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212B1 -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9212B1 KR101809212B1 KR1020150060032A KR20150060032A KR101809212B1 KR 101809212 B1 KR101809212 B1 KR 101809212B1 KR 1020150060032 A KR1020150060032 A KR 1020150060032A KR 20150060032 A KR20150060032 A KR 20150060032A KR 101809212 B1 KR101809212 B1 KR 1018092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ers
- tubular
- coupled
- reinforcing
- tubular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은 성토지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수직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관 부재, 복수의 제 1 관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봉 부재,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과 두개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된 봉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벽체를 이루는 복수의 수직 부재, 복수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되며, 수직부재 후방의 성토지를 이루는 토사에 매입되어 토압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보강재 및 보강재를 관 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또는 인공 목재 등을 이용하여 보다 자연친화적이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옹벽의 후방에 채워지는 토사에 그리드나 스트립과 같은 마찰저항 보강재를 매입하고, 이 보강재를 옹벽에 연결하여 일체화된 보강 구조체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보강토 옹벽은 토사의 압력에 의해 보강재가 고정되고 이 보강재의 장력에 의해 옹벽이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옹벽이 높아짐에 따라 보강재에 의한 지지력도 증가하게 되어 중력식 옹벽에 비해 시공 높이에 제한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었기 때문에, 시공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자연 친화적인 환경 제공에 저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현장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보강토 옹벽의 경우, 거푸집의 설치와 철거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콘크리트 옹벽의 외면에 화강암 등의 자연석을 부착하여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마감작업도 추가로 필요했기 때문에, 시공 기간이 길고 시공 비용도 높은 문제가 있었다.
다른 예로는, 소정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공장에서 사전 제작하여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구조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는 거푸집 설치와 철거, 콘크리트 양생 등의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전술한 콘크리트 타설식 구조에 비해서는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중량이 많이 나가는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함으로 인해, 현장까지 콘크리트 블록을 운반하고 이를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하는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시공된 옹벽 외면의 미관 개선을 위한 마감작업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도 시공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연 또는 인공 목재를 적층하여 보다 자연 친화적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성토지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수직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관 부재,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봉 부재,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과 상기 두개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된 봉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벽체를 이루는 복수의 수직 부재,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부재 후방의 성토지를 이루는 토사에 매입되어 토압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를 상기 관 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제 1 관 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성토지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두 단부를 구비한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상기 두 단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성토지의 후방측에 상기 보강재가 결합되는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 부재 각각은 U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 부재가 상기 제 1 관 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양 단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3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U자형 단면의 제 2 결합 부재의 중앙 내측부에 상기 제 3 결합 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양 단부 사이에 상기 보강재가 위치되며, 상기 U자형 단면의 제 2 결합 부재의 양 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2 결합 부재와 상기 보강재가 상호 결합되도록 제 4 결합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성토지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수직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관 부재,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봉 부재,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과 상기 두개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된 봉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벽체를 이루는 복수의 수직 부재,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부재 후방의 성토지를 이루는 토사에 매입되어 토압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를 상기 관 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제 1 관 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성토지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두 단부를 구비한 제 1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상기 제 1 관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성토지 후방으로 연장된 두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두 단부가 상기 중앙부로부터 수평으로 휘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단부 사이에 상기 보강재가 결합되는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봉 부재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복수의 관 부재의 양 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는 상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봉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관형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관 부재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 2 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의 지름이 상기 제 1 관 부재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제 2 관 부재는 상기 제 1 관 부재와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 부재와 상기 제 2 관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제 1 관 부재 및 상기 제 2 관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 부재의 상단부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부재 하단부의 상기 제 1 결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형의 연결 부재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 1 결합홈 및 상기 제 2 결합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부재 후방 및 상기 보강재에 결합되어 토사의 유출을 막기 위한 차단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수단은 L자 형태로 굽어진 철망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철망에 결합된 부직포 또는 식생 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가벼운 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옹벽 외부의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 공사가 필요 없도록 함으로써,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자연친화적인 보강토 옹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위 조립패널을 조립한 후, 쌓아 올려 하나의 결합되고 일체화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가 체결수단에 의하여 복수의 관 부재들과 연결되고, 보강재 및 체결수단은 성토내에 매입되어 토압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강도 및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체결 수단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적층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측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체결 수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체결 수단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성토지에 시공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체결 수단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적층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측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체결 수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체결 수단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성토지에 시공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의 체결 수단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의 연결부재(15)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이 적층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은 제 1 관 부재(12), 수직 부재(14), 보강재(16) 및 체결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관 부재(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될 성토지(도 10의 도면 번호 50 참조)의 전방 바닥 면에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하여 수직배치 된다.
제 1 관 부재(12)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관 부재(12)의 직경 및 길이는 제 1 관 부재(12)가 설치되는 옹벽 구조물의 크기 및 설치 장소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서는 3개의 제 1 관 부재(12)가 성토지(50)의 전방 바닥 면에 고정이 되지만, 벽체를 이루는 복수의 수직 부재(14)가 고정이 되기 위하여 2개의 제 1 관 부재(12)가 이격하여 수직 배치 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의 제 1 관 부재(12)가 이격하여 수직배치 될 수도 있다.
이 때, 서로 이웃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제 1 관 부재들(12)은 제 1 관 부재들(1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봉 부재들(13)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봉 부재들(13) 각각은 상기 제 1 관 부재(12)보다는 가는 굵기를 갖는 강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봉 부재들(13)은 제 1 관 부재들(12)에 대하여 용접 등 기타 결합 방법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이 때, 복수의 봉 부재들(13)이 많이 결합될수록 이웃하는 제 1 관 부재들(12)은 더욱 강하게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봉 부재들(13)이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들(12)과 접촉하는 모든 부분들도 상기 제 1 관 부재들(12)과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봉 부재들(13) 중 일부는 상기 제 1 관 부재(12)의 전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제 1 관 부재(12)의 배면에 결합되어 제 1 관 부재(1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봉 부재들(13)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봉 부재들(13) 사이에는 상기 벽체를 이루는 복수의 수직 부재(14)를 끼울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배치 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 1 관 부재들(12)과 상기 제 1 관 부재들(1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복수의 봉 부재들(13)로 둘러싸인 공간(이하 “수직 부재 설치 공간”이라 함)에는 복수의 수직 부재(14)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부재(14)는 성토지(50)를 이루는 토사가 전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벽체 구성물로서, 토압을 이길 수 있도록 충분한 굵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천연 또는 인공 목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천연 목재는 자연의 나무를 소정의 길이와 두께로 자른 사각의 원목 판을 지칭하며, 인공 목재는 톱밥을 압축하여 원목과 유사한 형태로 가공한 WPC나 원목과 유사한 형태로 성형한 합성수지 성형물을 지칭한다.
상기 수직 부재 설치 공간에는 수직 부재(14)가 빈틈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수직 부재(14)의 두께가 제 1 관 부재(12)의 지름과 동일하고, 수직 부재(14)의 연장 방향 길이가 제 1 관 부재(12)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12), 상기 복수의 봉 부재(13) 및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14)로 구성된 구조물을 성토지(50)에 더욱 단단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보강재(16)를 사용하여 상기 구조물과 성토지(5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보강재(16)는 상기 성토지(50)에 매입되도록 하여 토사의 압력에 의하여 고정되며, 토사가 적층됨에 따라서 상기 보강재(16)에 연결된 상기 구조물에 인장력을 가하게 되므로, 토압에 의하여 옹벽이 기울어지거나 밀려나지 않고 형태와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16)와 상기 구조물은 체결수단(20)을 통하여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20)은 제 1 결합 부재(22) 및 제 2 결합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결합 부재(22) 및 제 2 결합 부재(24)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나 너트 등과 같은 체결장치로 이루어진 제 3 결합 부재(26) 및 제 4 결합 부재(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결합 부재(22)는 상기 제 1 관 부재(12)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U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U자형 제 1 결합 부재(12)의 중앙 내측부가 소정의 높이에서 제 1 관 부재(12)의 전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 1 결합 부재(22)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된 두 단부는 성토지(50)의 후방을 향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 부재(22)는 제 1 관 부재(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관 부재(1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제 1 관 부재(12)를 밀착하여 감싸도록 구성된다.
제 1 결합 부재(22)의 양 단부측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제 3 결합 부재(26)가 체결되고, 이에 따라 제 1 결합 부재(22)가 제 1 관 부재(12)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결합 부재(24)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22)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며, U자형 단면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결합 부재(24)의 U자형으로 굽어진 중앙부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22)의 두 단부 내측에 위치되는 제 3 결합 부재(26)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결합 부재(24)의 양 단부는 성토지(50)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 때, U자형 단면을 갖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24)의 양 단부 사이로 수평하게 보강재(16)가 삽입된다. 보강재(16)를 제 2 결합 부재(24)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 4 결합 부재(28)가 제 2 결합 부재(24) 및 보강재(16)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 4 결합 부재(28)가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결합 부재(24) 및 보강재(16)는 복수의 홈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제 4 결합 부재(28)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볼트의 두께는 토압에 의한 인장력으로부터 비틀림이나, 찢어짐을 견딜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결합 부재(24)에 결합되는 보강재(16)는 판상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U자형 단면을 갖는 제 2 결합 부재(24)의 양 단부에 밀착하여 삽입될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이 때, 상기 보강재(16)는 성토지(50)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므로 성토지(50)에 적층되는 토사에 의한 토압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토압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비틀림이나 찢어짐을 견딜 정도의 두께와 강성을 갖는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결합부재(22), 제 2 결합 부재(24), 제 3 결합 부재(26) 및 제 4 결합 부재(28)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결합부재의 양 단부가 보강재(16)의 일 단부에 접하여 보강재(16)의 일 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1 결합 부재(22)에 결합된 보강재(16)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 부재(22)에 결합된 제 2 결합 부재(24)는 일측면 중앙부가 제 1 관 부재(12)에 접하고, 타측면 중앙부가 제 3 결합 부재(26)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 2 결합 부재(24)가 제 1 결합 부재(22)와 제 3 결합 부재(26)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은 관형의 연결부재(15)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제 1 관 부재(12) 상부에 제 2 관 부재(18)가 결합되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 1 관 부재(12)와 제 2 관 부재(18)는 지름이 동일하고,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관 부재(12) 상에 제 2 관 부재(18)를 결합시키기 위한 관형의 연결부재(15)는 상기 제 1 관 부재(12) 및 제 2 관 부재(18)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관 부재(12) 및 제 2 관 부재(18)가 결합되었을 때 제 1 관 부재(12) 및 제 2 관 부재(18)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관형의 연결 부재(15)를 제 1 관 부재(12) 및 제 2 관 부재(18) 사이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관 부재(12)의 상단부에는 반원 형태인 제 1 결합홈(12a)이 구비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 2 관 부재(18)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결합홈(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 형태의 제 2 결합홈이 구비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5)는 외주부의 중간에 반원의 제 1 결합홈(12a) 및 반원의 제 2 결합홈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개구에 걸쳐지는 돌출부(15a)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 1 관 부재(12)의 제 1 결합홈(12a)에 연결 부재(15)의 돌출부(15a)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2 관 부재(18)의 제 2 결합홈을 연결부재(15)의 돌출부(15a) 상에 결합시키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15a)가 제 1 관 부재(12) 및 제 2 관 부재(18)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로 제 1 관 부재(12) 및 제 2 관 부재(18)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일정간격 이격하여 수직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관 부재(12) 각각에 제 2 관 부재(18)를 연결부재(15)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다.
이 때, 제 1 관 부재(12a)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관 부재(18)의 수는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의 높이 및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의 체결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의 체결 수단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9a 및 9b는 보강재(16)의 면 아래에 결합되는 단부가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비틀려 휘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은 제 1 관 부재(12) 및 보강재(16)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단일의 제 1 결합 부재(20') 및 제 4 결합 부재(28)를 포함한다.
상기 단일의 제 1 결합 부재(20')는 제 1 관 부재(12)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중앙부와 상기 제 1 관 부재(12)를 감싼 중앙부로부터 성토지(50)의 후방을 향하여 보강재(16)의 면과 수평하게 연장된 두 단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두 단부의 면은 제 1 관 부재(12)의 상하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보강재(16)와 수평하게 성토지(50)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제 1 결합 부재(20')가 중앙부로부터 수평으로 비틀리게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 부재(20')는 제 1 관 부재(12)에 흘러내려 빠지지 않도록 제 1 관 부재(12)를 밀착하여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보강재(16)의 방향과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보강재(16)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단부 사이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단부 사이에 보강재(16)가 밀착하여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구비한다.
두 단부 사이에 보강재(16)가 밀착하여 삽입된 후, 볼트와 너트 등으로 구성된 체결구인 제 4 결합 부재(28)로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보강재(16) 및 제 1 결합 부재(20')는 대응되는 하나 내지 복수의 홈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결합 부재(20'), 보강재(16) 및 제 4 결합 부재(28)는 각각 토압에 의한 인장력으로부터 비틀림이나, 찢어짐을 견딜 정도의 두께 및 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은 단일의 제 1 결합 부재(20')를 사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보강재(16)를 제 1 관 부재(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제 1 관 부재(12)를 준비한다.
이 때, 제 1 관 부재(12)에는 복수의 보강재(16)가 상하 방향으로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지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20)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보강재(16)의 설치 높이도 일치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제 1 관 부재(12)를 성토지(50)의 전방에서 이격 배치한다. 이 때 복수의 보강재(16)는 성토지(50)의 후방으로 배치시킨다.
그 후, 제 1 관 부재(12)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 복수의 봉 부재(13)를 용접에 의하여 결합시킨다.
복수의 봉 부재(13)와 제 1 관 부재(12) 사이에 형성된 수직 부재 설치 공간에는 복수의 수직 부재(14)를 설치하여 성토지(50)를 막도록 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 1 관 부재(12), 봉 부재(13) 및 수직 부재(14)가 배치된 상태에서, 가장 하측의 보강재(도 10의 도면 번호 16a 참조)의 높이만큼 흙을 채운 뒤, 성토를 다진다.
그 후, 수직 부재(14) 후방인 성토지(50) 방향으로 토사의 유출을 막기 위해 차단 수단을 설치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차단수단은 L자 형태로 굽어진 철망(40) 또는 지오그리드일 수 있다.
이 때, 철망(40) 또는 지오그리드(geogrid)를 수직 부재(14) 후방 및 보강재(16)에 결합시켜서 성토지(50) 위에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철망(40) 또는 지오그리드 위로 부직포 또는 식생 매트(42)를 결합시켜서 1단 쌓기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때, 상측의 보강재(도 10의 도면 번호 16a 참조)의 높이만큼 다시 흙을 채우고, 성토를 다지며 위 작업을 반복하면서 성토지(50)의 흙을 쌓는다.
이에 따라,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 철망(40)과 부직포 또는 식생매트(42)로 물만 빠지도록 하여 토사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만일 필요한 경우, 제 1 관 부재(12) 상에는 연결 부재(15) 및 제 2 관 부재(18)를 이용하여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의 높이를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10)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14)를 이용하여 보다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옹벽 외부의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 공사가 필요 없도록 함으로써,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자연친화적인 보강토 옹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 12 : 제 1 관 부재
12a : 제 1 결합홈 13 : 봉 부재
14 : 수직 부재 15 : 연결부재
15a : 돌출부 16 : 보강재
16a : 하측의 보강재 16b : 상측의 보강재
18 : 제 2 관 부재 20 : 체결수단
20': 단일의 제 1 결합 부재 22 : 제 1 결합 부재
24 : 제 2 결합 부재 26 : 제 3 결합 부재
28 : 제 4 결합 부재 40 : 철망
42 : 부직포 50 : 성토지
12a : 제 1 결합홈 13 : 봉 부재
14 : 수직 부재 15 : 연결부재
15a : 돌출부 16 : 보강재
16a : 하측의 보강재 16b : 상측의 보강재
18 : 제 2 관 부재 20 : 체결수단
20': 단일의 제 1 결합 부재 22 : 제 1 결합 부재
24 : 제 2 결합 부재 26 : 제 3 결합 부재
28 : 제 4 결합 부재 40 : 철망
42 : 부직포 50 : 성토지
Claims (13)
- 성토지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수직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관 부재;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봉 부재;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과 상기 두개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된 봉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벽체를 이루는 복수의 수직 부재;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부재 후방의 성토지를 이루는 토사에 매입되어 토압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를 상기 관 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제 1 관 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성토지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두 단부를 구비한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상기 두 단부 사이에 결합되되, 상기 성토지의 후방측에 상기 보강재가 결합되는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 부재 각각은 U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 부재가 상기 제 1 관 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양 단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3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U자형 단면의 제 2 결합 부재의 중앙 내측부에 상기 제 3 결합 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제 1 관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관형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관 부재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 2 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지름이 상기 제 1 관 부재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제 2 관 부재는 상기 제 1 관 부재와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 부재와 상기 제 2 관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제 1 관 부재 및 상기 제 2 관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 부재의 상단부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 부재 하단부의 상기 제 1 결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형의 연결 부재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 1 결합홈 및 상기 제 2 결합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부재의 양 단부 사이에 상기 보강재가 위치되며,
상기 U자형 단면의 제 2 결합 부재의 양 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2 결합 부재와 상기 보강재가 상호 결합되도록 제 4 결합 부재가 제공되는, 보강토 옹벽 구조물.
- 성토지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수직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관 부재;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봉 부재;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 1 관 부재들과 상기 두개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된 봉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벽체를 이루는 복수의 수직 부재;
상기 복수의 제 1 관 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부재 후방의 성토지를 이루는 토사에 매입되어 토압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보강재;
상기 보강재를 상기 관 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제 1 관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관형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관 부재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 2 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제 1 관 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성토지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두 단부를 구비한 제 1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상기 제 1 관 부재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성토지 후방으로 연장된 두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 부재의 두 단부가 상기 중앙부로부터 수평으로 휘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단부 사이에 상기 보강재가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봉 부재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복수의 관 부재의 양 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는 상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봉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지름이 상기 제 1 관 부재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제 2 관 부재는 상기 제 1 관 부재와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 부재와 상기 제 2 관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제 1 관 부재 및 상기 제 2 관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 부재의 상단부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 부재 하단부의 상기 제 1 결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형의 연결 부재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 1 결합홈 및 상기 제 2 결합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 구조물.
-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 부재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복수의 관 부재의 양 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 부재는 상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봉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토 옹벽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 제 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 후방 및 상기 보강재에 결합되어 토사의 유출을 막기 위한 차단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물.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L자 형태로 굽어진 철망인 보강토 옹벽 구조물.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철망에 결합된 부직포 또는 식생 매트를 더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032A KR101809212B1 (ko) | 2015-04-28 | 2015-04-28 |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032A KR101809212B1 (ko) | 2015-04-28 | 2015-04-28 |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8146A KR20160128146A (ko) | 2016-11-07 |
KR101809212B1 true KR101809212B1 (ko) | 2017-12-14 |
Family
ID=5752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0032A KR101809212B1 (ko) | 2015-04-28 | 2015-04-28 |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921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0697A (ja) * | 2003-01-30 | 2004-08-19 | Nippon Concrete Kogyo Kk | 丸太構造材 |
KR100736852B1 (ko) * | 2006-12-19 | 2007-07-06 | 주식회사 한국지오콘 |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
-
2015
- 2015-04-28 KR KR1020150060032A patent/KR1018092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0697A (ja) * | 2003-01-30 | 2004-08-19 | Nippon Concrete Kogyo Kk | 丸太構造材 |
KR100736852B1 (ko) * | 2006-12-19 | 2007-07-06 | 주식회사 한국지오콘 |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8146A (ko) | 2016-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49535A (ko) |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 |
KR101255027B1 (ko) |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 |
KR100583294B1 (ko) |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 |
KR101610263B1 (ko) |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프레임 일체형 게비온 구조물 | |
JP4812135B2 (ja) |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 |
JP4596548B2 (ja) | 補強土擁壁構造。 | |
KR101809212B1 (ko) | 목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 | |
KR102194293B1 (ko) | 옹벽구조물 | |
KR101528725B1 (ko) | 자연석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 |
KR101265582B1 (ko) | 배수로 구조물 | |
KR101677467B1 (ko) | 건축골격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 |
KR101059433B1 (ko) | 보강토 옹벽 구조물 | |
KR101824176B1 (ko) |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옹벽 블록 | |
KR20130047096A (ko) | 건설용 다용도 거푸집조립체 | |
KR101873792B1 (ko) |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 |
KR102112508B1 (ko) | 소일 시멘트와 강성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시공법 | |
KR100787593B1 (ko) | 격자망 합성 강재틀 옹벽구조 | |
KR101217975B1 (ko) |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 |
JP3643114B2 (ja) |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 |
KR102484636B1 (ko) | 옹벽구조 | |
KR102702162B1 (ko) | 철근을 이용한 보강 옹벽 시공 방법 | |
KR102201947B1 (ko) | 하단용 흙막이 휀스 | |
KR101926911B1 (ko) | 필름의 교체가 용이한 에어하우스 | |
JPH03156026A (ja) | 縦樋排水孔を有する急勾配盛土およびそれに用いる壁体および壁面ユニット | |
KR102183358B1 (ko) | 마감일체형 합벽식 목재마감옹벽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