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267A -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267A
KR20160144267A KR1020150080881A KR20150080881A KR20160144267A KR 20160144267 A KR20160144267 A KR 20160144267A KR 1020150080881 A KR1020150080881 A KR 1020150080881A KR 20150080881 A KR20150080881 A KR 20150080881A KR 20160144267 A KR20160144267 A KR 20160144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oil block
retaining wall
block
rein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호
Original Assignee
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호 filed Critical 강창호
Priority to KR102015008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267A/ko
Publication of KR2016014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보강토 옹벽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보강토 옹벽은: 복수개로 배열되어 적층되는 보강토블럭과, 보강토블럭에 구비되는 장식패널 및 장식패널이 교체 가능하도록 보강토블럭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REINFORCEMENT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의 다양한 크기의 장식패널을 착탈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 옹벽 축조 공법이란, 토체 내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토류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금속, 섬유, 목재 등의 보강재를 옹벽 벽체의 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 결합시키고, 뒷채움함으로써, 흙과 보강재를 일체화함에 따라 지반의 지지력이나 사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법이다.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의 시공으로는 블럭과 블럭사이에 토목용 섬유인 지오그리드를 결속시키고, 지오그리드를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평면 포설하여 뒷채움 보강토 구간과 일체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판넬을 옹벽 전면판으로 하면서 콘크리트 판넬의 이면에 설치된 연결고리 P.E.T재질의 보강띠를 연결시키고, 이를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일직선 상으로 포설하고 보강띠의 끝부분을 쐐기형 앵커로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0259호(2008.01.02, 발명의 명치 : 보강토옹벽 공법)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토블럭의 적층시 보강토블럭의 조합으로 다양한 크기의 장착패널을 장착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되는 보강토블럭과 앵커보강재의 연결을 개선하여 지지력 강화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보강토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은: 복수개로 배열되어 적층되는 보강토블럭과, 상기 보강토블럭에 구비되는 장식패널 및 상기 장식패널이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보강토블럭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토블럭은 상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제1보강토블럭 및 상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2보강토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보강토블럭의 간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강토블럭의 전후 길이는 상기 제1보강토블럭의 전후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토블럭은 복수개로 배열되어 적층되고, 상기 보강토블럭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토블럭과 앵커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이웃하는 상기 보강토블럭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부재 및 상기 수평연결부재와 상기 앵커보강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평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은 보강토블럭의 적층시 보강토블럭의 조합으로 다양한 크기의 장착패널을 장착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되는 보강토블럭과 앵커보강재를 수평연결부재와,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로 연결함에 있어 보강부재를 평철로 형성하고, 보강부재를 수평연결부재와 연결하는 결속부의 단순한 구조에 의해 지지력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가 평철로 이루어지고, 보강토블럭 사이에 구비되어 앵커보강재와 연결되므로 적층되는 보강토블럭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강토블럭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지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결속부 결속강화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보강부재 제1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보강부재 제2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보강부재 제3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결속부 제1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결속부 제2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장식패널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장식패널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장식패널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지지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결속부 결속강화부재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보강부재 제1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보강부재 제2변형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보강부재 제3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결속부 제1변형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결속부 제2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장식패널 결합을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장식패널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장식패널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100)은 보강토블럭(11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보강토블럭(110)은 전체적으로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고, 전면부는 보강토 옹벽(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다양한 형태 및 텍스츄어가 가능하다.
보강토블럭(110)은 복수개로 배열되어 적층된다. 이러한 보강토블럭(110)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흙채움공간부(112)가 중공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부로 적층되는 또 다른 보강토블럭(110)의 흙채움공간부(112)와 수용되는 고정돌기(114)가 형성된다. 고정돌기(114)는 흙채움공간부(1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배열되고 적층되는 보강토블럭(110)은 상부로 적층시 반이 겹쳐지도록 지그재그 적층되는데, 고정돌기(114)가 상부의 연이은 보강토블럭(110) 각각의 흙채움공간부(112)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된다.
지지부(13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블럭(110)을 지지하도록 보강토블럭(110)과 앵커보강재(120)를 연결한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이웃하는 보강토블럭(110)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부재(132)와 수평연결부재(132)와 앵커보강재(120)를 연결하는 보강부재(134)를 포함한다. 수평연결부재(132)는 동일선상의 보강토블럭(110)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하고, 보강토블럭(110)에는 수평연결부재(132)가 안착되는 안착홈부(116)가 형성된다.
안착홈부(116)는 보강토블럭(110)의 후면부측에 형성되며, 수평연결부재(132)는 안착홈부(116)에 안착되어 한 행을 이루는 보강토블럭(110)을 상호 연결시킨다. 그리고, 보강부재(134)는 후측으로 연장되는 평철로 이루어진다.
수평연결부재(132)와 보강부재(134)는 결속부(140)에 의해 연결된다. 결속부(140)는 수평연결부재(132)의 둘레를 감싸도록 보강부재(13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142)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140)는 평철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134)의 단부가 벤딩되어 'U'자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연결부재(132)와 보강부재(134)의 연결은 보강부재(134)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속부(140)를 수평연결부재(132)에 걸어주면 되므로 시공성이 향상된다.
이때,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34)의 결속부(140)에는 결속강화부재(137)가 구비되어 수평연결부재(132)와 보강부재(134)의 해체를 방지할 수 있다. 결속강화부재(137)는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속부(140)에 체결되어 수평연결부재(132)와 보강부재(134)의 해체를 방지한다. 결속강화부재(137)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밴드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34)의 제2변형예로서, 평철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134)에 별물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135)는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찰부재(135)는 하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보강부재(134)에 후크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재(134)에는 마찰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홈부(134a)가 형성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오 같이 평철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134)에는 마찰부재(135')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찰부재(135,135')는 뒤채움되는 보강토와 보강부재(134)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보강토 옹벽(1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34)의 제3변형예로서, 띠형 섬유보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수평연결부재(132)와 앵커보강재(120)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어 보강토블럭(11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240)의 제1변형예로서, 결속부(240)는 수평연결부재(132)의 둘레를 감싸는 고리(242)와, 고리(242)와 보강부재(134)를 결합하는 체결부재(244)를 포함한다. 즉, 보강부재(134)와 고리(242)가 분리형으로 형성되고,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244)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이때, 고리(142)는 'U'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리(142)의 내측에 수평연결부재(132)와 보강부재(134)가 개재되고, 체결부재(244)에 의해 보강부재(134)와 고리(242)가 결속된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340)의 제2변형예로서, 수평연결부재(132)는 평철로 이루어지고, 결속부(340)는 수평연결부재(132)와 보강부재(134)를 결합하는 체결부재(342)를 포함한다. 즉, 수평연결부재(132)와 보강부재(134)가 상호 접하여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342)에 의해 결속된다.
보강부재(134)의 후단에는 앵커보강재(120)가 결합된다. 앵커보강재(120)는 'ㄴ'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지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보강부재(134)와 결속되며, 앵커보강재(120)의 저항력에 의하여 보강토블럭(1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강토블럭(110)에는 장식패널(150)이 구비된다. 장식패널(150)은 자연석, 목재패널, 합성수지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토블럭(110)에는 도 11 또는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패널(150)이 교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부(160)가 형성된다. 이때, 보강토블럭(110)은 가이드홈부(160)가 형성되는 제1보강토블럭(110a) 및 가이드홈부(160)가 형성되지 않은 제2보강토블럭(110b)으로 이루어지고, 장식패널(150)은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보강토블럭(110a)의 간격과 대응된다.
그리고, 제2보강토블럭(110b)의 전후 길이는 제1보강토블럭(110a)의 전후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2보강토블럭(110b)에는 가이드홈부(160)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1보강토블럭(110a)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각각의 보강토블럭(110)을 동일하게 적층하게 되면, 제1보강토블럭(110a)이 제2보강토블럭(110b)보다 돌출되게 되고, 가이드홈부(160)가 노출되어 장식패널(150)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된다. 따라서, 제2보강토블럭(110b)의 전면은 장식패널(150)의 후면에 밀착된다. 제2보강토블럭(110b)과 장식패널(150)이 밀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장식패널(1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공부재에 보강토블럭(110)을 일렬로 정렬시키고, 그 상측에 보강토블럭(110)을 지그재그 적층시킨다. 지그재그로 적층되는 보강토블럭(110)의 후측에는 뒤채움 보강토가 포설되어 다져진다.
이때, 적층되는 보강토블럭(110)은 지지부(130)에 의해 앵커보강재(12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지지부(130)는 일렬로 정렬되는 보강토블럭(110)을 연결하는 수평연결부재(132)와 수평연결부재(132)를 앵커보강재(120)와 연결하는 보강부재(134)로 이루어진다. 수평연결부재(132)는 수평바로 이루어지져 보강토블럭(110)의 안착홈부(116)에 안착됨으로써, 일렬로 정렬되는 보강토블럭(110)을 상호 연결시키고, 수평연결부재(132)와 앵커보강재(120)는 보강부재(134)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보강부재(134)는 평철로 이루어져, 선단에 형성되는 고리(142)가 수평연결부재(132)에 걸려 결속되고, 후단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ㄴ'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앵커보강재(120)에 결속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적층되는 보강토블럭(110)의 후측에 보강토가 뒤채움되면, 보강토블럭(110)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보강부재(134)는 평철로 이루어지고, 수평연결부재(132)와 연결시 보강토블럭(110) 사이를 통해 연결되므로 적층되는 보강토블럭(11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강토블럭(110)의 하중에 의한 보강토블럭(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34)는 평철로 이루어지고, 뒤채움되는 보강토와의 마찰을 향상시키는 마찰부재(135,135')가 더 구비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부재(134)의 선단에 형성되는 고리(142)를 수평연결부재(132)에 걸어주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시공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140)에는 결속강화부재(137)가 구비되어 수평연결부재(132)와 보강부재(134)의 해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는(134)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결부재(132)와 앵커보강재(120)을 지그재그 연결하는 띠형 섬유보강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240)는 'U'자 단면형상의 고리(242)와 체결부재(244)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도 있고,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결부재(132)가 평철로 이루어져, 평철이 서로 접하여 체결부재(342)에 의해 결속될 수도 있다.
이후, 교체 가능한 장식패널(150)의 장착을 살펴보면,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블럭(110)은 가이드홈부(160)가 형성되는 제1보강토블럭(110a)과, 가이드홈부(160)가 형성되지 않고, 제1보강토블럭(110a)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2보강토블럭(110b)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장식패널(150)의 장착부위를 고려하여 보강토블럭(110)을 지그재그로 적층한다.
각각의 보강토블럭(110)을 동일하게 적층하게 되면, 제1보강토블럭(110a)이 제1보강토블럭(110a)보다 돌출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이드홈부(160)가 노출되게 되어 장식패널(150)을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한다. 이때,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토블럭(110a)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크기의 장식패널(150)을 장착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보강토 옹벽(100)을 제공할 수 있다.
장식패널(150)은 가이드홈부(16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면이 제2보강토블럭(110b)의 전면에 밀착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에 의하면, 적층되는 보강토블럭과 앵커보강재를 평철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결속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보강토 옹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시공성을 개선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가 평철로 이루어지고, 보강토블럭 사이에 구비되어 앵커보강재와 연결되므로 적층되는 보강토블럭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강토블럭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토블럭의 전면에 장식패널이 구비되어 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장식패널의 착탈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보강토 옹벽 110 : 보강토블럭
110a : 제1보강토블럭 110b : 제2보강토블럭
112 : 흙채움공간부 114 : 고정돌기
116 : 안착홈부 120 : 앵커보강재
130 : 지지부 132 : 수평연결부재
134, 234 : 보강부재 134a : 유동방지홈부
135 : 마찰부재 140, 240, 340 : 결속부
142, 242 : 고리 150 : 장식패널
160 : 가이드홈부 244, 342 : 체결부재

Claims (5)

  1. 복수개로 배열되어 적층되는 보강토블럭;
    상기 보강토블럭에 구비되는 장식패널; 및
    상기 장식패널이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보강토블럭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블럭은 상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제1보강토블럭; 및
    상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2보강토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보강토블럭의 간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토블럭의 전후 길이는 상기 제1보강토블럭의 전후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블럭은 복수개로 배열되어 적층되고;
    상기 보강토블럭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토블럭과 앵커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이웃하는 상기 보강토블럭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부재; 및
    상기 수평연결부재와 상기 앵커보강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평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KR1020150080881A 2015-06-08 2015-06-08 보강토 옹벽 KR20160144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81A KR20160144267A (ko) 2015-06-08 2015-06-08 보강토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81A KR20160144267A (ko) 2015-06-08 2015-06-08 보강토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67A true KR20160144267A (ko) 2016-12-16

Family

ID=5773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881A KR20160144267A (ko) 2015-06-08 2015-06-08 보강토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2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860B1 (ko) 보강토 옹벽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0891299B1 (ko)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088477B1 (ko)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JP7149168B2 (ja) アンカー補強土壁構造
KR20180129150A (ko)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144267A (ko) 보강토 옹벽
KR20160144266A (ko) 보강토 옹벽
KR20090085862A (ko)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KR101059433B1 (ko) 보강토 옹벽 구조물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KR200453027Y1 (ko) 띠형 섬유 보강재의 연결이 용이한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348584B1 (ko) 복합 보강토 블록 구조물
KR101072414B1 (ko) 보강토 옹벽
KR20160096801A (ko) 띠형 보강재 및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1740025B1 (ko) 지지부를 구비한 블럭 옹벽용 개비온
KR20110000925A (ko)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019802B1 (ko) 보강매트를 갖는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1217975B1 (ko)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378123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34594B1 (ko) 보강용 옹벽프레임과 옹벽 시공방법
KR101407503B1 (ko) 지반보강재 및 이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
KR20110007020U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101809212B1 (ko)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
KR102632477B1 (ko) 보강토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