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042A - 펜스 - Google Patents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042A
KR20160146042A KR1020150082602A KR20150082602A KR20160146042A KR 20160146042 A KR20160146042 A KR 20160146042A KR 1020150082602 A KR1020150082602 A KR 1020150082602A KR 20150082602 A KR20150082602 A KR 20150082602A KR 20160146042 A KR20160146042 A KR 2016014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bar
engraved
engraved por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721B1 (ko
Inventor
오래현
Original Assignee
오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래현 filed Critical 오래현
Priority to KR102015008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7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와, 상기 바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별도의 패널이나 부재 없이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펜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펜스{Fence}
본 발명은 펜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별도의 패널이나 부재 없이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어떤 지역을 보호하거나 지역의 경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며, 홍보나 심미감을 위해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는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펜스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64354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펜스는, 지주(110) 사이에 와이어로프(120)를 다섯줄 연결하고, 와이어로프(120)에 음표모양의 장식물(200)를 배열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펜스는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별도의 부재인 장식물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펜스는 와이어로프에 별도로 설치된 장식물이 외력에 의해 와이어로프에서 분리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펜스는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별도의 부재인 장식물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전체적인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64354 A
본 발명은 바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별도의 패널이나 부재 없이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펜스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와; 상기 바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는 속이 비어 있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는 사각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의 전면 일부와, 상기 바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의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에는 야광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가 복수 개의 서로 인접한 상기 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의 상단에는 전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는 속이 빈 원형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의 전방 측 단부가 절개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바의 상단과 하단 사이 전방 측 외주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펜스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와; 상기 바에 형성되는 음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바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별도의 패널이나 부재 없이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바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문자나 이미지가 바에서 분리될 위험성이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바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부재로 인해 바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바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부재의 외면에 야광도료가 도포되므로 야광도료가 도포된 부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야간에도 문자나 이미지의 식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패널이나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비용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는 도 6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C-C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따른 절개부가 형성된 바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제1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스(1)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20)와, 바(20)에 형성되는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를 포함한다.
지주(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 막대 형상이다.
지주(10)는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지면 등에 고정설치된다.
지주(10)는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주(10)가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지면에 설치된다.
지주(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삽입홈(12)은 사각 형상의 홈이다.
삽입홈(12)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7개의 삽입홈(12)이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가지고 바(20)에 형성된다.
삽입홈(12)은 후술할 바(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지주(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바(20)가 설치된다.
바(2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속이 빈 사각 파이프 형상이다.
바(20)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바(20)는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지주(10) 사이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7개의 바(20)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지주(10) 사이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바(20)의 간격은 지주(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홈(12)의 간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20)는 서로 인접한 두 지주(10) 사이마다 설치된다.
바(20)의 양단부 형상은 지주(10)에 형성된 삽입홈(12)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20)의 좌측단은 서로 인접한 두 지주(10) 중 좌측에 위치한 지주(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바(20)의 우측단은 서로 인접한 두 지주(10) 중 우측에 위치한 지주(10)의 좌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바(20)에는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가 형성된다.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바(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라 함은 바(20)의 일부가 잘라져서 잘라진 부분과 제1관통공(22)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의 전후 폭은 바(20)의 두께와 동일하다.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복수 개의 서로 인접한 바(20)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바(20)에 문자 또는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제1절개부(20a), 제2절개부(20b), 제3절개부(20c), 제4절개부(20d), 제5절개부(20e), 제6절개부(20f), 제7절개부(20g), 제8절개부(20h), 제9절개부(20i), 제10절개부(20j), 제11절개부(20k), 제12절개부(20l), 제13절개부(20m) 및 제14절개부(20n)를 포함한다.
제1절개부(20a)는 가장 상측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절개부(20a)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절개부(20a)는 가장 상측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절개부(20a)에서 바(20)의 상면과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1절개부(20a)는 상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절개부(20a)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길어지는 활꼴 형상이다.
제2절개부(20b)는 상측에서 두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2절개부(20b)는 제1절개부(20a)보다 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절개부(20b)는 제1절개부(20a)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2절개부(20b)는 상측에서 두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2절개부(20b)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2절개부(20b)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2절개부(20b)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길어지는 등변사다리꼴에서 양측변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진 형상이다.
제3절개부(20c)는 상측에서 세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3절개부(20c)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3절개부(20c)는 제2절개부(20b)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3절개부(20c)는 상측에서 세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3절개부(20c)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3절개부(20c)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3절개부(20c)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짧아지는 등변사다리꼴에서 양측변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진 형상이다.
제4절개부(20d)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4절개부(20d)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4절개부(20d)는 제3절개부(20c)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4절개부(20d)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4절개부(20d)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4절개부(20d)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단부가 폐쇄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4절개부(20d)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짧아지는 활꼴 형상이다.
제1절개부(20a)와 제2절개부(20b)와 제3절개부(20c)와 제4절개부(20d)는 전체적으로 볼 때 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절개부(20a)의 개방된 하단과 제2절개부(20b)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3절개부(20c)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4절개부(20d)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펜스(1)를 보아도 제1절개부(20a)와 제2절개부(20b)와 제3절개부(20c)와 제4절개부(20d)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제5절개부(20e)는 상측에서 두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5절개부(20e)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5절개부(20e)는 제2절개부(20b)의 좌측에 형성된다.
제5절개부(20e)는 상측에서 두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5절개부(20e)에서 바(20)의 상면과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5절개부(20e)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5절개부(20e)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길어지는 활꼴 형상이다.
제6절개부(20f)는 상측에서 세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6절개부(20f)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6절개부(20f)는 제3절개부(20c)의 좌측 및 제5절개부(20e)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6절개부(20f)는 상측에서 세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6절개부(20f)에서 바(20)의 하면과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6절개부(20f)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6절개부(20f) 및 제6절개부(20f)의 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짧아지는 활꼴 형상이다.
제5절개부(20e)와 제6절개부(20f)는 전체적으로 제1절개부(20a)와 제2절개부(20b)와 제3절개부(20c)와 제4절개부(20d)가 나타내는 원의 형상보다 직경이 작은 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5절개부(20e)의 개방된 하단과 제6절개부(20f)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펜스(1)를 보아도 제5절개부(20e)와 제6절개부(20f)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제7절개부(20g)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7절개부(20g)는 제4절개부(20d)의 좌측에 형성된다.
제7절개부(20g)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7절개부(20g)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7절개부(20g)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7절개부(20g)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8절개부(20h)는 상측에서 다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8절개부(20h)는 제7절개부(20g)의 하측에 나란히 형성된다.
제8절개부(20h)는 상측에서 다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8절개부(20h)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8절개부(20h)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8절개부(20h)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9절개부(20i)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9절개부(20i)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9절개부(20i)는 제8절개부(20h)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9절개부(20i)의 좌측단은 제7절개부(20g) 및 제8절개부(20h)의 좌측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제9절개부(20i)의 우측단은 제7절개부(20g) 및 제8절개부(20h)의 우측단보다 더 우측에 위치한다.
제9절개부(20i)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9절개부(20i)에서 바(20)의 하면과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9절개부(20i)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9절개부(20i) 및 제9절개부(20i)의 내면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 진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7절개부(20g)와 제8절개부(20h)와 제9절개부(20i)는 전체적으로 알파벳 'L'자 형상을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7절개부(20g)의 개방된 하단과 제8절개부(20h)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9절개부(20i)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펜스(1)를 보아도 제7절개부(20g)와 제8절개부(20h)와 제9절개부(20i)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제10절개부(20j)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0절개부(20j)는 제4절개부(20d)와 제7절개부(20g)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0절개부(20j)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0절개부(20j)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10절개부(20j)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0절개부(20j)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1절개부(20k)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1절개부(20k)는 제4절개부(20d)와 제10절개부(20j)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1절개부(20k)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1절개부(20k)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11절개부(20k)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1절개부(20k)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2절개부(20l)는 상측에서 다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2절개부(20l)는 제8절개부(20h)의 우측 및 제10절개부(20j)와 제11절개부(20k)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12절개부(20l)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2절개부(20l)의 좌측단은 제10절개부(20j)의 좌측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제12절개부(20l)의 우측단은 제11절개부(20k)의 우측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즉, 제12절개부(20l)의 좌우 폭은 제10절개부(20j)의 좌측단에서 제11절개부(20k)의 우측단까지 거리와 동일하다.
제12절개부(20l)는 상측에서 다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2절개부(20l)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12절개부(20l)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2절개부(20l)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3절개부(20m)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3절개부(20m)는 제12절개부(20l)의 하측에 제10절개부(20j)와 나란히 형성된다.
제13절개부(20m)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3절개부(20m)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13절개부(20m)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3절개부(20m)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4절개부(20n)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4절개부(20n)는 제12절개부(20l)의 하측에 제11절개부(20k)와 나란히 형성된다.
제14절개부(20n)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4절개부(20n)에서 바(20)의 후면은 절개되지 않는다..
제14절개부(20n)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4절개부(20n)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7절개부(20g), 제8절개부(20h), 제10절개부(20j), 제11절개부(20k), 제13절개부(20m) 및 제14절개부(20n)는 모두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전방에서 볼 때, 제7절개부(20g)의 내면, 제8절개부(20h)의 내면, 제10절개부(20j)의 내면, 제11절개부(20k)의 내면, 제13절개부(20m)의 내면 및 제14절개부(20n)의 내면은 모두 동일한 형상이다.
제10절개부(20j)와 제11절개부(20k)와 제12절개부(20l)와 제13절개부(20m)와 제14절개부(20n)는 전체적으로 알파벳 'H'자 형상을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0절개부(20j)의 개방된 하단과 제11절개부(20k)의 개방된 하단과 제12절개부(20l)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13절개부(20m)의 개방된 상단과 제14절개부(20n)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펜스(1)를 보아도 제10절개부(20j)와 제11절개부(20k)와 제12절개부(20l)와 제13절개부(20m)와 제14절개부(20n)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바(20)에 형성된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로 인해 절개된 바(20)의 상면 및 하면은 전방 측이 바(20)의 두께만큼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20)의 내부에는 보강부재(30)가 설치된다.
보강부재(30)는 작은 속이 빈 사각 파이프 형상이다.
보강부재(30)의 내부에는 제2관통공(32)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보강부재(30)의 종단면적은 바(20)의 제1관통공(22)의 종단면적과 동일하다.
또한, 보강부재(30)의 좌우 길이는 바(20)의 좌우 길이와 동일하다.
보강부재(30)는 바(20)의 제1관통공(22) 내에 삽입된 채 용접 등에 의해 바(20)에 고정되어 바(2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바(20)에 형성된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로 인해 절개된 바(20)의 상면 및 하면의 전방 측 단부는 바(20)에 삽입된 보강부재(30)의 전방 측 외면에 일치한다.
보강부재(30)의 외면에는 야광도료(34)가 도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야광도료(34)는 각각의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보강부재(20)의 외면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야광도료(34)는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를 통해 바(20)에 나타나는 문자나 이미지를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게 한다.
야광도료(34)가 도포된 부위는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야광도료(34)가 도포된 부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주(10)의 상단에는 전등(40)이 설치된다.
전등(40)은 네 개의 지주(10) 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야간에도 펜스(1)의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전등(40)은 LED 전등이고, 전등(40)의 개수는 지주(10)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지주(10)와 바(20)와 삽입홈(12)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서와 다른 수의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본 실시예에서와 다른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 제2실시예 ]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스(1')는,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가 바(20')의 상면 및 하면이 전방 측에서부터 중앙 부근까지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관통공(22)의 전후 폭보다 작은 전후 폭을 갖고 제1관통공(22)의 상하 폭과 동일한 상하 폭을 갖는 보강부재(30')가 제1관통공(22) 내에 삽입된다.
보강부재(30')는 상하 방향으로 긴 제2관통공(32')을 갖고, 제1관통공(22) 내에서 후방 측으로 밀착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설치된다.
이때, 보강부재(30')의 전방 측 외면과 바(20')의 전방 측 내면은 서로 이격된다.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바(20')의 상면 및 하면이 전방 측에서부터 보강부재(30')의 전방 측 외면까지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바(2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절개된 부위의 후방 측 단부와 보강부재(30')의 전방 측 외면이 일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절개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를 통해 바(20')에 나타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제1실시예에 비해 깊게 새겨 넣어진 효과를 연출한다.
[ 제3실시예 ]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펜스(1")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20")와, 바(20")에 형성되는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를 포함한다.
지주(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바(20")가 설치된다.
바(2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속이 찬 사각 막대 형상이다.
바(20")는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지주(10) 사이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7개의 바(20")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지주(10) 사이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바(20")의 간격은 지주(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홈(12)의 간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20")는 서로 인접한 두 지주(10) 사이마다 설치된다.
바(20")의 양단부 형상은 지주(10)에 형성된 삽입홈(12)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20")의 좌측단은 서로 인접한 두 지주(10) 중 좌측에 위치한 지주(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바(20)의 우측단은 서로 인접한 두 지주(10) 중 우측에 위치한 지주(10)의 좌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바(20")에는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가 형성된다.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바(20")의 일부가 음각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음각이라 함은 바(20")의 일부를 오목하게 새기는 것을 뜻한다.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복수 개의 서로 인접한 바(20")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문자 또는 이미지를 바(20")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음각부(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제1음각부(20a"), 제2음각부(20b"), 제3음각부(20c"), 제4음각부(20d"), 제5음각부(20e"), 제6음각부(20f"), 제7음각부(20g"), 제8음각부(20h"), 제9음각부(20i"), 제10음각부(20j"), 제11음각부(20k"), 제12음각부(20l"), 제13음각부(20m") 및 제14음각부(20n")를 포함한다.
제1음각부(20a")는 가장 상측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음각부(20a")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음각부(20a")는 가장 상측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1음각부(20a")에서 바(20")의 상면과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1음각부(20a")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음각부(20a") 및 제1음각부(20a")의 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길어지는 활꼴 형상이다.
제2음각부(20b")는 상측에서 두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2음각부(20b")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음각부(20b")는 제1음각부(20a")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2음각부(20b")는 상측에서 두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2음각부(20b")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2음각부(20b")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2음각부(20b") 및 제2음각부(20b")의 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길어지는 등변사다리꼴에서 양측변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진 형상이다.
제3음각부(20c")는 상측에서 세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3음각부(20c")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3음각부(20c")는 제2음각부(20b")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3음각부(20c")는 상측에서 세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3음각부(20c")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3음각부(20c")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3음각부(20c") 및 제3음각부(20c")의 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짧아지는 등변사다리꼴에서 양측변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진 형상이다.
제4음각부(20d")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4음각부(20d")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4음각부(20d")는 제3음각부(20c")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4음각부(20d")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4음각부(20d")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4음각부(20d")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4음각부(20d") 및 제4음각부(20d")의 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짧아지는 활꼴 형상이다.
제1음각부(20a")와 제2음각부(20b")와 제3음각부(20c")와 제4음각부(20d")는 전체적으로 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음각부(20a")의 개방된 하단과 제2음각부(20b")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3음각부(20c")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4음각부(20d")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펜스(1)를 보아도 제1음각부(20a)와 제2음각부(20b)와 제3음각부(20c)와 제4음각부(20d")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제5음각부(20e")는 상측에서 두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5음각부(20e")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5음각부(20e)는 제2음각부(20b)의 좌측에 형성된다.
제5음각부(20e")는 상측에서 두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5음각부(20e")에서 바(20")의 상면과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5음각부(20e")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5음각부(20e") 및 제5음각부(20e")의 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길어지는 활꼴 형상이다.
제6음각부(20f")는 상측에서 세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6음각부(20f")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6음각부(20f")는 제3음각부(20c")의 좌측 및 제5음각부(20e")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6음각부(20f")는 상측에서 세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6음각부(20f")에서 바(20")의 하면과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6음각부(20f")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6음각부(20f") 및 제6음각부(20f")의 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짧아지는 활꼴 형상이다.
제5음각부(20e")와 제6음각부(20f")는 전체적으로 제1음각부(20a")와 제2음각부(20b")와 제3음각부(20c")와 제4음각부(20d")가 나타내는 원의 형상보다 직경이 작은 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5음각부(20e")의 개방된 하단과 제6음각부(20f")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펜스(1")를 보아도 제5음각부(20e")와 제6음각부(20f")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제7음각부(20g")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7음각부(20g")는 제4음각부(20d")의 좌측에 형성된다.
제7음각부(20g")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7음각부(20g")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7음각부(20g")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7음각부(20g") 및 제7음각부(20g")의 내면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8음각부(20h")는 상측에서 다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8음각부(20h")는 제7음각부(20g")의 하측에 나란히 형성된다.
제8음각부(20h")는 상측에서 다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8음각부(20h")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8음각부(20h")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8음각부(20h") 및 제8음각부(20h")의 내면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9음각부(20i")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9음각부(20i")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9음각부(20i")는 제8음각부(20h")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9음각부(20i")의 좌측단은 제7음각부(20g") 및 제8음각부(20h")의 좌측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제9음각부(20i")의 우측단은 제7음각부(20g") 및 제8음각부(20h")의 우측단보다 더 우측에 위치한다.
제9음각부(20i")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9음각부(20i")에서 바(20")의 하면과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9음각부(20i")는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9음각부(20i") 및 제9음각부(20i")의 내면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 진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7음각부(20g")와 제8음각부(20h")와 제9음각부(20i")는 전체적으로 알파벳 'L'자 형상을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7음각부(20g")의 개방된 하단과 제8음각부(20h")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9음각부(20i")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펜스(1")를 보아도 제7음각부(20g")와 제8절음각(20h")와 제9절음각(20i")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제10음각부(20j")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0음각부(20j")는 제4음각부(20d")와 제7음각부(20g")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0음각부(20j")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10음각부(20j")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10음각부(20j")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0음각부(20j") 및 제10음각부(20j")의 내면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1음각부(20k")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1음각부(20k")는 제4음각부(20d")와 제10음각부(20j")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1음각부(20k")는 상측에서 네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11음각부(20k")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11음각부(20k")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1음각부(20k") 및 제11음각부(20k")의 내면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2음각부(20l")는 상측에서 다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2음각부(20l")는 제8음각부(20h")의 우측 및 제10음각부(20j")와 제11음각부(20k")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12음각부(20l")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2음각부(20l")의 좌측단은 제10음각부(20j")의 좌측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제12음각부(20l")의 우측단은 제11음각부(20k")의 우측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즉, 제12음각부(20l")의 좌우 폭은 제10음각부(20j")의 좌측단에서 제11음각부(20k")의 우측단까지 거리와 동일하다.
제12음각부(20l")는 상측에서 다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12음각부(20l")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12음각부(20l")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2음각부(20l") 및 제12음각부(20l")의 내면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3음각부(20m")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3음각부(20m")는 제12음각부(20l")의 하측에 제10음각부(20j")와 나란히 형성된다.
제13음각부(20m")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13음각부(20m")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13음각부(20m")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3음각부(20m") 및 제13음각부(20m")의 내면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4음각부(20n")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에 형성된다.
제14음각부(20n")는 제12음각부(20l")의 하측에 제11음각부(20k")와 나란히 형성된다.
제14음각부(20n")는 상측에서 여섯 번째에 설치된 바(20")의 전면 일부와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음각되어 형성되고, 제14음각부(20n")에서 바(20")의 후면은 음각되지 않는다.
제14음각부(20n")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제14음각부(20n") 및 제14음각부(20n")의 내면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7음각부(20g"), 제8음각부(20h"), 제10음각부(20j"), 제11음각부(20k"), 제13음각부(20m") 및 제14음각부(20n")는 모두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전방에서 볼 때, 제7음각부(20g")의 내면, 제8음각부(20h")의 내면, 제10음각부(20j")의 내면, 제11음각부(20k")의 내면, 제13음각부(20m")의 내면 및 제14음각부(20n")의 내면은 모두 동일한 형상이다.
제10음각부(20j")와 제11음각부(20k")와 제12음각부(20l")와 제13음각부(20m")와 제14음각부(20n")는 전체적으로 알파벳 'H'자 형상을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0음각부(20j")의 개방된 하단과 제11음각부(20k")의 개방된 하단과 제12음각부(20l")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13음각부(20m")의 개방된 상단과 제14음각부(20n")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펜스(1")를 보아도 제10음각부(20j")와 제11음각부(20k")와 제12음각부(20l")와 제13음각부(20m")와 제14음각부(20n")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의 내면에는 야광도료(34)가 도포되고, 야광도료(34)가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의 내면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코팅될 수 있다.
야광도료(34)는 각각의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 내면마다 도포되어 야간에도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를 통해 바(20)에 나타나는 문자나 이미지를 식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야광도료(34)는 바(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의 내면에 도포되므로 야광도료(34)가 도포된 부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주(10)와 바(20")와 삽입홈(12)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서와 다른 수의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는 본 실시예에서와 다른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바(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속이 찬 사각 막대 형상의 바(20")에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20, 20')에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를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음각부(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l", 20m", 20n")의 전후 깊이가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20, 20')의 두께보다 작아야 한다.
[ 제4실시예 ]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따른 절개부가 형성된 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바(20'")는 속이 빈 원형 파이프 형상이고, 절개부(20a'", 20b'", 20c'", 20d'")는 바(20'")의 전방 측 단부가 절개되는 것을 포함하여 바(20'")의 상단과 하단 사이 전방 측 외주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바(2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상이다.
지주(10)에는 원형 파이프 형상 바(20'")의 종단면에 대응하는 원형의 삽입홈(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절개부(20a'")는 바(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전방 측 외주면에서 바(20'")의 하단 일부와 바(20'")의 전방 측 단부 일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제2절개부(20b'")와 제3절개부(20c'")는 바(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전방 측 외주면에서 바(20'")의 상단 일부와 바(20'")의 하단 일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제4절개부(20d'")는 바(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전방 측 외주면에서 바(20'")의 상단 일부와 바(20'")의 전방 측 단부 일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제1절개부(20a'")와 제2절개부(20b'")와 제3절개부(20c'")와 제4절개부(20d'")는 모두 바(20'")의 전방 측 단부가 절개되고, 바(20'")의 상단과 하단 사이 후방 측 외주면이 절개되지 않는다.
제1절개부(20a'")의 개방된 하단과 제2절개부(20b'")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3절개부(20c'")의 개방된 상하단과 제4절개부(20d'")의 개방된 상단으로 인해 여러 각도의 시야로 보아도 제1절개부(20a'")와 제2절개부(20b'")와 제3절개부(20c'")와 제4절개부(20d'")가 서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보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펜스 10 : 지주
12 : 삽입홈 20,20',20",20'" : 바
20a,20a'20a'" : 제1절개부 20b,20b',20b'" : 제2절개부
20c,20c',20c'" : 제3절개부 20d,20d',20d'" : 제4절개부
20e,20e',20e'" : 제5절개부 20f,20f',20f'" : 제6절개부
20g,20g',20g'" : 제7절개부 20h,20h',20h'" : 제8절개부
20i,20i',20i'" : 제9절개부 20j,20j',20j'" : 제10절개부
20k,20k',20k'" : 제11절개부 20l,20l',20l'" : 제12절개부
20m,20m',20m'" : 제13절개부 20n,20n',20n'" : 제14절개부
20a" : 제1음각부 20b" : 제2음각부
20c" : 제3음각부 20d" : 제4음각부
20e" : 제5음각부 20f" : 제6음각부
20g" : 제7음각부 20h" : 제8음각부
20i" : 제9음각부 20j" : 제10음각부
20k" : 제11음각부 20l" : 제12음각부
20m" : 제13음각부 20n" : 제14음각부
22 : 제1관통공 30,30' : 보강부재
32,32' : 제2관통공 34 : 야광도료
40 : 전등

Claims (9)

  1.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
    상기 바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는 속이 비어 있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는 사각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의 전면 일부와, 상기 바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의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에는 야광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가 복수 개의 서로 인접한 상기 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상단에는 전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는 속이 빈 원형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의 전방 측 단부가 절개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바의 상단과 하단 사이 전방 측 외주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9.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
    상기 바에 형성되는 음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KR1020150082602A 2015-06-11 2015-06-11 펜스 KR101726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602A KR101726721B1 (ko) 2015-06-11 2015-06-11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602A KR101726721B1 (ko) 2015-06-11 2015-06-11 펜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587A Division KR20170041184A (ko) 2017-04-06 2017-04-06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42A true KR20160146042A (ko) 2016-12-21
KR101726721B1 KR101726721B1 (ko) 2017-04-13

Family

ID=5773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602A KR101726721B1 (ko) 2015-06-11 2015-06-11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7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90Y1 (ko) * 2003-04-12 2003-08-14 김치문 인도형 난간
KR100898873B1 (ko) * 2008-07-25 2009-05-21 최진선 도로구획용 조명 시설물과 그 제조방법
KR200445097Y1 (ko) * 2008-11-11 2009-06-29 주식회사 카포산업 기둥부와 펜스부가 일체로 형성된 펜스대
KR20100064354A (ko) 2010-05-25 2010-06-14 오세원 안전펜스
KR20110101634A (ko) * 2010-03-09 2011-09-16 (주)일도산업 롤러형 방호 울타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90Y1 (ko) * 2003-04-12 2003-08-14 김치문 인도형 난간
KR100898873B1 (ko) * 2008-07-25 2009-05-21 최진선 도로구획용 조명 시설물과 그 제조방법
KR200445097Y1 (ko) * 2008-11-11 2009-06-29 주식회사 카포산업 기둥부와 펜스부가 일체로 형성된 펜스대
KR20110101634A (ko) * 2010-03-09 2011-09-16 (주)일도산업 롤러형 방호 울타리
KR20100064354A (ko) 2010-05-25 2010-06-14 오세원 안전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721B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710B1 (ko) 페인트 샘플 카드의 디스플레이 조립체 및 시스템
USD647286S1 (en) Hat with video display panel
US8782936B2 (en) End frame for display structure
USD845587S1 (en) High visibility jacket
EP2628627A1 (en) Micro perforated leather with a lighting element
USD971009S1 (en) Sign stake
US20170162085A1 (en) Modular Signpost System
KR20190126640A (ko) 좌우 돌출형 광고판
KR101726721B1 (ko) 펜스
KR20170041184A (ko) 펜스
US6174065B1 (en) Modular illuminated panel display system
KR102214597B1 (ko) 채널간판 조립체
KR101700500B1 (ko) 가로수 지지대
KR20140054604A (ko) 문자 부착용 광고프레임
KR101433696B1 (ko) 공공시설 안내용 폴 사인
KR20100052032A (ko) 도로 미관 및 안전을 위한 휀스
JP2007270504A (ja) 建物の骨組
KR200407054Y1 (ko) 개량형 표지판
DE202005006234U1 (de) Leuchtvorrichtung
JP7014569B2 (ja) 表示装置
KR20220117037A (ko) 간판 프레임
JP2014185489A (ja) 道路用防眩ネット
USD1023355S1 (en) Road sign stand
KR200438305Y1 (ko) 입체간판용 채널 문자
CN209845285U (zh) 用于盆架的分体式压边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