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159A -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159A
KR20160147159A KR1020150083337A KR20150083337A KR20160147159A KR 20160147159 A KR20160147159 A KR 20160147159A KR 1020150083337 A KR1020150083337 A KR 1020150083337A KR 20150083337 A KR20150083337 A KR 20150083337A KR 20160147159 A KR20160147159 A KR 2016014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length
smart terminal
distan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337B1 (ko
Inventor
김진형
윤진효
이상철
양정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7233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4715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8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3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에 따르면, 피사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샘플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와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의 비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피사체에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 길이, 상기 측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저장된 거리에 따른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된 대상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실제 길이, 크기, 넓이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측정 장비 없이도 사진 촬영과 동시에 대상물의 길이를 측정하여 촬영 대상물의 길이, 크기, 넓이 등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 및 토목 공사나 일반 생활에서 대상물의 길이를 손쉽게 알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Smart terminal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object lengt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사체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실제 길이 또는 크기를 측정하는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기존의 독립적이던 장치들이 하나의 전자장치로 통합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스마트 단말기이며 그 중에서도 스마트 폰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광학 카메라를 스마트 폰에 부착하여 대상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무선을 송수신하고 인쇄기에 연결하여 인쇄함으로써 별도의 카메라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폰을 통해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작업 현장에서 공사에 필요한 장비 및 건물 등을 촬영하거나 일상 생활에서 아이들의 성장 사진을 찍기도 하고 낚시를 통해 잡은 물고기와 기념 사진을 찍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대상체와 스마트폰과의 거리에 따라 대상체의 크기가 다르게 촬영되어 실제 대상체의 크기를 가늠하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대상체의 길이를 알고 싶은 경우엔 별도의 측정기구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측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측정기구를 구비하지 않았거나 측정기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합하지 않은 경우 그리고 대상체에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 등 대상체를 측정하기 곤란한 상황에서의 대처 방안이 부족하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최근에는 센서를 통해 대상체를 감지 및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휴대성이 높은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하여 직접 측정하지 않아도 대상체를 촬영하는 동시에 대상체의 길이 및 크기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등록특허 제 10-1359649호(2014.02.05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사체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실제 길이 또는 크기를 측정하는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사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샘플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와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의 비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피사체에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 길이, 상기 측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저장된 거리에 따른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의 종류 및 화면 해상도에 대응하여 측정된 비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길이(Y)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x는 상기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의 길이, l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피사체 사이의 거리, a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따른 배율 상수를 나타낸다.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된 피사체 영상에서 복수의 특정 지점을 입력받으면 상기 연산된 피사체의 실제 길이와 화면상의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받은 지점간의 길이, 각도 및 넓이에 대응하는 상기 피사체의 길이, 각도 및 넓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샘플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와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의 비율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피사체에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 길이, 상기 측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저장된 거리에 따른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된 대상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실제 길이, 크기, 넓이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측정 장비 없이도 사진 촬영과 동시에 길이가 측정되어 촬영 대상물의 길이, 크기, 넓이 등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 및 토목 공사나 일반 생활에서 대상물의 길이를 손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휴대성이 높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장소에 제한 없이 거리 및 대상물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장착한 스마트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샘플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비율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장착한 스마트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100)는 저장부(110), 카메라부(120), 센서부(130), 연산부(140), 디스플레이부(150)을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스마트 단말기와 샘플 피사체(200)와의 거리에 따라 샘플 피사체(200) 길이와 화면상에 표시된 샘플 피사체(200)의 길이의 비율을 저장한다.
이때, 스마트 단말기마다 장착된 카메라 렌즈의 종류 및 화면 해상도에 따라 측정되는 비율이 달라지므로 저장부(100)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카메라 렌즈 및 화면 해상도에 맞춰 샘플 피사체(200) 길이와 화면상에 표시된 샘플 피사체(200)의 길이의 비율을 저장한다.
카메라부(120)는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다. 여기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120)는 스마트 단말기(100) 안에 장착되어 오른쪽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100)에서의 카메라부(120) 위치는 고정된 것은 아니며 스마트 단말기(100)의 구성 및 종류에 따라 다르게 위치할 수 있고 별도의 장치로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스마트 단말기(100)의 전면에 카메라부(120)를 표시하였으나 후면의 장착된 카메라부(120)를 통해서도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20)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카메라부(120)의 렌즈 방향과 동일하게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된다. 이때, 카메라부(120)가 둘 이상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된 경우, 센서부(130)는 카메라부(120)에 대응하여 둘 이상 장착될 수도 있다.
센서부(130)는 카메라부(120)의 초점 정보를 획득하여 카메라 렌즈 초점 방향과 평행하도록 센서의 초점 방향을 설정한다.
여기서, 센서부(130)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센서부(130)는 설정된 초점 방향으로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스마트 단말기(100)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센서부(130)가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경우, 적외선을 방사하고 피사체에 맞고 되돌아 오는 적외선 양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반사광 측정 방식 또는 적외선을 방사하고 적외선이 피사체에 맞고 반사된 광원을 렌즈를 통해 집광하고 이를 후면에 일차원 CCD 센서에 투광시켜 반사광이 집중되는 위치를 측정하는 삼각 측정 방식 등 적외선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장치를 포함한다.
센서부(130)가 레이저 센서를 사용할 경우, 레이저를 방사하고 피사체에 맞고 되돌아 오는 페이즈(phase)의 시간 지연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가장 정밀하고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근거리뿐 아니라 원거리 측정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서부(130)는 별도의 장치로 스마트 단말기(100)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왼쪽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100)에서의 센서부(130)의 위치는 고정된 것은 아니며 스마트 단말기(100)의 구성 및 종류에 따라 다르게 위치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연산부(140)는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 길이, 측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저장된 거리에 따른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연산한다.
연산부(140)는 센서부(130)에서 측정한 스마트 단말기(100)와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저장된 비율을 배율 상수로 적용하여 화면상의 피사체 길이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길이를 연산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연산된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 위에 길이 또는 크기를 표시할 수도 있고 별도로 스마트 단말기(100) 화면의 어느 한 부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처럼 연산된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수치를 스마트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연산된 피사체의 길이를 밀리미터, 센티미터, 미터, 킬로미터, 인치, 피트, 야드, 마일, 자, 간, 정, 리, 해리 중에서 하나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둘 이상의 단위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길이에 대한 단위는 별도로 변경 설정이 가능하며 넓이에 대한 단위 설정에 대해서도 제곱미터, 아르, 헥타르, 제곱킬로미터, 제곱피트, 제곱야드, 에이커, 평방자, 평, 단보, 정보의 단위로 피사체의 넓이에 대해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길이 또는 크기가 측정된 피사체의 영상을 2d 도면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도 2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100)를 스마트 폰의 형태로 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100)는 길이 연산이 가능한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카메라 및 센서를 장착할 수 있는 단말기 또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 외에도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PC,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의 길이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비율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스마트 단말기(100)는 샘플 피사체(200)와의 거리에 따라 샘플 피사체(200) 길이와 화면 상에 표시된 샘플 피사체(200) 길이의 비율을 저장한다(S310).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샘플 피사체(200)는 세로 길이 1m, 가로 길이 0.53m의 직사각형의 물체인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샘플 피사체(200)의 크기 또는 단위는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길이 1m의 샘플 피사체(200)를 20m의 거리에서 촬영을 하면, 스마트 단말기(100)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크기는 2cm가 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길이 1m인 샘플 피사체(200)가 20m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을 때 스마트 단말기(100)의 화면에 2cm로 나타나므로 샘플 피사체(200)의 크기와 화면상의 샘플 피사체(200) 크기의 비율은 50:1이 된다.
한편, 도 4b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100)를 통하여 길이 1m의 샘플 피사체(200)를 10m의 거리에서 촬영을 하면, 스마트 단말기(100)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크기는 4cm가 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길이가 1m인 샘플 피사체(200)가 10m의 거리에 있을 때 스마트 단말기(100)의 화면에 4cm로 나타나므로 샘플 피사체(200)의 크기와 화면상의 샘플 피사체(200) 크기의 비율은 25:1이 된다.
이처럼, 스마트 단말기(100)는 샘플 피사체(200)와의 각각의 거리에 따라 측정된 샘플 피사체(200)와 화면상의 피사체와의 길이의 비율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비율은 스마트 단말기(100) 화면상의 해상도에 따라 촬영된 샘플 피사체(200)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나고, 카메라 렌즈 별로 샘플 피사체(200)의 크기가 다르게 촬영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 단말기(100)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화면 해상도 및 카메라 렌즈에 따른 설정에 맞게 측정하여 비율을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통해 실제 측정대상이 되는 측정 대상 피사체(300)를 촬영한다(S320).
스마트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측정 대상 피사체(300)에 초점을 맞추거나 자동 초점(AF: Auto Focus)설정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 피사체(300)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100)는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이 스마트 단말기(100)와의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설정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단말기(100)는 장착된 적외선 또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스마트 단말기와 측정 대상 피사체(300)와의 거리를 측정한다(S330).
먼저,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된 적외선 또는 레이저 센서는 설정된 카메라 렌즈의 초점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카메라 초점 정보를 획득한 스마트 단말기(100)는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100) 상부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카메라부(120)과 측정 대상 피사체(300) 사이를 연결하는 이점쇄선으로 표시)에 대응하여 평행하도록 스마트 단말기(100) 하부에 장착된 센서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측정 대상 피사체(300)를 향해 조사한다.
즉, 스마트 단말기(100)와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이 직각이 되므로 스마트 단말기(100)의 센서는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므로 센서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의 방향 또한 스마트 단말기(100)와 직각을 이룬다.
여기서, 적외선 또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기 공지된 기술로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100)는 촬영된 화면상의 측정 대상 피사체(300) 길이, 측정된 측정 대상 피사체(300)와의 거리 및 저장된 거리에 따른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길이 또는 크기를 연산한다(S340).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 및 해상도에 맞춰 측정 및 저장된 거리에 따른 길이의 비율을 배율상수로 적용하여 스마트 단말기(100)는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길이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10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길이(Y)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x는 촬영된 화면상의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길이, l은 스마트 단말기와 측정 대상 피사체(300) 사이의 거리, a는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따른 배율 상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배율 상수(a)는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 및 화면의 해상도에 따라 각각 다른 값을 갖는다.
도 5를 보면, 스마트 단말기(100)에 장착된 센서는 피사체(300)와 스마트 단말기(100) 사이의 거리(10m)를 측정하며, 도 4b와 같이 10m 거리에 대응하는 비율은 25:1임을 알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100)는 이와 같은 비율(25:1)을 배율 상수로 적용하여 스마트 단말기(100) 화면의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크기인 4cm에 대응하는 측정 대상 피사체(300) 크기를 연산하면,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크기를 1m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측정 대상 피사체(300) 영상에서 복수의 특정 지점을 입력받으면 연산된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실제 길이와 화면상의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입력받은 지점간의 길이, 각도 및 넓이에 대응하는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길이, 각도 및 넓이를 연산할 수 있다.
도 6와 같이, 촬영된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영상에서 사용자로부터 1과 2의 지점을 입력 받으면 스마트 단말기(100)는 제1 지점과 제2의 지점을 연결하는 화면상의 직선 길이와 저장된 배율 상수 및 측정 대상 피사체(300)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실제 길이를 0.53m로 연산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1 지점, 제2 지점 및 제3 지점을 입력받으면 스마트 단말기(100)는 세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 길이 및 삼각형의 넓이, 그리고 각 지점을 연결한 각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장착된 터치 스크린 또는 스마트 단말기의 자판 또는 버튼 등 여러 방법을 통해 특정 지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6에서는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지점(제1 지점, 제2 지점, 제3 지점)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꼭지점이 아닌 측정 대상 피사체(300)를 이루는 특정 지점을 입력받아도 스마트 단말기(100)는 길이 또는 넓이 각도 등을 연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단말기(100)는 연산된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길이 또는 크기를 화면에 표시한다(S350).
도 6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100)는 화면에 촬영된 측정 대상 피사체(300)를 표시하고 측정 대상 피사체(300) 상에 길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촬영된 측정 대상 피사체(300)와는 별도로 측정 대상 피사체(300)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를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은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표시 방법을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100)는 길이가 측정된 피사체 촬영 사진을 2D 도면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기(100)는 AUTOCAD(AUTO 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의 확장자인 *.dxf, *.dwg 를 가진 2D 도면으로 변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프린터 또는 스마트 기기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된 대상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실제 길이, 크기, 넓이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측정 장비 없이도 사진 촬영과 동시에 길이가 측정되어 촬영 대상물의 길이, 크기, 넓이 등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 및 토목 공사나 일반 생활에서 대상물의 길이를 손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휴대성이 높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장소에 제한 없이 거리 및 대상물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단말기 110: 저장부
120: 카메라부 130: 센서부
140: 연산부 150: 디스플레이부
200: 샘플 피사체 300: 측정 대상 피사체

Claims (16)

  1. 피사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샘플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와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의 비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피사체에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 길이, 상기 측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저장된 거리에 따른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의 종류 및 화면 해상도에 대응하여 측정된 비율을 저장하는 스마트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스마트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길이(Y)를 연산하는 스마트 단말기:
    Figure pat00003

    여기서, x는 상기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의 길이, l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피사체 사이의 거리, a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따른 배율 상수를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된 피사체 영상에서 복수의 특정 지점을 입력받으면 상기 연산된 피사체의 실제 길이와 화면상의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받은 지점간의 길이, 상기 피사체의 각 변이 이루는 각도 및 넓이에 대응하는 상기 피사체의 길이, 각도 및 넓이를 연산하는 스마트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피사체의 길이를 측정한 피사체 영상을 2D 도면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내부에 탑재되는 스마트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스마트 단말기.
  9.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샘플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와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샘플 피사체 길이의 비율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피사체에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 길이, 상기 측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저장된 거리에 따른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피사체의 길이 또는 크기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의 종류 및 화면 해상도에 대응하여 측정된 비율을 저장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길이(Y)를 연산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Figure pat00004

    여기서, x는 상기 촬영된 화면상의 피사체의 길이, l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피사체 사이의 거리, a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따른 배율 상수를 나타낸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된 피사체 영상에서 복수의 특정 지점을 입력받으면 상기 연산된 피사체의 실제 길이와 화면상의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받은 지점간의 길이, 상기 피사체의 각 변이 이루는 각도 및 넓이에 대응하는 상기 피사체의 길이, 각도 및 넓이를 연산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의 길이를 측정한 피사체 영상을 2D 도면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KR1020150083337A 2015-06-12 2015-06-12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KR10168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337A KR101684337B1 (ko) 2015-06-12 2015-06-12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337A KR101684337B1 (ko) 2015-06-12 2015-06-12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159A true KR20160147159A (ko) 2016-12-22
KR101684337B1 KR101684337B1 (ko) 2017-01-02

Family

ID=5772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337A KR101684337B1 (ko) 2015-06-12 2015-06-12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5288A (zh) * 2017-12-28 2018-06-22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物体尺寸测量方法及测量装置
CN114858069A (zh) * 2022-03-24 2022-08-05 上海昶音通讯科技有限公司 智能手机及测量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730A (ko) * 2004-10-09 2006-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측정 방법
KR20070009888A (ko) * 2005-07-14 2007-01-19 최형락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47464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하이로시 이어폰단자를 이용한 기기간 데이터통신 방법
KR20150054312A (ko) * 2013-11-11 2015-05-20 주식회사 플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제길이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730A (ko) * 2004-10-09 2006-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길이측정 방법
KR20070009888A (ko) * 2005-07-14 2007-01-19 최형락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47464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하이로시 이어폰단자를 이용한 기기간 데이터통신 방법
KR20150054312A (ko) * 2013-11-11 2015-05-20 주식회사 플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제길이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5288A (zh) * 2017-12-28 2018-06-22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物体尺寸测量方法及测量装置
CN114858069A (zh) * 2022-03-24 2022-08-05 上海昶音通讯科技有限公司 智能手机及测量方法
CN114858069B (zh) * 2022-03-24 2023-08-15 上海昶音通讯科技有限公司 智能手机及测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337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78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pth estimation based upon object magnification
US10506225B2 (en) Method of calibrating a camera
KR102085766B1 (ko) 촬영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533320B1 (ko) 포인터가 불필요한 3차원 객체 정보 획득 장치
KR101591854B1 (ko) 모바일 패턴 투사를 위한 장치 및 그 이용
CN108351489B (zh) 具有自动对焦控制的成像设备
US20120281087A1 (en) Three-dimensional scanner for hand-held phones
EP324665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size of object
CN108351201B (zh) 物体测定装置及物体测定方法
JP2006003132A (ja) 3次元測量装置及び電子的記憶媒体
CN105403146A (zh) 一种测量物体尺寸的方法、系统及智能终端
CN110232707B (zh) 一种测距方法及装置
JP6662449B2 (ja) 検出装置、検出システム、検出方法、及び検出プログラム
CN106546169A (zh) 利用移动设备测量物体尺寸的方法及装置
JPWO2014171418A1 (ja) 3次元形状計測装置、3次元形状計測方法及び3次元形状計測プログラム
JPWO2015068470A1 (ja) 3次元形状計測装置、3次元形状計測方法及び3次元形状計測プログラム
JP2016142562A (ja) 携帯装置およびビーム投射装置を用いて距離または面積を測定する方法
JP6456783B2 (ja) 配筋測定装置
KR101684337B1 (ko) 스마트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피사체 길이 측정 방법
TW201312080A (zh) 非接觸式測量實物長度的方法
KR20100033634A (ko)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5203073B (zh) 一种具有电子测距分划板的成像仪
KR20210037047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옥외광고물의 면적 측정 방법
KR101996226B1 (ko) 피사체의 3차원 위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247721A1 (en) Game Sizing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55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11

Effective date: 2020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