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674A -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 - Google Patents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674A
KR20160148674A KR1020167033493A KR20167033493A KR20160148674A KR 20160148674 A KR20160148674 A KR 20160148674A KR 1020167033493 A KR1020167033493 A KR 1020167033493A KR 20167033493 A KR20167033493 A KR 20167033493A KR 20160148674 A KR20160148674 A KR 20160148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enodeb
wireless
transceiver
pds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비지트 보르카르
크리스티안 이바르스 카사스
핑핑 쭝
아포스톨로스 파파타나시우
Original Assignee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2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Abstract

일부 예에서 개시된 것은 비인가 채널에서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를 위해 LBT(Listen Before Talk) 액세스 방식을 구현하는 시스템들, 머신 판독 가능 매체, 방법들, 및 셀 방식 무선 장치들이다. 셀 방식 무선 장치는 LBT 액세스 방식이 비인가 채널에서의 한 채널(주파수들의 정의된 범위)이 특정 기간 동안 유휴인 것을 결정한 후에 비인가 채널에서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을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우선권 주장]
이 특허 출원은, 2014년 6월 30 일자로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출원 일련 번호제 62/019,316 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2015 년 3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4/669,736호에 기초한 우선권 혜택을 주장하는데, 이 두 출원 모두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이로써 통합된다.
실시예들은 셀 방식 무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비인가 통신 대역들(unlicensed communication bands)에서 동작하는 셀 방식 무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셀 방식 기술은 통상적으로 인가된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한다. 인가된 주파수 스펙트럼은 사용을 위해 특정 엔티티(예를 들어, 특정 무선 캐리어)에게 배타적으로 할당되는 주파수들의 범위를 말한다. 이용 가능한 인가 주파수 스펙트럼들이 제한적이고 또한 셀 방식 무선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하는 데에 이용 가능한 할당된 빈 스펙트럼의 양은 제한되어 있다.
인가된 주파수 스펙트럼들과는 대조적으로, 당사자가 법적 승인을 얻지 않고서 소정 주파수들의 사용을 허용하는 다양한 비인가 주파수 스펙트럼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주파수들은 이들을 사용하고자 원하는 장치들 간에 공유되며, 이러한 스펙트럼들을 사용하는 장치들은 다른 장치들과 스펙트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프로토콜들을 가지고 있다. 종종 이러한 비인가 스펙트럼들은 주로 셀 방식 무선 용도를 위해 인가되는 것은 아니며, 종종 이러한 스펙트럼들은 다른 장치들과의 경합 또는 이것들에 의한 활용에 종속되어 있다.
반드시 비례에 맞추어 그려진 것은 아닌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번호들은 상이한 뷰에서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문자 접미사를 갖는 유사한 도면 번호들은 유사한 구성 요소의 상이한 사례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를, 제한적이 아니라 예로서 일반적으로 도시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부 예에 따른 LBT(Listen Before Talk) 방법의 타임라인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부 예에 따른 LBT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부 예에 따른 LBT 방법의 타임라인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부 예에 따른 LBT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예에 따른 백 오프를 가진 LBT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예에 따른 셀 방식 무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그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머신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들을 위한 인가 스펙트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LTE 시스템의 설계자는 비인가 주파수들에서 이들 인가된 프로토콜들의 사용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인가되지 않은 주파수들에서 셀 방식 및 기타 인가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면 소정의 도전적 과제가 제기된다.
예를 들어, 셀 방식 무선 장치들(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장치)은 이들 장치들이 특정 무선 채널을 배타적으로 사용하도록 보장하는 인가된 채널들을 활용한다. "채널"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보통은 그렇지만 언제나 연속적이지는 않은) 주파수 대역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셀 방식 프로토콜들의 설계상 가정은 이 프로토콜들이 자신들이 작동하는 주파수들에 대한 배타적 액세스 권리를 가진다는 것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른 장치들 사이의 조정에만 주로 관심이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eNodeB)은 전형적으로 eNodeB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E)로부터의 송신 및 수신을 조정한다. eNodeB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계획할 때 다른 네트워크들의 다른 사용자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셀 방식 무선 네트워크가 변경 없이 비인가 채널에서 송신하기를 시작했다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연속적으로 송신 및 수신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 다른 장치들이 그 채널을 활용하지 못하게 막는다.
대조적으로, 비인가 채널들에서 동작하는 장치들은 단일 네트워크(예를 들어 단일 운영자에 의해 제어됨)에서 동작하는 장치들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많은 다른 네트워크들 및 장치들에서 동작하는 장치들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IEEE(Institute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Wi-Fi)에 의해 정의되는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들은 무선 매체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그들 자신의 네트워크(즉, BSS: Basic Service Set)의 장치들뿐만 아니라, 다른 BSS들에서의 장치 및 실제로 다른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장치들도 고려한다.
따라서,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이 비인가 채널을 다른 장치들과 공유하게 허용하는 방식으로 비인가 채널에서 동작하도록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을 적응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일부 예들에서, 비인가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에 대한 LBT 액세스 방식을 구현하는 시스템, 머신 판독 가능 매체, 방법 및 셀 방식 무선 장치가 개시된다.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비인가 스펙트럼 내의 채널(특정 스펙트럼에서 정의된 주파수 범위)이 특정 기간 동안 유휴 상태임을 LBT 액세스 방식이 결정한 후에 비인가 채널에서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임의의 장치이다.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은 셀들이라고 불리는 육상 영역들에 걸쳐서 분포되는 셀 방식 무선 네트워크를 정의하는 무선 프로토콜인데, 각각의 셀은 셀 사이트 또는 기지국으로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 송수신기에 의해 서빙된다. 이러한 셀 사이트들은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호 접속된다.
비인가 채널들에서의 송신을 위해 적응될 수 있는 예시적인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들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공포된 LTE 표준 계열들, 3GPP에 의해 공포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표준 계열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표준 계열들, 및 등등의 것 중 하나에 따른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셀 방식 무선 장치는 NodeB 또는 eNodeB와 같은 기지국일 수 있거나, 사용자 장비(UE)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비인가 대역상에서 사용되는 전송 및 다른 파라미터들을 제어하기 위해 인가된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CSI 피드백 획득, PDCCH에 대한 스케줄링 결정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인가 채널에서의 셀 방식 무선 장치들의 예시적인 송신들은 이들 셀 방식 프로토콜들의 계층 1, 계층 2, 계층 3 및 다른 계층들, 예를 들어, 물리(PHY) 계층,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및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들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송신들을 포함한다. 비인가 주파수에서 송신되는 채널들은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 채널들, 업링크 제어 채널들,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들, 및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셀 방식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과 같은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인가된 스펙트럼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성능을 셀에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SDL(supplemental downlink)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SDL 채널은 PDSCH와 같은 하나 이상의 LTE 채널을 전달할 수 있다. LBT 기술은 비인가 채널이 유휴 상태이고 간섭이 없는지 보장하기 위해 SDL 채널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비인가 스펙트럼상의 업링크 채널들에 대해, UE는 LBT 메커니즘들을 구현하는 셀 방식 무선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SDL은 1차(인가된) 주파수들상의 PDCCH상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비인가 주파수상에서 (즉,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사용하여) SDL PDSCH상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인가된 주파수의 PDCCH상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비인가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PDCCH가 비인가 채널상에서 보내질 수 있다.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들의 양태들은 비인가 주파수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액세스 방식은 셀 방식 무선 장치에 의해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비인가 대역에 대한 LBT 액세스 모드를 구현하는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채널을 청취할 수 있다. 채널이 채널 청취 시간 동안 유휴 상태라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그 채널이 송신에 이용 가능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에 걸친 채널상의 검출된 평균 전력을 미리 정해진 전력 레벨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채널이 유휴 상태임을 결정할 수 있다. 검출된 평균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보다 낮으면, 채널은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검출된 평균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을 초과하면, 채널은 비지(busy) 상태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채널 청취 시간 전체 동안 검출된 평균 전력을 사용하는 대신에, 채널 청취 시간 중 임의의 시점에서 검출된 채널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을 초과하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이 비지 상태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채널 청취 시간 중 어떠한 시점에서도 검출된 채널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을 이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일단 셀 방식 무선 장치가 매체가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면, 비동기 모드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즉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동기식 모드에서, 무선 매체가 이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매체 예약 기술을 사용하여 매체를 예약하고 및 송신하기 전에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의 서브 프레임 경계를 대기할 수 있다.
이제 도 1a를 참조하면, LBT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비인가 채널에서 비동기적으로 동작하는 셀 방식 무선 장치의 타임라인(1000)이 도시되어 있다.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1010) 동안 채널의 전력 레벨을 측정한다. 도 1a에서, 채널 청취 시간(1010)은 W㎲이다. 일부 예에서,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1010)동안 캐리어 감지(CS: carrier sensing)를 수행하고 그 기간에 걸쳐 수신되는 평균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매체가 유휴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 기간 동안 수신된 평균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예를 들어, -62dBm)보다 낮으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매체가 유휴 상태에 있고 송신에 이용 가능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매체가 유휴 상태임을 검출하는 이 방법은 Wi-Fi 캐리어 감지와 다르다. Wi-Fi 캐리어 감지에서, Wi-Fi 장치는 에너지 검출 메커니즘과 신호 검출 메커니즘 모두를 사용한다. Wi-Fi 장치가 신호 검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Wi-Fi 신호를 검출하면, Wi-Fi 장치는 해당 채널이 점유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일부 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LBT 방법은 에너지 검출 메커니즘만을 사용하고 Wi-Fi 신호 검출 메커니즘은 사용하지 않는다.
일단 매체가 유휴 상태라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선택적으로 예약 메시지 (RSRV)(1020)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예약 메시지는 비인가 채널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의 채널 감지 메커니즘이 이 채널을 비지 상태인 것으로 보도록 트리거링하게 설계되는 임의의 송신일 수 있다. 일례의 예약 메시지(1020)는, 다른 무선 장치들이 채널상의 이 에너지를 검출하도록 트리거링하고 또한 이 에너지에 기초하여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것을 결정하도록 설계되는 특정 전력 레벨을 넘는 단순 송신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 메시지는 비인가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프로토콜에 특정 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메시지는 비인가 채널상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예약 메시지는 셀 방식 무선 장치의 송신들을 위해 채널을 예약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 메시지는 Wi-Fi RTS(Request-To-Send) 또는 CTS(Clear-To-Send) 메시지일 수 있다. 이들 메시지들은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 회로를 수정하여 다른 프로토콜의 이들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보내질 수 있거나, 또는 프로토콜 회로를 추가하여(예를 들어, Wi-Fi 칩을 eNodeB에 추가) 다른 프로토콜들을 위한 메시지들을 보냄으로써 보내질 수 있다. RTS 또는 CTS 메시지들은 셀 방식 무선 장치가 비인가 채널을 필요로 하는 지속 시간을 지정할 수 있는 지속 시간 필드를 가질 수 있다.
RTS/CTS 메시지들은 하나 이상의 셀 방식 무선 장치에 송신될 수 있다. RTS/CTS 메시지는 의도된 UE들에게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의도된 UE들은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RTS/CTS는 시간 또는 주파수 다중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이후 셀 방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송신(1030)할 수 있다.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제어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셀 방식 무선 채널을 보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서브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부 예에 따라 셀 방식 무선 장치를 위한 비동기 LBT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한 예시적 방법(1100)을 도시한다. 동작 111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예를 들어, W㎲) 동안 채널을 감지한다. 동작 112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결정한다. 일부 예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 동안의 평균 수신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보다 낮다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결정한다. 채널이 유휴 상태로 간주되지 않으면, 장치는 되돌아가서 채널이 유휴 상태로 간주될 때까지 동작 1110 및 1120을 반복할 수 있다. 일단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간주되면, 동작 113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TXOP(transmission opportunity)의 지속 시간 동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동작 1130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예약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W는 34㎲일 수 있다.
이제 도 2a를 참조하면, LBT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비인가 채널에서 동기식으로 동작하는 셀 방식 무선 장치의 타임라인(2000)이 도시되어 있다. 장치는 매체가 채널 청취 시간(2010) 동안 유휴 상태인 것을 감지한다. 도 2a에서, 채널 청취 시간(2010)은 W㎲이다. 일부 예에서,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 동안 캐리어 감지(CS)를 수행하고 수신된 평균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매체가 유휴 상태인 것을 결정한다. 이 기간 동안 수신된 평균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 미만이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매체가 유휴 상태에 있다고 간주 할 수 있다.
일단 매체가 유휴 상태이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예약 메시지(RSRV)(2020)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예약 메시지(2020)는 Wi-Fi 메시지와 같은 또 다른 무선 프로토콜로부터의 메시지일 수 있고, 셀 방식 무선 장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셀 방식 무선 장치의 송신을 위해 무선 매체를 예약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 메시지는 CTS 또는 RTS 메시지일 수 있다. 이들 메시지들은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 회로를 수정하여 다른 프로토콜들의 메시지들을 송신함으로써 보내질 수 있거나, 또는 프로토콜 회로를 추가하여 (예를 들어, Wi-Fi 칩을 eNodeB에 추가) 다른 프로토콜들을 위한 메시지들을 보냄으로써 송신될 수 있다.
도 2a의 경우, 예약 메시지(2020)는 원하는 TXOP(2040)를 위한 셀 방식 무선 장치를 위한 무선 매체뿐만 아니라 동기화된 시간에서 데이터를 보낼 시간량(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경계를 대기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예약한다. 예를 들어, 예약 메시지(2020)는 TXOP(송신 2040) +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의 다음 서브 프레임의 시작 전에 경과하는 시간 주기인 휴지 기간(2030)의 합일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부 예에 따라 셀 방식 무선 장치를 위한 동기식 LBT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2100)을 나타낸다. 동작 211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예를 들어, W㎲) 동안 채널을 감지한다. 동작 212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를 결정한다. 일부 예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 동안의 평균 수신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 미만인 것을 결정함으로써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을 결정한다.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면, 장치는 되돌아가서 채널이 유휴 상태로 간주될 때까지 동작 2110 및 2120을 반복할 수 있다. 일단 채널이 유휴 상태로 간주되면, 동작 213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서브 프레임에 정렬하고 및 송신 기회의 지속 시간 동안 데이터를 송신한다. 일부 예에서, 동작 2130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에 앞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예약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LBT 기술은 대단히 많은 수의 송신기들의 존재 시에 충돌들을 피하기 위한 백 오프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백 오프 절차를 포함하는 LBT 기술의 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동작 301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채널 청취 시간 동안 채널을 감지한다. 평균 수신 전력이 동작 3020에서 전력 레벨 임계값보다 낮지 않다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010에서 채널을 계속 감지할 수 있다. 동작 3020에서 수신된 전력이 전력 레벨 임계값보다 낮으면, 그리고 셀 방식 무선 장치가 동작 3030에서 백 오프를 구현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040에서 송신 기회의 지속 시간 동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대해 지적한 바와 같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예약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일부 예에서는 서브 프레임 경계에 정렬될 수 있다.
만일 동작 303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가 백 오프 동작이 구현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050에서 절대 최소(MIN) 값과 현재 최대값(CWT) 사이의 무작위 백 오프 경합 윈도(CW)를 계산할 수 있다. CWT는 초기에 MIN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 306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경합 윈도(CW)를 감분시킬 수 있다. 동작 3070에서, CW가 제로인지가 결정된다. CW가 제로이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비인가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동작 304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 3070에서 CW가 제로가 아니라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080에서 X ㎲ 동안 채널을 감지한다. 일부 예에서, X는 9㎲이다. X와 W는 같거나 다른 값들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IN은 3일 수 있고 MAX는 1023일 수 있다.
동작 3090에서 수신된 전력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낮으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060에서 CW를 감분시키고, 셀 방식 무선 장치는 CW가 제로가 될 때까지 (이때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040에서 비인가 채널을 통해 송신함) 또는 동작 3090에서 수신된 전력이 임계값보다 낮지 않을 때까지 동작 3070, 3080 및 3090을 반복한다. 동작 3090에서 수신된 전력이 임계값보다 낮지 않다면, 동작 3095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010으로 되돌아 간다. 일부 예에서, 동작 3090에서의 임계 전력 레벨은 동작 3020에서의 임계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임계값은 -62dbm 일 수 있다. 백 오프 절차는 일단 CW가 0이라면 성공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단 데이터가 동작 3040에서 송신되면, 일부 예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송신 동안에 충돌이 발생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것을 수행하기 위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100에서 송신 블록 에러(TBE) 레이트를 계산할 수 있다. 동작 3110에서, TBE는 미리 정해진 에러 임계값과 비교 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미리 정해진 에러 임계값은 0.5 일 수 있다. TBE가 미리 정해진 에러 임계값보다 낮으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송신이 성공적이었고 간섭되지 않았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3120에서, 현재 최대 값 CWT는 MIN 값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이것은 CW가 결정되는 다음 회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가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또한 동작 3010에서 처음부터 절차를 다시 시작할 다음 회까지 흐름은 종료한다. TBE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이면,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동작 3130에서 현재 최대 값 CWT가 이전 CWT의 2 배에서 최대로는 전역 최대 값 MAX까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동작 3050에서 새로운 백 오프 CW가 선택되고, 셀 방식 무선 장치가 에러들을 가졌던 블록들을 재송신하려고 시도함에 따라 백 오프 절차가 반복된다.
Wi-Fi와는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LBT 메커니즘은 일부 예에서 전송 블록 에러 측정을 활용한다. TBE는 특정적으로는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되지만, 일반적으로 물리적/MAC 계층 수준에서 데이터 송신이 공중에 걸쳐서 얼마나 성공적인지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LTE의 경우, 전송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면, 송신이 성공한 것이다. 성공적인 디코딩은 수신기에 의해 계산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전송 블록에서 보내진 CRC와 일치하는 경우이다. TBE는 성공적인 블록들의 백분율 또는 비율이다. 대조적으로, Wi-Fi는 패킷 확인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실패가 충돌을 나타낸다는 것을 가정한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일부 예들에서, 동작 304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다른 무선 장치들이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약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한, 동작 3040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는 송신 전에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를 대기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셀 방식 무선 장치(4000)의 개략도가 일부 예에 따라 도시된다. 셀 방식 무선 장치(4000)는 인가된 셀 방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셀 방식 무선 장치(4000)는 nodeB, eNodeB, UE, BTS(Base Transceiver Station), Wi-Fi 액세스 포인트, 셀 폰, 스마트 폰, 데스크탑 컴퓨터, 랩톱 컴퓨터, 의료 기기(예를 들어, 심박수 모니터, 혈압 모니터 등), 착용가능 장치(예로, 컴퓨팅 안경, 스마트 시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셀 방식 무선 장치(4000)는 제1 무선 송수신기(4030), 제2 무선 송수신기 (4040), 및 제1 및 제2 무선 송수신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40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송수신기(4030)는 비인가 채널상에서 동작 할 수 있으며, 일부 예에서는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이 아닌 무선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일부 예에서, 제1 무선 송수신기(4030)는 IEEE 802.11 무선 프로토콜, 블루투스 무선 프로토콜, BLE(Bluetooth Low Energy) 무선 프로토콜, 지그비(Zigbee) 무선 프로토콜 등과 같은 비인가 채널들에서 동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무선 송수신기(4030)는 비인가 채널이 다른 트래픽에 의해 점유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송수신기(4030)는 비인가 채널상의 전력 레벨을 검출할 수 있고, 평균 전력 레벨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특정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어 회로 (4020)는 채널이 점유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평균 전력 레벨이 밀 정해진 기간 동안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어 회로(4020)는 채널이 점유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채널이 점유되었다면, 제어 회로(4020)는 수신된 평균 전력 레벨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이 될 때까지 채널을 계속 감지하도록 제1 송수신기(4030)에게 지시할 수 있다.
제어 회로(4020)는 일단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면 백 오프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4020)는, 제1 송수신기 (4030)와 협력하여, 무작위 경합 윈도를 선택하는 것, 경합 윈도를 감분시키는 것, 제1 송수신기(4030)를 사용하여 X㎲ 동안 채널을 감지하는 것, 백 오프 기간이 경과했는지, 또는 활동이 백 오프 기간 동안 채널상에서 검출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 제1 송수신기(4030)에게 시그널링하여 채널 청취 기간 동안 비인가 채널상의 전력 레벨을 검출함으로써 매체가 비어 있는지를 다시 결정하도록 하는 것 등과 같은 도 3의 동작들이 구현되도록 야기한다. 일단 제어 회로 및 제1 송수신기가 채널이 다시 한번 비어 있다고 결정했다면, 제어 회로(4020)는 다시 시작하고 백 오프 절차를 다시 한번 구현할 것이다.
제2 무선 송수신기(4040)는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인가된 주파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은 3GPP에 의해 공포된 LTE 표준 계열들, 3GPP에 의해 공포된 UMTS,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라고 알려진 IEEE 802.16 표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수신기(4040)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방식 무선 장치(4000)가 eNodeB인 경우, 제2 송수신기(4040)는 eNodeB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성을 제공한다. 셀 방식 무선 장치(4000)가 UE인 경우, 제2 송수신기(4040)는 셀 방식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제2 송수신기(4040)는 인가된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지만, 비인가 대역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회로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제어 회로(4020)는 제1 송수신기(4030)뿐만 아니라 제2 송수신기(40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4020)가 비인가 채널들이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때, 제어 회로(4020)는 제1 송수신기(4030)를 이용하여 채널이 빌 때를 결정할 수 있고, 및 일부 예에서 제1 송수신기(4030)를 경유해 채널 예약 메시지를 사용하여 채널을 예약하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단 채널이 비었다면, 제어 회로(4020)는 제1 및 제2 송수신기들(4030 및 4040) 중 어느 하나에게 비인가 대역상에서 송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4000)는 비인가 채널들상에서 예약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예약 메시지는 셀 방식 데이터 전송의 지속 시간(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에 설정될 수 있는 지속 시간 필드를 갖는다. 일부 예에서, 셀 방식 무선 장치(4000)는 서브 프레임 경계에 이르기까지는 송신하기를 시작할 수 없다. 이러한 예들에서, 예약 메시지가 보내지면, 예약 메시지는 셀 방식 데이터 전송 지속 시간 + 다음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량과 동등한 지속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송신 후에, 제어 회로(4020)는 송신이 성공적이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송신은 TBE 측정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아래에 있는 경우에 성공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TBE 측정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낮으면, 다음 송신을 위한 경합 윈도는 무작위 선택(예로, 도 3의 동작 3050에서)에 사용되는 최대값을 최소값(MIN)에 설정함으로써 최소 경합 윈도 값(MIN)에 설정될 수 있다.
TBE 측정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낮지 않다면, 다음 경합 윈도가 2 배가 될 수 있고, 데이터를 재송신하기 위해 백 오프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도 5는 여기서 논의되는 기술들(예컨대,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그 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머신(5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대안 실시예들에서, 머신(5000)은 독립형 장치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머신들에 접속(예를 들어, 네트워크화)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화된 배치에서, 머신(5000)은 서버 머신의 능력으로, 클라이언트 머신의 능력으로,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 둘 모두의 능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례에서, 머신(5000)은 피어-투-피어(P2P) (또는 다른 분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머신(5000)은 셀 방식 무선 장치, 무선 장치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셀 방식 무선 장치들은 eNodeB, UE,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PC, 셋탑 박스(STB),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전화, 웹 응용 기기,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해당 기계가 취해야 할 작용들을 지정하는 명령어들(순차적 또는 기타)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을 포함한다. 또한, 단일 머신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머신"이라는 용어는 클라우드 컴퓨팅, SaaS(Software as a Service), 또는 기타 컴퓨터 클러스터 구성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방법론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또는 다중 세트)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임의의 머신들의 모음을 포함하도록 취해진 것이다.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들은 로직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 모듈들, 회로, 또는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모듈들 및 회로는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실체(tangible entity)(예를 들어, 하드웨어)이고, 특정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일례에서, 회로들은 회로망으로서 지정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내부적으로 또는 다른 회로들과 같은 외부 엔티티들에 대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예로, 독립형,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전체 또는 일부는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회로로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예로, 명령어들, 응용 프로그램 부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망"이라는 용어는, 그 실체가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동작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축되고, 구체적으로 구성되거나(예를 들어, 하드와이어드), 또는 일시적으로(temporarily) (예를 들어, 일시적으로(transitorily)) 구성(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간에 그 실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회로망이 일시적으로 구성된 예들을 고려할 때, 각각의 회로들은 시간상 임의의 한 순간에 인스턴스화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회로들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시간에 제각기 상이한 회로망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구성하여,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특정 회로를 구성하고 다른 시간 인스턴스에서 상이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예로, 컴퓨터 시스템)(5000)은 하드웨어 프로세서(5002)(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스 처리 장치(GPU),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주 메모리(5001), 및 정적 메모리(5006)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인터링크(예로, 버스)(5008)를 경유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머신(5000)은 디스플레이 유닛(5010), 알파뉴메릭 입력 디바이스(5012)(예를 들어, 키보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내비게이션 장치(5014) (예를 들어, 마우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5010), 알파뉴메릭 입력 장치(5012), 및 UI 내비게이션 장치(50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머신(5000)은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구동부)(5016), 신호 발생 디바이스(5018)(예를 들어, 스피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5020), 및 GPS 센서, 나침반, 가속도계, 또는 기타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502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머신(5000)은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예: 프린터, 카드 리더기 등)와 통신하거나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직렬(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병렬,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IR),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 접속과 같은 출력 제어기(502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5016)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들 또는 기능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실시되거나 활용되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명령어들(5024)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의 세트들이 그 상에 저장되는 머신 판독 가능 매체(5022)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5024)은 머신(5000)에 의한 명령어들의 실행 동안 주 메모리(5001) 내에서, 정적 메모리(5006) 내에서 또는 하드웨어 프로세서(5002)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한 상주할 수 있다. 예에서, 하드웨어 프로세서(5002), 주 메모리(5001), 정적 메모리(5006), 또는 저장 디바이스(5016)는 머신 판독 가능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5022)가 단일 매체로 도시되어 있지만, 용어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5024)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단일 매체 또는 다중 매체(예를 들어, 중앙 집중식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된 캐시들 및 서버들)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50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고 및 머신(5000)으로 하여금 본 개시의 기술 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야기하고나, 또는 그러한 명령어들에 의해 사용되거나 그와 연관되는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 전파 신호가 아니다. 비 제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의 예들로는 고체 메모리들, 및 광학 및 자기 매체가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의 특정 예들로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착탈식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광 자기 디스크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이 있다.
명령어들(5024)은 다수의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프레임 릴레이, 인터넷 프로토콜(IP), 송신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하이퍼 텍스트 송신 프로토콜(HTTP) 등) 중 임의의 것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5020)를 경유하는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5026)를 통해서 또한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예시적 통신 네트워크들은, 무엇보다도,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예로, 인터넷), 이동 전화 네트워크들(예로, 셀 방식 네트워크), POTS(Plain Old Telephone) 네트워크들, 및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들(예로, Wi-Fi®로 알려진 IEEE 802.11 표준 계열, WiMax®로 알려진 IEEE 802.16 표준 계열), IEEE 802.15.4 표준 계열, 및 P2P(peer-to-peer)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5020)는 통신 네트워크 (5026)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잭들(예를 들어, 이더넷, 동축, 또는 전화 잭들)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5020)는 SIMO(single-input multiple-output),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또는 MISO (multiple-input single-output) 기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50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무형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취해지는 것이며,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또는 기타 무형 매체를 포함한다.
기타 참고사항들 및 비제한적 예들
예 1은 주제(예를 들어, 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을 포함하는데, 이 주제는: 제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인가 채널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송수신기;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서 인가된 채널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송수신기; 상기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비인가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낮다고 결정하고, 및 그에 응답하여: 상기 비인가 채널상에서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무선 예약 메시지를 송신하여, SDL(Supplemental Downlink)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송신을 위한 비인가 채널을 예약하고; 상기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가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인가된 채널상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비인가 채널에서 SDL PDSCH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고; 및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에서 비인가 채널을 통해 SDL PDSCH를 송신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예 2에서, 예 1의 주제는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에 의해 정의된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표준 계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에서, 예 1 또는 예 2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제1 무선 프로토콜이 IEEE 802.11 프로토콜에 따른 프로토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4에서, 예 1 내지 예 3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무선 예약 메시지가 CTS(Clear to Send) 메시지 또는 RTS(Request to Send) 메시지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5에서, 예 1 내지 예 4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제어기가 백 오프 절차를 구현하게 될 것과, 제어기가 백 오프 절차가 성공적일 때까지 예약 메시지를 보내는 것, UE를 스케줄링하는 것, 및 SDL PDSCH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게 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6에서, 예 1 내지 예 5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이전의 송신에 기초하여 백 오프 길이가 결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7에서, 예 1 내지 예 6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비인가 채널이 산업, 과학, 및 의료(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들에서의 채널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8에서, 예 1 내지 예 7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가 LTE 또는 LTE-A 서브 프레임의 시작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9에서, 예 1 내지 예 8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서브 프레임 경계의 시작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SDL PDSCH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적어도 합인 시간에 설정되는 지속 시간 필드를 무선 예약 메시지가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0에서, 예 1 내지 예 9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제2 송수신기가 인가된 채널에서 PDCCH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11은 주제(예를 들어, 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을 포함하는데, 이 주제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제1 채널을 감지하는 단계 - 제1 채널은 셀 방식 무선 통신을 위해 배타적으로 인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 제1 채널의 평균 수신 전력이 제1 채널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유휴인 것을 나타내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채널이 유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1 채널상에서 송신되는 PDSCH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제2 채널상의 제어 채널을 통해 UE에게 스케줄링을 통신하고 -제2 채널은 셀 방식 무선 통신들에 대해 인가된 무선 채널임-; 및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제1 채널을 통해 PD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2에서, 예 11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제1 채널이 유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1 채널상에서 예약 메시지를 적어도 보내기 위해 eNodeB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3에서, 예 11 내지 예 12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예약 메시지가 IEEE 802.11 표준 계열 중 하나에 따라 정의된 메시지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4에서, 예 11 내지 예 13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예약 메시지가 적어도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과 서브 프레임을 보내는 데에 필요한 시간의 합만큼 큰 지속 시간 필드를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5에서, 예 11 내지 예 14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PDSCH를 송신하는 동작들이 eNodeB의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 송신을 대기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6에서, 예 11 내지 예 15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UE를 스케줄링하기 전에 백 오프 절차를 구현하도록 eNodeB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7에서, 예 11 내지 예 16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eNodeB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무선 프로토콜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8은 주제(방법, 작용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으로 하여금 작용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 가능 매체, 또는 실행하기 위한 장치와 같은 것)를 포함하고, 주제는: eNodeB에서: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미리 정해진 기간에 걸친 제1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것을 결정하고 - 제1 채널은 셀 방식 무선에 대해 배타적으로 인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및 그에 응답하여: 무작위 백 오프 기간을 선택하고; 백 오프 기간에 걸친 제1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제2 임계값 미만임을 결정하고;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가 제1 채널상의 SDL PDSCH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고; 제2 송수신기에 의한 제2 채널상의 PDCCH의 송신에 의해 스케줄을 UE에게 통신하고 -제2 채널은 셀 방식 무선에 대해 인가된 무선 채널임 -; 및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에서 비인가 채널을 통해 SDL PD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9에서, 예 18의 주제는 제2 채널 상에 PDSCH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0에서, 예 18 내지 예 19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비인가 채널이 2.4GHz와 2.5GHz 사이의 주파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1에서, 예 18 내지 예 20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제1 채널상에서 무선 예약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2에서, 예 18 내지 예 21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무선 예약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3에서, 예 18 내지 예 22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무선 예약 메시지가 CTS(Clear To Send) 메시지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4에서, 예 18 내지 예 23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CTS 메시지가 시간 다중화 방식 또는 주파수 다중화 방식으로 송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5에서, 예 18 내지 예 24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무선 예약 메시지가 적어도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과 PDSCH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의 합인 값에 설정되는 지속 시간 필드를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6에서, 예 18 내지 예 25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이 동일한 값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7에서, 예 18 내지 예 26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이 상이한 값들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8은 주제(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과 같은 것)를 포함하며, 주제는: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미리 정해진 기간에 걸친 제1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제1 채널은 셀 방식 무선에 대해 배타적으로 인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및 그에 응답하여: 무작위 백 오프 기간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백 오프 기간에 걸친 제1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제2 임계값 미만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가 제1 채널상의 SDL PDSCH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 제2 송수신기에 의한 제2 채널상의 PDCCH의 송신에 의해 스케줄을 UE에게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2 채널은 셀 방식 무선에 대해 인가된 무선 채널임 -; 및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에서 비인가 채널을 통해 SDL PDSCH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 29에서, 예 28의 주제는 제2 채널상에서 PDSCH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0에서, 예 28 내지 예 29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비인가 채널이 2.4Ghz와 2.5Ghz 사이의 주파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1에서, 예 28 내지 예 30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제1 채널상에서 무선 예약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2에서, 예 28 내지 예 31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무선 예약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3에서, 예 28 내지 예 32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무선 예약 메시지가 CTS (Clear To Send) 메시지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4에서, 예 28 내지 예 33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무선 예약 메시지가 적어도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과 PDSCH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의 합인 값에 설정되는 지속 시간 필드를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5에서, 예 28 내지 예 34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이 동일한 값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6에서, 예 28 내지 예 35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이 상이한 값들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7은 주제(예를 들어, 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을 포함하는데, 이 주제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제1 채널을 감지하고 - 제1 채널은 셀 방식 무선 통신을 위해 배타적으로 인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 제1 채널의 평균 수신 전력이 제1 채널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유휴인 것을 나타내는 것을 결정하고; 및 제1 채널이 유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1 채널상에서 송신되는 PDSCH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제2 채널상의 제어 채널을 통해 UE에게 스케줄링을 통신하고 - 제2 채널은 셀 방식 무선 통신들에 대해 인가된 무선 채널임-; 및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제1 채널을 통해 PDSCH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예 38에서, 예 37의 주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제1 채널이 유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1 채널상에서 예약 메시지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39에서, 예 37 내지 예 38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예약 메시지가 IEEE 802.11 표준 계열 중 하나에 따라 정의된 메시지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40에서, 예 37 내지 예 39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예약 메시지가 적어도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과 서브 프레임을 보내는 데에 필요한 시간의 합만큼 큰 지속 시간 필드를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41에서, 예 37 내지 예 40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 송신 대기를 위한 PDSCH 포함 동작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42에서, 예 37 내지 예 41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UE를 스케줄링하기 전에 백 오프 절차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 43에서, 예 37 내지 예 42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셀 방식 무선 장치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무선 프로토콜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5)

  1. eNodeB로서:
    제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인가 채널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송수신기;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인가된 채널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송수신기;
    상기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미리 정해진 기간에 걸친 상기 비인가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낮다는 것을 결정하고, 및 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상기 비인가 채널상에서 무선 예약 메시지를 보내어, SDL(Supplemental Downlink)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송신을 위한 상기 비인가 채널을 예약하고;
    상기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가 상기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인가된 채널상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상기 비인가 채널에서 상기 SDL PDSCH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고; 및
    상기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에서 상기 비인가 채널을 통해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eNode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방식 무선 프로토콜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에 의해 정의된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표준 계열인 eNodeB.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로토콜은 IEEE(Institute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프로토콜에 따른 프로토콜인 eNodeB.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CTS(Clear to Send) 메시지 또는 RTS(Request to Send) 메시지 중 하나인 eNodeB.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백 오프 절차를 구현하는 것이고, 및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백 오프 절차가 성공적일 때까지 상기 예약 메시지를 보내는 것, 상기 UE를 스케줄링하는 것, 및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인 eNodeB.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인가 채널은 산업, 과학, 및 의료(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들에서의 채널인 eNodeB.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는 LTE 또는 LTE-A 서브 프레임의 시작인 eNodeB.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서브 프레임 경계의 시작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인 시간으로 설정되는 지속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eNodeB.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기는 인가된 채널에서 PDCCH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eNodeB.
  10. eNodeB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제1 채널을 감지하고 - 상기 제1 채널은 셀 방식 무선 통신을 위해 배타적으로 인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
    상기 제1 채널의 평균 수신 전력이 상기 제1 채널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유휴인 것을 나타내는 것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1 채널이 유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송신되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제2 채널상의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UE에게 상기 스케줄을 통신하고 - 상기 제2 채널은 셀 방식 무선 통신들에 대해 인가된 무선 채널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PDSCH를 송신하는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제1 채널이 유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예약 메시지를 적어도 보내도록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메시지는 IEEE 802.11 표준 계열 중 하나에 따라 정의된 메시지인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을 보내는 데에 필요한 시간의 합만큼 큰 지속 시간 필드를 갖는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DSCH를 송신하는 동작들은 상기 eNodeB의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 송신을 대기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UE를 스케줄링하기 전에 백 오프 절차를 구현하도록 상기 eNodeB를 추가로 구성하는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NodeB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무선 프로토콜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하는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
  17. 방법으로서:
    eNodeB에서: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미리 정해진 기간에 걸친 제1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채널은 셀 방식 무선에 대해 배타적으로 인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및 그에 응답하여:
    무작위 백 오프 기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백 오프 기간에 걸친 상기 제1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가 상기 제1 채널상의 SDL(Supplemental Downlink)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단계;
    제2 송수신기에 의한 제2 채널상의 PDCCH의 송신에 의해 상기 스케줄을 상기 UE에게 통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채널은 셀 방식 무선에 대해 인가된 무선 채널임 -; 및
    상기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에서 상기 비인가 채널을 통해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상에 PDSCH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인가 채널은 2.4GHz와 2.5GHz 사이의 주파수인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상에서 무선 예약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CTS(Clear To Send) 메시지인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서브 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과 PDSCH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의 합인 값으로 설정되는 지속 시간 필드를 갖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은 동일한 값인 방법.
  25. eNodeB로서: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미리 정해진 기간에 걸친 제1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1 채널은 셀 방식 무선에 대해 배타적으로 인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 및 그에 응답하여:
    무작위 백 오프 기간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백 오프 기간에 걸친 상기 제1 채널의 평균 에너지가 제2 임계값 미만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가 상기 제1 채널상의 SDL(Supplemental Downlink)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
    제2 송수신기에 의한 제2 채널상의 PDCCH의 송신에 의해 상기 스케줄을 상기 UE에게 통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2 채널은 셀 방식 무선에 대해 인가된 무선 채널임 -; 및
    상기 제1 송수신기를 경유해 셀 방식 서브 프레임 경계에서 상기 비인가 채널을 통해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eNodeB.
KR1020167033493A 2014-06-30 2015-06-19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 KR20160148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9316P 2014-06-30 2014-06-30
US62/019,316 2014-06-30
US14/669,736 US9392614B2 (en) 2014-06-30 2015-03-26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US14/669,736 2015-03-26
PCT/US2015/036674 WO2016003674A1 (en) 2014-06-30 2015-06-19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219A Division KR101969687B1 (ko) 2014-06-30 2015-06-19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674A true KR20160148674A (ko) 2016-12-26

Family

ID=549321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219A KR101969687B1 (ko) 2014-06-30 2015-06-19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
KR1020167033493A KR20160148674A (ko) 2014-06-30 2015-06-19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219A KR101969687B1 (ko) 2014-06-30 2015-06-19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392614B2 (ko)
EP (3) EP4250856A3 (ko)
JP (2) JP6408035B2 (ko)
KR (2) KR101969687B1 (ko)
CN (2) CN106465425B (ko)
HK (1) HK1254364A1 (ko)
WO (1) WO201600367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0220B2 (en) 2014-06-30 2017-08-08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US10219164B2 (en) 2014-11-06 2019-02-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KR20190139861A (ko) * 2017-04-12 2019-12-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오퍼레이터들에 걸친 공간-분할 다중 액세스 (sdm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315B1 (ko) * 2014-08-21 2018-02-20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연계 제어 장치, 단말 장치, 및 라이센스 밴드 기지국 장치
US10560891B2 (en) * 2014-09-09 2020-02-11 Blackberry Limited Medium Access Control in LTE-U
US9907085B2 (en) 2014-09-26 2018-02-2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WIFI-coordinated LAA-LTE
EP3217699A4 (en) * 2014-11-05 2017-09-13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WO2016072908A1 (en) * 2014-11-06 2016-05-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listen before talk in license-assisted access
WO2016131477A1 (en) * 2015-02-17 2016-08-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computer programs, network nodes and communication device
JP6430856B2 (ja) 2015-02-24 2018-11-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7026981A1 (en) * 2015-08-13 2017-02-16 Intel IP Corporation Energy detection threshold adaptation for licensed assisted access of lte in unlicensed band
WO2017028899A1 (en) * 2015-08-17 2017-02-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ulti-channel listen-before-talk arrangements for licensed-assisted access in lte
KR102384283B1 (ko) * 2015-08-19 2022-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090673A1 (ja) * 2015-11-26 2017-06-01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
US10952239B2 (en) 2016-01-29 2021-03-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signal and device supporting s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CN107046717B (zh) 2016-02-05 2021-02-0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在上行信道接入中确定信道感知阈值的方法及设备
CN105722229B (zh) * 2016-02-05 2019-08-27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信道的选择方法和装置
CN107087304B (zh) * 2016-02-15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接入点以及站点
US10383114B2 (en) * 2016-03-24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On co-channel sidelink LTE V2V and DSRC communication
KR20230152821A (ko) 2016-03-30 2023-11-0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비인가 대역에서 채널 엑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681663B2 (en) 2016-03-31 2020-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adjust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CN108781424B (zh) * 2016-03-31 2021-02-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使用先听后说协议对信道接入进行定时校正的方法和设备
WO2017166311A1 (zh) * 2016-04-01 2017-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信息的传输方法及设备、系统
CN107294577A (zh) * 2016-04-01 2017-10-24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05933982A (zh) * 2016-06-28 2016-09-07 北京工业大学 一种lte-u网络中的传输机会共享方法
JP2019145870A (ja) * 2016-07-05 2019-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3549381B1 (en) * 2016-12-01 2021-07-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hannel access and related network node
US10123358B2 (en) * 2016-12-22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management for new radio-spectrum sharing (NR-SS)
TWI616111B (zh) 2016-12-23 2018-02-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在未授權頻譜中的無線電資源排程方法及使用其之基地台
KR102450962B1 (ko) * 2017-01-13 2022-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231131B2 (en) * 2017-01-13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uplink (UL) transmission in new radio-spectrum sharing (NR-SS)
US10257831B2 (en) * 2017-03-01 2019-04-09 Alcatel Lucent Adaptive allocation of temporal resources for massiv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10069575B1 (en) 2017-03-01 2018-09-04 Alcatel Lucent Dynamic interference suppression for massiv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EP3666023A1 (en) * 2017-08-10 2020-06-17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that conducts listen before talk operation as part of wireless radio communications and method therefor
EP3484188B1 (en) 2017-11-13 2022-09-21 Robert Bosch GmbH Road-side network node, method to operate the road-side node, network infrastructure node, method to operate the network infrastructure node, and network setup
US10764024B2 (en) 2018-01-11 2020-09-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beam listen before talk
CN110581754B (zh) 2018-06-11 2021-05-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请求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设备、装置
US11122592B2 (en) * 2018-06-20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5G new radio with sharing between priority access license and general authorized access communications
CA3102267C (en) 2018-08-09 2021-08-31 Ofinno, Llc Cell and channel access for wide bandwidth
US11405980B2 (en) 2018-09-28 2022-08-02 Apple Inc. Listen again after talk for broadcast/multi-cast communications
US11147099B2 (en) * 2018-10-19 2021-10-12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using cross carrier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7278074B2 (ja) * 2018-12-27 202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時刻同期システム及び時刻同期システムの制御方法、放射線撮影システム、時刻クライアント、時刻クライアントの制御方法
US11895699B2 (en) 2019-02-11 2024-02-06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LBT) type and gap signaling for back-to-back grants and multi-transmission time interval (multi-TTI) grants
US10887890B2 (en) 2019-02-15 2021-0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st multi-beam listen before talk
CN113114395B (zh) * 2019-04-29 2023-05-3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信道确定方法和装置
US20220312483A1 (en) * 2019-08-15 2022-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transport block in unlicensed band
US11889548B2 (en) * 2020-10-20 2024-01-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nnel access mechanisms in millimeter wave unlicensed bands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395U (ja) 1983-07-30 1985-02-22 東陶機器株式会社 バルブ保護カバ−
US7526255B2 (en) 2005-04-05 2009-04-28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radio resources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20070026868A1 (en) 2005-07-26 2007-02-01 Schulz Gary D Licensed/unlicensed frequency management in a wireless wide-area network
US8554147B2 (en) * 2008-05-22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enable resource partitioning in wireless networks
KR20100043555A (ko) * 2008-10-20 2010-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통신 환경을 위한 하이브리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US8861452B2 (en) * 2010-08-16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licensed spectrum for control channels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s
US8792900B2 (en) 2010-09-23 2014-07-29 Nokia Corporation Autonomous unlicensed band reuse in mixed cellular and device-to-device network
US9750019B2 (en) 2010-09-23 2017-08-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hannel access systems and methods for cognitive relaying for cellular systems
KR20140017517A (ko) 2010-12-06 2014-02-1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허가 면제 스펙트럼에서의 무선 동작을 가능케 하는 방법
WO2012106843A1 (en) 2011-02-11 2012-08-16 Renesas Mobile Corporation Signaling method to enable controlled tx deferring in mixed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 carrier aggregation in future lte-a networks
WO2012141462A2 (ko) * 2011-04-11 201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수신확인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9113483B2 (en) 2011-04-12 2015-08-18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of spectrum sharing for cellular-controlled offloading using unlicensed band
KR101600487B1 (ko) * 2011-04-18 201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2155323A1 (en) * 2011-05-13 2012-11-22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tdd systems allowing allocation of flexible subframes for uplink or downlink transmission
US9854446B2 (en) * 2011-07-07 2017-1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497556B (en) 2011-12-14 2014-02-12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n an unlicensed band
US9467866B2 (en) 2011-12-15 2016-10-11 Broadcom Corporation Centralized control sharing of spectrum for coexiste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unlicensed bands
JP5677280B2 (ja) * 2011-12-20 2015-02-2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2625466B (zh) * 2012-01-13 2014-11-19 北京邮电大学 用于无线局域网的分布式媒体接入方法
GB2498988B (en) 2012-02-02 2014-08-06 Broadcom Corp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9320062B2 (en) * 2012-04-17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with carrier aggregation
US8874124B2 (en) 2012-06-14 2014-10-28 Netgear, Inc. Dual band LTE small cell
EP2862384A1 (en) * 2012-06-15 2015-04-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canning secondary cells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2811498A (zh) * 2012-07-27 2012-12-05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干扰分析的自适应竞争窗口调整方法
US10314077B2 (en) * 2013-05-20 2019-06-04 Qualcomm Incorporated Gating sche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unlicensed spectrum
US10356623B2 (en) * 2013-09-2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erforming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in unlicensed spectrum
US20150131516A1 (en) 2013-11-12 2015-05-1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extens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US9635559B2 (en) * 2013-12-11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Load balancing in network deployments using unlicensed spectrum
US9681325B2 (en) * 2013-12-19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nd interference measurement in LTE/LTE-A networks including unlicensed spectrum
US9491777B2 (en) * 2014-01-10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ioritizing the reporting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cells utilizing contention based radio frequency spectrum
US9549080B2 (en) 2014-02-05 2017-01-17 Apple Inc. Wi-Fi signaling by cellular devices for coexistenc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EP3108629B1 (en) * 2014-02-18 2020-10-28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election in lte/lte-a networks with unlicensed spectrum
US9392614B2 (en) 2014-06-30 2016-07-12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KR20160004626A (ko) 2014-07-03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가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
PL3641210T3 (pl) 2014-09-10 2022-03-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wy węzeł dostępowy, terminal komunikacyjny i sposoby w nich wykonywane
US10637619B2 (en) 2014-11-0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for LTE on unlicensed spectrum
US9326157B1 (en) 2014-11-06 2016-04-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0220B2 (en) 2014-06-30 2017-08-08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US10568097B2 (en) 2014-06-30 2020-02-18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US10219164B2 (en) 2014-11-06 2019-02-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KR20190139861A (ko) * 2017-04-12 2019-12-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오퍼레이터들에 걸친 공간-분할 다중 액세스 (sd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76530B (zh) 2021-09-17
US9730220B2 (en) 2017-08-08
EP4250856A3 (en) 2023-12-20
JP2017526238A (ja) 2017-09-07
WO2016003674A1 (en) 2016-01-07
EP3346794A1 (en) 2018-07-11
US20160295588A1 (en) 2016-10-06
CN106465425B (zh) 2020-07-31
US10568097B2 (en) 2020-02-18
JP6513838B2 (ja) 2019-05-15
US20150382374A1 (en) 2015-12-31
HK1254364A1 (zh) 2019-07-19
KR20180005286A (ko) 2018-01-15
EP3162157A4 (en) 2018-02-21
US20170339699A1 (en) 2017-11-23
EP3346794B1 (en) 2023-11-29
KR101969687B1 (ko) 2019-04-16
CN106465425A (zh) 2017-02-22
EP3162157A1 (en) 2017-05-03
EP4250856A2 (en) 2023-09-27
US9392614B2 (en) 2016-07-12
EP3346794C0 (en) 2023-11-29
JP2018078651A (ja) 2018-05-17
JP6408035B2 (ja) 2018-10-17
CN108076530A (zh)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687B1 (ko) 비인가 대역에서의 셀 방식을 위한 lbt
JP7110262B2 (ja) 免許不要の帯域におけるセルラのためのサブフレームを整列させたリッスンビフォアトーク
US9974048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istributed scheduling for device-to-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EP371120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port block size in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