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125A - Husking roll - Google Patents

Husking ro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125A
KR20160145125A KR1020167031682A KR20167031682A KR20160145125A KR 20160145125 A KR20160145125 A KR 20160145125A KR 1020167031682 A KR1020167031682 A KR 1020167031682A KR 20167031682 A KR20167031682 A KR 20167031682A KR 20160145125 A KR20160145125 A KR 2016014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layer
roll
release
release roll
uretha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리아키 이와사키
유키 아베
미츠오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1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Landscapes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뛰어나 사용 시에 팽창하기 어려우면서, 보관 시에 변색되기 어려운 탈부 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의 탈부 롤은,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의 외주면에 적층된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로서, 상기 고무층은, 폴리올 성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TDI 및/또는 MDI이고,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디올, 및, 1,4-비스(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ease roll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which is difficult to swell during use and hardly discolored at the time of storage, and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re part, a rubber layer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art Wherein the rubber layer comprises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 component, an isocyanate component and a crosslinking agent, the polyol component is a polyester polyol, and the isocyanate component is TDI and / or MDI, and the crosslinking agent is 1,4-butanediol and 1,4-bis (? -Hydroxyethoxy) benzene.

Description

탈부 롤{HUSKING ROLL}Removal roll {HUSKING ROLL}

본 발명은, 탈부 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ease roll.

농업용 탈곡기에는 탈부 롤이 장착되어 있다. 이 탈부 롤은, 2개의 탈부 롤을 한 쌍으로 하여 탈부 롤끼리가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한 쌍의 탈부 롤에서는, 각 탈부 롤을 다른 주(周)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탈부 롤끼리의 틈에 벼(왕겨가 붙은 쌀)를 투입함으로써, 왕겨를 탈부하여 왕겨와 현미로 분리할 수 있다. The threshing machine for agriculture is equipped with a degreasing roll. In this release roll, two release rolls are used as a pair and release rolls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In the pair of release roll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rice husks are detached by putting the rice (rice with rice husk) into the clearance between the release rolls while rotating the respective release rolls at different peripheral speeds, Can be separated.

이와 같은 롤 부재로는, 원통상(圓筒狀)의 심재부와 그 주위에 마련된 고무층으로 이루어지는 롤 부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As such a roll member, a roll member composed of a cylindrical core member and a rubber layer provided around the core member is generally us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상기 고무층은, 예를 들면 니트릴고무(NBR)나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등의 합성 고무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The rubber layer is formed using a synthetic rubber such as nitrile rubber (NBR) or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29809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029809

탈부 롤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왕겨의 탈부에 따라 고무층이 서서히 마모되고, 마모에 의해 고무층의 두께가 얇아지면 탈부 롤로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고무층의 두께가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탈부 롤을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Since the release roll h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ubber layer gradually wears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rice hull,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is reduced due to abrasion, performance as a release roll can not be exhibited.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reaches the set valu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release roll.

여기서, 종래의 탈부 롤은, 고무층의 내구성(내마모성)이 불충분하여 빈번하게 탈부 롤을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Here, the conventional release roll ha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abrasion resistance) of the rubber layer is insufficient and the release roll must be frequently replac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탈부기에서는, 1쌍의 탈부 롤을 다른 주속도로 회전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회전속도가 빠른 측의 탈부 롤(주(主)롤) 쪽이 회전속도가 느린 측의 탈부 롤(부(副)롤)에 비해 크게 마모된다. 그 때문에, 고무층의 두께가 마모에 의해 설정값에 달할 때까지, 2~3회, 주롤과 부롤을 바꿔 넣어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탈부 롤에서는, 주롤과 부롤을 빈번하게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Further, as described above, in the deaerating unit, since the pair of release rolls are rotated and used at different main speeds, the release roll (main roll) on the side where the rotation speed is higher is shifted to the side It is worn out largely as compared with the release roll (sub-roll). For this reason, it is common to use the main roll and the sub roll two times or three times until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reaches the set value by abrasion. In the conventional release roll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also been a problem that frequent replacement of the main roll and the subroll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내구성이 뛰어난 탈부 롤을 제공하기 위해 검토를 실시하여, 폴리우레탄제의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에서는, NBR나 SBR제의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난 것을 발견했다. 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studies to provide a release rol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have found that a release roll having a rubber layer made of polyurethane has excellent durability as compared with a release roll having a rubber layer made of NBR or SBR .

그러나 폴리우레탄제의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에서는, 사용 시에 고무층의 온도 상승에 따라 고무층이 팽창하여 탈부 롤끼리의 틈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탈부 롤끼리가 접촉하여, 탈부 롤끼리의 주속차(周速差)에 의해 크게 발열한다. 그리고 발열량이 커짐으로써, 폴리우레탄제의 고무층이 녹아 탈부 성능이 저하되고, 또한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보관 시에 고무층이 변색되어, 그 외관이 탈부 롤의 열화(劣化)를 의심하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However, in a release roll having a rubber layer made of polyurethane, the rubber layer expands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rise of the rubber layer in use, making it impossible to maintain the clearance between the release rolls. Eventually, the release roll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Further, as the calorific value is increased, the rubber layer made of polyurethane melts to deteriorate the detaching performance, and sometimes the rubber layer is damaged. Further, the rubber layer was discolored at the time of storage, and the appearance of the rubber layer sometimes caused deterioration of the release roll.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더 검토를 거듭하여, 내구성(내마모성)이 뛰어나 사용 시에 팽창하기 어려우면서, 보관 시에 변색되기 어려운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을 완성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peatedly studied to complete a release roll having a rubber layer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abrasion resistance) and hardly swells at the time of use, and is hardly discolored at the time of storage.

본 발명의 탈부 롤은,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의 외주면에 적층된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로서,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ease roll having a core portion and a rubber layer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ortion,

상기 고무층은, 폴리올 성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고, Wherein the rubber layer comprises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 component, an isocyanate component and a crosslinking agent,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며, The polyol component is a polyester polyol,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TDI 및/또는 MDI이고, The isocyanate component is TDI and / or MDI,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디올 및 1,4-비스(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rosslinking agent is characterized by being 1,4-butanediol and 1,4-bis (? -Hydroxyethoxy) benzene.

상기 탈부 롤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MDI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desorption roll, the isocyanate component is preferably MDI.

또한, 상기 탈부 롤에서, 상기 고무층은, 20℃에서의 JIS-A 경도(硬度)가 85° 이상 99°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release roll, it is preferable that the rubber layer has a JIS-A hardness (hardness) at 20 캜 of from 85 째 to less than 99 째.

또한, 상기 탈부 롤에서, 상기 고무층은, DIN 마모 감량이 6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release roll, the rubber layer preferably has a DIN abrasion loss of 60 to 100 kPa.

본 발명의 탈부 롤에서는, 고무층이 특정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구성(내마모성)이 각별히 뛰어나,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In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ubber layer is made of the cured product of the specific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the durability (abrasion resistance) is remarkably excellent and can be u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상기 탈부 롤에서는, 사용 시에 고무층의 온도가 상승하여도 열팽창하기 어렵기 때문에, 탈부 롤끼리의 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release roll, since thermal expansion is difficult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ubber layer rises at the time of use, the clearance between the release rolls can be reliably maintained.

또한, 상기 탈부 롤은, 보관 시에 변색되는 일도 거의 없다. Further, the release rolls hardly discolor at the time of storage.

도 1은, (a)는 본 발명의 탈부 롤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낸 탈부 롤의 정면도이며, (c)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탈부 롤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b) is a front view of a release roll shown in Fig. 1 .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탈부 롤은,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의 외주면에 적층된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로서, 상기 고무층은, 폴리올 성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TDI 및/또는 MDI이며,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디올, 및, 1,4-비스(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이다.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ease roll having a core material portion and a rubber layer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portion, wherein the rubber layer is composed of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 component, an isocyanate component and a crosslinking agent. Here, the polyol component is a polyester polyol, and the isocyanate component is TDI and / or MDI, and the crosslinking agent is 1,4-butanediol and 1,4-bis (? -Hydroxyethoxy) benzene to be.

도 1(a)는 본 발명의 탈부 롤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낸 탈부 롤의 정면도이며, (c)은 (a)의 A-A선 단면도이다.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b) is a front view of the release roll shown in Fig. 1 (a), and Fig. 1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도 1(a)~(c)에 나타내는 탈부 롤(10)은, 금속제의 심재부(11)와, 심재부(11)의 외주면에 적층된 고무층(12)으로 이루어진다. The release roll 10 shown in Figs. 1 (a) to 1 (c) comprises a core member 11 made of metal and a rubber layer 12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

심재부(11)는, 통 내에 탈부 롤(10)을 탈부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플랜지(11a)가 마련된 원통상의 부재이다. The core material portion 11 is a cylindrical member provided with a mounting flange 11a for mounting the release roll 10 in the container in the decoiling.

심재부(11)의 외주면의 전체에는 균일한 두께로 고무층(12)이 형성되어 있다. A rubber layer 12 is formed on the entir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 to have a uniform thickness.

고무층(12)은, 폴리올 성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특정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The rubber layer 12 is a layer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a specific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 component, an isocyanate component and a crosslinking agent.

이하, 본 발명의 탈부 롤의 구성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constituent members of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심재부로는, 종래 공지의 탈부 롤에서 사용되고 있는 심재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심재부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철, 몰리브덴,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The core part may be the same as the core part used in conventionally known release rolls.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core portion include aluminum, stainless steel, iron, molybdenum, titanium, and the like.

또한, 상기 심재부의 형상이나 사이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품과 동일하게 탈부 롤을 장착하는 탈부기의 사양이나, JIS 규격(JIS B 9214: 탈부용 고무롤)에 맞춰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Also, the shape and size of the core por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unhardening portion for mounting the release rolls and the JIS standard (JIS B 9214: rubber roll for unloading) similarly to the conventional product.

상기 고무층은, 폴리올 성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TDI 및/또는 MDI를 함유한다. 그 때문에, 상기 고무층은 내구성이 뛰어나 사용 시에 열팽창하기 어렵고, 또한 변색되기 어렵다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The rubber layer is composed of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 component, an isocyanate component and a crosslinking agent.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s TDI and / or MDI as the isocyanate component. Therefore, the rubber layer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hardly thermal expansion during use, and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that it is hard to be discolored.

상기 TDI(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종래 공지의 TDI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TDI에서, 2,4-TDI와 2,6-TDI의 배합비(2,4-TDI/2,6-TDI)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65/35~80/20(중량비)이 바람직하다. 상기 TDI로는, 예를 들면 T-80(2,4-TDI/2,6-TDI=80/20), T-100(2,4-TDI/2,6-TDI=100/0), T-65(2,4-TDI/2,6-TDI=65/3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TDI (tolylene diisocyanate), conventionally known TDI can be used. In the TDI, the blending ratio of 2,4-TDI and 2,6-TDI (2,4-TDI / 2,6-TDI)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65/35 to 80/20 (weight ratio). Examples of the TDI include T-80 (2,4-TDI / 2,6-TDI = 80/20), T-100 (2,4-TDI / 2,6- -65 (2,4-TDI / 2,6-TDI = 65/35).

물론, 상기 TDI로는 각종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Of course, variou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may be used as the TDI.

상기 MDI(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분자량 분포의 광협(廣狹)을 불문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DI로는, 예를 들면 퓨어 MDI(4,4'-MDI), 폴리메릭 MD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MDI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or polymethylene polyphenylene polyisocya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broadening of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s the MDI, for example, pure MDI (4,4'-MDI), polymeric MDI and the like can be used.

물론, 상기 MDI로는 각종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Of course, variou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may be used as the MDI.

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에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농도는, 1.2~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isocyanate group concentration in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is preferably 1.2 to 4.5% by weight.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농도가, 1.2중량% 미만에서는 경화물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한편,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농도가 4.5중량%를 초과하면, 경화물이 경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이 되는 일이 있다. If the isocyanate group concentration is less than 1.2% by weight,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cured product may be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isocyanate group exceeds 4.5% by weight, the hardness of the cured product may become excessively high.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농도(중량%)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가교제의 합계량 중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중량 비율을 말한다. The isocyanate group concentration (% by weight) refers to the weight ratio of the isocyanate group contained in the total amount of the isocyanate component, the polyol component, and the crosslinking agent.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다. 극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기에 의해 발현되는 높은 분자간 힘에 의해, 내마모성이 뛰어난 고무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olyol component is a polyester polyol. This is because a rubber layer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can be formed by a high intermolecular force expressed by a polyester polyol group having a high polarity.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을 상법(常法)에 따라 반응시킴으로써 얻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ester polyol include those obtained by reacting a dicarboxylic acid and a glycol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옥시 안식향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그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dicarboxylic acid include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and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adipic acid, azelaic acid and sebacic acid, Oxycarboxylic acids such as oxybenzoic acid, and ester-forming derivatives thereof.

이들 중에서는 아디프산이 바람직하고, 글리콜이나 가교제로 1,4-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디프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디프산에 C 원자 배열은, 1,4-부탄디올과 동일한 4연 배열이기 때문에 배향결정성이 뛰어나고, 결정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강고한 분자간 힘을 발현한다. 또한, 아디프산은 저렴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뛰어나다. Of these, adipic acid is preferable, and adipic acid is particularly preferable when 1,4-butanediol is used as a glycol or a crosslinking agent. Since the C atom arrangement in adipic acid is the same quaternary arrangement as 1,4-butanediol, it is excellent in crystallization of orientation and has a crystallized structure, thereby exhibiting a strong intermolecular force. In addition, adipic acid is economical because it is inexpensive.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하여도 된다. The dicarboxylic acid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dicarboxylic aci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글리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9-노난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글리콜, p-크실렌디올 등의 방향족 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glycol include aliphatic glycols such as ethylene glycol, 1,4-butanediol, di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3-methyl-1,5-pentanediol, 1,9-nonanediol and triethylene glycol Cyclohexanedimethanol and the like, aromatic diols such as p-xylenediol, polyoxyethylene glycol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and polytetramethylene glycol, and the like.

상기 글리콜로는, 지방족 글리콜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이 더 바람직하다. JIS-A 경도가 90°정도인 고무층을 형성하는데에 적합하면서 저렴하다. As the glycol, aliphatic glycols are preferable, and ethylene glycol and 1,4-butanediol are more preferable. It is inexpensive and suitable for forming a rubber layer having a JIS-A hardness of about 90 °.

디카르복실산 및 글리콜의 반응물인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선상(線狀) 구조이지만, 3가 이상의 에스테르 형성 성분을 사용한 분기상 폴리에스테르이어도 된다. The polyester polyol which is a reaction product of dicarboxylic acid and glycol has a linear structure, but may be a branched polyester using a tri- or higher-ester-forming component.

상기 글리콜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하여도 된다. These glycol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는, 특히,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폴리에틸렌부틸렌아디페이트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 바람직하다. JIS-A 경도가 90°정도인 고무층을 형성하는데에 적합한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저렴하다. As the polyester polyol, a polyethylene adipate-based polyester polyol, a polybutylene adipate-based polyester polyol, and a polyethylene butylene adipate-based polyester polyol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t has a molecular structure suitable for forming a rubber layer having a JIS-A hardness of about 90 °, and is inexpensive.

상기 폴리올은, 수 평균 분자량이 1000~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에서는, 고무층에 만족스러운 고무 탄성을 발현하지 않고, 강성이 높은 것이 되는 일이 있다. 한편, 수 평균 분자량이 3000을 초과하면, 고무층에 만족스러운 고무 강도를 부여할 수 없고, 지나치게 유연한 고무층이 되는 일이 있다. The polyol preferably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 If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1000, the rubber layer may not exhibit satisfactory rubber elasticity and may have high rigidity.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exceeds 3000, a satisfactory rubber strength can not be imparted to the rubber layer, and an excessively flexible rubber layer may be obtained.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은, GPC(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 측정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측정값이다.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 measured value in terms of polystyrene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asurement.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디올(1,4-BD), 및, 1,4-비스(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BHEB)이다. The crosslinking agent is 1,4-butanediol (1,4-BD), and 1,4-bis (? -Hydroxyethoxy) benzene (BHEB).

가교제로, 1,4-BD와 BHEB를 병용함으로써, 상기 고무층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using 1,4-BD and BHEB in combination as a crosslinking agent,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rubber layer can be improved.

또한, 가교제가 1,4-BD 및 BHEB이면, 상기 고무층에, 적절한 고무 경도 및 고무 강성을 발현시키기 쉽다. 또한, 가교제로, 1,4-BD 및 BHEB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은, 포트 라이프가 비교적 길어, 수주형(手注型)으로도 성형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crosslinking agent is 1,4-BD and BHEB, it is easy to develop appropriate rubber hardness and rubber stiffness in the rubber layer. Further,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1,4-BD and BHEB as a crosslinking agent can be molded into a hand mold, because the pot life is comparatively long.

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은, 또한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a silicone oil.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고무층은, 그 마찰 계수가 낮아짐으로써 수명이 길어진다. 또한, 상기 고무층을 구비하는 경우, 탈부 시의 소리(가동음)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 고무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오일의 블리드에 의해, 탈부 롤의 표면(고무층의 표면)이 실리콘 오일로 둘러싸인 것이 되기 때문에 내수성(보관 시를 포함함)이 향상된다. The rubber layer made of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a silicone oil has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a long service life. Further, when the rubber layer is provided, the sound (moving sound) at the time of detachment becomes small. When the rubber layer is provided, the surface of the release roll (the surface of the rubber layer) is surrounded by the silicone oil by the bleeding of the silicone oil, so that the water resistance (including during storage) is improved.

상기 실리콘 오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그 변성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ilicone oi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polydimethylsiloxane and its modified product can be used.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도는 20~1000mPa·s(cps)가 바람직하다. The viscosity of the silicone oil is preferably 20 to 1000 mPa · s (cps).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도가 20mPa·s 미만에서는, 실리콘 오일의 블리드 양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일이 있다. 한편, 1000mPa·s를 초과하면, 분산성이 저하되거나 블리드하지 않게 되는 일이 있다. When the viscosity of the silicone oil is less than 20 mPa · s, the amount of the silicone oil to be bled may become excessively large.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1000 mPa · s, the dispersibility may be lowered or bleeding may not be caused.

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유량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상기 폴리올 성분 및 상기 가교제의 합계량에 대하여, 0.3~5중량%가 바람직하고, 0.5~3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silicone oil is preferably 0.3 to 5%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isocyanate component, the polyol component and the crosslinking agent.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유량이 0.3중량% 미만에서는, 실리콘 오일을 배합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한편, 5중량%를 초과하면, 고무층의 표면이 끈적거리거나, 고무층의 경도나 고무 물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When the content of the silicone oil is less than 0.3% by weight, the effect of blending the silicone oil may not be obtained sufficiently.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5% by weight, the surface of the rubber layer may become sticky, and the hardnes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rubber layer may deteriorate.

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은, 또한 쇄연장제, 가교 촉진제나 가교 지연제 등의 반응 조제(助劑), 가수분해 방지제, 무기섬유나 무기 필러 등의 보강재, 착색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항곰팡이제, 난연제, 충전제(증량제) 등의 각종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 chain extender, a reaction aid such as a crosslinking accelerator and a crosslinking retarder, a hydrolysis inhibitor, a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an inorganic fiber or an inorganic filler, a colorant, a light stabilizer, a heat stabilizer, An antifungal agent, a flame retardant, a filler (extender), and the like, if necessary.

상기 고무층(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은, 20℃에서의 JIS-A 경도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JIS-A 경도가 85° 미만에서는, 상기 고무층이 지나치게 유연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The rubber layer (cured product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JIS-A hardness at 20 占 폚 of 85 占 or more. When the JIS-A hardness is less than 85 °, the rubber layer is excessively flexible, so that the abrasion resistance may be lowered.

상기 JIS-A 경도는, 8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The JIS-A hardness is more preferably 88 DEG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0 DEG or more.

한편, 상기 고무층의 20℃에서의 JIS-A 경도는, 99° 미만이 바람직하다. 99°를 초과하면, 탈부 시에 쌀이 파손되어, 이른바 싸라기의 발생율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JIS-A hardness of the rubber layer at 20 캜 is preferably less than 99 °. If it exceeds 99 °, the rice may be broken at the time of detachment,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occurrence rate of so-called roughness increases.

상기 고무층의 JIS-A 경도는, 탈부의 대상이 되는 쌀이 비교적 유연한 자포니카미(米) 등인 경우에는 88~92°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탈부의 대상이 되는 쌀이 비교적 단단한 인디카미 등인 경우는 92~96° 정도가 바람직하다. The JIS-A hardness of the rubber layer is preferably about 88 to 92 DEG when the rice to be defoliated is relatively soft japonica rice. When the rice to be unloaded is relatively hard indikami or the like, it is preferably about 92 to 96 DEG.

상기 JIS-A 경도는, JIS K 6253에 준거하여 측정하면 된다(단, 측정 온도는 20℃). The JIS-A hardness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6253 (with a measurement temperature of 20 ° C).

또한, 본 발명에서의 "고무층"은, JIS B 9124에서 말하는 "고무부"에 상당한다. The "rubber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rubber part" in JIS B 9124.

상기 고무층(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은, tanδ의 피크 온도(Tg)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시의 고무층의 온도인 30~50℃에서 적절한 고무 탄성을 발현하기 때문이다. The rubber layer (cured product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peak temperature (Tg) of tan δ of 10 ° C or less. This is because the rubber elasticity is exhibited at a temperature of 30 to 50 ° C which is the temperature of the rubber layer at the time of use.

상기 고무층(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은, DIN 마모 감량이 6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rubber layer (cured product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DIN abrasion loss of 60 to 100 kPa.

상기 DIN 마모 감량이 60㎣ 미만에서는, 탈부 시에 싸라기의 발생율이 높아지는 일이 있다. 한편, 상기 DIN 마모 감량이 100㎣를 초과하면, 고무층의 내구성이 불충분해진다. When the DIN abrasion loss is less than 60 kPa, the incidence of burning may increase at the time of detachment. On the other hand, if the weight loss of DIN exceeds 100 psi, the durability of the rubber layer becomes insufficient.

상기 DIN 마모 감량은, JIS K 6264의 DIN 마모 시험에 준거하여 측정하면 된다.The DIN abrasion loss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DIN abrasion test of JIS K 6264.

상기 고무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품과 동일하게 탈부 롤을 장착하는 탈부기의 사양이나, JIS 규격(JIS B 9214)에 맞춰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may be suit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unhooking period in which the release roll is mounted and the JIS standard (JIS B 9214).

상기 고무층의 두께(도 1(b) 중, T로 나타냄)란, 미(未)사용 시의 고무층의 외경과 내경의 차의 1/2의 값을 말한다.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indicated by T in Fig. 1 (b)) refers to a value that is one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layer when it is used.

본 발명의 탈부 롤에서는, 상기 심재부와 상기 고무층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양자(兩者) 사이에 프라이머층 및/또는 접착제층을 형성하거나, 상기 심재부의 외주면에 고무층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In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core part and the rubber layer, a primer layer and / or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core part and the rubber layer, May be carried out.

상기 접착제의 형성은, 예를 들면 페놀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adhesive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using a phenol-based adhesive or the like.

상기 프라이머층의 형성은, 예를 들면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실란계, 폴리아미드계, 페놀계의 프라이머나, 실란커플링제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imer layer can be formed using, for example, urethane, polyester, silane, polyamide, phenol primer, silane coupling agent, or the like.

상기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면 조화면(粗化面)의 형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화면의 형성은, 예를 들면 블라스트 처리, 연삭 처리, 에칭 처리, 도금 처리, 연마 처리, 산화 처리 등에 의해 실시하면 된다. As the surface treatment, for example, a roughened surface may be formed. The roughened surface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blast treatment, grinding treatment, etching treatment, plating treatment, polishing treatment, oxidation treatment or the like.

상기 탈부 롤은, 절단면(사용 시의 회전축에 수직인 절단면)의 진원도가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원도가 0.5㎜를 초과하면, 사용 시에 탈부 롤끼리의 간격의 편차가 커져, 탈부율이 저하하거나 싸라기의 발생율이 증가하는 일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lief roll has a roundness of 0.5 mm or less on the cut surface (cu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in use). When the roundness is more than 0.5 mm, the devi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elease rolls becomes large at the time of use, so that the removal rate may be lowered or the incidence of blistering may increase.

다음으로, 본 발명의 탈부 롤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탈부 롤은, 예를 들면 하기 (1) 및 (2)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he release roll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the following steps (1) and (2).

(1) 우선, 심재부를 제작한다. 상기 심재부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1) First, core parts are produced. The core por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and can be manufactured by, for example, aluminum die casting.

그 후, 필요에 따라 심재부의 외주면에 접착제층 및/또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거나, 심재부의 외주면에 표면 처리를 실시한다. Thereafter, an adhesive layer and / or a primer laye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portion,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portion is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if necessary.

(2) 다음으로, 상기 심재부의 주위에 고무층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심재부를 원통형의 금형 내에 올려 놓은 후, 심재부의 외주면과 금형의 내벽면의 틈에, 상술한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을 주입한다. 그 후,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을 소정 조건으로 경화시킴으로써 고무층을 형성한다. (2) Next, a rubber layer is formed around the core portion. Here, after the core member is placed in the cylindrical mold, the above-mentioned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is injected into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ld. Thereafter,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is cured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to form a rubber layer.

이때,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상기 경화 조건으로는, 통상 100~160℃에서 30~90분간 가열하는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The curing conditions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se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s the curing condition, a condition of heating at 100 to 160 ° C for 30 to 90 minutes may be employed.

또한, 상기 조건으로 경화 처리를 실시하고, 경화물을 금형으로부터 탈형(脫型)한 후, 예를 들면 100~160℃에서 3~48시간의 조건으로 후경화를 실시하여도 된다. After the curing treatment is perform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and the cured product is demolded from the mold, post-cur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for example, 100 to 160 DEG C for 3 to 48 hours.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심재부의 외주면에 고무층을 적층함으로써,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밀도를 가지는 고무층이 형성된 탈부 롤을 제조할 수 있다. By using such a method, a rubber layer is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por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rubber roll having a rubber layer having a uniform density throughou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은, 조제 후의 경화의 진행이 비교적 완만하기 때문이다.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rogress of curing after preparation is comparatively gentle.

상기 탈부 롤의 제조 방법에서는, 필요에 따라 연삭 가공에 의해 고무층의 표면을 형성하여도 된다. 물론, 금형으로부터 탈형한 채, 상기 연삭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lease roll, the surface of the rubber layer may be formed by grinding if necessary.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grinding process while demolding from the mold.

다음으로, 본 발명의 탈부 롤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using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탈부 롤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탈부 롤은, 2개의 탈부 롤을 1세트로 하여, 종래 공지의 고무롤식의 탈부기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et of two release rolls and is mounted on a conventionally known rubber roll type release unit.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탈부 롤(10A, 10B)을 소정 간격(L)을 가지도록 평행하게 장착하고, 탈부 롤(10A, 10B) 각각을 서로 역방향으로, 또한 다른 회전속도(탈부 롤(10A)의 회전속도(Va)≠탈부 롤(10B)의 회전속도(Vb))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로 탈부 롤(10A, 10B)끼리의 사이에 벼(1)를 투입하면, 탈부 롤(10A)과 탈부 롤(10B)의 주속차에 의해 벼(1)로부터 왕겨가 탈부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a pair of release rolls 10A and 10B are mounted in parallel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L, and the release rolls 10A and 10B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rotation speed Va of the release roll 10A is equal to the rotation speed Vb of the release roll 10B). Then, when the rice 1 is put between the release rolls 10A and 10B in this state, the rice chips are detached from the rice 1 by the difference in speed between the release roll 10A and the release roll 10B.

상기 탈부 롤의 사용 시에서의, 탈부 롤(10A)과 탈부 롤(10B)의 틈의 거리(L)나, 탈부 롤(10A) 및 탈부 롤(10B) 각각의 회전속도(주속도)(Va, V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탈부기의 사양, 투입하는 벼의 종류나 건조율, 처리 속도, 탈부율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The distance L between the clearance between the release roll 10A and the release roll 10B at the time of using the release roll and the rotation speed (main speed) Va (Va) of the release roll 10A and release roll 10B , And Vb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set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specifications of the deaerating unit, the type of rice to be introduced, the drying rate, the processing speed, and the deaeration rat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1.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조제 1. Preparation of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조제예 1) (Preparation example 1)

MDI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에스테르디올(PEA)을 폴리올 성분으로 하는 우레탄프레폴리머(산프렌 P6814, 산요 가세이샤 제품) 100중량부, 실리콘 오일(도레 다우코닝샤 제품, SH-200(100mPa·s)) 1.0중량부, 황색 안료(ZA 옐로우#200, 미쿠니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0.02중량부, 및, 백색 안료(ZA 화이트#2200, 미쿠니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0.02중량부를 교반기로 혼합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혼합물에 1,4-부탄디올(BASF 재팬샤 제품) 1.59중량부, BHEB(미쓰이 가가쿠샤 제품) 10.50중량부를 추가 혼합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조제했다. 100 parts by weight of an urethane prepolymer (SANFREN P6814, manufactured by SANYO Chemical Industry Co., Ltd.) containing MDI as an isocyanate component and polyethylene adipate ester diol (PEA) as a polyol component,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oil (SH- , 0.02 parts by weight of a yellow pigment (ZA Yellow # 200, manufactured by Mikuni Kagaku Kabushiki Kaisha) and 0.02 parts by weight of a white pigment (ZA White # 2200, manufactured by Mikuni Kagaku Kogyo Co., Ltd.) Mixed with a stirrer. Next, 1.59 parts by weight of 1,4-butanediol (BASF Japan Co.) and 10.50 parts by weight of BHEB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were further mixed to the obtained mixture to prepare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조제예 2) (Preparation example 2)

우레탄프레폴리머(산프렌 P6814, 산요 가세이샤 제품) 100중량부, 황색 안료(ZA 옐로우#200) 0.02중량부, 및, 백색 안료(ZA 화이트#2200) 0.02중량부를 교반기로 혼합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혼합물에 1,4-부탄디올(BASF 재팬샤 제품) 1.59중량부, BHEB(미쓰이 가가쿠샤 제품) 10.50중량부를 추가 혼합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B를 조제했다. (ZA Yellow # 200) and 0.02 part by weight of a white pigment (ZA White # 2200) were mixed with a stirrer. Next, 1.59 parts by weight of 1,4-butanediol (BASF Japan Co.) and 10.50 parts by weight of BHEB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were further mixed to the obtained mixture to prepare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B.

(조제예 3) (Preparation Example 3)

1,4-부탄디올의 혼합량을 6.56중량부로 하고, BHEB를 혼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조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C를 조제했다.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except that the amount of 1,4-butanediol was changed to 6.56 parts by weight and BHEB was not mixed.

(조제예 4) (Preparation example 4)

1,4-부탄디올을 혼합하지 않고, BHEB의 혼합량을 14.37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조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D를 조제했다.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except that 1,4-butanediol was not mixed and the mixing amount of BHEB was changed to 14.37 parts by weight.

(조제예 5) (Preparation Example 5)

1,4-부탄디올의 혼합량을 6.56중량부로 하고, BHEB를 혼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조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E를 조제했다.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mixing amount of 1,4-butanediol was changed to 6.56 parts by weight and BHEB was not mixed.

(조제예 6) (Preparation example 6)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에스테르디올(PEA) (불코란 2000MM, 스미토모 바이엘우레탄샤 제품) 100중량부, NDI(데스모듈 15, 스미토모 바이엘우레탄샤 제품) 25중량부, 실리콘 오일(SH-200(100mPa·s)) 1.0중량부, 황색 안료(ZA 옐로우#200) 0.02중량부, 및, 백색 안료(ZA 화이트#2200) 0.02중량부를 교반기로 혼합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혼합물에 1,4-부탄디올(BASF 재팬샤 제품) 5.0중량부를 추가 혼합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F를 조제했다. 10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adipate ester diol (PEA) (Bulkorran 2000MM, manufactured by Sumitomo Bayer Urethane Co., Ltd.), 25 parts by weight of NDI (Desmodur 15, Sumitomo Bayer Urethane Co., Ltd.) ), 0.02 part by weight of yellow pigment (ZA Yellow # 200) and 0.02 part by weight of white pigment (ZA White # 2200) were mixed with a stirrer. Next, 5.0 parts by weight of 1,4-butanediol (BASF Japan Co.) was further mixed with the obtained mixture to prepare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F. [

2. 탈부 롤의 제작 및 평가(1) 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ispersion Roll (1)

(실시예 1) (Example 1)

본 실시예에서는, 형식: 대(大) 60의 탈부 롤을 제작했다. In this embodiment, a degreasing roll of the type: large 60 was produced.

우선,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형상의 심재부를 주조했다. First, a core portion of the shape shown in Fig. 1 was cast by aluminum die casting.

다음으로, 원통형의 금형 내에, 상기 심재부의 외주면과 상기 금형의 내주면의 간격이 전 주(全周)에 걸쳐 거의 등간격이 되도록 상기 심재부를 설치했다. Next, in the cylindrical mold, the core portion was provid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ld was substantially equally spac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그 후, 상기 심재부의 외주면과 상기 금형의 내주면의 틈에,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주입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경화시키고, 외경 치수와 폭 치수를 절삭에 의해 조정하여, 상기 심재부의 외주면에 고무층이 적층된 탈부 롤을 제작했다. Thereafter,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is injected into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ld, and is c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outer diameter and the width are adjusted by cutting, and a rubber layer is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art Was prepared.

(경화 조건) (Curing condition)

주입 시의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의 온도를 105℃로 하고, 금형 온도 130℃에서 60분간 경화시켰다.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at the time of injection was set at 105 캜 and the mold temperature was set at 130 캜 for 60 minutes.

그 후, 금형으로부터 탈형하여 110℃, 24시간의 조건으로 후경화를 실시했다. Thereafter, the mold was demolded and subjected to post-curing at 110 DEG C for 24 hours.

(실시예 2) (Example 2)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대신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탈부 롤을 제작했다. A release rol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B was used instead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대신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탈부 롤을 제작했다. A release rol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 was used instead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대신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D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탈부 롤을 제작했다. A release rol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was used instead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D.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대신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E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탈부 롤을 제작했다. A release rol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E was used instead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대신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F를 사용하고, 하기의 조건으로 경화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탈부 롤을 제작했다. Disengagement rolls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F was used instead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and was c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경화 조건) (Curing condition)

주입 시의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F의 온도를 125℃로 하고, 금형 온도 130℃에서 60분간 경화시켰다.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F at the time of injection was set at 125 占 폚 and the mold temperature was set at 130 占 폚 for 60 minutes.

그 후, 금형으로부터 탈형하여 110℃, 24시간의 조건으로 후경화를 실시했다. Thereafter, the mold was demolded and subjected to post-curing at 110 DEG C for 24 hours.

(비교예 5) (Comparative Example 5)

반도 카가쿠샤 제품의 탈부 롤(화이트 롤, 통합 대 60형)을 본 비교예의 탈부 롤로 했다. 또한, 상기 화이트 롤은, SBR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이다. The release roll (white roll, integrated type 60 type) of the product of Bando Kagakusha was used as the release roll of this comparative example. Further, the white roll is a release roll having a rubber layer containing SBR as a main component.

(비교예 6) (Comparative Example 6)

반도 카가쿠샤 제품의 탈부 롤(레드 롤, 통합 대 60형)을 본 비교예의 탈부 롤로 했다. 또한, 상기 레드 롤은, SBR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이다. The release roll (red roll, integrated type 60 type) of the product of Bando Kagakusha was used as the release roll of this comparative example. The red roll is a release roll having a rubber layer containing SBR as a main component.

(평가) (evaluation)

(1) 탈부 롤의 사이즈와 온도의 관계 (1)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temperature of the release roll

실시예 및 비교예의 탈부 롤에 대해, 20℃, 45℃, 70℃의 각 온도하에서 2시간 방치한 후, 각 탈부 롤의 편측(片側) 두께를 측정했다. The release rol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llowed to stand for 2 hours at respective temperatures of 20 占 폚, 45 占 폚 and 70 占 폚, and then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each release roll was measured.

여기서, 45℃ 및 70℃ 하에서의 2시간 방치는, 각각의 온도로 설정된 오븐 내에 2시간 보관함으로써 실시했다. Here, the 2-hour standing at 45 캜 and 70 캜 was carried out by keeping in an oven set at each temperature for 2 hours.

편측 두께의 계측에서는, 20㎝의 디지털 노기스를 사용하여, 심재부의 내표면으로부터 고무층의 표면까지의 치수를 3군데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편측 두께로 했다. In the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of one side, the dimension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re portion to the surface of the rubber layer were measured at three points using a digital nose of 20 cm, and the average value was taken as one side thickness.

또한, 각 탈부 롤에서, 20℃에서 계측한 편측 두께를 "100"으로 하여, 20℃의 편측 두께에 대한 45℃, 70℃에서의 편측 두께의 비율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In each of the release rolls, the ratio of the one side thickness measured at 20 占 폚 to the one side thickness at 45 占 폚 and 70 占 폚 relative to the one side thickness at 20 占 폚 was calculated as "100".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2) JIS-A 경도 (2) JIS-A hardness

실시예 및 비교예의 탈부 롤에 형성된 고무층의 JIS-A 경도를, JIS K 6253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단, 측정 온도는 20℃로 하고, 측정 부분은 3군데로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The JIS-A hardness of the rubber layer formed on the release rol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6253. However, the measurement temperature was 20 占 폚, and the measurement part was set at three place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3) DIN 마모 감량 (3) DIN abrasion loss

실시예 및 비교예의 탈부 롤에 형성된 고무층의 DIN 마모 감량을 평가했다. The DIN abrasion loss of the rubber layer formed on the release rol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evaluated.

상기 DIN 마모 감량의 평가는, 상기 고무층과 동일한 조성의 시험편(직경 16㎜×두께 6㎜)을 별도 제작하고,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JIS K 6264에 준거한 방법에서, 시험편의 회전: 없음(A법), 시험편의 부가력: 10N으로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The evaluation of the DIN abrasion loss was made by separately preparing a test piece (16 mm in diameter × 6 mm in thickness)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at of the rubber layer and using the test piece in accordance with JIS K 6264, A method) and an addition force of a test piece: 10 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4) tanδ의 피크 온도(Tg) (4) Peak temperature (Tg) of tan?

실시예 1, 2 및 비교예 4~6의 탈부 롤에 형성된 고무층의 tanδ의 피크 온도(Tg)를 평가했다. The peak temperatures (Tg) of the tan delta of the rubber layers formed in the release roll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4 to 6 were evaluated.

상기 tanδ의 피크 온도의 평가는, 상기 고무층과 동일한 조성의 시험편(폭 3㎜×길이 40㎜×두께 1㎜)을 별도 제작하고, 레오펙톨러-DVE-V4(레올로지(주) 제품)에 의해 정지 왜곡 5%, 10㎐ 정현파(正弦波) 인장 가진(加振)을 온도 범위 60~100℃에서 측정했다. 손실 계수 tanδ가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tanδ의 피크 온도로 했다. The evaluation of the peak temperature of tan delta was made by separately preparing a test piece (3 mm wide x 40 mm long x 1 mm thick)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at of the rubber layer and using a Leopectol-DVE-V4 (manufactured by Rheology) And the 10 Hz sine wave tensile excitation was measured at a temperature range of 60 to 100 ° C.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loss coefficient tan? Represents the maximum value is defined as the peak temperature of tan?.

(5) 색조 변화(변색의 유무) (5) Change in color tone (presence or absence of discoloration)

실시예 및 비교예의 탈부 롤에 형성된 고무층의 색조 변화를 평가했다. The change in color tone of the rubber layer formed on the release rol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evaluated.

상기 색조 변화의 평가는, 상기 고무층과 동일한 조성의 시험편(사이즈: 길이 200㎜×폭 70㎜×두께 2㎜)을 별도 제작하고, 선샤인 웨더미터(스가 시켄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선샤인 웨더미터 S80)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편을 JIS K 6732의 촉진 내후성(耐候性) 시험에 규정된 조건으로 120시간 폭로하고, 그 후, 색조의 변화를 관찰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A test piece (size: 200 mm in length x 70 mm in width x 2 mm in thickness)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at of the rubber layer was separately prepared and evaluated by using a Sunshine Weather Meter (Sunshine Weather Meter S80 manufactured by Suga Shikeki Co., Ltd.) ), The test piece was exposed for 120 hours under the conditions specified in the accelerated weathering resistance test of JIS K 6732, and then the change in color tone was observ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고무층을 구비한 본 발명의 탈부 롤은 사용 시에 팽창하기 어렵고, 이미 시장에서 신뢰성이 확립되어 있는 시판품과 동일한 정도의 치수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Table 1,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ubber layer composed of a cured product of a specific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is hardly swollen at the time of use and has dimensional stability equivalent to that of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that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in the market have.

또한, 가교제로 1,4-BD와 BHEB를 병용함으로써, 고무층의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이 명확해졌다. It has also become clear that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rubber layer is improved by using 1,4-BD and BHEB in combination as a crosslinking agent.

또한, 본 발명의 탈부 롤은 보관 시에 변색되는 일이 없는 것도 명확해졌다. It has also become clear that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scolor during storage.

3. 탈부 롤의 제작 및 평가(2) 3.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strip roll (2)

(실시예 3) (Example 3)

본 실시예에서는, 형식: 대 100의 탈부 롤을 제작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burring roll of the type: large 100 was produced.

여기서는, 형상 및 치수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탈부 롤을 제작했다. Herein, except that the shape and dimensions were changed, a release roll was produced using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

(실시예 4)(Example 4)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대신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탈부 롤을 제작했다. A release rol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B was used instead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비교예 7) (Comparative Example 7)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A를 대신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탈부 롤을 제작했다. A release rol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 was used instead of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A.

(비교예 8) (Comparative Example 8)

반도 카가쿠샤 제품의 탈부 롤(화이트 롤, 통합 대 100형)을 본 비교예의 탈부 롤로 했다. A release roll (white roll, integrated type 100 type) of a product of Bando Kagakusha was used as a release roll of this comparative example.

(평가) (evaluation)

(6) 탈부 롤의 성능 평가 (6) Performance evaluation of degreasing roll

후술하는 3군데의 시설에서, 탈부량과 고무층의 마모량의 관계를 평가했다. In the following three facil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debris and the amount of wear of the rubber layer was evaluated.

또한, 토요오카 컨트리 엘리베이터에서는, 시판 탈부 롤의 사용 수명에 관한 과거의 실적에 대해 청취 조사를 실시했다. In Toyooka Country Elevator, we conducted a listening survey on the past performance regarding the service life of the commercial release roll.

(6-1) 실시예 3 및 4에서 제작한 탈부 롤의 평가 (6-1) Evaluation of release rolls prepared in Examples 3 and 4

타지마 농업 협동조합, 토요오카 컨트리 엘리베이터에서 평가했다. Tajima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nd Toyooka Country Elevator.

탈부기는, 사타케샤 제품, 형식: HA10NC(2004년 도입)을 사용했다. The shaving machine was a product of Satake Sha, type: HA10NC (introduced in 2004).

벼는, 품목: 멥쌀, 수분율(현미 기준) 14.3~14.8%, 투입 벼 온도 5~15℃로 했다. Rice, item: rice, moisture (based on brown rice) 14.3 ~ 14.8%, the temperature of the rice was 5 ~ 15 ℃.

처리 속도는, 약 4.6톤/시간으로 했다. The processing speed was about 4.6 tons / hour.

또한, 실시예 3의 탈부 롤을 사용한 경우의 탈부율은 78%이며, 실시예 4의 탈부 롤을 사용한 경우의 탈부율은 79%였다. The removal rate in the case of using the release roll of Example 3 was 78%, and the removal rate in the case of using the release roll of Example 4 was 79%.

본 평가에서는, 약 300톤의 벼를 처리하고, 그 때의 탈부 롤의 고무층의 마모량을 계측했다. 이때 마모량은, 한 쌍의 탈부 롤(주롤 및 부롤)의 각각의 단면(端面)에 자를 갖다 대어 잔존하는 고무층의 두께를 계측하고, 초기 고무층의 두께(25㎜)와의 차로 하여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In this evaluation, about 300 tons of rice were treated, and the abrasion amount of the rubber layer of the release roll at that time was measured. At this time, the amount of abrasion was calculated by taking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remaining on the end face of each of the pair of release rolls (main roll and boule roll) so as to be a difference from the thickness of the initial rubber layer (25 m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또한, 표 2에서, 주롤 앞 및 부롤 앞의 마모량이란, 탈부 롤을 탈부기에 장착했을 때에 앞에 위치하는 단면에서 계측한 마모량을 말하고, 주롤 뒤 및 부롤 뒤의 마모량이란, 탈부 롤을 탈부기에 장착했을 때에 안쪽에 위치하는 단면에서 계측한 마모량을 말한다. In Table 2, the abrasion amount in front of and in front of the main roll refers to the amount of abrasion measured on the cross section positioned in front when the release roll was mounted on the ungroove, Refers to the amount of wear measured on the cross sec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when mounted.

또한, 상기 마모량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탈부 롤을 사용 수명까지(고무층의 두께가 5㎜가 될 때까지) 사용했을 때의 예상 한계 탈부량(탈부 가능한 벼의 중량의 예상값)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On the basis of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brasion amount, the anticipated limit abrasion amount (the expected value of the weight of the detachable rice) when the abrasion roll was used up to the service life (until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became 5 mm) was calculated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또한, 예상 한계 탈부량은, 상술한 방법으로 계측한 4군데의 마모량의 평균값(평균 마모량)을 산출하고, 평균 마모량 (A), 및, 실제로 처리한 벼의 중량 (B)에 기초하여 하기 계산식 (1)로부터 산출했다. The predicted limit depletion amount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verage wear amount) of the four wafers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calculating the average wear amount (A) and the actual treated rice weight (B) (1).

예상 한계 탈부량=벼의 중량 (B)÷〔평균 마모량 (A)/20〕···(1) Estimated limit depletion = weight of rice (B) ÷ [average wear (A) / 20] (1)

또한, 토요오카 컨트리 엘리베이터에서의 청취 조사의 결과, 반도 카가쿠샤 제품의 탈부 롤(화이트 롤, 통합 대 100형)의 수명(한계 탈부량)은, 대강 300~400톤인 것이 명확해졌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listening inspection in the Toyoka country elevator,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lifetime (marginal dehydration amount) of the release roll (white roll, integrated type 100 type) of the product of Bando Kagakusha is roughly 300 to 400 tons.

(6-2) 비교예 7에서 제작한 탈부 롤의 평가 (6-2) Evaluation of release roll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7

타지마 농업 협동조합, 이즈시 컨트리 엘리베이터에서 평가했다. Tajima agricultural cooperative, Izu-shi Country elevator evaluated.

탈부기는, 가부시키가이샤 사타케 제품, 형식: HPS100HEA(1999년 도입)를 사용했다. 또한, 벼는, 품목: 히노히카리, 수분율(현미 기준) 14.5~16.3%, 투입 벼 온도 15~28℃로 했다. The degaussing machine was manufactured by Satsuke Kabushiki Kaisha, type: HPS100HEA (introduced in 1999). In addition, rice was at 14.5 ~ 16.3% moisture content (based on brown rice) and at a temperature of 15 ~ 28 ℃ for rice hinoki.

처리 속도는, 약 2.5톤/시간으로 했다. The processing speed was about 2.5 tons / hour.

또한, 비교예 7에서의 탈부율은 79%였다. The removal rate in Comparative Example 7 was 79%.

본 평가에서는, 약 220톤의 벼를 처리하고, 그 때의 탈부 롤의 고무층의 마모량을 계측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In this evaluation, about 220 tons of rice was treated, and the wear amount of the rubber layer of the release roll at that time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또한, 상기 마모량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예상 한계 탈부량을 산출했다. 산출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brasion amount, the anticipated limit removal amount was calculated. The calcul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또한, 마모량의 계측 방법, 및, 예상 한계 탈부량의 산출 방법은, 상기 (6-1)과 동일하다.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wear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expected limit depletion amount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 (6-1).

(6-3) 비교예 8에서 제작한 탈부 롤의 평가 (6-3) Evaluation of release roll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8

효고 미나미 농업 협동조합, 이나미 컨트리 엘리베이터에서 평가했다. Hyogo Minami Agricultural Cooperative, Inami Country Elevator.

탈부기는, 사타케샤 제품, 형식: HPS100HEA(1999년 도입)를 사용했다. The degaussing machine was a product of Satake Sha, type: HPS100HEA (introduced in 1999).

벼는, 품목: 히노히카리 및 키누히카리, 수분율(현미 기준): 14.3%(히노히카리), 14.1%(키누히카리)로 했다. Rice, Item: Hinohikari and Kinuhikari, water content (based on brown rice): 14.3% (Hinohikari), 14.1% (Kinuhikari).

처리 속도는, 약 2.0톤/시간으로 했다. The processing speed was set at about 2.0 tons / hour.

또한, 비교예 8의 탈부 롤을 사용한 경우의 탈부율은, 종래의 탈부 롤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정도였다. The removal rate in the case of using the release roll of Comparative Example 8 was about the same as that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release roll.

본 평가에서는, 약 350톤의 벼를 처리하고, 그 때의 탈부 롤의 고무층의 마모량을 계측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In this evaluation, about 350 tons of rice was treated, and the abrasion amount of the rubber layer of the release roll at that time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또한, 상기 마모량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예상 한계 탈부량을 산출했다. 산출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brasion amount, the anticipated limit removal amount was calculated. The calcul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또한, 마모량의 계측 방법, 및, 예상 한계 탈부량의 산출 방법은, 상기 (6-1)과 동일하다. 단, 비교예 8에서는 마모량을 주롤 앞, 및, 부롤 앞의 2군데에서만 계측했다.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wear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expected limit depletion amount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 (6-1). In Comparative Example 8, however, the amount of wear was measured only in front of the main roll and in the front of the roll.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고무층을 구비한 본 발명의 탈부 롤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어, 탈부 롤의 교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the release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ubber layer made of a cured product of a specific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an be u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of its excellent durability, and the replacement frequency of the release roll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이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경우,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도 명확해졌다. It has also become clear that when the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s silicone oil, durability is improved.

10, 10A, 10B: 탈부 롤
11: 심재부
11a: 장착용 플랜지
12: 고무층
10, 10A, 10B:
11:
11a: Mounting flange
12: Rubber layer

Claims (4)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의 외주면에 적층된 고무층을 구비한 탈부 롤로서,
상기 고무층은, 폴리올 성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TDI 및/또는 MDI이고,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디올 및 1,4-비스(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 롤.
A release roll comprising a core part and a rubber layer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art,
Wherein the rubber layer comprises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 component, an isocyanate component and a crosslinking agent,
Wherein the polyol component is a polyester polyol,
The isocyanate component is TDI and / or MDI,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is 1,4-butanediol and 1,4-bis (? -Hydroxyethoxy) benze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MDI인, 탈부 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socyanate component is MDI.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은 20℃에서의 JIS-A 경도(硬度)가 85° 이상 99° 미만인, 탈부 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ubber layer has a JIS-A hardness (hardness) of at least 85 ° and less than 99 ° at 20 ° C.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은 DIN 마모 감량이 60~100㎣인, 탈부 롤.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ubber layer has a DIN abrasion loss of 60 to 100 kPa.
KR1020167031682A 2014-04-16 2015-04-09 Husking roll KR2016014512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4633 2014-04-16
JP2014084633A JP5707522B1 (en) 2014-04-16 2014-04-16 Hulling roll
PCT/JP2015/061072 WO2015159787A1 (en) 2014-04-16 2015-04-09 Husking rol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500A Division KR102061495B1 (en) 2014-04-16 2015-04-09 Husking ro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125A true KR20160145125A (en) 2016-12-19

Family

ID=532771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500A KR102061495B1 (en) 2014-04-16 2015-04-09 Husking roll
KR1020167031682A KR20160145125A (en) 2014-04-16 2015-04-09 Husking roll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500A KR102061495B1 (en) 2014-04-16 2015-04-09 Husking rol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07522B1 (en)
KR (2) KR102061495B1 (en)
CN (1) CN106457254B (en)
WO (1) WO201515978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8473B1 (en) * 2015-03-09 2016-01-2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Hulling roll
JP6197128B1 (en) * 2015-10-29 2017-09-13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Elastomer member and machine tool seal member
JP6890432B2 (en) * 2017-02-13 2021-06-18 三井化学株式会社 Composition for paddy roll and paddy roll
JP6664026B1 (en) * 2019-08-06 2020-03-13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Hulling roll and hull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809A (en) 1999-07-27 2001-02-06 Iseki & Co Ltd Husking rol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378B2 (en) * 1974-12-14 1979-05-30
JPS5415824B2 (en) * 1975-03-12 1979-06-18
JPS61130360A (en) * 1984-11-28 1986-06-18 Nok Corp Packing material for hermetical sealing
JPS61167446A (en) * 1985-01-18 1986-07-2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Hulling apparatus
US6852823B2 (en) * 2002-08-09 2005-0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urea elastomers from polytrimethylene ether glycol
JP4497361B2 (en) * 2003-12-25 2010-07-07 シンジーテック株式会社 Feeding roll
CN101723194A (en) * 2009-11-09 2010-06-09 邱雄劲 Pickup roller with elastic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2044972U (en) * 2011-03-28 2011-11-23 来安县安泰聚氨酯制品有限公司 Paddy hulling rubber roll
JP2013073008A (en) * 2011-09-28 2013-04-22 Tokai Rubber Ind Ltd Foamed urethane roll fo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809A (en) 1999-07-27 2001-02-06 Iseki & Co Ltd Husking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529A (en) 2019-02-22
CN106457254B (en) 2018-06-05
WO2015159787A1 (en) 2015-10-22
JP2015202480A (en) 2015-11-16
KR102061495B1 (en) 2020-01-02
JP5707522B1 (en) 2015-04-30
CN106457254A (en)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6990B2 (en) Cleaning blade,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eaning blade
KR20160145125A (en) Husking roll
JP4900796B2 (en) Cleaning blade member
KR101291473B1 (en) Cleaning blade fo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860393B2 (en) Electrophotographic blade
JP2006037328A (en) Belt for paper-making machine
CA2497855A1 (en) Papermaking machine bel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442443B2 (en) Polyurethane urea system
JP5797439B2 (en) Cleaning blad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11260487B2 (en) Machine-tool seal member
JP6857478B2 (en) A pair of paddy rolls
JP2018036363A (en) Cleaning blade fo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WO2016143633A1 (en) Husking roll
WO2016158868A1 (en) Thermosetting urethane composition, cured article, and husking roll
JP6284296B2 (en) Cleaning blade for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CN114173927B (en) Rice hulling roller and rice hulling method
JP6535709B2 (en) Machine tool seal member
JP2023054540A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osetting urethane sheet
JP6359604B2 (en) Cleaning blade for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JP2023013080A (en) Seal member for machine tools
JP2021041351A (en) Hulling roll
JP2007017764A (en) Blad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3165819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thermosetting polyurethane elastomer
KR19990039200A (en) Urethane Mixed Resin Composition for Urethane Rubber with Excellent Wear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2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125

Effective date: 2020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