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951A - 석면-함유 물질의 생화학적 변성방법 - Google Patents

석면-함유 물질의 생화학적 변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951A
KR20160147951A KR1020167033137A KR20167033137A KR20160147951A KR 20160147951 A KR20160147951 A KR 20160147951A KR 1020167033137 A KR1020167033137 A KR 1020167033137A KR 20167033137 A KR20167033137 A KR 20167033137A KR 20160147951 A KR20160147951 A KR 20160147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spp
containing material
liquid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베르토 로베리
이시도로 죠르지오 레씨
산드라 페트라로이아
프란체스코 디 로렌티스
마르코 렐리
오딜라 메지니
쥴리아 몬테부뇰리
셀레네 메를리
에로스 다멘
로베르토 갈레라니
Original Assignee
레브스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브스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레브스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6014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6Detoxification by using acid or alkaline re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02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biological methods, i.e. 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44Polycarboxylic acids
    • C12P7/46Dicarboxylic acids having four or less carbon atoms, e.g. fumaric acid, male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54Ace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101/00Harmful chemical substances made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 A62D2101/40Inorganic substances
    • A62D2101/41Inorganic fibres, e.g. asbesto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203/00Aspects of 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2203/02Combined processes involving two or more distinct steps covered by groups A62D3/10 - A62D3/4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을, 후속 산업 공정을 위한 원료 또는 곧바로 판매 가능한 공산품으로 재사용될 수 있는 비활성 제품(즉, 인체 건강에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석면-함유 물질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식품산업 폐기물을 혼합 박테리아 및 균류 증식 및/또는 발효 처리하여 산성 용액/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120-170℃의 온도에서 2-10 bar의 압력하에, 혼합 발효에 의해 얻어진 산성 용액/현탁액으로 석면-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면-함유 물질의 생화학적 변성방법{PROCESS FOR BIOCHEMICAL DENATURATION OF AN ASBESTOS-CONTAINING MATERIAL}
본 발명은 석면을, 후속 산업 공정을 위한 원료 또는 곧바로 판매 가능한 공산품으로 재사용될 수 있는 비활성 제품(즉, 인체 건강에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석면-함유 물질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asbestos)은 섬유질 구조를 갖는 규산염 종류에 속하는 여러 천연 광물로 여겨지는 상업용 명칭이다. 근대에는 우수한 기술적 특성 때문에 이러한 광물 중 일부가 널리 사용되었다: 이들은 열 및 화염, 화학물질 및 생물학적 물질, 및 마모 및 낡아짐에 대하여 우수한 내성을 가지며,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좋은 유연성을 나타내고, 건축 자재와 쉽게 결합하며, 우수한 흡음 및 단열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모든 특성과 저렴한 비용 때문에, 석면은 제품 및 산업 및 건축 분야, 운송 수단 및 가정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원료 섬유는 다중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제품을 얻기 위하여 가공되었다. 이들 제품에서, 석면 섬유는 자유롭거나 또는 강하거나 약하게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들이 약하게 결합된 경우, 부서지기 쉬운(friable) 물질로 불리며, 이는 내부 응집력이 약하기 때문에 손의 압력만으로도 부서지기 쉽다. 이들이 강하게 결합된 경우, 압축 물질로 불리며, 이는 기계의 도움을 받아야만 분말로 부서질 수 있다. 부서지기 쉬운 매트릭스 형태의 물질은 의심의 여지없이 가장 위험하며, 이는 섬유가 공기 중에 매우 쉽게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압축 매트릭스 형태의 석면은, 그 성질을 감안할 때, 섬유를 방출하는 경향이 없으며, 마모되거나 손상되거나 톱질된 경우에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매우 다양하고 차별화된 특징과 용도를 갖는 석면-함유 물질(석면-함유 물질s: ACM)의 수많은 유형이 존재한다. 미국 연방 관보에는 석면을 함유하는 3000가지 이상의 완제품이 기재되어 있다. ACM은 세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a) 표면 물질: 이는 방음, 단열 및 장식 목적을 위해 표면(무게를 지탱하는 요소, 벽, 천장 등) 위에 분무된 또는 스프레딩에 의해 분포된 ACM을 포함한다;
(b) 단열 물질: 이는 파이프, 덕트, 보일러, 탱크 및 수냉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 및 가열, 환기 및 공조 시스템에서 응축수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ACM을 포함한다;
(c) 잡화 물질: 이 범주는 가천장(false-ceiling), 외장, 직물 등과 같이 기타 모든 ACM을 포괄한다.
석면은 특히 석면과 시멘트의 복합물 형태로, 또는 소위 석면-시멘트 형태로, 의심할 여지없이 건물 부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왔다. 또한, 화재 발생시 건축물의 피해를 피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석면은 주로 분무 및 스프레딩 기술에 의해 적용되는 대들보 또는 바닥 상의 코팅재로 주로 사용되었다. 내열성 혼합물은 석면 및 다른 물질(질석, 모래 또는 셀룰로오스 섬유) 및 바인더 물질(석고 및/또는 탄산칼슘)의 다양한 비율로 구성되었으며; 그 결과물은 감촉이 부드러운, 짙은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하는, 연속 층이었다. 석면 광물은 기계적 특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멘트 역암(cement conglomerates)에 첨가제로 사용되었다: 이들 상(phases)은, 결국 백석면(Chrysotile)만 사용될 때까지는, 일반적으로 포틀랜드 시멘트, 물, 골재 및 백석면, 황석면(Crocidolite) 및/또는 (더 드물게는) 갈석면(Amosite) 섬유이었다. 석면 함유량은 다양했으며, 얻고자 하는 제품 유형에 따라 50 중량%에 달할 수 있었다.
오늘날 석면은 생활 환경 및 작업 환경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체 건강에 가장 해로운 물질 중 하나라는 것이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위험은 주로 호흡기에 영향을 주는 심각한 질병을 초래한다. 지난 세기 초에 공중에 떠있는 석면 섬유의 흡입과 특정 질환의 발병 사이의 병인학적인 연관성이 이미 추정되었지만, 1990년대가 되어서야 이 물질의 위험성에 부합되는 규제가 여러 나라에서 도입되었다.
이 원료가 작업자들에게 미치는 해가 있음을 확인한 결과, 수년 동안 업계 운영자들에 의해 발전된 직업병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전세계 모든 국가의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매립장에 석면-함유 폐기물(Asbestos-Containing Waste: ACW)을 축적하는 것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며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는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ACW가 변형되어 환경적 관점에서 완전히 안전한 새로운 제품의 생산에서 물질로 차후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고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석면을 변형하기에 적합하며 그 위험성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ACW "비활성화(inertization)" 및 "분리(isolation)" 공정 외에도 현재 여러 가지 공정이 사용되고 있다. "비활성화" 공정은 주변 환경에서 석면 섬유의 분산을 방지하는 다양한 성격의 매트릭스에서의 컨디셔닝 절차를 포함하는 반면, "변형(transformation)" 공정은 광물 자체의 섬유 구조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이를 인체 건강에 유해하지 않은 다른 상(phases)으로 변형시킨다.
주요 ACW 변형 공정은 최근 생화학 및 미생물학적 방법이 고안되었지만, 산의 작용에 의존하는 화학적 처리, 및 열처리 및 기계적 처리를 기반으로 한다.
지금까지 산 처리에 관해서는, 재생가능하고 세라믹 산업에서 종종 재사용이 가능한 2차 물질를 얻기 위하여 ACW를 변형시키는 유기산 및 무기산을 모두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무기산, 예컨대 불산, 염산 및 황산의 효과, 및 유기산, 예컨대 포름산, 옥살산의 효과가 연구되었다.
열처리에 관해서는, 석면 물질은 고온에서 안정하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백석면은 예를 들어 약 600℃에서 히드록시기를 잃어버리고 다른 비활성 광물상(mineral phase)인, 고토감람석(Forsterite)으로 변형되는 경향이 있는데, 고토감람석은 820℃에서 재결정된다. 이 원칙을 적용하면 그와 같이 또는 800-950℃의 온도의 퍼니스(furnace)에서 처리된 분쇄 ACW로부터 비활성 물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열이 물질의 압축에 선행할 경우, 결과적으로 결정의 방향이 바뀌어 최종 제품이 전기 절연 또는 내화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과정은 세라믹화(ceramization)라는 명칭을 갖는다. 넓은 온도 간격(1300-1800℃) 내에서 다른 첨가제와 함께 석면-함유 폐기물을 용융시킨 다음 비정질 유리질 구조를 갖는 비활성 물질 제품을 급속 냉각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여러 공정을 통해 ACW의 유리화(vitrification)를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용융 오븐을 매우 높고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한편, 유리세라믹화(vitroceramization)에서 폐기물은 용광로 슬래그 또는 산업 슬러지와 같은 특정 첨가제와 함께 1300 내지 1400℃의 온도에서 용융되어 금속 함량이 높은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렇게 얻어진 슬래그는 제어된 온도에서 결정화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제품, 특히 빌딩, 기계 및 화학 산업에서 코팅 및 보호 표면으로 적합한 제품을 얻는다.
다른 기술로는 소위 석회화(lithification)가 있는데, 이는 철도 객차로부터 절연체를 제거함으로써 얻은 ACW를 1300-1400℃의 온도에서 용융시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서서히 냉각시키면 휘석(pyroxene), 감람석(olivine) 및 산화철이 결정화된다. 처리의 최종 결과는 비활성 물질의 생산이며, 이는 다양한 용도를 위하여 회수될 수 있다.
생물학적 처리와 관련하여, 석면 섬유를 함유하는 여러 가지 암석 기질에 대한 이끼류(mosses)와 지의류(lichens)의 미생물학적 작용은 생체내 및 시험관내 모두에서 연구되어 왔다: 지의류와 균류(fungi)의 균사(hyphae)는 침투하고 화학물질(옥살산이 주요 대사물질 중 하나임)을 분비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석면 섬유의 광물학적 구조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S.E. Favero-Longo, M. Girlanda, R. Honegger, B. Fubini, R. Piervittori의 문헌; Mycological Research, Vol. 111, Issue 4, pp. 473-481 (2007) 참조).
박테리아, 특히 Lactobacillus casei 및 Lactobacillus plantarum을 사용하여 석면을 변형시키는 미행물학적 방법도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I.A. Stanik, K. Cedzynska, S. Zakowska의 문헌;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Vol. 15, Issue 7, pp.640-643 (2006) 참조). 이 방법은 사용된 박테리아 배양물의 간접적인 대사의 결과로서 백석면의 결정질층에 존재하는 수활석(마그네슘-산소)의 결정질층을 파괴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결정질층의 분해는, 박테리아가 분비한 대사물질(락트산도 포함)의 존재 덕분에, 반응 환경이 산성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가설화된 반응 메카니즘은 Mg2 + 이온이 과량으로 존재하는 H+ 이온으로 치환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렇게 방출된 마그네슘은 존재하는 락트산과 반응하여 가용성 염을 형성한다.
석면-시멘트 제품에 함유된 석면 섬유(주로 백석면)이 분해를 위한 미생물학적 공정 중 하나는 분석, 특히 환경혁신 부문에서 활동하는 회사인 Chemical Center S.r.l.에 의해 특허를 받았다 (유럽 특허: EP2428254).
이 공정은 일정량의 분리 유청(exhausted milk whey)을 사용하여, 산성 pH가 시멘트질 상(85%)을 분해하고 그 안에 포함된 석면 섬유(15%)를 방출한 후, 열수 공정(hydrothermal process)에서 추가량의 분리 유청을 사용하여 섬유를 변성시켜 마그네슘 이온 및 규산염으로 분해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전체 공정은 2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석면 섬유를 물에 방출시키기 위하여 탄산칼슘을 분해시키는 단계, 및 2) 석면 섬유를 분해시키는 단계.
불행하게도, 현재까지 알려진 석면-함유 물질(ACM)을 변형시키는 방법은 무시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산처리는 다량의 폐기물을 축적하게 되며, 또한 이들 폐기물은 폐기되어야 한다. 더구나, 수백만 톤의 ACW (이탈리아 영토에서만 대략적인 추정치는 2 내지 3천만톤에 이름)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시약을 사용해야 하며, 이는 무시할 수 없는 환경적 위험과 매우 높은 비용을 수반할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열처리에 있어서, 가장 큰 단점은 퍼니스를 매우 높고 일정한 온도로 만드는데 필요한 엄청난 양의 에너지 외에도, ACW를 장거리로 운송하려면, 결과적으로 환경 위험 및 물류 비용이 들므로, 적합한 장비가 종종 오염되고 큰 비용이 들며, 그 결과 영토 전역에서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생화학적 방법과 미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공정(유청을 사용하는 공정 포함)은 몇가지 단점을 갖는데, 예컨대 석면 섬유 변형 정도가 낮은 점, 때로는 완전히 변형되지 않고 표면적으로만 변형되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현재까지 산업적 규모로 가능한 적용을 발견하지 못했다.
특히,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 박테리아 미생물상(microflora)의 사용(EP2428254의 방법 및 I.A. Stanik 등의 문헌: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Vol. 15, Issue 7, pp.640-643 (2006)에 개시됨)은 산성 대사물질, 특히 락트산을 얻고, 석면-함유 물질의 방해석 상(calcite phase)을 탈탄소화하는데 효과적인 산성 pH에 도달하기 위하여 37℃의 배양온도가 필요하다. 또한, 변성시키기에 충분한 미생물 집단을 얻기 위한 배양 시간은 일반적으로 길다.
또한, 석면-함유 물질을 변성시키는데 불리한 유청의 특징은 지질 성분으로, 이는 물-공기 계면에서 지방의 마이셀을 형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탈카르복실화 반응의 속도를 늦추므로, 방해석의 재침전을 향한 평형을 늦춘다.
또한, 과량의 생물학적 성분, 지질 및 단백질 성분은 둘다 석면 섬유와 상호작용하여, 보호 생물막으로 이들을 감싸고, 포장하여, 이온 교환 반응을 통하여 이들의 변성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궁극적으로, 유청은 주로 동물공학적 영양에 사용되며, 유제품 생산으로부터 나오는 실제 폐기물로서 연중 일정 기간에만 시장에 일정한 가용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공지된 석면-함유 물질의 변형 및 비활성화 처리 기술,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품산업 폐기물의 혼합된 박테리아 및 균류 증식 및/또는 발효를 통해 얻은 산성 용액/현탁액으로 석면-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단일 단계를 포함하는, 석면-함유 물질의 처리 공정을 제공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박테리아 미생물상의 이용 방법의 한계 및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식품산업 폐기물은 좋기로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식초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와인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오일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예컨대, 공장 폐수), 과일 및 채소 가공 및 보존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예컨대, 토마토 껍질 및 감귤류 껍질을 데치기(Blanching) 위한 물), 맥주, 음료 및 과일 쥬스의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오일 및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정제 산업에서 발생하는 액체 폐기물, 사용된 찻잎 및 과자 산업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쌀 가공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및 담배 제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식품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혼합 박테리아 및 균류 발효를 거치게 되며, 좋기로는 발효는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bacter aceti) 종의 박테리아 및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종의 효모에 의한 것이고, 이는 짧은 시간에 산, 특히 아세트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혼합 발효에 의해 산성 용액/현탁액이 얻어지면, 석면-함유 물질은 높은 온도 및 압력 하에 산성 용액/현탁액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공정 중에 고체 알루미늄 규산염계 및 인산염계 침전물 및 금속 이온, 즉, 철, 마그네슘, 니켈, 망간 및 칼슘을 함유하는 용액이 형성된다.
고체상은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그 안으로 버블링하여 탄산염을 농축시킨 후 시멘트 생산 산업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반면, 용액에 함유된 금속 이온은 전기화학적으로 추출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금속으로 재활용되거나 수산화물 및 탄산염의 형태로 침전된 후 다양한 산업 분야, 예컨대 수성 페인트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처리 방법을 거치는 석면-함유 물질은 좋기로는 석면-시멘트이다.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초기 광물상(A) 및 와인 식초 생산에 사용된 포도나무 가지의 혼합 발효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에 의해 수행된 본 발명의 변성 공정의 최종 결정상(B)(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2는 변형 전(A) 및 실시예 1의 처리 후(B)의 석면-시멘트 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도 3은 염기성 환경에서 침전에 의한,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얻어진 상층액에서 유래된 수산화인회석 탄산염(carbonate hydroxyapatite)를 나타낸다.
도 4는 초기 광물상(A) 및 와인 추출 및/또는 그라파 성숙 후 압착찌꺼기(pomace)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에 의해 수행된 변성 공정의 최종 결정상(B)을 나타낸다.
도 5는 변형 전(A) 및 실시예 2에 따른 열수 처리 후(B)의 석면-시멘트 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상층액으로부터 침전된 수산화칼슘의 수성 페인트의 회절도(diffractogram)를 나타낸다.
도 7은 초기 광물상(A) 및 토마토 껍질을 데치기 위한 물의 발효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에 의해 수행된 변성 공정의 최종 결정상(B)(실시예 3)을 나타낸다.
도 8은 변형 전(A) 및 열수 처리 후(B)의 석면-시멘트 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도 9는 실시예 3의 처리후 얻어진 침전물의 회절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석면-함유 물질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식품산업 폐기물을 혼합 박테리아 및 균류 증식 및/또는 발효 처리하여 산성 용액/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좋기로는 아세토박터 아세티 종의 박테리아 및 맥주효모균 종의 효모를 사용하는 것인 단계;
2) 혼합 발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산성 용액/현탁액으로 석면-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로서, 좋기로는 혼합 발효는 120-170℃의 온도에서 가압 하에 1-2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인 단계.
식품산업 폐기물은 좋기로는 다음 중에서 선택된다: 식초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와인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오일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예컨대, 공장 폐수), 과일 및 채소 가공 및 보존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예컨대, 토마토 껍질 및 감귤류 껍질을 데치기 위한 물), 맥주, 음료 및 과일 쥬스의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오일 및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정제 산업에서 발생하는 액체 폐기물, 사용된 찻잎 및 과자 산업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쌀 가공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및 담배 제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방법을 거칠 수 있는 석면-함유 물질로는 부서지기 쉬운 매트릭스 또는 시멘트 매트릭스, 또는 압축 폴리머 유형의 매트릭스에 분산된 피브릴 형태의 석면 등이 있다. 좋기로는, 석면-함유 물질은 석면-시멘트이다.
상기 혼합 박테리아 및 균류 증식 및/또는 발효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박테리아 종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또한 아세토박터 아세티 종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세레비시아 구균과(cerevisiae Micrococcaceae), 프로피온산균(Propionibacteria),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p .), 아에로모나스 종(Aeromonas spp .), 포토박테리움 종(Photobacterium spp .), 아크로머박터 종(Achromobacter spp .), 슈와넬라 종(Shewanella spp .), 산토모나스 종(Xanthomonas spp .), 비브리오 종(Vibrio spp .), 플라보박테리움 종(Flavobacterium spp .), 장내세균(Enterobactoeriaceae), 바실러스 종(Bacillus spp.), 클로스트리듐 종(Clostridium spp .), 브로코트릭스 써모스파크타(Brochothrix thermosphacta), 구균 종(Micrococcus spp .), 유산균, 및 일반적인 모든 경우에서 식품산업 폐기물에 존재하는 극호산성미생물(extreme acidophiles) 및 호산성미생물(acidophiles)로 분류되는 모든 미생물.
혼합 박테리아 및 균류 증식 및/또는 발효는 식품산업 폐기물을 좋기로는 15 내지 25℃ 온도에서, 사용된 식품 폐기물 유형에 따라 수분 내지 수시간 또는 수일 동안 시간을 달리하여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수행된다. 제한된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이 단계에서, 산, 특히 아세트산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미생물의 대사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용액에 첨가될 수 있거나 첨가되어야 하는 설탕 영양소의 양 및 질에 따라 pH가 0 내지 6, 좋기로는 약 2인 산성 용액/현탁액을 수득한다.
산의 형성 이외에, 발효 중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존되고 더 높은 pH에서 생존가능한 미생물 집단의 발달이 관찰될 수 있다.
산성 pH와 미생물 농도의 조합은 석면-함유 물질의 분해에 있어서 공지된 발명보다 확실히 단시간에 우수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용액/현탁액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발효 후, 산성 용액/현탁액을 석면-함유 물질과 접촉시키는데, 좋기로는 밀폐된 반응기에서, 산 용액/석면-함유 물질의 비율이 2 내지 10 이고, 좋기로는 120-170℃의 온도에서 1-24시간 동안, 좋기로는 2 내지 10 bar의 압력 하에 수행한다.
상기 공정 단계 중에, 석면-함유 물질의 탈카르복실화(변성)이 일어나는데, 여기서 칼슘 이온은 방해석의 초기 백분율에 따라 거의 완전히 광물상으로 재침전된다. 이는 역반응을 방지하므로, 부분적으로 섬유의 패킹(packing)을 야기하는 방해석의 재형성을 방지한다. 또한, 칼슘 이온은 세균총(bacterial flora)에 의해 미량영양소로 흡수되지 않는다.
마그네슘은 전기화학적 공정을 통해 회수할 수 있는 이온 형태로 용액 중에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유청으로 수행되는 공지된 변형 방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마그네슘 농도는 더 크다.
지질이 풍부하지 않은, 발효에서 유래된 용액/현탁액은 유청을 사용하는 공지된 방법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더 짧은 시간 안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는 지질과 단백질 기원의 생물막이 더 적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는 공정의 산업적 이용가능성 및 분해 효율 면에서 장점이다.
미생물 및 진균 활성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은 식물산업 폐기물의 발효를 재활성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재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용성을 높이고 및 공정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좋기로는, 발효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현탁액으로 처리하기 전에 석면-함유 물질을 분쇄한다. 석면-함유 물질의 파쇄 정도가 높을 수록, 변형은 더 빨라질 것이다. 석면-함유 물질의 파쇄는 공기 중으로 섬유의 방출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석면-함유 물질을 물 분무 및 진공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좋기로는 석면-함유 물질을 먼저 큰 입자 크기로 파쇄한 다음 1 밀리미터 미만의 크기로 분쇄하는 몇 가지 단계로 수행된다.
그런 다음, 석면-함유 물질을 산성 용액/현탁액과 균질화시킨다. 균질화 후, 석면-함유 물질의 탈탄소화를 수행하는데, 이는 CO2를 생성하고 용액 중의 섬유질 석면 물질의 현탁액을 생성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현탁액을, 좋기로는 동일한 반응 챔버에서, 석면 섬유가 인산칼슘 및 규산알루미늄으로 완전히 화학적으로 전환될 때까지 2-10 bar의 압력 및 120-170℃에서 1-24시간 동안 가열한다.
120 내지 170℃의 온도는, 좋기로는 단일 처리 사이클에 의하여, 좋기로는 20℃ 내지 170℃의 온도 구배를 적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처리가 종료되면, 용액 및 고체 침전물이 얻어진다. 용액은 철, 마그네슘, 니켈, 망간 및 칼슘 이온을 함유하는 반면, 고체 침전물은 알루미늄 규산염 및 인산염을 함유한다.
고체 침전물은 탄산염을 농축시켜 예컨대 시멘트용 클링커(clinker)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 버블링을 거칠 수 있다.
석면-함유 물질의 변성에서 유래된 용액에 함유된 금속 이온은 예컨대 수성 페인터 또는 비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금속 수산화물로 침전시키거나, 전기화학적으로 추출한 다음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금속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식초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와인 식초 생산에 사용된 포도나무의 가지치기(pruning)에서 나온 목재의 존재하에 물에서 폐기물을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식초 생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서 유래된 잔류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발효시킨다. 미생물 증식 및 발효를 위한 온도는 24-48시간 동안 15 내지 25℃이다. 산, 특히 아세트산 및 타르타르산의 형성은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극호산성미생물 및 호산성미생물의 대사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용액에 첨가될 수 있거나 첨가되어야 하는 설탕 영양소의 양 및 질에 따라 pH가 0 내지 6, 좋기로는 2인 산성 용액/현탁액을 수득한다.
석면-시멘트 분말 10 그램을 와인 식초 생산에 사용된 포도나무 가지의 발효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 100 ml와 함께 125℃-170℃ 및 5-9 bar에서 14-20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반응 종료 후,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면의 완전한 변형 및 새로운 광물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도 1은 초기 광물상(A) 및 와인 식초 생산에 사용된 포도나무 가지의 발효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에 의해 얻은 최종 결정상(B)을 나타낸다; 도 2는 변형 전(A) 및 변형 후(B)의 석면-시멘트 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열수 처리 전후의 결정상(Crystalline phases)을 표 1에 나열하였다.
변성전 결정상 열수 변형후 결정상
방해석 브러시석(Brushite)
백석면 모네타이트(Monetite)
석영(Quartz) 방해석
석영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성 페인트를 얻기 위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용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였다. 도 3은 염기성 환경에서 침전에 의한 상층액에서 유래된 수산화인회석 탄산염를 나타낸다.
금속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액을 처리함으로써 전기화학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으로 회수가능한 금속 이온의 mg/l 농도
금속 원소 농도 mg/l
마그네슘 1024.82
5.01
니켈 4.43
망간 26.65
실시예 2: 와인 생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혼합 박테리아 및 균류 발효는 액체/고체 폐기물(압착찌꺼기)을 물 중에서 좋기로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수행된다. 산, 특히 아세트산 및 타르타르산의 형성은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극호산성미생물 및 호산성미생물의 대사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용액에 첨가될 수 있거나 첨가되어야 하는 설탕 영양소의 양 및 질에 따라 pH가 0 내지 6, 좋기로는 2인 산성 용액/현탁액을 수득한다.
석면-시멘트 분말 10 그램을 와인 및/또는 그라파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인 압착찌꺼기(pomace)의 발효에서 유래된 용액 100 ml와 함께 혼합하고 125℃-170℃ 및 5-9 bar에서 14-2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면의 완전한 변형 및 새로운 광물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도 4는 초기 광물상(A) 및 와인 추출 및/또는 그라파 성숙 후 압착찌꺼기의 발효로부터 얻은 산성 용액에 의해 수행된 변성 공정의 최종 결정상(B)을 나타낸다; 도 5는 변형 전(A) 및 열수 처리 후(B)의 석면-시멘트 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열수 처리 전후의 결정상을 표 3에 나열하였다.
변성 공정 전후 석면-시멘트의 결정상
변성전 결정상 열수 변형후 결정상
방해석 인산수소칼슘
백석면 수산화인회석
에트링가이트(Ettringite) 석영
석영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성 페인트를 얻기 위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액체를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였다. 도 6은 상층액으로부터 침전된 수산화칼슘의 수성 페인트의 회절도(diffractogram)를 나타낸다.
금속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액체를 처리함으로써 전기화학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으로 회수가능한 금속 이온의 mg/l 농도
금속 원소 농도 mg/l
마그네슘 1941.71
17.26
니켈 2.30
망간 9.10
실시예 3: 통조림공장에서 발생하는 가공 폐기물
액체/고체 폐기물을 물 중에 인큐베이션함으로써 통조림공장에서 발생하는 가공 폐기물에서 유래된 잔류 미생물을 증식 및 발효시킨다. 미생물 증식 및 발효를 위한 온도는 8-24시간 동안 15 내지 25℃이다. 산, 특히 아세트산의 형성은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극호산성미생물 및 호산성미생물의 대사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용액에 첨가될 수 있거나 첨가되어야 하는 설탕 영양소의 양 및 질에 따라 pH가 0 내지 6, 좋기로는 약 2인 산성 용액/현탁액을 수득한다.
석면-시멘트 분말 10 그램을 토마토 껍질을 데치기 위한 물의 발효에서 얻은 산성 용액 100 ml와 함께 혼합하고 125℃-170℃ 및 5-9 bar에서 14-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종료 후, 도 7 및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면의 완전한 변형 및 새로운 광물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도 7은 초기 광물상(A) 및 토마토 껍질을 데치기 위한 물의 발효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에 의해 수행된 변성 공정의 최종 결정상(B)을 나타낸다; 도 8은 변형 전(A) 및 열수 처리 후(B)의 석면-시멘트 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열수 처리 전후의 결정상을 표 6에 나열하였다.
변성전 결정상 열수 변형후 결정상
방해석 인산수소칼슘
백석면 칼슘 수산화인회석
석영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산칼슘을 얻기 위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용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였다. 도 9는 상층액으로부터 얻어진 침전물의 회절도를 나타낸다.
금속은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용액을 처리함으로써 전기화학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으로 회수가능한 금속 이온의 mg/l 농도
금속 원소 농도 mg/l
마그네슘 2097.85
106.41
니켈 9.16
망간 27.60

Claims (10)

  1. 다음을 포함하는 석면-함유 물질의 처리 방법.
    - 식품산업 폐기물을 혼합 박테리아 및 균류 증식 및/또는 발효 처리하여 산성 용액/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 120-170℃의 온도 및 2-10 bar의 압력에서의 혼합 발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산성 용액/현탁액으로 석면-함유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증식 및/또는 발효는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bacter aceti) 종의 박테리아 및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종의 효모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증식 및/또는 발효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박테리아 종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아세토박터 아세티 종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방법: 세레비시아 구균과(cerevisiae Micrococcaceae), 프로피온산균(Propionibacteria),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p .), 아에로모나스 종(Aeromonas spp .), 포토박테리움 종(Photobacterium spp .), 아크로머박터 종(Achromobacter spp .), 슈와넬라 종(Shewanella spp .), 산토모나스 종(Xanthomonas spp .), 비브리오 종(Vibrio spp .), 플라보박테리움 종(Flavobacterium spp .), 장내세균(Enterobactoeriaceae), 바실러스 종(Bacillus spp.), 클로스트리듐 종(Clostridium spp .), 브로코트릭스 써모스파크타(Brochothrix thermosphacta), 구균 종(Micrococcus spp .), 유산균 및 식품산업 폐기물에 존재하는 극호산성미생물(extreme acidophiles) 및 호산성미생물(acidophiles)로 분류되는 미생물.
  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산업 폐기물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식초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와인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오일 생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좋기로는 공장 폐수, 과일 및 채소 가공 및 보존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좋기로는 토마토 껍질 및 감귤류 껍질을 데치는(blanching) 물, 맥주, 음료 및 과일 쥬스의 생산에서 나오는 액체/고체 폐기물, 오일 및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정제 산업에서 발생하는 액체 폐기물, 사용된 찻잎 및 과자 산업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쌀 가공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및 담배 제조에서 발생하는 액체/고체 폐기물.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함유 물질은 부서지기 쉬운 매트릭스 또는 시멘트 매트릭스, 또는 압축 폴리머 유형의 매트릭스에 분산된 피브릴 형태의 석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함유 물질은 석면 시멘트인 것인 방법.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박테리아 및 균류 발효는 식품산업 폐기물을 15 내지 25℃ 온도에서, 사용된 식품 폐기물 유형에 따라 시간을 달리하여 수분 내지 수시간 내지 수일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혼합 발효에서 유래된 산성 용액/현탁액으로 처리하기 전에, 공기 중으로 섬유의 방출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석면-함유 물질을 물 분무 및 진공하에서 분쇄하되, 좋기로는 석면-함유 물질을 먼저 큰 입자 크기로 파쇄한 다음 1 밀리미터 미만의 크기로 분쇄하는 몇 가지 단계로 분쇄하는 것인 방법.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산성 용액/현탁액에 의한 석면-함유 물질의 처리는 석면-함유 물질을 산성 용액/현탁액과 12 내지 24시간 동안 균질화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방법.
  1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20 내지 170℃의 온도는, 좋기로는 단일 처리 사이클에 의하여, 20℃ 내지 170℃의 온도 구배를 적용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인 방법.
KR1020167033137A 2014-04-29 2015-03-19 석면-함유 물질의 생화학적 변성방법 KR20160147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4A000789 2014-04-29
ITMI20140789 2014-04-29
PCT/IB2015/052021 WO2015166359A1 (en) 2014-04-29 2015-03-19 Process for biochemical denaturation of an asbestos-containing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951A true KR20160147951A (ko) 2016-12-23

Family

ID=5098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137A KR20160147951A (ko) 2014-04-29 2015-03-19 석면-함유 물질의 생화학적 변성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0391347B2 (ko)
EP (1) EP3137615B1 (ko)
JP (1) JP6668330B2 (ko)
KR (1) KR20160147951A (ko)
CN (1) CN106661596B (ko)
AU (1) AU2015207832B2 (ko)
BR (1) BR112016025084B1 (ko)
CA (1) CA2945262C (ko)
EA (1) EA033856B1 (ko)
HR (1) HRP20211054T8 (ko)
IL (1) IL248303A0 (ko)
MA (1) MA39375A1 (ko)
MX (1) MX2016013641A (ko)
PL (1) PL3137615T3 (ko)
SA (1) SA516380184B1 (ko)
SG (1) SG11201608535WA (ko)
TN (1) TN2016000477A1 (ko)
WO (1) WO2015166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6624A1 (fr) 2021-09-09 2023-03-1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Procede de traitement d’un produit contenant de l’amian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5642A1 (en) * 1989-06-15 1990-12-27 Tony Nocito Inc. Improved method and products for treating asbestos
JPH0418974A (ja) * 1990-05-12 1992-01-23 Higashi Nippon Unit Service Kk 石綿セメント管の廃棄処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処理装置
JP2001327129A (ja) 2000-05-18 2001-11-22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の製造方法
FR2930736B1 (fr) * 2008-04-30 2011-06-17 Centre Nat Rech Scient Traitement acide sous faibles temperature et pression d'un dechet contenant de l'amiante
IT1401495B1 (it) * 2010-07-30 2013-07-26 Chemical Ct S R L Processo per il trattamento di un materiale contenente amian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39375A1 (fr) 2017-02-28
SA516380184B1 (ar) 2020-07-30
BR112016025084B1 (pt) 2022-06-07
HRP20211054T1 (hr) 2021-10-01
NZ710456A (en) 2023-11-24
SG11201608535WA (en) 2016-11-29
JP2017514689A (ja) 2017-06-08
IL248303A0 (en) 2016-11-30
JP6668330B2 (ja) 2020-03-18
AU2015207832A1 (en) 2015-11-12
US20170043198A1 (en) 2017-02-16
MX2016013641A (es) 2017-05-08
EP3137615B1 (en) 2021-04-21
CN106661596B (zh) 2021-06-29
CN106661596A (zh) 2017-05-10
BR112016025084A2 (pt) 2017-08-15
US10391347B2 (en) 2019-08-27
EA201692179A1 (ru) 2017-03-31
CA2945262A1 (en) 2015-11-05
CA2945262C (en) 2023-09-05
AU2015207832B2 (en) 2019-10-10
HRP20211054T8 (hr) 2021-10-15
WO2015166359A1 (en) 2015-11-05
EA033856B1 (ru) 2019-12-02
EP3137615A1 (en) 2017-03-08
PL3137615T3 (pl) 2021-11-02
TN2016000477A1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un et al. Solubiliza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using a garbage enzyme produced from different pre-consumer organic waste
Hamdy et al. Bacterial amelioration of bauxite residue waste of industrial alumina plants
CN102180729B (zh) 一种含锶有机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Li et al. Effective microbial calcite precipitation by a new mutant and precipitating regulation of extracellular urease
Jiang et al. A critical review of the physiological, ec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influencing the microbial degradation of concrete by fungi
CN105457968A (zh) 抗生素菌渣的无害化处理方法
CN101580410B (zh) 一种利用造纸污泥生产碱性有机肥的方法
EP2428254B1 (en) Process for treating an asbestos containing material
Klaic et al. A fed-batch strategy integrated with mechanical activation improves the solubilization of phosphate rock by Aspergillus niger
CN106631335A (zh) 一种根际有益微生物‑生物炭复合有机肥及其制备方法
Davis et al. The microbiology of pine bark composting: an electron-microscope and physiological study
CN103435378A (zh) 一种厨余垃圾微生物好氧堆肥的方法
Li et al. Identification of a novel hydrolase encoded by hy-1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for bioremediation of carbendazim contaminated soil and food
KR20160147951A (ko) 석면-함유 물질의 생화학적 변성방법
US11141764B2 (en) Method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lands
JP2004123437A (ja) コンクリート亀裂補修材および補修方法
Prasad et al. Optimization of cellulase production from a novel bacterial isolate Mesorhizobium sp. from marine source
Abdel-Rahman et al. A novel promising Thermotolerant Cellulase-producing Bacillus licheniformis 1-1v strain suitable for composting of Rice straw
Al-Meshal The Effect of Some Components Changes of Aspergillus niger Culture Media on the Production of Lipase Enzyme
Obuka et al. Biodegradation studies of sapropel-based composite materials
WO2019073308A1 (en) PETROLEUM OXIDIZING MICROORGANISM AND PRODUCTS THEREOF AND USE TECHNOLOGY THEREOF
CN108326029A (zh) 一种基于骨粉资源化利用的重金属污染农田土壤调理方法
Hoang et al. Potential Concrete Healing Activity of Bacillus marisflavi Isolated in Vietnam
Uz et al. EFFECTS OF MICROORGANISMS ON THE PLASTICITY AND STRENGTH OF CLAYS
Husseiny et al.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pectinase, avicelase and carboxymethyl cellulase by fermentation of agro-industrial wastes using B. firmus and B. laterospo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