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617A - 닉 브레이킹 장치 - Google Patents

닉 브레이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617A
KR20160144617A KR1020150080981A KR20150080981A KR20160144617A KR 20160144617 A KR20160144617 A KR 20160144617A KR 1020150080981 A KR1020150080981 A KR 1020150080981A KR 20150080981 A KR20150080981 A KR 20150080981A KR 20160144617 A KR20160144617 A KR 2016014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veyor
nick
roller
convey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466B1 (ko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46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B1/74
    • B31B2201/0217

Abstract

본 발명은 닉 브레이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닉이 형성된 판상요소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판상요소의 닉의 이송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판상요소가 연속적인 파 형상을 이루며 이송되도록 상기 판상요소를 가압하고, 상기 판상요소에 형성된 닉을 파단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닉 브레이킹 장치{NICK BRE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닉 브레이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상요소 상에 마련된 플랩의 절단선의 양단부를 부분 연결하는 닉을 파단하기 위한 닉 브레이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포장기계에서 종이 판재 또는 블랭크(blank)인 판상요소를 이용하여 포장을 위한 접힌 상자를 얻기 위해, 판상요소는 컨베이어에 의해 여러 스테이션을 거쳐 운반되며, 접히고 풀칠되는 작업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닉을 가진 판상요소의 일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상태의 형태에 따라 판상요소에는 부분적으로 절단되는 플랩(flap)이 형성되고, 플랩의 절단선의 양단부에는 닉에 의해 판상요소의 판면에 부분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자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선을 따라 접혀지는 특정의 판상요소를 절단하는 경우, 판상요소가 서로 접착하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 플랩의 절단선의 양단부를 판상요소의 판면에 닉으로 연결하는 것이 유용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닉은 플랩의 절단선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판상요소를 접고 풀칠하는 과정으로 도입할 때, 판상요소를 접는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닉을 파단해야 한다.
한편, 이러한 닉을 파단하기 위한 장치의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90559호에 절단선의 2 에지를 연결하는 닉을 파단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닉을 파단하기 위한 장치는 판상요소로서 블랭크의 평면 경로 상에 평행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평행 샤프트에는 블랭크의 절단선의 닉을 파단하도록 절단부의 인접한 에지 사이에 전단력을 유발하는 공구 지지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공구 지지부의 외주에는 공구 지지부의 회전 궤적을 따라 회전하며 닉을 파단하는 공구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닉을 파단하기 위한 장치는 닉을 파단하는 공구 지지부가 평행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판상요소의 닉을 파단하기 위해서는, 평면 경로 상을 이동하는 판상요소인 블랭크의 길이 및 이송 속도, 평행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맞추어야 하므로, 제어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또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닉을 파단하기 위한 장치는 블랭크의 길이 및 블랭크에 형성된 닉의 형태에 따라 닉을 파단하는 공구 지지부를 교체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390559호(발명의 명칭: 절단선의 2 에지를 연결하는 닉을 파단하기 위한 장치, 등록일: 2003.06.2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상요소의 길이 및 이송 속도에 관계없이 판상요소의 닉을 파단할 수 있고, 판상요소의 닉의 형태 및 위치에 관계없이 닉을 파단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닉 브레이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닉이 형성된 판상요소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판상요소의 닉의 이송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판상요소가 연속적인 파 형상을 이루며 이송되도록 상기 판상요소를 가압하고, 상기 판상요소에 형성된 닉을 파단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닉 브레이킹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롤링가능하게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롤러는 인접하는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상요소와 접촉하는 상기 가압 롤러의 롤링면은 상기 판상요소와 접촉하는 상기 이송 롤러의 롤링면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판상요소의 닉과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 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편지지하는 롤러 캐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캐리어를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에 대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롤러 캐리어를 지지하는 캐리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에 대해 가로로 상기 컨베이어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 지지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상요소의 길이 및 이송 속도에 관계없이 판상요소의 닉을 파단할 수 있고, 판상요소의 닉의 형태 및 위치에 관계없이 닉을 파단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닉 브레이킹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닉 브레이킹 장치에 판상요소가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 정면 확대도,
도 5는 닉이 파단되기 전의 판상요소의 일 실시예 도면,
도 6은 도 5의 판상요소의 닉이 파단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판상요소(1)는 포장을 위한 접힌 상자를 얻기 위해 종이 판재 또는 블랭크(blank)로 제조된 것을 말한다.
또한, 판상요소(1)에 형성된 닉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요소(1)에는 부분적으로 절단되는 플랩(3, flap)이 형성되어 있고, 플랩(3)의 절단선(5)의 양단부는 닉(미도시)에 의해 판상요소(1)의 판면에 부분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닉을 파단하기 위한 닉 브레이킹 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닉 브레이킹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닉 브레이킹 장치(10)는 컨베이어(11)와, 컨베이어(11)를 따라 이송되는 판상요소(1)에 형성된 닉을 파단하는 복수의 가압 롤러(33)를 포함한다.
컨베이어(11)는 판상요소(1)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경로(13)를 형성하며, 복수의 이송 롤러(15)가 이송 경로(13)를 따라 간격을 두고 편평하게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11)의 각 이송 롤러(15)는 벨트(17)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모터(19)의 회전력을 벨트(17)를 통해 전달받아 롤링한다.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의 중앙에는 상부 이송 벨트 캐리어(21)와 하부 이송 벨트 캐리어(23)가 이송 경로(13)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부 이송 벨트 캐리어(21)와 하부 이송 벨트 캐리어(23)는 컨베이어(11)로 투입되는 판상요소(1)를 상호 밀착하여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 롤러(33)는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판상요소(1)의 닉의 이송 경로에 마련되어, 판상요소(1)의 닉을 파단한다.
복수의 가압 롤러(33)는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하나의 가압 롤러 유니트(31)를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가압 롤러 유니트(31)가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4열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압 롤러 유니트(31)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가압 롤러 유니트(31)는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상에서 판상요소(1)의 닉의 이송 경로에 따라 위치 조절된다. 그리고, 가압 롤러 유니트(31)는 하나 이상의 가압 롤러(33)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 롤러(33)는 인접하는 한 쌍의 이송 롤러(15) 사이에 마련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판상요소(1)와 접촉하는 가압 롤러(33)의 롤링면은 판상요소(1)와 접촉하는 이송 롤러(15)의 롤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판상요소(1)와 접촉하는 이송 롤러(15)의 롤링면과 가압 롤러(33)의 롤링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고 단차를 형성하게 되므로, 판상요소(1)는 연속적인 파 형상을 이루며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판상요소(1)가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되는 도중에 가압 롤러(33)가 플랩(3)을 포함한 판상요소(1)의 판면을 가압함에 따라 플랩(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이송 경로(13)의 상방으로 상승한 후, 가압 롤러(33)에 의해 가압 롤러(33)의 가압에 의해 이송 경로(13)의 하방으로 하강되며, 이러한 일련의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함에 따라 판상요소(1)는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파 형상을 이루며 이송된다. 또한, 플랩(3)은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되면서 복수의 가압 롤러(33)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플랩(3)을 연결하는 닉은 파단되어, 플랩(3)의 절단선(5)은 판상요소(1)의 판면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복수의 가압 롤러(33)는 스프링(35)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스프링(35)은 가압 롤러(33)가 판상요소(1)의 닉과 접촉하도록 가압 롤러(3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각 스프링(35)은 롤러 캐리어(37)에 편지지된다.
롤러 캐리어(37)는 하나의 가압 롤러 유니트(31)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가압 롤러 유니트(31)에 대응하여 4개의 롤러 캐리어(37)가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4열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각 롤러 캐리어(37)는 캐리어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된다. 캐리어 지지부(41)는 본체(43)와, 후술할 가이드 레일(6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43)를 가이드 레일(61)과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45)과, 본체(43)를 롤러 캐리어(37)에 연결하며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에 대해 롤러 캐리어(37)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로서 높이 조절 볼트(49)와, 롤러 캐리어(37)를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위치 이동을 조절하는 위치 이동 조절부(51)를 포함한다.
본체(43)는 양측에 높이 조절 볼트(49)가 결합되며, 높이 조절 볼트(49)에 의해 롤러 캐리어(37)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45)의 일단부는 후술할 연결부재(55)에 의해 본체(4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후술할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관통공(47)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 조절 볼트(49)는 일단부가 롤러 캐리어(37)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43)에 나사 결합된다. 높이 조절 볼트(4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롤러 캐리어(37)가 하강하게 되고, 높이 조절 볼트(49)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롤러 캐리어(37)가 상승하게 된다.
이로써, 높이 조절 볼트(49)의 조작에 의해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되는 판상요소(1)의 두께 등에 따라 롤러 캐리어(3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높이 조절 볼트(49)가 본체(43)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이 조절 볼트(49)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위치 이동 조절부(51)는 본체(43)의 판면에 이송 롤러(15)의 배열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슬릿(53)과, 슬릿(5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43)와 연결 브래킷(45)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55)를 포함한다.
이로써, 연결부재(55)를 슬릿(53)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롤러 캐리어(37)를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위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슬릿(53)과 한 쌍의 연결부재(55)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슬릿(53)과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55)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닉 브레이킹 장치(10)는 캐리어 지지부(4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을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은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에 대해 가로로 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1)의 상방에 배치되며, 캐리어 지지부(41)의 관통공(47)에 각각 결합된다.
이로써,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판상요소(1)의 닉의 위치에 따라, 좀 더 구체적으로 판상요소(1)의 닉의 이송경로에 따라 가압 롤러(33)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닉을 파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레일(61)은 하나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미 설명된 참조부호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닉 브레이킹 장치(10)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닉 브레이킹 장치(10)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플랩(3)에 형성된 닉을 파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베이어(11)로 투입하기 위한 판상요소(1)의 닉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 롤러 캐리어(37)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 때, 캐리어 지지부(41)를 가이드 레일(6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각 롤러 캐리어(37)의 위치를 조절한다.
다음, 컨베이어(11)로 투입하기 위한 판상요소(1)의 두께에 대응하여 캐리어 지지부(41)의 높이 조절 볼트(49)를 조작하여, 각 롤러 캐리어(37)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 때, 판상요소(1)와 접촉하는 이송 롤러(15)의 롤링면과 가압 롤러(33)의 롤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고 단차를 형성하도록 예컨대, 판상요소(1)와 접촉하는 가압 롤러(33)의 롤링면이 판상요소(1)와 접촉하는 이송 롤러(15)의 롤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각 롤러 캐리어(37)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캐리어 지지부(41)의 연결부재(55)를 슬릿(53)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켜, 각 롤러 캐리어(37)를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위치 조절한다.
여기서, 각 롤러 캐리어(37)의 위치 조절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판상요소(1)를 컨베이어(11)에 투입하여, 판상요소(1)를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시킨다.
이 때, 컨베이어(11)로 투입되는 판상요소(1)는 판상요소(1)와 접촉하는 이송 롤러(15)의 롤링면과 가압 롤러(33)의 롤링면 사이에 발생된 단차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파 형상을 이루며 컨베이어(11)의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된다.
한편, 판상요소(1)가 이송 경로(13)를 따라 이송되는 도중에, 가압 롤러(33)가 플랩(3)을 포함한 판상요소(1)의 판면을 가압함에 따라 플랩(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판상요소(1)는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파 형상을 이루며 이송되고, 플랩(3)은 복수의 가압 롤러(33)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압되며, 이에 플랩(3)을 연결하는 닉은 파단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3)의 절단선(5)은 판상요소(1)의 판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판상요소가 연속적인 파 형상을 이루며 이송되도록 판상요소를 가압하고, 판상요소에 형성된 닉을 파단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롤러를 판상요소의 닉의 이송 경로에 마련함으로써, 판상요소의 길이 및 이송 속도에 관계없이 판상요소의 닉을 파단할 수 있고, 또한 판상요소의 닉의 형태 및 위치에 관계없이 닉을 파단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판상요소 10 : 닉 브레이킹 장치
11 : 컨베이어 13 : 이송 경로
15 : 이송 롤러 31 : 가압 롤러 유니트
33 : 가압 롤러 35 : 스프링
37 : 롤러 캐리어 41 : 캐리어 지지부
43 : 본체 45 : 연결 브래킷
49 : 높이 조절 볼트 51 : 위치 이동 조절부
53 : 슬릿 55 : 연결부재
61 : 가이드 레일

Claims (6)

  1. 닉이 형성된 판상요소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판상요소의 닉의 이송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판상요소가 연속적인 파 형상을 이루며 이송되도록 상기 판상요소를 가압하고, 상기 판상요소에 형성된 닉을 파단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닉 브레이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롤링가능하게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롤러는 인접하는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 사이에 마련되는, 닉 브레이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요소와 접촉하는 상기 가압 롤러의 롤링면은 상기 판상요소와 접촉하는 상기 이송 롤러의 롤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닉 브레이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판상요소의 닉과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 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편지지하는 롤러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닉 브레이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캐리어를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에 대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롤러 캐리어를 지지하는 캐리어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닉 브레이킹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에 대해 가로로 상기 컨베이어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 지지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닉 브레이킹 장치.
KR1020150080981A 2015-06-09 2015-06-09 닉 브레이킹 장치 KR10171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81A KR101719466B1 (ko) 2015-06-09 2015-06-09 닉 브레이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81A KR101719466B1 (ko) 2015-06-09 2015-06-09 닉 브레이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617A true KR20160144617A (ko) 2016-12-19
KR101719466B1 KR101719466B1 (ko) 2017-04-04

Family

ID=5773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981A KR101719466B1 (ko) 2015-06-09 2015-06-09 닉 브레이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9879A (zh) * 2017-11-20 2018-01-30 温州市高田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糊盒机的纠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782B1 (ko) * 2019-06-04 2021-01-19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697U (ja) * 1983-09-06 1985-03-30 村岡 耕一 打抜用紙分離機の穴取り装置の受け板固着機構
JP2000102827A (ja) * 1998-07-28 2000-04-11 Niigata Eng Co Ltd 部品切離し装置
KR100390559B1 (ko) 2000-03-30 2003-07-07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절단선의 2 에지를 연결하는 닉을 파단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697U (ja) * 1983-09-06 1985-03-30 村岡 耕一 打抜用紙分離機の穴取り装置の受け板固着機構
JP2000102827A (ja) * 1998-07-28 2000-04-11 Niigata Eng Co Ltd 部品切離し装置
KR100390559B1 (ko) 2000-03-30 2003-07-07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절단선의 2 에지를 연결하는 닉을 파단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9879A (zh) * 2017-11-20 2018-01-30 温州市高田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糊盒机的纠偏装置
CN107639879B (zh) * 2017-11-20 2024-04-19 温州市高田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糊盒机的纠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466B1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2464B2 (ja) 自動車シートの打ち抜き方法および自動車シートの打ち抜きシステム
US9833963B2 (en) Sheet folding device and carton former
JP6516768B2 (ja) 一つあるいは複数の生地シートから生地片のブランクを作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241524A2 (en) Flat board stamping apparatus
KR101719466B1 (ko) 닉 브레이킹 장치
US2258428A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web
TW201200319A (en) Die cutting and/or embossing station of sheet die-cutting machine
JP5895310B2 (ja) 包装材製造機械内における扁平な基材の移送装置
KR20170086086A (ko) 공구-홀더 칼럼, 편평한 기판을 변환하기 위한 유닛, 및 변환 유닛에 관련한 회전 공구의 제거 및 탑재 방법
CN105936136B (zh) 用于制造纸板箱的折叠-上胶机器
CN102431817A (zh) 输送装置
CN204770060U (zh) 金属压板成型装置
CN109415173B (zh) 用于输送板形构件的方法和输送设备
US1882531A (en) Creasing and folding machine
US20040033875A1 (en) Folding-box gluing or adhesive-bonding machine with an ejector or removal device
US10668685B2 (en) Folding arrangement, f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folding
US10744669B2 (en) Nick breaking device
EP3406550B1 (de) Vorrichtung zum ausrichten flacher zuschnitte
US2942765A (en) Carton blank feeding mechanism
KR20010102048A (ko) 박판금을 박판 스트립으로 절단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절단 장치
KR101724815B1 (ko) 2 개의 공구들 사이의 반경방향 갭을 조절하는 방법, 엠보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절곡-접착기
CN214528714U (zh) 玻璃板的制造装置
US2032276A (en) Shears for trimming sheet metal
JP4091954B2 (ja) コンベア装置
CN101631524B (zh) 用于由条带材料生产尿片组成部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