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861A -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 - Google Patents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861A
KR20160145861A KR1020150081658A KR20150081658A KR20160145861A KR 20160145861 A KR20160145861 A KR 20160145861A KR 1020150081658 A KR1020150081658 A KR 1020150081658A KR 20150081658 A KR20150081658 A KR 20150081658A KR 20160145861 A KR20160145861 A KR 20160145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layer
pipe
upper concrete
bloc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성룡
신혜미
박진웅
김수인
김형조
양재원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파워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파워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1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5861A/en
Publication of KR2016014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8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현장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고, 내부에 구비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인도 또는 차도에 적설 및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배관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전도성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상부콘크리트층; 상기 상부콘크리트층의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상부콘크리트층의 외면으로 입구 및 출구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 상기 상부콘크리트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상부콘크리트층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관의 입구 또는 출구가 노출되는 상부콘크리트층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하부콘크리트층; 상기 확장부 상에 구비되며, 일단은 배관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한 상부콘크리트층에 형성된 배관의 출구 또는 입구에 연결되는 연결배관의 상,하부측이 삽입 안착되는 지지블록; 상기 확장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 및 상부콘크리트층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블록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투수성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nel-type auto-erosion concrete block, which blocks a concrete forming a guide rail or a roadway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n-site assembly and installation, and a high- It is possible to rapidly remove snow and freezing in the case where ice is formed and to form a thermally conductive concrete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pipes and to minimize the heat loss in the connecting pipe. An upper concrete layer; A pipe inserted into the upper concrete layer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being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A lower concrete lay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having an area equal to tha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as a whole and having an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f one side of an upper concrete layer in which an inlet or an outlet of the pipe is exposed; A supporting block which is provided on the expansion part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let or the outlet of the pipe and the other end inserted and se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or inlet of the pipe formed in the adjacent upper concrete layer; And a water permeable block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 height equal to a heigh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block is inserted.

Description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 panel,

본 발명은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현장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고, 내부에 구비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인도 또는 차도에 적설 및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배관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nel-type automatic pouring concrete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uring method of a prefab panel type automatic pouring concrete block, A prefabricated pip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pipes and minimizes the heat loss in the connection pipe, Panel-type auto-erosion concrete block.

최근 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80년간 겨울철 지속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으나, 국지성 기습강설 빈발 등 이상기후 징후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10년간 자연재난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대설 15회, 풍랑 4회로 총 19회의 자연재난이 발생하였다.Due to the recent global warming, the duration of winter has been shortening for the past 80 years in Korea, but the signs of abnormal weather such as frequent snow storms are increasing. When we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 disasters in the last 10 years, there were 19 natural disasters in total, 15 times in heavy snowfall and 4 times in storm surge.

겨울철에는 강설에 의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 교통두절과 정체로 인한 피해가 해마다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짧은 시간에 기습적인 폭설이 내릴 경우 도로상에 눈이 쌓여 차량정체·고립 등 교통대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강설 이후에는 대개 영하권의 온도가 지속되면서 대도시 등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적은 눈에도 빙판길이 예상되어 강설이 예보되는 날은 수백대의 제설차량과 인력이 동원되어 제설제를 살포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In winter, the damage caused by traffic disruption and congestion such as highways, national roads, and local roads caused by snowfall is happening every year.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heavy snowfall in a short time, snow accumulates on the roads, . In addition, after the snowfall, the subzero temperature is usually maintained, and in the areas with heavy traffic such as large cities, the ice is expected in less snow. Hundreds of snowmobiles and manpower are mobilized to spray the snowmelt when the snow is predicted ought.

따라서, 기후변화로 매년 예측이 어려운 기습적인 강설로 인한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동대처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며, 대부분의 사고는 눈이 내리는 상황이 아닌 결빙이나 서리가 내릴 경우이므로 강설 후 결빙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safety and damage of drivers and pedestrians due to surprise snowfall, which is difficult to predict every year due to climate change, the primary action is very important. Most accidents are caused by snow falling, frost or fros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icing after snowing.

이에, 결빙구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로에 염화칼슘을 뿌리거나 스크레이퍼 등의 제설차를 이용하여 제설작업을 하는 등의 방식으로 해빙 작업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제설 또는 해빙 작업에는 막대한 인력, 장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도로 정비작업에도 불구하고, 동절기에는 기온 저하에 의해 수시로 도로가 결빙되어 보행자나 자동차의 주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In order to remove the freezing section, sea ice work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calcium chloride is sprayed on the road or a snow removing work such as a scraper is used. However, such snow removal or thawing work requires a lot of manpower, equipment, and cost. Despite such road maintenance work, the roads are frozen from time to time due to the lowering of the temperature in the winter season, resulting in a lot of trouble in the running of the pedestrians and the automobiles.

또한, 제설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제설제는 주로 염화나트륨(NaCl)과 염화칼슘(CaCl2)이며, 제설제에 함유된 염소 이온은 대기에 노출되는 콘크리트에 동결융해 작용을 받을 시, 온도 구배차이에 따른 열충격(Thermal Shock)으로 조기열화를 촉진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제설제에 의한 반복적인 동결융해 작용에 교통하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도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피해 정도가 심각하고, 표면 스케일링(Surface Scaling), D 균열(D-Line Cracking), 팝-아웃(Pop-Out), 스폴링(Spalling) 등의 피해로 구조물의 내구성에 심각한 피해를 주게 되어 제설비용은 물론 도로의 복구비용까지 추가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snow remnants used for snow removal are mainly sodium chloride (NaCl) and calcium chloride (CaCl 2 ), and the chlorine ions contained in the snow remover are subjected to freezing and thawing in the concrete exposed to the atmosphere, Thermal shock is a major cause of accelerated early deterioration. Especially, the road concrete structures affected by repeated traffic freezing and thawing by the snow removers have severe damage, and surface scaling, D-line cracking, pop-out -Out), spalling, etc.,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is severely damaged, so that not only the snow removal cost but also the road recovery cost is added.

염화물계 제설제를 사용한 제설작업의 시행으로 인해 도로주변의 과수 및 농작물, 토양 등이 오염되는 등의 추가피해도 발생하여 국내·외 염화물계 제설제 사용피해 저감 방안으로 친환경 제설제 사용을 통한 피해저감 방안 및 강설 전에 살포하여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방동제를 살포하는 방법 등을 유도하고 있으나 높은 단가로 인하여 사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now removal process using chloride-based snow removers, additional damage such as pollution of fruit trees, crops, and soil around the roads has occurred, so that damage caused by the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now removers And a method of spraying an antiperspirant to prevent accumulation of snow by spraying before snowfall. However, this method is hardly used due to a high unit price.

한편, 강설시 초기대응이 가능한 발열포장(Snow melting cable)을 통하여 제설제를 사전에 차단하여 피해를 저감시키는 방안이 개발되었으나, 전기히터 방식의 융설, 결빙방지 포장은 고가의 초기 설치비용 및 운영에 따른 전력량의 소모가 높고, 도로포장의 조기손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친환경 융설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developed a method of reducing damages by blocking the snow removing agent through a snow melting cable capable of early response at the time of snowfall. However, the snow melting and anti-icing packaging of the electric heater method is expensive, And thus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nvironment friendly snow melting system based on new and renewable energy.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4-0017366호에서는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발열하는 히트선을 구비한 발열패널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로 결빙방지 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으나,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눈이 오는 날, 특히 강설이 이어지는 경우에 무용지물이 되며, 또한 집광면에 흙이나 먼지 등이 쌓여 오염되면 그 효율이 급격히 떨어져 비용대비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는 단지 도로면에 열을 전달하여 결빙을 해결하는 수단만을 개시한 것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기적 장치는 단선이나 작동불량과 같은 잔고장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7366 discloses a road icing prevention system including a heat generating panel assembly having a heat ray that receives electricity from sunlight and generates heat. However, Is ineffective in the case of snowing, especially when snowfall occurs, and when soil or dust is piled up on the light-collecting surface, the efficiency is rapidly reduced and the cost efficiency is low. In addition, this is merely a means of merely releasing means for solving freezing by transmitting heat to the road surface, and there is a concern that such an electric device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because of a concern about breakdown such as disconnection or mal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현장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고, 내부에 구비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인도 또는 차도에 적설 및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배관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concrete, A prefab panel for enabling quick removal of snow and icing on the roads or roads and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pipes and minimizing the heat loss in the connection pipe, Type auto-pouring concrete blo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도성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외면으로 입구 및 출구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20);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관(20)의 입구 또는 출구가 노출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확장부(32)가 형성되는 하부콘크리트층(30); 상기 확장부(32) 상에 구비되며, 일단은 배관(20)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한 상부콘크리트층(10)에 형성된 배관(20)의 출구 또는 입구에 연결되는 연결배관(42)의 상,하부측이 삽입 안착되는 지지블록(40); 상기 확장부(32)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 및 상부콘크리트층(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블록(40)이 삽입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는 투수성블록(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per concrete layer 10 formed of thermally conductive concrete; A pipe 20 inserted into the upper concrete layer 10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has the same area as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 lower concrete layer (30) on which an extension part (32) protru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42 is connected to an outlet or an inlet of the pipe 20 formed in the adjacent upper concrete layer 10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or the outlet of the pipe 20 at one end, A supporting block 40 o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inserted and seated; A water permeable block 50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extension part 32 and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51 into which the support block 40 is 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efab panel-type automatic pouring concrete block comprising:

이때, 상기 상,하부 지지블록(41,42)은 보온성을 갖는 재질 또는 보온력을 가진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upport blocks 41 and 42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warming property or a block having a heat insulating property.

또한,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과 하부콘크리트층(30)은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projections and grooves.

또한, 상기 확장부(32) 상에는 투수성블록(5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지면(2)과 연통하는 배출공(3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charge hole 34 communicating with the paper 2 is further formed on the extension 32 so as to facilitate discharg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water-permeable block 50.

또한, 상기 투수성블록(50)은 마주하는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30)과의 결합면 중 어느 일면과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permeable block 50 is formed to have a protrusion and a groove structure mutual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acing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30.

또한,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면은 상기 투수성블록(6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formed with a gradient 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permeable block 60 is coupl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은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하며, 블록화되어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블록의 파손 또는 이상이 발생 시 인도 및 차도를 전체적으로 교체하지 않고 해당 블록만 교체 또는 보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보수기간 및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fab panel-type auto-pouring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crete forming the guide or the driveway is blocked and is easy to be transferred and installed. Since the block is installed and thus the block is broken or damaged, It is possible to replace or repair only the block without replacing the road and the roadway as a whole,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period and maintenance cost.

또한, 하나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역시 상부콘크리트층, 하부콘크리트층 및 투수성블록으로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모듈 중 파손 또는 이상이 발생한 해당 모듈만을 교체 또는 보수가 가능하며, 내부에 삽입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면서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 또는 인원이 없어도 자동으로 도로 상에 형성된 적설 또는 결빙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하절기에는 배관으로 저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도로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one automatic pouring concrete block is also modularized into an upper concrete layer, a lower concrete layer and a permeable block, it is possible to replace or repair only the corresponding module in which each module is damaged or broken. Since the high-temperature fluid flows and the heat is transferre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snow or ice formed on the road automatically without any additional apparatus or personnel, and in the summer, the low temperature fluid flows through the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from rising above the temperature.

또한, 인접한 블록간에 설치된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안정되게 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가압으로부터 연결배관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연결배관에서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Further, by stably supporting the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pipes installed between the adjacent blocks,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onnection pipe from external impact or pressurization, and the heat loss in the connection pipe can be reduced.

또한, 상부콘크리트블록의 구배, 투수성블록 및 배출공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상에 체류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eat loss by minimizing the time for the fluid flow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gradient of the upper concrete block, the permeable block and the discharge hole to stay on the automatic block concrete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일부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상태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ate of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현장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고, 내부에 구비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인도 또는 차도에 적설 및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배관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콘크리트층(10), 상부콘크리트층(10) 내의 배관(20), 하부콘크리트층(30), 연결배관(50), 연결배관(50)의 지지블록(41,42) 및 투수성블록(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blocking a concrete that forms a roadway or a roadway and facilitating the transportation, field assembly and installation, and when a high temperature fluid is flowed through a piping provided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 panel-type auto-snow removal concrete block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pipes and minimizing heat loss in a connection pipe, The piping 20 in the upper concrete layer 10, the lower concrete layer 30, the connecting pipe 50, the supporting blocks 41 and 42 of the connecting pipe 50 and the water permeable block 60 .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은 차도 또는 인도 등의 도로의 상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동절기에 적설 또는 결빙이 발생 시 내부에 삽입된 배관(20)을 유동하는 뜨거운 유체의 열기를 받아 상부콘크리트층(10) 상면의 적설 또는 결빙을 녹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부콘크리트층(10)은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시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배관(20) 내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열기를 빠르게 상면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oncrete layer 10 forms an upper surface of a road such as a roadway or a sidewalk and receives heat of hot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ing 20 inserted therein when snow or ice occurs in the winter season, ) This is a structure for melting snow on the upper surface or melting ic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concrete so as not to be easily broken when a person or a vehicle is traveling, and to transmit the heat of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 20 to the upper surface quickly.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면은 적설 또는 결빙이 제설 또는 해빙되며 발생하는 유체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상부콘크리트층(10) 내부로 유입되어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후술되는 투수성블록(6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S)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면에서는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구배(S)의 각도를 과장되게 도시하였으나, 실제 사용 시에는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시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부를 흐르는 유체가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는 각도를 산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각도로 구배(S)가 형성되도록 한다.5,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formed in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n order to prevent the generated fluid or the fluid flowing from the outside from flowing into the upper concrete layer 10 due to snowfall or icing,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gradient 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permeable block 60 described later is combined. In this case, although the angle of the gradient S is exaggerated in order to clarify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tual use, the obstacle does not occur during passage of a person or vehicle, and the fluid flow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So that the gradient S is form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상기 배관(20)은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부콘크리트층(10) 내부에 삽입되어 열원(70)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양태에 따라 상부콘크리트층(10)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전면적에 걸쳐 고른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20)의 입구 및 출구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도 1에서는 일실시예로 배관(20)의 입구 및 출구가 상부콘크리트층(10)의 동일면에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사용양태에 따라 상호 다른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ipe 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s shown in FIGS. 1 and 6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ied from the heat source 70 can flow,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inside the concrete layer 10.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pipe 20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may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so as to be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 In FIG. 1,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pipe 20 are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but may be ex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age.

상기 하부콘크리트층(30)은 상부콘크리트층(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고, 배관(20)에서 배출되는 열기가 하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관(20)을 기준으로 상향 열류량을 최대화하고, 하향 열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하부콘크리트층(30)은 상부콘크리트층(1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concrete layer 3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to support the lower concrete layer 30 to minimize the heat transfer from the pipe 20 to the downward direction and to maximize the upward flow rate with respect to the pipe 20 And to minimize the downward heat flux. For this purpose, the lower concrete layer 30 is preferably made of concrete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upper concrete layer 10.

이때, 상부콘크리트층(10)과 하부콘크리트층(30)은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되더라도 상부콘크리트층(10)이 하부콘크리트층(30) 상에서 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최초 결합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강도가 향상된다.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30 are formed to have a protrusion and a groove structure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concrete layer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concrete layer 30, The coupling strength for maintaining the initially engaged position is improved.

또한, 하부콘크리트층(30)은 전체적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되,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배관(20)의 입구 또는 출구가 노출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확장부(3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부(32)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이 연속하여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에 구비된 배관(2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배관(50)이 외부로 노출되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20)의 상부에 투수성블록(6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1 and 2, the lower concrete layer 30 has the same area as tha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10 has an inlet or an outlet of the pipe 20 exposed. An extension portion 32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is integrally formed. 4, when the plurality of auto-erosion concrete blocks are continuously disposed, the expansion pipe 32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ipe 50 for interconnecting the pipes 20 provided in the respective auto-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water-permeable block (60) can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pe (20) to prevent heat loss from being exposed.

이때, 상기 확장부(32) 상에는 투수성블록(6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지면(2)과 연통하는 배출공(34)이 더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면, 투수성블록(60) 및 배출공(34)을 순차적으로 통해 외부의 유체가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관(20)의 전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exhaust hole 34 communicating with the paper 2 is further formed on the extension 32 so that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water-permeable block 60 can be easily discharged. This minimizes the permeation of the external fluid into the inside of the auto-erosion concrete block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the permeable block 60 and the discharge hole 34 in order, Can be maximized.

상기 연결배관(50)의 일단은 배관(20)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한 상부콘크리트층(10)에 형성된 배관(20)의 출구 또는 입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50 is connected to the inlet or the outlet of the pipe 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or inlet of the pipe 20 formed in the adjacent upper concrete layer 10.

상기 배관(20)의 입구 및 출구가 동일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하부콘크리트층(30)의 일측면에만 확장부(32)가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배관(20)의 입구 및 출구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노출되는 경우 확장부(32)는 배관(20)의 입구 및 출구가 노출되는 각각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pipe 20 are expos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expansion portion 32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lower concrete layer 30.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ensions 32 may be formed in respective directions in which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pipe 20 are exposed.

상기 연결배관(50)은 상부콘크리트층(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투수성블록(60)에 의해 감싸져 있긴 하나, 연결배관(50)의 주위로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외력이나 강한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고, 투수성블록(60) 만으로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는 연결배관(50)의 열손실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한 연결배관(50)과의 밀착 구성을 필요로 한다.The connection pipe 5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is surrounded by the water permeable block 60. However, since a space is formed around the connection pipe 50, unexpected external force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or damaged by a strong impact and a close contact structure with the connection pipe 50 for minimizing the heat loss of the connection pipe 50 which can not be completely solved only by the water permeable block 60 is required .

이에,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배관(50)의 상,하부측에 지지블록(41,42)을 구비한다. 이때 상,하부 지지블록(41,42)은 연결배관(50)의 상,하부측에 대응되어 연결배관(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홈을 형성함으로써 연결배관(5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하부 지지블록(41,42)은 보온성을 갖는 재질 또는 보온력을 가진 블록으로 구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2 and 5, the support blocks 41 and 42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on pipe 5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upport blocks 41 and 42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on pipe 50, respectively, so that the connection pipe 5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connection pipe 5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blocks 41 and 42 are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thermal insulation or a block having thermal insulation.

지지블럭(41,42)은 연결배관(50)의 외부를 감싸면서 하부측으로는 하부콘크리트층(30)에 밀착되도록 하고, 일측부는 상부콘크리트층(10)에 밀착되도록 하며, 타측부와 상부는 투수성블록(60)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가압으로 인한 연결배관(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blocks 41 and 42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50 and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oncrete layer 30 at the lower side and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t one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ipe 50 from being damaged due to external impact or pressure.

상기 투수성블록(60)은 하부콘크리트층(30)의 확장부(32)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 및 상부콘크리트층(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확장부(32)의 상면에 안착되며, 이때 확장부(32)에 안착 구비된 지지블록(41,42)을 밀착 감싸도록 지지블록(41,42)의 양측에는 삽입홈(61)이 형성된다.The water-permeable block 60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area of the extension portion 32 of the lower concrete layer 30 and the heigh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t this time, insertion grooves 6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locks 41 and 42 so as to tightly enclose the support blocks 41 and 42 which are seated on the extension part 32.

투수성블록(60)은 상술된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20)에 결합구성과 같이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30)과의 결합면 중 어느 일면과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시 확장부(32)의 상면에 결합되는 투수성블록(6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water-permeable block 60 is provided on either the upper or lower concrete layer 1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20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layers 10, Protrusions and groove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water-permeable block 60,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ding portion 32, from being changed when the vehicle or the vehicle is traveling.

상기 투수성블록(60)은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20) 처럼 별도의 블록화된 상태로 제공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 확장부(32) 상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상에 투수성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water-permeable block 60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block state, such as an upper concrete layer 10 and a lower concrete layer 20, and may be assembled and formed into a shape on the expansion portion 32 , And pervious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on the surface.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은 사용하고자 하는 인도 또는 차도의 면적을 계산하여 그 크기를 결정한다.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인도 또는 차도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콘크리트 블록을 밀착시켜 배치하되,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30)을 우선적으로 배치한다.The above-described prefab panel-type auto-pouring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area of the guide or roadway to be used and determines its size. Referring to FIG. 6, the concrete block is closely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guide or the roadway,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30 are disposed preferentially.

그 다음,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의 배관(20)을 연결배관(50) 및 열원(70)의 공급관 및 회수관에 연결하고, 마지막으로, 외부로 노출된 연결배관(50)을 보호하면서 연결배관(50)을 유동하는 유체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지블록(41,42)으로 연결배관(50)의 상하부를 감싸고, 지지블록(41,42)을 밀착 감싸면서 하부콘크리트층(30) 확장부(32)의 면적에 대응되는 투수성블록(60)을 결합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Next, the pipe 20 of each concrete block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50 and the supply pipe and the return pipe of the heat source 70. Finally, while the connection pipe 50 exposed to the outside is protecte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ion pipe 50 are wrapped by the support blocks 41 and 42 to minimize the heat loss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lower concrete layer 3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30, (60)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water-permeable block (32).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은 동절기에 적설 또는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 열원(70)으로부터 고온의 유체를 공급받아 배관(20)으로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며, 이에 배관(20)은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며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콘크리트층(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부콘크리트층(10)은 하부콘크리트층(3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관(20)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향 열류량을 최대화하고, 하향 열류량을 최소화시켜 열전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e prefab panel-type automatic snow-remaine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now or ice occurs in the winter season, the high temperature fluid is supplied from the heat source 70 to allow the high temperature fluid to flow to the pipe 20, The piping 20 conveys the heat generated by the high temperature fluid to the upper concrete layer 10. Since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high thermal conductivity as compared with the lower concrete layer 30, the heat generated in the pipe 20 maximizes the upward heat flux, minimizes the downward heat flux, Can be maximized.

이와 같이 배관(20)을 유동하는 고온 유체의 열전달을 통해 자동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 상에 형성된 적설 또는 결빙을 신속하게 녹임으로써, 보행자 또는 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now or ice formed on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automatically melted through the heat transfer of the hot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 20, so that the passage of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때, 적설 또는 결빙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유체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구배(S)를 따라 투수성블록(60) 측으로 유동하고, 투수성블록(60)을 통해 하방으로 유동한 유체는 하부콘크리트층(30)의 확장부(32)에 형성된 배출공(34)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통과하여 콘크리트 블록 사에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관(20)을 통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luid generated by snow melting or freezing flows to the side of the water-permeable block 60 along the gradient S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fluid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wat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through the pipe 20 by minimiz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fluid to quickly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34 formed in the expansion portion 32 of the concrete layer 30 to the outside so as to allow the fluid to stay in the concrete block .

이와 반대로, 하절기에는 인도 또는 차도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배관(20)을 통해 저온의 유체를 통과시켜 인도 또는 차도의 온도를 낮춰줄 수 있다.Conversely, during the summ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elivery or driveway rises excessively, the low temperature fluid can be passed through the pipe 20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delivery or driveway.

10 : 상부콘크리트층 20 : 배관
30 : 하부콘크리트층 32 : 확장부
41, 42 : 지지블록 50 : 연결배관
60 : 투수성블록 61 : 삽입홈
10: upper concrete layer 20: piping
30: lower concrete layer 32:
41, 42: support block 50: connection piping
60: water permeable block 61: insertion groove

Claims (6)

열전도성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외면으로 입구 및 출구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20);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관(20)의 입구 또는 출구가 노출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확장부(32)가 형성되는 하부콘크리트층(30);
상기 확장부(32) 상에 구비되며, 일단은 배관(20)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한 상부콘크리트층(10)에 형성된 배관(20)의 출구 또는 입구에 연결되는 연결배관(50)의 상,하부측이 삽입 안착되는 지지블록(41,42);
상기 확장부(32)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 및 상부콘크리트층(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블록(41,42)이 삽입되는 삽입홈(61)이 형성되는 투수성블록(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An upper concrete layer 10 formed of thermally conductive concrete;
A pipe 20 inserted into the upper concrete layer 10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has the same area as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 lower concrete layer (30) on which an extension part (32) protru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50 is connected to the outlet or inlet of the pipe 20 formed in the adjacent upper concrete layer 10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or the outlet of the pipe 20 at one end, (41, 42) into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inserted and sea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re covered with the supporting block 41, (60), wherein the prefab panel-type self-pouring concrete block (60)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블록(41,42)은 보온성을 갖는 재질 또는 보온력을 가진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blocks (41, 42)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thermal insulation or a block having thermal ins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과 하부콘크리트층(30)은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projections and gro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32) 상에는 투수성블록(6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지면(2)과 연통하는 배출공(3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charge hole (34) communicating with the ground surface (2) is further formed on the extension part (32) so as to facilitate discharge of fluid flowing through the water - permeable block (60)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블록(60)은 마주하는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30)과의 결합면 중 어느 일면과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permeable block (6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30) by protrusions and grooves. Snow-removal concrete blo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면은 상기 투수성블록(6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op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formed with a gradient (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permeable block (60) is engaged.
KR1020150081658A 2015-06-10 2015-06-10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 KR201601458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658A KR20160145861A (en) 2015-06-10 2015-06-10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658A KR20160145861A (en) 2015-06-10 2015-06-10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861A true KR20160145861A (en) 2016-12-21

Family

ID=5773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658A KR20160145861A (en) 2015-06-10 2015-06-10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586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1670A1 (en) * 2017-04-13 2018-10-18 Porous Technologies, Llc Precast porous concrete with cast-in condui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1670A1 (en) * 2017-04-13 2018-10-18 Porous Technologies, Llc Precast porous concrete with cast-in condui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ugster Road and bridge heating using geothermal energy. Overview and examples
KR102197761B1 (en) Upward heat concentrating snow melting system and its installation method using electric heat line on paved roads
KR101877843B1 (en) Power-saving typed snow melting system for road
CN102322012A (en) Automatic snow-melting and deicing road
CN203440731U (en) Combined snow melting and ice melting device for road
KR101145611B1 (en) Snow mel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smart geothermal heatpump
KR100955863B1 (en) Expansion joint for icicle preventing
KR100987790B1 (en) Device of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using earth heat
KR101488416B1 (en) Facilities utilizing new and renewable sources of geothermal cooling and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nowmelt road
KR101727154B1 (en) Snow melting block with enhanced water permeable
KR20160145861A (en)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
KR100969985B1 (en) Device of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using earth heat
KR101326251B1 (en) Snow melting system using natural energy
KR20150109902A (en) A freezing removal system for road using solar photovoltaic power and electric conduction concrete
KR100349262B1 (en) Preventing road-freezing system
CN203613432U (en) Novel road structure
KR20160048333A (en)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CN218291487U (en) Asphalt pavement capable of removing ice and melting snow
KR200473591Y1 (en) Apparatus for melting frozen road using exhaust gas
KR200383499Y1 (en) Preventing road-freezing device structure
KR102665040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wires in upward heat concentrated snow melting system on paved roads
KR101561577B1 (en) Apparatus for maintenancing road and preventing slipping on the road
Friar et al. Evaluation of a fixed anti-icing spray system
KR20240044628A (en) An eco-friendly antiicing road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05368905U (en)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bines track roof beam heating steel pipe ice -melt snow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