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530A -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530A
KR20160145530A KR1020160169299A KR20160169299A KR20160145530A KR 20160145530 A KR20160145530 A KR 20160145530A KR 1020160169299 A KR1020160169299 A KR 1020160169299A KR 20160169299 A KR20160169299 A KR 20160169299A KR 20160145530 A KR20160145530 A KR 20160145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terminal
compliment
praise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일
Original Assignee
정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일 filed Critical 정광일
Priority to KR102016016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5530A/ko
Publication of KR2016014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칭찬 메시지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훈련대상 동물에게 칭찬 메시지를 인식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상기 동물의 신체나 훈련 목적상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칭찬 메시지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동물이 훈련 목적상 필요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nimal training apparatus by using compliment message}
본 발명은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칭찬 메시지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훈련대상 동물에게 칭찬 메시지를 인식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상기 동물의 신체나 훈련 목적상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칭찬 메시지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동물이 훈련 목적상 필요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구조의 변화에 따라 핵가족이 확산되면서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제 애완동물은 단순한 사육동물이 아니라 하나의 가족이 구성원이나 인생의 동반자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애완동물들이 사람들과 함께 하나의 주거 공간 내에서 생활을 하는 필요한 기본적인 행동 양식을 습득하고 나아가 사람들과 정서적인 교감을 나눌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동물 훈련장치로서, 종래에는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행동, 예를 들면 개가 사람을 공격하거나 지나치게 짖을 경우, 또는 벽지나 물건 등을 물어뜯는 행동을 할 때 그 동물에게 물리적 충격을 가하여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억압하는 장치들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 제10-0257879호(2000년 03월 06일)에는 동물의 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동물에게 충격파나 진동과 같은 충격을 주면서 동물을 훈련시키는 동물 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소개되어 있고, 특허 제10-0417198호(2004년 01월 19일)에는 개의 목 부위에 짖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와 충격파를 발생하는 충격파 발생기를 부착하여 개가 짖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충격파를 발생하는 동물 짖음 방지 및 훈련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또한, 특허 제10-0641657호(2006년 10월 26일)에는, 동물에게 전기적 충격이나 동물 훈련자의 음성 또는 동물의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전기 충격을 발생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동물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고, 오디오를 전달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동물에게 훈련자의 음성이나 동물의 소리를 전달하는 수신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이외에도 특허 제10-1094854호(2011년 12월 09일)에는 동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할 때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진동과 함께 동물이 싫어하는 냄새를 분사하거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동물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동물의 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특허 제10-0257879호(2000년 03월 06일) 특허 제10-0417198호(2004년 01월 19일) 특허 제10-0641657호(2006년 10월 26일) 특허 제10-1094854호(2011년 12월 09일)
이상 살핀 바와 같이, 종래의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들은 훈련 과정에서 동물들에게 물리적 충격이나 전기적 자극을 가하기 때문에 동물들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심하면 다른 정서적 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물 주인의 입장에서 보면, 가족처럼 친근한 애완동물에게 이러한 종래의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는 일이라 할 것이다.
또한 애완동물 이외에 장애인 보조견이나 마약 탐지견, 수색견, 경비견 등을 훈련시킬 경우에는 단순히 사람들이 싫어하는 행동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넘어 특수한 재능을 발굴하거나, 주인의 지시에 순종하는 동작, 의사 표시 등을 훈련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동물 훈련 장치들은 이러한 특수견들을 훈련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훈련 대상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물리적 충격이나 전기적 자극을 가하지 않고 청각적, 시각적인 칭찬 메시지를 통해서 동물들이 스스로 칭찬받는 행동을 기억하고 이를 반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 보조견이나 마약 탐지견, 수색견, 경비견 등과 같은 특수견을 효율적으로 훈련하기에 적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아파트와 같이 일정한 생활공간 내에서 생활하는 애완동물들의 동선(動線)이나 통태 등을 자동적으로 조사하여 그 동물의 습관이나 건강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는, 훈련대상 동물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훈련 목적상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훈련자가 지참하고 상기 단말기를 각각 제어하는 리모콘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훈련대상 동물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사용되는 칭찬음(S)을 발생하는 칭찬음 출력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접수된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칭찬음 출력부가 칭찬음(S)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모콘은, 상기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칭찬음 발생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단말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부가 상기 단말기로 칭찬음 발생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리모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에는 추가적으로 칭찬광 발광부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칭찬광 발광부는 상기 훈련대상 동물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사용되는 칭찬광(L)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는 RFID 태그가 설치되어 있는 제1 단말기와 RFID 리더기가 설치되어 있는 제2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모콘에는 상기 RFID 태그와 상기 RFID 리더기가 일정한 거리 이내로 접근한 회수와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은, 훈련대상 동물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사용할 칭찬음(S)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를 각각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동물에게 상기 칭찬음(S)을 들려주고 상기 동물이 좋아하는 칭찬과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칭찬음(S)을 자신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인식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상기 동물의 신체 또는 훈련 목적상 필요한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칭찬 메시지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동물에게 훈련 목적상 필요한 행동을 스스로 기억하여 반복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칭찬음(S)과 함께 추가적으로 칭찬광(L)을 상기 동물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은, 동물들에게 물리적 충격이나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어떤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칭찬 메시지를 이용하여 동물들이 스스로 칭찬 받는 행동을 기억하여 이를 반복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훈련과정에서 동물들이 스트레스를 전혀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은, 애완동물은 물론, 장애인 보조견이나 마약 탐지견, 수색견, 경비견 등과 같은 특수견들을 대상으로 특수한 재능을 발굴하거나 주인의 지시에 순종하는 동작, 의사 표시 등을 효율적으로 훈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은, 아파트와 같이 일정한 생활공간 내에서 생활하는 애완동물들의 동선이나 습관, 건강 상태 등을 파악하여 이를 훈련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a)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10b)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리모콘(20)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 기술과 동일한 것이나, 공지 기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은, 먼저 칭찬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말기(10)와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20)을 준비한다. 상기 단말기(10)는 훈련대상 동물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훈련 목적상 필요한 장소에 부착하는 것으로,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두개 이상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리모콘(20)은 훈련자가 지참하고 상기 단말기(10)를 제어하는 것으로, 한 개 만으로도 충분하다.
상기 단말기(10)에는, 상기 리모콘(20)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와, 상기 훈련대상 동물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사용되는 칭찬음(S)을 발생하는 칭찬음 출력부(12)와, 상기 무선수신부(11)를 통해 접수된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칭찬음 출력부(12)가 칭찬음(S)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20)에는, 상기 단말기(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칭찬음 발생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1)와, 상기 단말기(20)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22)와, 상기 입력부(21)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부(22)가 상기 단말기(10)로 칭찬음 발생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리모콘 제어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21)로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고, 상기 리모콘 제어부(23)로는 마이컴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10)와 상기 리모콘(20)을 이용하여 훈련대상 동물에게 상기 칭찬음(S)을 들려준 후에 칭찬과 보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동물에게 그 소리를 자신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인식시킨다. 본 발명에서‘칭찬음(S)’은, 훈련 목적상 훈련자가 훈련대상 동물에게 해당 동물을 칭찬하는 메시지로 인식시킨 특정한 소리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동물에게 칭찬음(S)을 인식시키기 위한 칭찬과 보상은 예컨대 눈맞춤(eye contact)을 하면서 해당 동물을 쓰다듬어 주거나 간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칭찬음(S)은 ‘?煉?이나 ‘톡’등과 같은 단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 미솔에 해당하는 음계를 가진‘딩동댕’등의 멜로디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잘했어’등의 음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훈련대상 동물이 개인 경우, 음정이 저음 보다는 고음인 것이 바람직하고, 남자 목소리 보다는 여자 목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10)에는 추가적으로 칭찬광 발광부(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칭찬광 발광부(14)는 상기 훈련대상 동물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사용되는 칭찬광(L)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칭찬광(L)’은, 훈련 목적상 훈련자가 훈련대상 동물에게 해당 동물을 칭찬하는 메시지로 인식시킨 빛을 의미한다. 즉, 훈련대상 동물에게 특정한 빛을 보여준 후에 칭찬과 보상 제공하면, 상기 동물은 그 빛을 자신에 대한 칭찬 메시지, 즉 칭찬광(L)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칭찬광(L)은 밝은 녹색이나 붉은색 점멸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칭찬음 출력부(12)로는 스피커를 사용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13)는 마이컴을 사용하며, 상기 칭찬광 발광부(14)로는 엘이디(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10)를 상기 동물의 신체 또는 훈련 목적상 필요한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20)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칭찬 메시지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동물이 훈련 목적상 필요한 행동을 스스로 기억하여 반복하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어, 애완견에게 ‘앉아’‘굴러’‘악수’등과 같은 간단한 동작을 훈련하고자 할 경우, 상기 단말기(10)를 애완견의 목걸이나 어깨띠, 또는 조끼 등에 부착하고, 훈련자가 ‘앉아’,‘굴러’등의 동작을 지시한 다음, 상기 애완견이 지시한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리모콘(20)의 입력부(21)를 눌러서 상기 단말기(10)의 칭찬음(S)과 칭찬광(L)을 발생시킨다.
또한, 고양이를 새로 준비한 고양이 집으로 안내 하는 훈련을 할 경우, 새 집에다 상기 단말기(10)를 부착해 놓고, 상기 리모콘(20)으로 칭찬음(S)과 칭찬광(L)을 발생시켜서 고양이와 눈맞춤(eye contact)을 하면서 고양이의 시선을 새 집으로 유도한 다음, 상기 칭찬음(S)과 칭찬광(L)을 이용하여 고양이를 새 집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련장치의 제어방법은, 특수견을 훈련하는 데도 매우 효과적이다. 예컨대 마약 탐지견을 훈련할 경우, 두개의 단말기(10)를 준비하여 하나는 탐지견의 몸에 부착하고, 다른 하나는 마약 은닉 장소 근처에 설치한다. 그리고 리모콘(20)을 이용하여 칭찬광 발광부(14)에서 칭찬광(L)을 발광시켜서 탐지견의 관심과 시선을 마약 은닉 장소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탐지견과 눈맞춤(eye contact)을 하면서 칭찬음(S)과 칭찬광(L)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탐지견이 마약 은닉 장소를 성공적으로 찾아내면, 상기 단말기(10)에서 칭찬음(S)과 칭찬광(L)을 발생시키면서 적절한 칭찬과 보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10)로서 RFID 태그(15)가 설치된 제1 단말기(10a)와 RFID 리더기(16)가 설치된 다수개의 제2 단말기(10b)를 준비하고, 상기 RFID 리더기(16)는 일정한 거래 내에 인접한 RFID 태그(15)를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20)에는 상기 RFID 태그(15)와 상기 RFID 리더기(16)가 일정한 거리 이내로 접근한 회수와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24)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10b)에는 상기 RFID 리더기(16)가 상기 RFID 태그(15)를 인식한 회수와 시간을 상기 리모콘(20)으로 송신하는 하는 송신부(18)를 설치하고, 상기 리모콘(20)에는 상기 송신부(18)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접수하는 수신부(25)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RFID 리더기(16)가 상기 RFID 태그(15)를 인식한 회수와 시간을 집계하면, 예컨대 일정한 생활공간 내에서 반복되는 애완동물의 동선(動線)이나 습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주인들이 모두 외출하고 애완동물만 아파트 내에 남아 있을 때, 제1 단말기(10a)는 애완동물의 몸에 부착하고, 상기 제2 단말기(10b)는 예컨대 동물 집, 동물 배변장소, 먹이통, 부엌, 화장실 등에 비치해 두면, 애완동물의 동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자료를 근거로 하여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나 습관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10)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칭찬음(S)과 칭찬광(L)을 발생하는 타이머(17)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17)는 단말기(10)를 동물의 배변장소나 먹이통에 설치해 두고, 일정한 시간마다 칭찬음(S)과 칭찬광(L)을 발생시켜서 상기 동물이 정해진 시간에 배변하거나 사료를 먹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20)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는 본 발명에 대한 사용 매뉴얼을 설치할 수 있다.
10,10a,10b; 단말기 11,25; 수신부
12; 칭찬음 출력부 13; 단말기 제어부
14; 칭찬광 발광부 15; RFID 태그
16; RFID 리더기 17; 타이머
18,22; 송신부 20; 리모콘
21; 입력부 23; 리모콘 제어부
24; 표시부

Claims (3)

  1. 훈련대상 동물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사용할 칭찬음(S)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를 각각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콘(20)을 준비하는 A 단계와;
    상기 단말기(10)와 상기 리모콘(20)을 이용하여 상기 동물에게 상기 칭찬음(S)을 들려주고 상기 동물이 좋아하는 칭찬과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칭찬음(S)을 자신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 인식시키는 B 단계와;
    상기 단말기(10)를 상기 동물의 신체 또는 훈련 목적상 필요한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 C 단계와;
    상기 리모콘(20)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칭찬 메시지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동물이 훈련 목적상 필요한 행동을 스스로 기억하여 반복하도록 유도하는 D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에 대한 칭찬 메시지로는 상기 칭찬음(S)과 함께 추가적으로 칭찬광(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0)는 RFID 태그(15)가 설치되어 있는 제1 단말기(10a)와, 일정 거리 내에서 상기 RFID 태그(15)를 인식하는 RFID 리더기(16)가 설치되어 있는 제2 단말기(10b)를 준비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동물의 신체에는 상기 제1 단말기(10a)를 부착하고, 훈련 목적상 필요한 장소에는 각각 상기 제2 단말기(10b)를 설치하며,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상기 RFID 리더기(16)가 상기 RFID 태그(15)를 인식한 회수와 시간을 집계하여 상기 동물의 동태와 습관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69299A 2016-12-13 2016-12-13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145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299A KR20160145530A (ko) 2016-12-13 2016-12-13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299A KR20160145530A (ko) 2016-12-13 2016-12-13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197A Division KR101712383B1 (ko) 2015-02-25 2015-02-25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530A true KR20160145530A (ko) 2016-12-20

Family

ID=5773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299A KR20160145530A (ko) 2016-12-13 2016-12-13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553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879B1 (ko) 1998-02-19 2000-06-01 소호연 동물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17198B1 (ko) 2001-12-21 2004-02-05 김준수 동물 짖음방지/훈련 장치
KR100641657B1 (ko) 2005-03-31 2006-11-03 기 현 이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101094854B1 (ko) 2009-08-06 2011-12-15 소호연 동물의 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879B1 (ko) 1998-02-19 2000-06-01 소호연 동물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17198B1 (ko) 2001-12-21 2004-02-05 김준수 동물 짖음방지/훈련 장치
KR100641657B1 (ko) 2005-03-31 2006-11-03 기 현 이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101094854B1 (ko) 2009-08-06 2011-12-15 소호연 동물의 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0357A1 (en) Data-acquiring and reporting animal collar
Jackson et al. FIDO-facilitating interactions for dogs with occupations: wearable dog-activated interfaces
US20080236514A1 (en) Tr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Training an Animal to Adapt Its Behavior to Various Environments
Jackson et al. FIDO—Facilitating interactions for dogs with occupations: wearable communication interfaces for working dogs
US10123510B2 (en) Animal training system
Simpson Canine communication
CN201319797Y (zh) 项圈式宠物训练装置
CN101014240A (zh) 用于犬科、猫科或其他动物的训练指导系统
Masson et al. Electronic training devices: discussion on the pros and cons of their use in dogs as a basis for the position statement of the European Society of Veterinary Clinical Ethology
Christensen et al. Do horses generalise between objects during habituation?
CN108184810A (zh) 驱逐装置的控制系统
US11832589B2 (en) Animal communication assistance system
US7990274B2 (en) Call system for location and training of a cat or other domestic animal
US202002679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auditory stimulus
Yeon The vocal communication of canines
US20080168953A1 (en) Device to be Attached to or to be Worn by an Animal for Indicating the Physiological Status of the Animal
KR101724804B1 (ko) 동물 감정 표현 장치와 동물 감정 유발 장치가 쌍을 이루어 상호작용하는 동물 감정 표현 시스템
KR101712383B1 (ko)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
US20050154592A1 (en) Vocal connection system between humans and animals
KR20160145530A (ko) 칭찬 메시지를 이용한 동물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US9324244B1 (en) Distributed multi-nodal operant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KR20200088684A (ko) 반려견 분리불안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음향발생장치
US20170372567A1 (en) Pet communication device
US10925257B2 (en) Remote canine training device
WO2005081227A1 (en) Device for translating messages and mental states between animals and spe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