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690A -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690A
KR20160141690A KR1020160158238A KR20160158238A KR20160141690A KR 20160141690 A KR20160141690 A KR 20160141690A KR 1020160158238 A KR1020160158238 A KR 1020160158238A KR 20160158238 A KR20160158238 A KR 20160158238A KR 20160141690 A KR20160141690 A KR 2016014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mart
code
merchandise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송훈
이승희
전대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690A/ko
Publication of KR2016014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Abstract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쇼핑 서비스 시스템은, 매장 내의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태그에 기록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에 기초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요청하는 쇼핑 연계 장치; 상기 쇼핑 연계 장치로부터 요청된 상품 배송을 관리하는 쇼핑 서비스 장치; 및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를 보관하고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를 사용자 정보와 맵핑하여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리더 렌탈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SMART READER APPARATUS AND SHOPPING SYSTEM USING SMART READER APPARATUS}
본 명세서는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 인식 및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몰이나 매장에서의 상품 구매는 고객이 쇼핑몰을 방문하여 진열된 상품들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이를 직접 카운터에 들고와서 현금 또는 신용 카드 등으로 상품값을 지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카운터에서는 고객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들을 바코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POS(Point of Sale)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의한 상품 대금을 청구하게 된다.
그러므로 쇼핑몰이나 매장 운영 회사는 다양한 상품 즉, 제조사별, 모델별 및 수량별 등에 따른 넓은 전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상품 관리에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고객은 넓은 쇼핑몰에서 상품 선택을 위하여 여러 매장을 이동해야 한다. 고객은 이동할 때마다 자신이 구매한 상품들을 가지고 이동해야 한다. 쇼핑시 느끼는 즐거움이 반감된다. 또한, 상품 선택이 종료된 후에도 상품 대금 결제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최근,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과 모바일 환경의 개선에 따라 쇼핑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온라인 및 모바일을 통한 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쇼루밍(Showrooming) 족이 급증하고 있다. 해외에서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해외직접구매가 급부상하고 있다.
또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합한 유통체계가 대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패션 매장을 소셜 네트워크와 연계하는 솔루션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솔루션에서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한다. 이후, 사용자는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관심 상품으로 등록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등록된 상품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의 친구들과 공유한다.
한편, 초정밀 실내 측위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초정밀 실내 측위 서비스는 와이파이(WiFi) 및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이용한다. 초정밀 실내 측위 서비스는 고객에게 측위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 광고 동영상, 리뷰정보, 각종 할인 혜택, 결제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새로운 쇼핑 트렌드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새로운 쇼핑 트렌드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쇼핑의 차별화된 서비스가 부족하다. 오프라인 쇼핑의 차별화된 서비스 발굴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쇼핑에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쇼핑이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2261호(2002.03.2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에 대한 코드를 인식하여 태그에 기록하고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쇼핑 연계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장바구니가 필요없는 편리한 쇼핑이 가능한 스마트 리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전시공간의 한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 내에 가상의 상품 진열대를 설치하고 이를 스마트 리더 장치를 통해 스캔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처리함으로써, 제한된 오프라인 매장 내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품 내역을 사용자가 확인하여 상품 내역을 수정하거나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및 배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주문 조회 장치 및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를 매장 내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더욱 편리하고 신뢰성 있는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리더 장치에 사용자 정보를 맵핑하고 스마트 리더 장치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리더 렌탈 장치를 매장 내에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리더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매핑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편리하게 수행할 있는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매장 내의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태그에 기록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에 기초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요청하는 쇼핑 연계 장치; 상기 쇼핑 연계 장치로부터 요청된 상품 배송을 관리하는 쇼핑 서비스 장치; 및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를 보관하고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를 사용자 정보와 맵핑하여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리더 렌탈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쇼핑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고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가 표시된 가상의 상품 진열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는 상기 가상의 상품 진열대에 표시된 상품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더 렌탈 장치는, 충전기를 구비하여 보관 중인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를 충전하고, 상기 쇼핑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보관 중인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더 렌탈 장치는, 상기 보관 중인 스마트 리더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 정보를 맵핑하여 대여하고,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의 반납 시에는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와 맵핑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품 연계 장치는,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POS 단말이나 매장 직원 없이도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된 상품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상기 쇼핑 서비스 장치에 요청하여 처리하는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품 연계 장치는,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주문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상기 상품 내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상품 수정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품 수정 요청이 있으면 해당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수정하는 주문 조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요청하는 쇼핑 연계 장치, 상기 쇼핑 연계 장치로부터 요청된 상품 배송을 관리하는 쇼핑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리더 렌탈 장치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마트 리더 장치로서,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태그에 기록하고, 상기 쇼핑 연계 장치가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을 확인하도록 상기 상품 코드를 상기 쇼핑 연계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맵핑되어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의해 대여 및 반납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는,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보관 중에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구비된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쇼핑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수신된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상기 리더 렌탈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는,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맵핑되어 사용자에게 대여되고, 반납 시에는 상기 리더 렌탈 장치가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와 맵핑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품에 대한 코드를 인식하여 태그에 기록하고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쇼핑 연계 장치)에 송신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장바구니 없는 편리한 쇼핑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전시공간의 한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 내에 가상의 상품 진열대를 설치하고 이를 스마트 리더 장치를 통해 스캔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처리함으로써, 제한된 오프라인 매장 내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품 내역을 사용자가 확인하여 상품 내역을 수정하거나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및 배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주문 조회 장치 및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를 매장 내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더욱 편리하고 신뢰성 있는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리더 장치에 사용자 정보를 맵핑하고 스마트 리더 장치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리더 렌탈 장치를 매장 내에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리더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매핑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스마트 리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에서의 코드 인식 및 NFC 통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더 관리 장치에서의 리더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판매 단말과 연동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와 연동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조회 장치와 연동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진열 장치와 연동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120)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품 진열 장치(110), 스마트 리더 장치(120), 쇼핑 연계 장치(10) 및 쇼핑 서비스 장치(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쇼핑 연계 장치(10)는 사용자 단말(130), 리더 렌탈 장치(150), 상품 판매 단말(160),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 주문 조회 장치(180) 및 쇼핑 카트(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장치(140)는 상품 관리부, 결제 처리부, 배송 관리부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120)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NFC 태그를 구비한다.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상품 진열 장치(110)의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상품 코드를 획득한다. 여기서,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가상의 상품 진열대에 표시된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상품 코드는 1차원, 2차원 및 3차원 바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차원 바코드 정보는 굵기가 다른 흑과 백의 막대 기호를 조합한 코드 형태의 바코드 정보를 말한다. 2차원 바코드 정보는 흑과 백의 사각형 기호가 모자이크 식으로 배열된 코드 형태의 바코드 정보를 말한다. 2차원 바코드로는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 QR code),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맥시 코드(maxi code) 등이 있다. 3차원 바코드 정보는 평면적인 코드 형태의 바코드 정보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바코드 정보를 말하며, 1차원 및 2차원 바코드 정보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3차원 바코드로는 색상 코드일 수 있다.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그 획득된 상품 코드를 상품 정보로 변환하여 NFC 태그에 기록한다. 여기서, 상품 정보는 해당 브랜드의 광고, 제조사, 판매사, 출고시점, 유통 기한, 가격정보, 일련번호, 상품명, 연락처 등이 포함되는 상품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30), 상품 판매 단말(160),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 및 주문 조회 장치(180) 중 어느 하나의 기기와 NFC 통신을 수행하고, 기록된 상품 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NFC 리더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130)은 NFC 리더와 스마트 리더 장치(120) 간의 NFC 통신을 통해 기록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130)은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을 확인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요청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130)에는 쇼핑 어플리케이션(Shopping Application)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쇼핑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에는 실물이 아닌 모바일 카드를 탑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모바일 쿠폰을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함으로써 지류 쿠폰을 사용하지 않고 모바일 쿠폰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단말(130)은 상품 진열 장치(110)의 상품 코드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까지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130)은 상품 코드별 가격 비교를 이용한 특정 상품 검색, 인기 상품 검색, 연관 상품 검색 등의 가격 비교를 이용한 쇼핑 기능을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장치(140)는 상품 진열 장치(110)에 표시되는 상품 코드를 관리한다. 쇼핑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요청된 상품 결제를 처리한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장치(140)는 결제 처리된 상품의 배송을 관리한다.
쇼핑 서비스 장치(140)의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상품 관리부는 상품 진열 장치(110)에 표시되는 상품 코드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품 관리부는 기설정된 매장별 선호정보에 기초하여 지역별, 시간대별, 연령대별, 또는 사용자별 맞춤형 상품 코드를 생성하여 상품 진열 장치(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관리부는 상품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매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품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진열 장치(110)에 표시되는 상품 코드를 관리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요청된 상품 결제를 처리한다.
배송 관리부는 결제 처리부에서 처리 완료된 상품에 대해서 상품 배송 요청된 상품의 배송을 관리한다.
저장부는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쇼핑 내역을 저장한다.
한편, 리더 렌탈 장치(150)는 쇼핑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수신된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스마트 리더 장치(120)와 연동한다. 또한, 리더 렌탈 장치(150)는 충전기를 구비하여 보관 중인 스마트 리더 장치(120)를 충전한다. 여기서, 리더 렌탈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130)이나 멤버쉽 카드의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스마트 리더 장치(120)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한다.
상품 판매 단말(160)은 NFC 리더를 구비한 NFC 동글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품 판매 단말(160)은 NFC 리더를 구비한 NFC 동글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판매 단말(160)은 NFC 동글을 통해 스마트 리더 장치(120)와 NFC 통신을 통해 기록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품 판매 단말(160)은 NFC 동글을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매장 직원에게 표시한다. 이어서, 상품 판매 단말(160)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상품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쇼핑 서비스 장치(140)에 요청한다.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NFC 리더를 구비한 NFC 동글과 연결된다. 여기서,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NFC 리더를 구비한 NFC 동글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NFC 동글을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상품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쇼핑 서비스 장치(140)에 요청한다.
주문 조회 장치(180)는 NFC 리더를 구비한 NFC 동글과 연결된다. 여기서, 주문 조회 장치(180)는 NFC 리더를 구비한 NFC 동글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조회 장치(180)는 NFC 동글을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주문 조회 장치(180)는 사용자의 상품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수정할 수 있다.
쇼핑 카트(190)는 사용자 단말(130)을 거치하고, 사용자 단말(13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리더 장치(120)가 상품 코드를 상품 정보로 변환하여 NFC 태그에 기록하면, 쇼핑 카트(190)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130)은 기록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130)은 쇼핑 카트(190)를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을 확인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요청한다.
한편, 상품 진열 장치(110)는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품 진열 장치(110)는 NFC 리더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품 진열 장치(110)는 매장이나 가정에 설치된 가상의 상품 진열대일 수 있으며,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가 인쇄된 전단지 또는 라벨이 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30)과 NFC 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쇼핑 서비스 장치(140)로 송신한다. 그러면, 쇼핑 서비스 장치(140)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쇼핑 내역을 기초로 하여 맞춤형 상품 정보를 산출한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쇼핑 서비스 장치(140)에서 산출된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코드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품 진열 장치(110)는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가상의 상품 진열칸을 포함한 가상의 상품 진열대의 이미지를 상품 코드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진열대의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 진열칸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상의 상품 진열대의 이미지는 연계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매대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축소 또는 확대된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상품 진열대의 이미지는 오프라인의 상품 매장 자체의 사진이나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가상의 상품 진열칸에 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상품의 이미지를 상품 코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상품의 이미지는 실제 상품의 이미지(실사 이미지)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상품을 식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품 이미지는, 연계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상품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축소 또는 확대된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사용자 연령대, 판매 지역, 판매시간대, 테마, 또는 블록화(Block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배열된 상품 코드 및 상품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진열된 각각의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상품 이미지의 하단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해당 상품의 이미지 밑에 상품 코드가 배치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상품 이미지의 상측, 좌측, 또는 우측에 상품 코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품 코드는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코드로서, 이에는 바 코드(Bar Code)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품 진열 장치(110)는 사람의 육안에는 보이지 않고 사용자 단말(130)의 광학스캐너를 통해서만 인식되는 적외선 잉크(Infra-red ink)나 동일한 기능의 도료를 사용하여 인쇄, 출력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러운 매장과 상품진열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매장이나 가정의 물리적 공간에 구현될 수 있다. 매장이나 가정의 벽 또는 문(door) 등의 유휴공간에 종이, 프린트용지, 사진용지, 비닐, 플라스틱시트, 천, 라벨지 등을 이용한 벽보, 전단 형태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상품 관리부(141)에서 제공하는 상품 진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 및 상품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30), 리더 관리 장치(150), 상품 판매 단말(160),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 주문 조회 장치(180) 및 쇼핑 카트(190)의 구성부 중 해당 변형 예에 불필요한 기능/구성부가 생략되거나, 일부 구성부가 통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스마트 리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코드 인식부(210), 제어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및 NFC 통신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12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코드 인식부(210)는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상품 코드를 획득한다. 코드 인식부(210)는 가상의 상품 진열대에 표시된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상품 진열대는 매장이나 가정의 물리적 공간에 구현될 수 있다. 매장이나 가정의 벽 또는 문(door) 등의 유휴공간에 종이, 프린트용지, 사진용지, 비닐, 플라스틱시트, 천, 라벨지 등을 이용한 벽보, 전단 형태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되어 구현될 수 있다. 가상의 상품 진열대는 적어도 하나의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상의 상품 진열대는 가상 상품 진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 및 상품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코드 인식부(210)에서 획득된 상품 코드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출력된 상품 코드와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저장부(250)에서 저장된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코드 인식부(210)에서 획득된 상품 코드를 상품 정보로 변환한다.
NFC 통신부(2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구비한다. NFC 통신부(240)는 NFC 태그에 변환된 상품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NFC 통신부(240)는 NFC 통신을 통해 쇼핑 연계 장치(10)와 통신하고 기록된 상품 정보를 쇼핑 연계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NFC 통신부(240)는 NFC 리더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130), 리더 관리 장치(150), 상품 판매 단말(160),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 주문 조회 장치(180) 및 상품 진열 장치(110) 중 어느 하나의 쇼핑 연계 장치(10)와 NFC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50)는 코드 인식부(210)에서 획득된 상품 코드 또는 변환된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코드 인식부(210)에서 획득된 상품 코드와 관련된 상품 부가 정보(예컨대, 쿠폰 정보, 상품 할인 정보 및 매장 이벤트 정보 등)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코드 인식부(210)에서 획득된 상품 코드 및 획득된 상품 코드와 관련된 상품 부가 정보를 상품 정보에 포함시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품 부가 정보가 포함된 상품 정보를 NFC 태그에 기록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에서의 코드 인식 및 NFC 통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저장부(250)는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S302).
코드 인식부(210)는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한다(S304). 여기서, 코드 인식부(210)는 가상의 상품 진열대에 표시된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코드 인식부(210)는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 코드를 획득한다(S30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획득된 상품 코드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308).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출력된 상품 코드와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310).
제어부(220)는 저장부(250)에서 저장된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코드를 상품 정보로 변환한다(S312). 여기서, 저장부(250)에 획득된 상품 코드와 관련된 상품 부가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20)는 획득된 상품 코드 및 획득된 상품 코드와 관련된 상품 부가 정보를 상품 정보에 포함시켜 변환할 수 있다.
NFC 통신부(240)는 구비된 NFC 태그에 제어부(220)에서 변환된 상품 정보를 기록한다(S314). 여기서, 제어부(220)는 상품 부가 정보가 포함된 상품 정보를 NFC 태그에 기록할 수 있다
NFC 통신부(240)는 NFC 통신을 통해 쇼핑 연계 장치(10)와 통신한다(S316).
NFC 통신부(240)는 기록된 상품 정보를 쇼핑 연계 장치(10)에 NFC 통신을 통해 송신한다(S318).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더 렌탈 장치에서 스마트 리더 장치의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리더 렌탈 장치는 쇼핑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S402).
그리고 리더 렌탈 장치는 쇼핑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수신된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스마트 리더 장치(120)와 연동한다(S404).
이어서, 리더 렌탈 장치는 사용자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확인한다(S406).
그리고 리더 렌탈 장치는 스마트 리더 장치(120)를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맵핑시킨다(S408).
이어서, 리더 렌탈 장치는 맵핑된 스마트 리더 장치(120)를 대여한다(S410).
이후, 리더 렌탈 장치는 대여한 스마트 리더 장치(120)를 반납하는 경우 맵핑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412).
상기 확인 결과(S412), 반납하고자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120)가 맵핑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면, 리더 렌탈 장치는 맵핑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120)를 반납받는다(S414). 반면, 상기 확인 결과, 반납하고자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120)가 맵핑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리더 렌탈 장치는 대여한 스마트 리더 장치(120)의 반납을 처리하지 않고 S412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상품 진열 장치(110)의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상품 코드를 획득한다(S502).
그리고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획득된 상품 코드를 상품 정보로 변환한다(S504).
이어서, 스마트 리더 장치(120)는 변환된 상품 정보를 NFC 태그에 기록한다(S506).
한편, 쇼핑 연계 장치(10)는 스마트 리더 장치(120) 간의 NFC 통신을 통해 기록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S508). 여기서, 쇼핑 연계 장치(10)는 사용자 단말(130), 리더 렌탈 장치(150), 상품 판매 단말(160),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 주문 조회 장치(180) 및 쇼핑 카트(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연계 장치(10)는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을 확인한다(S510).
이어서, 쇼핑 연계 장치(10)는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요청한다(S512).
그리고 쇼핑 서비스 장치(140)는 쇼핑 연계 장치(10)로부터 요청된 상품 결제를 처리한다(S514).
쇼핑 서비스 장치(140)는 결제 처리된 상품의 배송을 관리한다(S516).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판매 단말과 연동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품 판매 단말(160)은 스마트 리더 장치(120)와 NFC 통신한다(S602).
그리고 상품 판매 단말(160)은 NFC 통신을 통해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NFC 동글을 통해 획득한다(S604).
이어서, 상품 판매 단말(160)은 NFC 동글을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매장 직원에게 표시한다(S606).
그리고 상품 판매 단말(160)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표시된 상품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쇼핑 서비스 장치(140)에 요청한다(S608).
상품 판매 단말(160)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 처리가 완료된 상품 내역에 대해서 상품 배송을 쇼핑 서비스 장치(140)에 요청한다(S610).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와 연동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스마트 리더 장치(120)와 NFC 통신한다(S702).
그리고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NFC 통신을 통해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NFC 동글을 통해 획득한다(S704).
이어서,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NFC 동글을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706).
그리고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표시된 상품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쇼핑 서비스 장치(140)에 요청한다(S708).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170)는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 처리가 완료된 상품 내역에 대해서 상품 배송을 쇼핑 서비스 장치(140)에 요청한다(S710).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조회 장치와 연동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주문 조회 장치(180)는 스마트 리더 장치(120)와 NFC 통신한다(S802).
그리고 주문 조회 장치(180)는 NFC 통신을 통해 NFC 태그에 기록된 상품 정보를 NFC 동글을 통해 획득한다(S804).
이어서, 주문 조회 장치(180)는 NFC 동글을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806).
그리고 주문 조회 장치(180)는 사용자의 상품 수정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808).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의 상품 수정 요청이 있으면, 주문 조회 장치(180)는 사용자의 상품 수정 요청에 따라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수정한다(S810).
이어서, 주문 조회 장치(180)는 수정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812).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진열 장치와 연동한 쇼핑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품 진열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30)과 NFC 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S902).
그리고 상품 진열 장치(110)는 NFC 통신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쇼핑 서비스 장치(140)로 송신한다(S904).
그러면, 쇼핑 서비스 장치(140)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쇼핑 내역을 기초로 하여 맞춤형 상품 정보를 산출한다. 이어서, 상품 진열 장치(11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쇼핑 내역을 기초로 하여 쇼핑 서비스 장치(140)에서 산출된 맞춤형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S906).
상품 진열 장치(110)는 쇼핑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수신된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코드를 표시한다(S908).
상품 진열 장치(110)는 쇼핑 서비스 장치(140)와 연동하여 표시된 상품 코드 중에서 스마트 리더 장치(120)가 인식한 상품 코드를 확인한다(S910).
상품 진열 장치(110)는 표시된 상품 코드 중에서 스마트 리더 장치(120)가 인식한 상품 코드를 제거하여 나머지 상품 코드를 표시하거나 추가 상품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912).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쇼핑 서비스 시스템 110: 상품 진열 장치
120: 스마트 리더 장치 130: 사용자 단말
140: 쇼핑 서비스 장치 150: 리더 렌탈 장치
160: 상품 판매 단말 170: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
10: 쇼핑 연계 장치 141: 상품 관리부
142: 결제 처리부 143: 배송 관리부
144: 저장부 210: 코드 인식부
220: 제어부 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40: NFC 통신부 250: 저장부

Claims (9)

  1. 매장 내의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태그에 기록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에 기초하여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요청하는 쇼핑 연계 장치;
    상기 쇼핑 연계 장치로부터 요청된 상품 배송을 관리하는 쇼핑 서비스 장치; 및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를 보관하고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를 사용자 정보와 맵핑하여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리더 렌탈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고 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가 표시된 가상의 상품 진열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는 상기 가상의 상품 진열대에 표시된 상품 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렌탈 장치는,
    충전기를 구비하여 보관 중인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를 충전하고, 상기 쇼핑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보관 중인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렌탈 장치는,
    상기 보관 중인 스마트 리더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 정보를 맵핑하여 대여하고,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의 반납 시에는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와 맵핑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연계 장치는,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POS 단말이나 매장 직원 없이도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된 상품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상기 쇼핑 서비스 장치에 요청하여 처리하는 스마트 체크아웃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연계 장치는,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주문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상기 상품 내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상품 수정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품 수정 요청이 있으면 해당 상품 내역 및 상품 내역에 대한 상품 결제 금액을 수정하는 주문 조회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7. 상품 결제 및 상품 배송을 요청하는 쇼핑 연계 장치, 상기 쇼핑 연계 장치로부터 요청된 상품 배송을 관리하는 쇼핑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리더 렌탈 장치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마트 리더 장치로서,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태그에 기록하고, 상기 쇼핑 연계 장치가 상기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내역을 확인하도록 상기 상품 코드를 상기 쇼핑 연계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맵핑되어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의해 대여 및 반납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는,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보관 중에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구비된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쇼핑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수신된 상품 코드별 상품 정보를 상기 리더 렌탈 장치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는,
    상기 리더 렌탈 장치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맵핑되어 사용자에게 대여되고, 반납 시에는 상기 리더 렌탈 장치가 상기 스마트 리더 장치와 맵핑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더 장치.
KR1020160158238A 2016-11-25 2016-11-25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KR20160141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38A KR20160141690A (ko) 2016-11-25 2016-11-25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38A KR20160141690A (ko) 2016-11-25 2016-11-25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762A Division KR20160029211A (ko) 2014-09-04 2014-09-04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90A true KR20160141690A (ko) 2016-12-09

Family

ID=5757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238A KR20160141690A (ko) 2016-11-25 2016-11-25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16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61A (ko) 2000-09-19 2002-03-27 최한묵 상품 구매를 위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구비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구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61A (ko) 2000-09-19 2002-03-27 최한묵 상품 구매를 위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구비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구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335B2 (ja) 購買分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棚札
KR101881939B1 (ko)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WO2010121110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fixture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US10567912B2 (en) System for tracking physical objects
EP2898464A1 (en) Facilitating mobile device payments using product code scanning to enable self checkout
KR20190083460A (ko) 이동식 점포를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
KR20140119291A (ko) 미러월드 마케팅 플랫폼 기반 증강현실 장바구니 시스템
KR20200001744A (ko) 마트 쇼핑용 상품 구매 시스템
KR101731937B1 (ko) 상품 주문 및 수령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6966382B2 (ja) 販売支援装置、販売システム、販売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70503A1 (en) Shopp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reader, and smart commerce method using same
KR20060010684A (ko) 역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TWI710984B (zh) 交易系統與pos交易方法
KR20140134769A (ko) 단말장치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사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52543B1 (ko) 스마트 벤딩 머신과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1690A (ko)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KR20160029211A (ko) 스마트 리더 장치 및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27078B1 (ko) 사용자와 관련한 이미지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029212A (ko) 스마트 리더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커머스 방법
KR102326900B1 (ko)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JP7258939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管理方法
KR102480504B1 (ko) 해외 쇼핑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91246B1 (ko) 리얼코드를 활용한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
KR20150042333A (ko) 마트 구매 금액의 실시간 합산을 위한 스마트 단말 및 실시간 합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