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440A -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440A
KR20160145440A KR1020150082150A KR20150082150A KR20160145440A KR 20160145440 A KR20160145440 A KR 20160145440A KR 1020150082150 A KR1020150082150 A KR 1020150082150A KR 20150082150 A KR20150082150 A KR 20150082150A KR 20160145440 A KR20160145440 A KR 20160145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nhole
sewage
hos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개발
Priority to KR102015008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5440A/ko
Publication of KR2016014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상으로 우회한 하수가 유입되는 하류측 맨홀 인근에 간단히 설치되어 하류측 맨홀과 지면과의 단차가 큰 경우에도 호스나 파형관으로 인한 꺾임이나 병목현상 없이 하수의 유출경로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하부에는 제1맨홀로부터 지상으로 유출되는 하수를 안내하는 제1호스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본체 상부에는 제2맨홀에 유입되는 제2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구로 유입된 하수가 그 유입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출되도록 한 유출구가 형성되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연결구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점차 차오르면서 상기 유출구에 이르러 유출될 수 있도록 챔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물돌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상으로 우회한 하수가 유입되는 하류측 맨홀 인근에 간단히 설치되어 하류측 맨홀과 지면과의 단차가 큰 경우에도 호스나 파형관으로 인한 꺾임이나 병목현상 없이 하수의 유출 경로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돌리기 공사는 흐르는 하수가 매설된 관로를 우회하여 흐르도록 조처하는 공사를 가리키며, 지하에 매설된 관로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공사나 CCTV 촬영 등과 같은 각종 비굴착 공사나 작업에 우선하여 거의 필수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관로의 보수를 위해 중장비를 이용하여 토사를 굴착하는 굴착공사 대신 토사를 굴착하지 않고서도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비굴착 공사 및 관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보수가 필요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촬영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비굴착 공사 및 CCTV 촬영은, 굴착공사가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면서 도로 파손은 물론 지하에 매설된 통신케이블, 전력케이블 및 도시가스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크고, 장기간에 걸친 교통흐름 장애와 많은 위험부담이 따르는 것에 비해 상기 굴착공사가 야기하는 대부분의 문제들을 해소하는 관계로 도심지역이나 신도시 택지개발 현장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비굴착 공사 및 CCTV 촬영 작업이 공사현장에서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이에 선행되는 물돌리기 작업 역시 이전 어느 때보다 절실해지고 있다.
종래의 물돌리기 방법에 따르면, 지상에 대형 양수기를 설치하고 맨홀을 통하여 하수를 퍼올리는 방식으로 물돌리기 작업을 실시하였으나, 이같은 방법은 전력 소모량이 많고 이동하기 불편한 대형의 양수기를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대형의 양수기일지라도 양수기가 펌핑하여 퍼올릴 수 있는 하수의 양이 제한되어 있는 관계로 하수의 양이 많지 않은 소형의 관로들을 대상으로는 물돌리기 작업이 가능하나 차집관로와 같이 하수의 양이 많은 중ㅇ대형의 관로들에서는 물돌리기 작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양수기 없이 상류와 하류측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물돌리기를 실시하는 혁신적인 자연유하 방식의 물돌리기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기도 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연유하 방식의 물돌리기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자연유하 방식의 물돌리기 방법은 상류측 맨홀(M1)과 하류측 맨홀(M2)을 사이에 두고 지상에서 물돌리기 호스(130)와 파형관(12)(ELP)을 연결하고, 상류측 맨홀 입구를 막으면서 상류측 맨홀 내부에서 차오로는 하수를 지상으로 유출하는 장치(12)와 중간관로의 상류측 입구를 차단하는 장치(11)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었다.
이같은 방식에 의하면 양수기 없이도 상류와 하류측의 수위차만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물돌리기를 실시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하류측 맨홀(M2)에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파형관(14)이 구부러지면서 호스(13)와의 연결부위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기가 쉽고, 동절기에는 파형관(14)이 얼어서 강직한 성질을 갖는 관계로 불에 달구더라도 원하는 방향으로 꺾이거나 휘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파형관(14)이 인입되는 하류측 맨홀(M2) 입구가 높게 돌출되어 지면과의 단차가 큰 경우에는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여 물돌리기 공사를 진행하기가 불가능할 정도에 이르곤 하였다.
공개특허 10-2005-010106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으로 우회한 하수가 유입되는 하류측 맨홀 인근에 간단히 설치되어 하류측 맨홀과 지면과의 단차가 큰 경우에도 호스나 파형관으로 인한 꺾임이나 병목현상 없이 하수의 유출경로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과 하류측에 위치한 제1맨홀과 제2맨홀 사이에 위치한 중간관로를 우회하여 물돌리기를 수행하기 위한 물돌리기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하부에는 상기 제1맨홀로부터 지상으로 유출되는 하수를 안내하는 제1호스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본체 상부에는 상기 제2맨홀에 유입되는 제2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구로 유입된 하수가 그 유입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출되도록 한 유출구가 형성되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연결구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점차 차오르면서 상기 유출구에 이르러 유출될 수 있도록 챔버가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하수의 양에 따라 제1호스를 복수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제1호스가 연결되지 않는 연결구에는 제1차단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는 유출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제2호스를 복수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제2호스가 연결되지 않는 유출구에는 제2차단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유출구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2맨홀 입구의 높이에 따라 하수의 유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구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제2본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본체의 상단부에는 상향 돌출된 제1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의 하단부에는 하향 돌출되어 상기 제1연통구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2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통구의 외측 둘레에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제1연통구와 제2연통구를 수밀하게 연결시키는 링 형태의 제1에어패킹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에서 상기 연결구가 형성되지 않는 측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복수개의 보조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구에는 제3차단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의 상단부에는 개구된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에는 제4차단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원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링 형태의 제2에어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호스와 상기 본체의 연결구를 연결 대상물로 연결하고, 상기 제2호스와 상기 본체의 유출구를 연결 대상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부가 각각 연결 대상물들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연결관로와, 상기 연결관로의 양단부 외측에 링 형태로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연결 대상물의 내측면에 대하여 밀착되는 한 쌍의 제3에어패킹과, 상기 연결 대상물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3에어패킹과 대응하는 지점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3에어패킹이 팽창할 때 그 팽창압력을 연결 대상물에 인가하는 보조 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물돌리기 시스템은, 상기 중간관로의 유입단에 설치되어 상류측으로부터 흐르는 하수가 중간관로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차단된 하수가 상기 제1맨홀 내부에서 차오르도록 유도하는 차수장치와; 상기 제1맨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맨홀의 입구를 막으면서 상기 제1맨홀 내부에서 차오르는 하수를 유입하여 지상으로 송수하는 유입구 및 송수관을 구비하는 송수장치와; 상기 제1맨홀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송수장치에 연결되는 제1호스와 상기 제2맨홀 내부로 인입되는 제2호스를 중간에서 연결해주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중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수장치는, 상기 중간관로의 유입단 내측에 설치되어 인근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중간관로의 유입단 내벽에 밀착되어 하수를 차단하는 차수용 에어백과; 상기 제1맨홀 내부에서 상기 중간관로의 유입단을 가로질러 그 주변부에 걸쳐지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차수용 에어백이 하수에 의해 떠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1맨홀 내벽에 상하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사다리들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들 중 일부에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되면서, 와이어에 의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삽입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장치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맨홀의 입구 내주면에 수밀하게 밀착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반대로 배출되면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장치에는 복수개의 제1호스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송수관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장치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맨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관측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장치의 관측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측구에 삽입되는 원판형의 몸체와, 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링 형태의 패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장치에는 상기 송수장치 내부를 통과하는 하수의 압력과 송수량을 측정하는 유압 측정센서와 유량 측정센서와, 이들을 외부에 표시하는 하수압 게이지와 송수량 게이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맨홀의 상류측 인근에 위치한 맨홀들에는 그 입구를 수밀하게 차단하여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해당 맨홀 입구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해당 맨홀의 입구 내주면에 공기압에 의해 수밀하게 밀착되는 패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호스는 설치된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 내면 간에 접합된 형태로 복수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뒤틀림 및 구름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은 지상으로 우회한 하수가 유입되는 하류측 맨홀 인근에 간단히 설치되어 하류측 맨홀과 지면과의 단차가 큰 경우에도 종래기술과 달리 호스나 파형관으로 인한 꺾임이나 병목현상 없이 하수의 유출경로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개장치는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의 관로를 대상으로 물돌리기를 실시 가능한 자연유하식 물돌리기 시스템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류측 맨홀의 높이에 맞추어 하수의 유출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돌리기 되는 하수의 양에 맞추어 하수의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한 연결부재에 의해 호스와 호스 간, 혹은 호스와 비(非)호수 대상물 간 연결을 쉽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수장치의 관측구 및 게이지들을 통해 하수의 차오름과 물돌리기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장치에서 사다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삽입바 및 와이어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지지대 및 차수용 에어백의 설치 및 회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연유하 방식의 물돌리기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가 적용된 물돌리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제1호스와 제1호스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송수장치 및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송수장치 및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물돌리기용 제1호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의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가 양수기와 연동하여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구성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가 적용된 물돌리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한 제1맨홀(M1)과 하류측에 위치한 제2맨홀(M2)의 사이에 위치한 중간관로(P1)를 우회하여 물돌리기를 수행하기 위하여 중간관로(P1)의 유입단에 설치되어 상류측으로부터 흐르는 하수가 중간관로(P1)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수장치(300)와, 상기 제1맨홀(M1)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맨홀(M1)의 입구를 막으면서 상기 제1맨홀(M1) 내부에서 차오르는 하수를 지상으로 유출시켜주는 송수관을 갖는 송수장치(200)와, 제1맨홀(M1)의 상류측 인근에 위치한 맨홀들에 설치되어 해당 맨홀 입구를 수밀하게 차단함으로써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400)와, 제2맨홀(M2) 인근에 간단히 설치되어 제2맨홀(M2)과 지면의 단차가 큰 경우에도 종래기술과 달리 호스나 파형관으로 인한 꺾임이나 병목현상 없이 하수의 유출경로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 대해 상기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100)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100)는, 본체(110) 하부에는 상기 제1맨홀(M1)로부터 송수장치(200)에 의해 지상으로 유출된 하수를 안내하는 제1호스(H1)가 연결되는 연결구(111)가 형성되고, 본체(110) 상부에는 상기 제2맨홀(M2)에 유입되는 제2호스(H2)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구(111)로 유입된 하수가 그 유입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출되도록 한 유출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개장치(100)의 본체(110) 내부에는 상기 연결구(111)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점차 차오르면서 상기 유출구(113)에 이르러 유출될 수 있도록 한 내부공간인 챔버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개장치(100)의 본체(110)는 연결구(111)가 형성된 제1본체(110a)와, 유출구(113)가 형성된 제2본체(11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본체(110a)의 상단부에는 상향 돌출된 제1연통구(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110b)의 하단부에는 하향 돌출되어 상기 제1연통구(115)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2연통구(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통구(116)의 외측 둘레에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제1연통구(115)와 제2연통구(116)를 수밀하게 연결시키는 링 형태의 제1에어패킹(140)이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본체(110a)를 제2맨홀(M2) 인근 지면에 놓고 그 위에 제2본체(110b)를 위치시켜 제1연통구(115)와 제2연통구(116)가 대응하도록 한 후 상기 제1에어패킹(14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면 제1에어패킹(140)의 팽창압력에 의해 상기 제1본체(110a)와 제2본체(110b)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하나가 된다. 이처럼 상기 본체(110)가 제1본체(110a)와 제2본체(110b)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평상시에는 운반이나 보관의 편리함을 위해 분리하였다가 물돌리기 작업시에는 간단히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개장치(100)의 제1본체(110a)에 형성된 연결구(111)는 제1본체(110a)의 전측면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이로써, 물돌리기 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제1호스(H1)를 복수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처럼 제1호스(H1)를 복수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1맨홀(M1)에 설치되는 송수장치(200)의 경우에도 제1호스(H1)를 연결할 수 있는 복수개의 송수관을 구비하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110a)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구(111) 중 제1호스(H1)가 연결되지 않는 연결구(111)에는 제1차단부재(120)가 장착되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단 상기 제1차단부재(120)는 차후 설명되는 제2차단부재 내지 제4차단부재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편의상 모두 동일한 도면부호 '120'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상기 제1차단부재(120)는 연결구(111)에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본체(110b)의 개방구(114)에 장착되는 제4차단부재(120)가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링 형태의 제2에어패킹(122)과 상기 몸체(121) 외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123)로 이루어진 구성과 크기만 다를 뿐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1본체(110a) 중 상기 연결구(111)가 형성되지 않는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상기 연결구(11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보조 연결구(112)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같은 보조 연결구(112)는 물돌리기 되는 하수의 양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 연결구(111)를 대신하여 제1호스(H1)를 연결하는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보조 연결구(112)의 경우에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위 언급된 구성을 갖는 제1차단부재(120)와 본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는 제2차단부재(120)가 장착된다.
상기 제2본체(110b)에 형성되는 유출구(113)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유출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제2호스(H2)를 복수개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제2호스(H2)가 연결되지 않는 유출구(113)에는 제3차단부재(120)가 장착된다.
상기 제3차단부재(120)의 경우에도 제1차단부재(120) 및 제2차단부재(120)와 본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유출구(113)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로써 제2맨홀(M2) 입구의 높이에 맞게 하수의 유출 높이를 조절하여 제2호스(H2)가 꺾임이나 병목현상 없이 제2맨홀(M2)에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6개의 유출구(113) 중에 위에서 두 번째 위치한 유출구(113)에 제2호스(H2)가 연결되고 나머지 유출구(113)는 차단부재(120)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맨홀(M2)의 입구 높이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 쪽에 위치한 유출구(113)에 제2호스(H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돌리기 되는 하수의 양이 많은 경우 하수가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제2호스(H2)가 연결되지 않은 유출구(113)에 추가적으로 제2호스(H2)를 연결시켜준다.
또한, 상기 제2본체(110b)의 상단부에는 개구된 개방구(114)가 형성된다. 이같은 개방구(114)가 구비되면 본체(110) 내부의 챔버에서 차오르는 하수의 수위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양수기(PM)에 연결된 제3호스(H3)를 상기 개방구(114)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인입시켜 양수기(PM)의 동력을 이용한 하수의 유출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호스(H3)의 일단부가 제2본체(110b)의 개방구(114)를 통해 인입된 상태에서 타단부는 상기 양수기(PM)를 경유하여 제2맨홀(M2)에 인입된 설치상태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구(114)에는 제4차단부재(12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제4차단부재(200)의 경우에도 제1차단부재(120) 내지 제3차단부재(120)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호스(H1)와 상기 제1본체(110a)의 연결구(111)를 연결 대상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30)가 더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30)는 양단부가 각각 연결 대상물들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연결관로(131)와, 상기 연결관로(131)의 양단부 외측에 링 형태로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연결 대상물의 내측면에 대하여 밀착되는 한 쌍의 제3에어패킹(132a,132b)과, 상기 연결 대상물이 제1호스(H1)와 같이 유연한 재질이므로 제3에어패킹(132a,132b)의 팽창압력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외측면에서 상기 제3에어패킹(132a,132b)과 대응하는 지점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3에어패킹(132a,132b)이 팽창할 때 그 팽창압력을 연결 대상물에 인가하는 보조 외관(133)이 더 설치된다.
이같은 연결부재(130)는 상기 제2호스(H2)와 상기 제2본체(110b)의 유출구(113)를 연결 대상물로 연결하기 위해서도 사용되며, 이 경우 상기 제2본체(110b)의 유출구(113) 쪽에는 보조 외관(133)이 불필요하지만 제2호스(H2)쪽에는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30)는 제1맨홀(M1)과 제2맨홀(M2) 간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연결되어 사용되어야 하는 제1호스(H1)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제1호스와 제1호스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0)는 물돌리기용 제1호스(H1)들을 포함하여 호스들을 간단하지만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처럼 호스들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보조 외관(133)이 제3에어패킹(132a,132b)이 위치하는 양단부 모두에 장착되어야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장치들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송수장치 및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송수장치 및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는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100)와 더불어, 상기 제1맨홀(M1)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맨홀(M1)의 입구를 막으면서 제1맨홀(M1) 내부에서 차오르는 하수를 지상으로 송수하는 송수장치(200)와, 중간관로(P1)의 유입단에 설치되어 상류측으로부터 흐르는 하수가 중간관로(P1)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하수가 상기 제1맨홀(M1) 내부에서 차오르도록 유도하는 차수장치(300)와, 제1맨홀(M1)의 상류측 인근에 위치한 맨홀들에 설치되어 해당 맨홀 입구를 수밀하게 차단하여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400)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들로서 포함된다.
상기 송수장치(200)는 유입구(211)가 형성된 몸체(210)의 하단부가 제1맨홀(M1)의 입구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1맨홀(M1)의 입구 내주면에 수밀하게 밀착되는 패킹부재(240)가 설치된다. 상기 패킹부재(240)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송수장치(200)를 제1맨홀(M1) 입구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제1맨홀(M1) 내부에서 차오르는 하수가 누수되지 않고 송수관(212a,212b,121c)을 통해 송수되게 한다. 반대로 상기 패킹부재(240)는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되며 이때 제1맨홀(M1) 입구에 고정되었던 송수장치(200)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또한, 상기 송수장치(200)에는 송수관(212a,212b,121c)이 복수개 구비된다(도면에서는 세 개 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외에 개수로 복수 형성되는 데 제한되지 않음). 이로써, 중개장치(100)와의 사이에 제1호스(H1) 복수개를 동시에 연결하여 하수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에도 유로 용적을 크게 확보하여 물돌리기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송수장치(200)의 상단부에는 제1맨홀(M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관측구(213)가 형성되며, 상기 송수장치(200)의 관측구(213)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220)는 투명 아크릴이나 강화유리처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개폐부재(220)가 상기 관측구(213)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제1맨홀(M1) 내부에서 하수가 차오르는 상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220)는 원판형의 몸체와, 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링 형태의 패킹으로 이루어지며, 몸체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제외하면 전술된 바 있는 제1차단부재 내지 제4차단부재와 대동소이다.
나아가, 상기 송수장치(200)에는 상기 송수장치(200) 내부를 통과하는 하수의 압력과 송수량을 측정하는 유압측정센서(미도시됨)와 유량 측정센서(미도시됨)가 설치되며, 이들을 외부에 표시하는 하수압 게이지(216)와 송수량 게이지(217)가 더 설치된다. 이로써, 하수의 물돌리기 상황을 수치적으로 실시간 파악하면서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수장치(200)의 송수관(212a,212b,121c)과 제1호스(H1)의 연결은 앞서 상세히 설명된 연결부재(130)를 이용한다.
상기 차수장치(300)는 제1맨홀(M1) 내부에서 안정적인 차수를 위해 차수용 에어백(310)과, 지지대(320)와, 삽입바(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수용 에어백(310)은 중간관로(P1)의 유입단 내측에 설치되어 인근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중간관로(P1)의 유입단 내벽에 수밀하게 밀착되어 하수가 중간관로(P1)를 통해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수장치(300)에서 지지대(320)는 상기 중간관로(P1)의 유입단을 가로질러 그 주변부에 걸쳐져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와이어(321)에 의해 상기 차수용 에어백(310)과 연결되어 상기 차수용 에어백(310)이 하수에 의해 떠내려가지 않도록 붙잡는다. 여기서 상기 차수용 에어백(310)과 지지대(320)에는 각각 와이어(321)의 양단부를 걸 수 있는 고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와이어(321)의 양단부에는 U볼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수장치(300)에서 삽입바(33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맨홀(M1) 내벽에 상하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사다리(MS)들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U볼트에 의해 사다리(MS)들 중 일부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바(330)와 지지대(320) 간에는 와이어(332)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와이어(332)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삽입바(3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고리(331a)가 설치되고 와이어(332)의 일단부에는 고리(331a)에 체결하기 위한 U볼트(335)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삽입바(330)는 도시된 것처럼 유볼트에 의해 복수개가 상하로 열을 지어 연결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수장치(300)에 이같은 구성의 삽입바(330)가 구비되면 중간관로(P1)의 유입단에 걸쳐져 있는 지지대(320)가 분실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중간관로(P1)의 하수가 흐르는 유입단까지 작업자가 내려가지 않고서도 지지대(320)와 차수용 에어백을 회수하는데 편리하다.
상기 역류방지장치(400)는, 전술된 것처럼 상기 제1맨홀(M1)의 상류측 인근에 위치한 맨홀들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해당 맨홀들의 입구를 수밀하게 차단하여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400)는 편의상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해당 맨홀 입구에 삽입되는 원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해당 맨홀의 입구 내주면에 공기압에 의해 수밀하게 밀착되는 패킹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부재는 전술된 송수장치(200)에 사용된 패킹부재(240)와 동일하게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원판형 몸체를 해당 맨홀 입구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하수가 역류하여 해당 맨홀 내부에서 차올라도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기 시스템에서 물돌리기용 제1호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돌리시 시스템에서는 제1호스(H1)가 설치된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접합된 접합부(H1b)가 형성되어 복수의 유로(H1a))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같은 제1호스(H1)의 구성은 일반적인 타포린 소재의 물돌리기용 호스를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대향면을 길이방향을 따라 열접합하여 간단히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호스(H1)를 통해 하수가 송수될 때 원형 단면이 되던 상태에서 완전히 탈피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비탈진 경사구간 등에 제1호스(H1)가 놓여지는 경우에도 구르거나 뒤틀리는 고질적인 문제가 간단히 해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중개장치 본체 111 : 연결구
112 : 보조 연결구 113 : 유출구
114 : 개방구 115 : 제1연통구
116 : 제2연통구 120 : 차단부재
121 : 차단부재 몸체 122 : 제2에어패킹
123 : 손잡이 130 : 연결부재
131 : 연결관로 132a, 132b : 제3에어패킹
133 : 보조 외관 200 : 송수장치
300 : 차수장치 400 : 역류방지장치

Claims (18)

  1.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류측과 하류측에 위치한 제1맨홀과 제2맨홀 사이에 위치한 중간관로를 우회하여 물돌리기를 수행하기 위한 물돌리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간관로의 유입단에 설치되어 상류측으로부터 흐르는 하수가 중간관로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차단된 하수가 상기 제1맨홀 내부에서 차오르도록 유도하는 차수장치와;
    상기 제1맨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맨홀의 입구를 막으면서 상기 제1맨홀 내부에서 차오르는 하수를 유입하여 지상으로 송수하는 유입구 및 송수관을 구비하는 송수장치와;
    상기 제1맨홀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송수장치에 연결되는 제1호스와 상기 제2맨홀 내부로 인입되는 제2호스를 중간에서 연결하기 위해, 본체 하부에는 상기 제1맨홀로부터 지상으로 유출되는 하수를 안내하는 제1호스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본체 상부에는 상기 제2맨홀에 유입되는 제2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구로 유입된 하수가 그 유입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출되도록 한 유출구가 형성되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연결구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점차 차오르면서 상기 유출구에 이르러 유출될 수 있도록 챔버가 형성된 중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장치는,
    상기 중간관로의 유입단 내측에 설치되어 인근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중간관로의 유입단 내벽에 밀착되어 하수를 차단하는 차수용 에어백과;
    상기 제1맨홀 내부에서 상기 중간관로의 유입단을 가로질러 그 주변부에 걸쳐지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차수용 에어백이 하수에 의해 떠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1맨홀 내벽에 상하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사다리들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들 중 일부에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되면서, 와이어에 의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삽입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장치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맨홀의 입구 내주면에 수밀하게 밀착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반대로 배출되면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장치에는 복수개의 제1호스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송수관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장치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맨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관측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장치의 관측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측구에 삽입되는 원판형의 몸체와, 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링 형태의 패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장치에는 상기 송수장치 내부를 통과하는 하수의 압력과 송수량을 측정하는 유압 측정센서와 유량 측정센서와, 이들을 외부에 표시하는 하수압 게이지와 송수량 게이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맨홀의 상류측 인근에 위치한 맨홀들에는 그 입구를 수밀하게 차단하여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해당 맨홀 입구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해당 맨홀의 입구 내주면에 공기압에 의해 수밀하게 밀착되는 패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는 설치된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접합된 접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합부를 중심으로 양편에 각각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뒤틀림 및 구름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하수의 양에 따라 제1호스를 복수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제1호스가 연결되지 않는 연결구에는 제1차단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유출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제2호스를 복수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제2호스가 연결되지 않는 유출구에는 제3차단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출구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2맨홀 입구의 높이에 따라 하수의 유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구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제2본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본체의 상단부에는 상향 돌출된 제1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의 하단부에는 하향 돌출되어 상기 제1연통구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2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통구의 외측 둘레에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제1연통구와 제2연통구를 수밀하게 연결시키는 링 형태의 제1에어패킹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서 상기 연결구가 형성되지 않는 측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복수개의 보조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구에는 제2차단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상단부에는 개구된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에는 제4차단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7. 제10항 내지 제12항, 제1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원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링 형태의 제2에어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와 상기 본체의 연결구를 연결 대상물로 연결하고, 상기 제2호스와 상기 본체의 유출구를 연결 대상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부가 각각 연결 대상물들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연결관로와, 상기 연결관로의 양단부 외측에 링 형태로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연결 대상물의 내측면에 대하여 밀착되는 한 쌍의 제3에어패킹과, 상기 연결 대상물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3에어패킹과 대응하는 지점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3에어패킹이 팽창할 때 그 팽창압력을 연결 대상물에 인가하는 보조 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돌리기 시스템.
KR1020150082150A 2015-06-10 2015-06-10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KR20160145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50A KR20160145440A (ko) 2015-06-10 2015-06-10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50A KR20160145440A (ko) 2015-06-10 2015-06-10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40A true KR20160145440A (ko) 2016-12-20

Family

ID=5773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150A KR20160145440A (ko) 2015-06-10 2015-06-10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54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69A (ko) 2004-04-16 2005-10-20 박용규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69A (ko) 2004-04-16 2005-10-20 박용규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232B1 (ko)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KR101554668B1 (ko) 게오힐 개방형 지열 지중열교환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KR101279504B1 (ko) 하수관거 유지보수를 위한 물막이 바이패스 시스템 및 그 물막이 바이패스 방법
KR101605304B1 (ko) 물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개방형 게오일 지열 지중 열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유량 제어 방법
EP3892939A1 (en) Geothermal system using single water supply system for heating and cooling smart farm and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geothermal system
KR101937273B1 (ko) 튜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의 하수량 조절 시스템과 차집관로의 누수 탐지 시스템
KR100902278B1 (ko)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US52189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surge protection and protection of fire hydrant systems
JP4579031B2 (ja) 圃場用地下水位調節機能付水閘
US20130327497A1 (en) Method of heating/cooling structure using geothermal system
KR101708489B1 (ko) 순환유로가 구비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는 개방형 지열 시스템
US5392853A (en) Plugging system for boreholes
KR101360172B1 (ko)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KR101476369B1 (ko) 손상된 맨홀에서도 가능한 자연유하식 물돌리기 장치 및 물돌리기 방법
KR20160145440A (ko)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KR100922622B1 (ko) 확장이 용이한 저류조
KR101507467B1 (ko) 팽창압력을 이용한 물돌리기용 호스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장치
CN110080262B (zh) 用于沉管沉放的水袋压载水系统
KR101260683B1 (ko) 하수관거 유지보수용 물막이 차수장치
US10563368B2 (en) Pumping system for bodies of water
US11493238B2 (en) Geothermal heat exchange reservoir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KR101448071B1 (ko) 차집관거용 바이패스 장치 및 이의 설치공법
JP6215734B2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の検査方法
KR200408786Y1 (ko) 채수가 용이한 양수장치용 밀폐식 상부 보호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