조절공(212a)에 대하여 걸림단속 작용이 이루어지는 조작유닛(400)과, 상기 베이스부재(100)와 접이식 회전유닛(2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의 회전운동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부여하는 압력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다수의 프레임을 조합하여 제작되는 사각 틀로서, 후술할 접이식 회전유닛(200)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의 상방향 및 하방향에 대한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단속용 브라켓(110)이 각각 설치된다(도 2참조).
즉, 상기 단속용 브라켓(110)은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과 접촉하는 간섭을 통해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이 일정 각도 이상 아래쪽 또는 윗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을 구성하는 제1 회전프레임(211)은 상기 단속용 브라켓(1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간섭되어 일정각 이상에서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며, 제2 회전프레임(212)은 상기 단속용 브라켓(110)의 길이방향 상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 하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단속한다.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은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의 회전운동은 상기 상판(30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마주보는 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프레임(210)과, 상기 회전프레임(2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220)을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회전프레임(220)은 전후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제1 회전프레임(211)과 제2 회전프레임(212)으로 분할 구성된다.
이는 상기 회전프레임(210)을 분할구성함으로써 완성된 제품을 무게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작용이 한층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제2 회전프레임(212)에는 후술할 조작유닛(400)의 걸림단속편이(430)이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높낮이조절공(212a)이 원호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높낮이조절공(212a)의 구성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210)의 고정위치(높낮이)를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상판(300)은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넓이를 평판형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상판(300)은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 등의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상판(30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상판(310)이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 상판(310)은 상기 상판(300)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구성으로, 크기가 작은 책이나 다른 물품(키보드) 등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상기 보조 상판(310)은 상기 상판(300)의 하면에 대하여 슬라이드 출입하는 레일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 상판(310)을 인출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상판(300)과 접이식 회전유닛(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300)과 접이식 회전유닛(200)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과,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에 형성되는 높낮이조절공(212a)에 대한 걸림단속 작용의 역할을 병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상판(300)을 지지하는 수평면(411)과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이 연결되는 수직면(412)을 형성한 고정 브라켓(410)과,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수평면(411)에 설치되어 힌지운동하며 일측 단부에 가압돌기(421)가 형성된 조작 손잡이(420)와, 상기 높낮이조절공(212a)에 대하여 걸림단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돌기(421)가 결합되는 결합공(431)을 형성한 걸림단속편(430)과, 상기 걸림단속편(430)을 지지하며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높낮이조절공(212a)과 상호 연통하는 연통공(413)이 형성된다(도 6참조).
또한, 상기 조작 손잡이(420)와 걸림단속편(430)에는 동작 작용 후 동작 전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제1 스프링(450)과 제2 스프링(46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스프링(450)과 제2 스프링(460)의 일단이 상기 조작 손잡이(420)와 걸림단속편(43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440)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제1 스프링(450)과 제2 스프링(460) 각각은 상기 조작 손잡이(420)와 걸림단속편(430)에 대하여 직접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초기 1 단계는 상기 제1 스프링(450)만 단독으로 작용하여 사용자가 힘을 주어야 할 시점을 미리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작 손잡이(4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걸림단속편(430)은 움직이지 않고 높낮이조절공(212a)에 대하여 걸림단속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좀더 힘있게 가압하면 상기 가압돌기(421)가 상기 걸림단속편(430)을 직선이동시키고 상기 제2 스프링(460)을 인장시키게 된다.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회전시키는 1단계 조작시 상기 제1 스프링(450)이 인장되며,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회전시키는 2단계 조작시 상기 제2 스프링(460)이 인장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스프링(450)과 제2 스프링(460)은 단순히 조작 손잡이(420)와 걸림단속편(430)에 대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 외에도 상기 걸림단속편(430)을 직선이동시키는 시점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힘 안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작 손잡이(420)와 걸림단속편(430)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하는 연결구조로서, 상기 제1 스프링(450)과 제2 스프링(460)도 상호 간접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조작 손잡이(420)의 회전작용 및 상기 걸림단속편(430)의 직선운동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려는 탄성 복원능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 손잡이(420), 걸림단속편(430) 및 가이드 브라켓(440)에는 상기 제1 스프링(450)과 제2 스프링(460)이 연결되기 위한 각각의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걸림단속편(430)의 결합공(431)은 상기 가압돌기(421)가 힌지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431)은 운동공간 구조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점차 넓어지는 삼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삼각형 외에 다양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운동공간을 확보하거나, 힌지운동 진행방향에 따른 곡률을 가지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걸림단속편(430)의 결합공(431)은 상기 가압돌기(421)의 힌지운동 방향에 대한 가압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걸림단속편(430)의 직선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회전시키는 초기 1 단계 시 상기 결합공(431) 일측에 위치한 가압돌기(421)가 상기 결합공(431)의 타측에 면접하는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힘 있게 누르는 2 단계 시 상기 가압돌기(431)가 상기 결합공(431)의 타측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단속편(430)을 직선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높낮이조절공(212a)에 대한 걸림단속이 해제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단속편(430)의 결합공(431)이 상기 가압돌기(421)의 단면적보다 넓은 운동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상기 걸림단속편(430)이 직선방향으로 유동하는 헐렁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스프링(460)이 상기 걸림단속편(430)을 탄성지지하므로 상기 걸림단속편(430)이 유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유닛(400)은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운동과 상기 조작 손잡이(420)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상기 걸림단속편(430)이 직선운동하는 2단 조작이 순차적이면서 연속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이므로 조작의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상판(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기 조작유닛(400)의 조작 손잡이(42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 손잡이(420)에 형성된 상기 가압돌기(421)가 회전반경을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걸림단속편(430)의 결합공(431) 타측면 위치까지 무리 없이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좀더 힘있게 들어올리면 상기 가압돌기(421) 역시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단속편(430)을 직선이동시키는 가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속편(430)에 의해 구속되어 있어 상기 제2 회전프레임(212)의 구속이 해제된다.
그 다음,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계속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판(100)의 높낮이를 조절한 이후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누르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제2 스프링(460)이 작용하여 상기 걸림단속편(430)이 상기 제2 회전프레임(212)을 다시 구속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스프링(450)은 상기 조작 손잡이(420)는 아래쪽 하강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압력수단(500)은 상기 베이스부재(100)와 접이식 회전유닛(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의 회전운동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압력수단(500)은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이 급격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압력수단(500)은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이 하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내압의 힘이 작용하여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의 하강동작을 감속시키고,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내부 압력의 힘을 제공하여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전달한다.
이를 위한 상기 압력수단(500)은 공기를 이용한 에어 실린더를 또는 유압을 이용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스프링을 이용한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압력수단(500)의 구성은 상기 상판(300) 위에 다수의 물품 등이 올려져 큰 하중이 부여된 상태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절한 압력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는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기존의 책상 또는 선반 위에 올려놓고 사용자가 서서 업무를 볼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회전유닛(200)의 회전운동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부여하는 압력수단(5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200)이 급격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판(300) 위에 다수의 물품 등이 올려져 큰 하중이 부여된 상태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조작 손잡이(42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운동과 상기 조작 손잡이(420)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상기 걸림단속편(430)이 직선운동하는 2단 조작 구성으로써, 조작의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베이스부재
200 : 접이식 회전유닛
210 : 회전프레임
211 : 제1 회전프레임
212 : 제2 회전프레임
220 : 연결프레임
300 : 상판
310 : 보조 상판
400 : 조작유닛
410 : 고정 브라켓
420 : 조작 손잡이
430 : 걸림단속편
440 : 가이드 브라켓
450 : 제1 스프링
460 : 제2 스프링
500 : 압력수단

Claims (5)

  1.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접이식 회전유닛;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접이식 회전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에 형성되는 높낮이조절공에 대한 걸림단속 작용을 수행하는 조작유닛; 및,
    상기 접이식 회전유닛의 회전운동 진행방향에 대하여 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압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상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조작 손잡이와, 상기 가압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걸림단속편과, 상기 걸림단속편을 지지하며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조작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걸림단속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가압돌기가 힌지운동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운동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1단계 조작시 상기 제1 스프링이 인장되며, 상기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2단계 조작시 상기 제2 스프링이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손잡이의 1단계 조작시 상기 결합공의 일측에 위치한 가압돌기는 상기 결합공의 타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2단계 조작시 상기 가압돌기가 결합공의 타측을 가압을 전달하여 상기 걸림단속편을 직선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의 높낮이조절공은 원호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높낮이조절공과 상호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KR1020150085777A 2015-06-17 2015-06-17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KR20160148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77A KR20160148947A (ko) 2015-06-17 2015-06-17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77A KR20160148947A (ko) 2015-06-17 2015-06-17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47A true KR20160148947A (ko) 2016-12-27

Family

ID=5773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777A KR20160148947A (ko) 2015-06-17 2015-06-17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9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183B1 (ko) 2000-09-18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183B1 (ko) 2000-09-18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4654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US9504316B1 (en) Height adjustable desktop assembly
DE69915659T2 (de) Längenverstellbare tragsäule für einen stuhl und einen tisch
EP3285616B1 (en) Article of furniture having a latch mechanism
US20170340104A1 (en) Lifting platform
US20140144352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desktop workstation
KR10170711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US20070068429A1 (en) Ergonomic workstation with raising and lowering elements
US20130014674A1 (en) Height adjustable desktop apparatus
KR1019626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KR101781619B1 (ko) 책상 각도조절 장치
CN104207482A (zh) 多功能折叠课桌椅
KR20160148947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데스크
KR101216744B1 (ko)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CN205214614U (zh) 可调节高度的桌子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200334197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
KR20100110009A (ko) 발받침대
TWM531186U (zh) 可調式升降桌之升降結構
CN208211750U (zh) 一种工作面倾角可调式工作台
JP4673399B2 (ja) 角度可変型物品保持台
KR200463183Y1 (ko) 높이가 조절되는 책상
KR200494798Y1 (ko) 가구용 높이조절 받침장치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