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459A -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459A
KR20160141459A KR1020150077148A KR20150077148A KR20160141459A KR 20160141459 A KR20160141459 A KR 20160141459A KR 1020150077148 A KR1020150077148 A KR 1020150077148A KR 20150077148 A KR20150077148 A KR 20150077148A KR 20160141459 A KR20160141459 A KR 20160141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ight
door
mixing tank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람
Priority to KR102015007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459A/ko
Publication of KR2016014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1F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담체를 효율적으로 혼합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도어개폐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고 도어개폐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이 측정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중량측정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어 대칭형 이중나선 구조로 이루어진 교반기를 구비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교반부내의 최종생성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FOOD GARBAGE DE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내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투입구가 위치한 상부에서 중량측정부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한 후, 중량측정부 하부에 위치한 교반부내로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담체가 혼합되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 1일 발생량은 2006년 현재 약 13,000톤이 발생되고 있으며, 생활폐기물 발생량의 약 26%를 차지하고 있다. 식량 자급율이 30%이며 사료용 곡물 자급율은 4%에 불과함에도 음식물류 폐기물로 낭비되는 식량자원이 연간 17조 3천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주요 발생원은 음식점과 집단 급식소 및 가정으로 전체 발생량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며, 성상별로는 채소류가 약 53%로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버려지는 전체 쓰레기의 약 1/3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일 뿐 아니라 이를 처리하는 데에도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이렇게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이나 소각, 분쇄, 퇴비 및 사료화, 메탄화 등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고 있으며, 이중 음식물 쓰레기의 약 90% 가 매립방식으로 처리되고, 전체 음식물 쓰레기 발생 량의 약 2% 정도가 가축사료 및 퇴비 등의 취약한 방법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으로 처리할 경우, 부지확보의 어려움과 악취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침출수가 흘러나와 지하수가 오염되는 등 2차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며 침출수를 처리하는 대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현재는 이와 같은 환경오염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을 전면금지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별도 처리를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일반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식물의 분리배출은 일시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음식물 자체를 처리하는 것은 아니므로, 결국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문제가 다시 발생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 생활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함께 버리게 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버리거나 처리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악취가 발생하고 벌레들이 모여들어 비위생적일 뿐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옥외에 방치하면 개나 고양이 또는 쥐들이 달려들어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하절기에는 심한 악취가 발생되어 이 또한 시급한 시정을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지역 또는 가구별로 별도로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설치하여 개나 고양이 등이 달려들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심한 악취를 제거할 수 없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100450(2007.10.11)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84712(2013.07.2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16884(2014.07.0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61453(2013.04.30)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담체를 효율적으로 혼합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반부의 작동에 따른 진동 및 작동력에 영향받지 않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도어개폐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고 도어개폐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이 측정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중량측정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어 대칭형 이중나선 구조로 이루어진 교반기를 구비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교반부내의 최종생성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정에서 매일매일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미생물과 교반발효시켜 퇴비, 사료 등으로 재활용하도록 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비용이 절감되고, 폐기 및 매립되던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우수한 경제적 효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투입구에 연결설치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측정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반응시키는 교반부가 하부에 위치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의 정확한 투입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투입구에 연결설치되므로,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모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는 제1,2구동실린더에 의해 양문개폐형 도어부가 작동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위치한 상부본체의 임시저장공간이 개폐도록 되어 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내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향개방형 중량측정장치는 양문도어 타입으로 개폐되는 제1,2도어에 끝단수밀재재와 돌출씰링재에 의해 다단수밀구조를 구비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액상의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도 흘러내림 현상없이 투입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적재되는 중량측정부의 슬라이딩 저장부가 이동부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2개의 교반발효부에 선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하우징의 외측에 하나의 투입구만이 설치될 수 있어, 심플하고 수려한 외관을 구비할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는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이 자동측정되는 중량측정부가 교반발효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시에도 교반발효부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발효소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는 하우징내에 2개의 교반발효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일측 교반발효부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체의 교반발효가 완료될 때까지 또다른 교반발효부내로만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발효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중량측정장치는 제1교반발효부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체의 소멸반응이 완료될 때 까지 제2교반발효부내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체의 소멸반응에 의해 생성된 최종생성물(바이오연료, 퇴비, 사료)의 연속생성 및 음식물 쓰레기의 연속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는 하우징내에 2개의 교반발효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2개의 교반발효부와 투입구가 직접적으로 연통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투입구가 개방되더라도 교반발효부내의 발효가스 및 악취에 대한 외부 방출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발효가스 및 악취의 외부 방출억제에 의해 사용자가 투입구를 통해 편안하고 신속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시 발생될 수 있는 투입구 주변의 오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반기의 외측스크류날개와 내측스크류날개가 모두 나선띠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생성물의 일방향 쏠림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혼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스크류날개와 내측스크류날개가 간격유지봉의 중심선(O)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되어 기울어지도록 경사각(θ1,θ2)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면서 이동될 때,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부의 일측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순환이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처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반부의 혼합탱크내에 이온 클러스터를 이용한 악취제거부가 더 설치되어 있어, 혼합탱크내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 및 악취가 제거되므로, 투입구를 통한 발효가스 및 악취의 방출이 미연에 방지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측면)
도 7 은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제1,2도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제1,2도어의 내측단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도 4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변형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도 9 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평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일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4는 도 13 의 A 부 확대도
도 15는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중량감지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슬라이드 저장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7은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18은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 교반부의 악취제거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 교반부의 교반기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측면)를, 도 7 은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제1,2도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제1,2도어의 내측단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 중량측정부의 변형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도 9 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2 는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평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3 은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일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4 는 도 13 의 A 부 확대도를, 도 15 는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중량감지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6 은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슬라이드 저장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7 은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18 은 도 11 에 따른 중량측정부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0 은 본 발명 교반부의 악취제거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1 은 본 발명 교반부의 교반기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음식물 소멸처리장치(600)에 있어서, 본체하우징(200)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도어개폐부(400)와, 상기 도어개폐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고 도어개폐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이 측정되는 중량측정부(100)와, 상기 중량측정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고, 대칭형 이중나선 구조로 이루어진 교반기에 의해 미생물담체와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교반하는 교반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발명은 교반부(5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음식물쓰레기와 바이오담체의 소멸반응 종료후에 생성된 최종생성물을 교반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개폐부(400)는 본체하우징(200)에 형성된 투입구(210)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는 투입구 모터(420)와, 상기 투입구 모터(4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회전축(430)과, 상기 회전축(430)에 일측단이 일체로 결합 또는 형성된 연결대(440)와, 상기 연결대(440)의 타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투입구(210)를 개폐시키는 투입구도어(450)와, 상기 투입구 모터(420)가 고정설치되고 회전축(430)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본체하우징(200)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4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투입구 모터(420)의 구동력은 베벨기어 등의 기어결합에 의해 회전축(430)에 전달되어 회전축(430)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460)의 일측에는 회전축(430)의 회전정도를 감지하여 투입구 모터(420)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위치감지센서부(47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위치감지센서부(470)는 회전축(430)에 일체로 설치되는 도그(471)와, 상기 도그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2위치감시센서(472,473)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측정부(100)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자동측정하는 것으로,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 또는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는, 도 4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상/하부개방구(111,112)를 구비하는 상부본체(110)와, 상부본체(110)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상부본체(110)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설치되는 제1,2중량센서(121,122)와,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수밀되도록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에 연결설치되는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의 제1,2도어(131,132)에 연결설치되고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고정브래킷(145,148)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포함하여,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10)내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부(121,122)에 의해 자동측정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에 의해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상향 또는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30)에는 양문개폐형 도어의 제1,2도어(131,132) 회전작동 및 음식물 쓰레기가 베이스 플레이트(230) 하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관통홀(2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0)에는 양문개폐형 도어의 제1,2도어(131,132)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부본체(110)와의 사이에 하부본체(2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1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210)와 연통되는 상부 개방구(111)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홀(231)과 연통되는 하부 개방구(112)를 구비하도록 통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임시저장되는 임시저장공간(1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임시저장공간(113)은 상부본체(110)의 상부개방구(111)와 하부개방부(112) 사이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110)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부 개방구(111)에 호퍼형상으로 형성된 상단부(114)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부(114)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600)의 투입구(2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110)에는 외부면 둘레를 따라 중량센서부(120)가 접촉지지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15)에는 제1,2중량센서(121,122) 및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연결설치 또는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출편(116)이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문개폐형 도어부(130)는 제1,2도어(131,132)가 양문도어 타입으로 하향 개폐되도록 제1,2힌지부(133,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와 연결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양문개폐형 도어부(130)는 제1도어의 외측단(135)이 제1힌지부(133)에 의해 상부본체(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도어의 외측단(136)이 제2힌지부(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양문도어 타입으로 설치되어 있어, 제1힌지부(133)를 중심으로 상부본체(110)에서 제1도어(231)의 내측단(137)이 하향회전되고, 제2힌지부(134)를 중심으로 상부본체(110)에서 제2도어(152)의 내측단(138)이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오픈 또는 폐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도어의 내측단(137,138)에는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는 끝단수밀재(137a,138a)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2도어에 설치되는 끝단수밀재(137a,138a)는 제1,2도어에 의한 하부개방구(112)의 폐쇄시, 서로 접촉되어 제1,2도어(131,132) 사이가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밀착접촉된다. 이때, 상기 내측단(137,138)은 하부개방구(112)의 폐쇄시, 서로 접촉되는 제1,2도어의 일측단을 의미하고, 외측단(135,136)은 제1,2힌지부(133,134)가 설치되는 제1,2도어의 타측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2도어(131,132)에는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접촉되는 상부면(131a,132a)에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삽입되는 단차부(131b,132b)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131b,132b)를 따라 수밀씰(131c,132c)이 설치되어 하부개방구(112)와 수밀씰(131c,132c)의 접촉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는 상부본체의 임시저장공간(113)내로 액상을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더라도 제1,2도어의 단차부(131b,132b)와 수밀씰(131c,132c)에 의해 액상이 베이스플레이트의 관통홀(231)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1,2중량센서부(121,122)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중량측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도어의 내측단(138)에는 제1도어의 내측단(137)을 수밀지지하는 안착부(139)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139)는 제2도어(132)의 하부면(131d,132d)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연결부(139a)와, 상기 연결부(139a)와 층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139b)와, 상기 지지부(139b)의 끝단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39c)와, 상기 돌출부(139c)에 끼움설치되어 제1도어의 하부면(131d)에 수밀접촉되는 돌출씰링재(139d)와, 상기 연결부(139a)와 층을 이루는 지지부(139b)에 의해 형성되어 연결부(139a)와 돌출부(139c) 사이에 위치하는 수밀홈(139e)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출씰링재(139d)는 제1도어의 내측단(137)에 설치되는 끝단수밀재(137a)가 접촉되도록 걸림턱(139f)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의 제1,2도어(131,132)에는 제1,2도어의 내측단(137)에 끝단수밀재(137a)가 설치되고, 제2도어의 내측단(138)에 안착부(139)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의 돌출부(139c)에 돌출씰링재(139d)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제1,2도어(131,132)에 의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폐쇄될 시,
상기 제1,2도어의 끝단수밀재(137a)가 서로 밀착접촉되어 1차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제1도어의 끝단수밀재(137a)가 제2도어에 설치된 돌출씰링재의 걸림턱(139f)에 접촉되어 2차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제2도어의 돌출씰링재(139d)와 제1도어의 하부면(131d)이 수밀접촉되어 3차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도어의 끝단수밀재(137a)와 제2도어의 돌출씰링재(139d) 사이에 수밀홈(139e)이 위치하고 있어, 액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제1,2도어의 끝단수밀재 사이를 통과하더라도 수밀홈(139e)에 의해 차단된다. 즉, 수밀홈내로 액상이 흘러들게 되면, 수밀홈(139e)의 체적에 의해 수밀홈(159e)이 하나의 씰링기능을 구비하게 되므로 수밀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상기 제1,2중량센서(121,122)는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에 의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의 임시저장공간(113)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자동측정하는 것으로, 상부본체의 지지플레이트(115) 또는 지지플레이트에 돌출형성된 돌출편(116)에 일측이 접촉지지되고, 타측이 센서브래킷(123,124)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2중량센서(121,122)는 로드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중량센서가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4개 또는 그 이상의 중량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구동실린더(141,142)는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제1,2도어(131,132)를 회전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실린더(141)는 제1도어(131)에 실린더로드(143)가 힌지부 연결되고 실린더몸체(144)가 고정브래킷(145)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실린더(142)는 제2도어(132)에 실린더로드(146)가 힌지부 연결되고 실린더몸체(147)가 고정브래킷(148)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고정브래킷(145,148)은 상부본체(11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플레이트(115) 또는 지지플레이트의 돌출편(116)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본체(240)는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가 상부본체(110)와 연통되고 하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홀(231)과 연통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30)에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은 하부본체(240)는 제1,2도어에 의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개방되어 임시저장공간(113)내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홀(231) 방향으로 낙하될 때,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오염확산을 방지하고, 제1,2중량센서(121,122) 및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240)에는 제1,2구동실린더(141,142)의 구동이 용이하도록 실린더로드가 관통되는 실린더관통홀(241)이 장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관통홀(241)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고무댐퍼 또는 브러쉬(24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중량센서(121,122) 및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상부본체(110)의 4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거나,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중량센서(121,122)와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상부본체(110)의 양측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상부/하부개방구(111,112)를 구비하는 상부본체(110)와, 상부본체(110)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상부본체 양측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제1,2중량센서(121,122)와,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수밀되도록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에 연결설치되는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의 제1,2도어(131,132)에 연결설치되고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고정브래킷(145,148)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제1,2중량센서(121,1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포함하여,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10)내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121,122)에 의해 측정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에 의해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가 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투입구와 교반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는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양문개폐형 도어부(130)가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투입구(210)를 통해 상부본체(110)내 임시저장공간(113)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에 의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폐쇄되어 있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부본체(110)의 임시저장공간(113)내에서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적재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은 제1,2중량센서(121,122)에 의해 자동측정된 후, 제1,2구동실린더(141,142)의 작동에 의해 제1,2도어의 내측단(137,138)이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개방됨으로써, 상부본체(110)내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베이스플레이트의 관통홀(231)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교반부(300)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낙하가 완료되면, 제1,2구동실린더(141,142)에 의해 제1,2도어의 내측단(137,138)이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제1,2도어의 상부면(131a,132a)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접촉됨으로써,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폐쇄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100`)는 하나의 투입구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자동측정한 후, 그 하부에 위치하는 2개의 교반부 즉, 제1,2교반부내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100`)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자동측정하는 중량감지부(10)와, 제1교반부(300)의 투입개방구(370) 상측에서 제2교반부(300`)의 투입개방구(370`)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또한 중량감지부(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본체 하우징(200)내에 설치되는 레일부(20)와, 중량감지부(10)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본체(31)가 안착되고 레일부(20)에 양측이 연결되어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저장부(30)와, 슬라이딩 저장부(30)에 연결설치되어 레일부(20)를 따라 제1교반부의 투입개방구(370) 또는 제2교반부의 투입개방구(370`)로 슬라이딩 저장부(3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감지부(10)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교반부(300,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200)내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설치되는 받침대(11)와, 상기 받침대(11)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중량센서(12)와, 상기 중량센서(12)의 타측단이 연결설치되고 받침대(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짐판(13)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11)는 중량센서(1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2교반부(300,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200)내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1)는 높이조절부(14)에 의해 본체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연결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14)는 본체하우징(200)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볼트(14a)와, 상기 고정볼트(14a)에 체결되어 받침대(11)를 지지하는 하부너트(14b)와, 상기 받침대(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받침대(11)를 관통한 고정볼트(14a)에 체결되는 상부너트(14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부(14)는 고정볼트(14a)에 체결되는 상부너트(14c)와 하부너트(14b)의 위치조절에 의해 상부너트와 하부너트 사이에 위치하는 받침대(11)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14)는 받침대(1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2개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중량센서(12)는 짐판(13)과 받침대(1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슬라이딩 저장부의 본체(31)내로 투입되어 짐판(13) 위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 즉, 본체(31)와 짐판(13)에 의해 형성되는 임시저장공간(50)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자동측정한다. 이와 같은 중량센서(12)는 로드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짐판(13)은 슬라이딩 저장부의 본체(31)가 안착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패널(13a)과, 상기 슬라이드패널(13a)의 양측단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패널(13b)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패널(13a)은 슬라이딩 저장부의 본체(31) 하부와 밀착접촉되도록 평편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끝단(13c)이 제1,2교반부(300,300`)의 투입개방구(370,370`)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패널(13b)은 슬라이드패널(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단에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돌출 또는 절곡형성되어 슬라이드패널(13a)과 본체(31) 사이로 음식물 쓰레기의 액상이 누출될 경우, 이의 확산을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패널(13b)은 'ㄱ'형상의 단면구조를 구비하도록 또한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슬라이드패널(13a)의 양측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ㄱ'형상의 단면구조를 구비하는 지지패널(13b)은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패널(13a)의 중앙에 슬라이딩 저장부의 본체(31)가 위치하도록 보조적으로 셋팅하는 기능 및, 슬라이드패널(13a)과 본체(31) 사이로 음식물 쓰레기의 액상이 누출될 시, 이를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패널(13b)은 'ㄱ'형상의 단면구조를 구비할 경우, 지지패널(13b)과 슬라이드패널(13a)의 연결에 의해 짐판(13)의 끝단은 'ㄷ'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중량감지부(10)는 짐판(13)과 중량센서(12) 및 받침대(11)가 일체화된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본체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레일부(20)는 도 1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교반부(300,300`)의 투입개방구(370,370`)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소정거리를 유지하고 설치되는 제1,2지지브래킷(21,22)과, 상기 제1,2지지브래킷(21,22)에 양측이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레일(23)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레일(23)은 중량감지부(10) 및 제1,2교반부의 투입개방구(370,370`)가 고정레일(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2지지브래킷(21,22)에 의해 본체하우징내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레일(23)은 상단에 걸림돌기(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4)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저장부(30)는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저장되고 하부가 중량감지부에 밀착되도록 안착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외부면(31a)에 일체로 연결설치된 플랜지(32)와, 상기 플랜지(32)의 양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가압블록(34)에 의해 이동부(40)가 연결설치되는 이동블록(33)과, 상기 이동블록(33)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레일부에 구름접촉되며 회전되는 이동롤러(3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1)는 상부(31b) 및 하부(31c)가 모두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31b)가 투입구(210)와 연통되고 하부(31c)가 짐판의 슬라이드패널(13a)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체의 하부(31c)에는 슬라이드패널(13a)과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탄성수밀재(35)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수밀재(36)는 실리콘, 러버, 합성수지, 직물 등등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구비하는 재질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재질의 수밀재가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32)는 본체의 외부면(31a) 둘레를 따라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양끝단에 이동블록(33)이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록(33)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레일(23)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블록(33)은 하단에 고정레일의 걸림홈(25)내로 삽입되는 블록걸림돌기(37)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걸림돌기(37)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고정레일의 걸림돌기(24)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동블록(33)은 블록걸림돌기(37)가 고정레일의 걸림홈(25)내로 삽입되고, 돌기삽입홈(38)내로 고정레일의 걸림돌기(24)가 삽입되어 결합될 뿐 아니라, 이동블록의 블록걸림돌기(37)와 고정레일의 걸림돌기(24)가 상하로 서로 접촉되는 짜맞춤구조로 연결되고, 이동블록(33)에 연결된 이동롤러(35)가 레일부의 고정레일(23)을 따라 구름작동되므로, 이동부(4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블록(33)이 제1,2교반부(300,300`)의 투입개구부(370,370`) 방향으로 이동될 시, 짐판의 슬라이드패널(13a)과 본체의 하부(31c) 사이에 유격 즉,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이동롤러(35)는 고정레일(24)을 따라 구름작동되며, 가압블록(34)이 설치되지 않는 이동블록(33)의 또다른 일측면에 하나 이상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블록(34)은 이동부의 이동벨트(41)를 이동블록(33)에 가압연결하여 이동부(40)의 구동력이 슬라이딩 저장부(30)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블록(34)은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이동벨트(33)를 가압하면서 이동블록(33)에 일체로 연결설치된다. 즉, 상기 이동블록(33)과 가압블록(34) 사이에 이동부의 이동벨트(41)가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 이동블록(33)과 가압블록(34) 및 이동벨트(41)는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블록(34)은 이동블록(33)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이동벨트(41)가 끼움삽입될 수 있는 삽입압착홈(3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는 슬라이딩 저장부(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200)에 연결설치되며, 도 1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2)의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구동풀리(43)와, 상기 구동풀리(43)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본체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종동풀리(44)와, 상기 구동풀리(43)와 종돌풀리(44)에 연결되고 슬라이딩 저장부(30)의 일측 즉, 이동블록(33)과 가압블록(34)에 일측이 고정설치되는 이동벨트(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풀리가 회전되고,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연결설치된 이동벨트가 회전이동되며, 이동벨트의 이동에 의해 이동블록 및 가압블록이 이동되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저장부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40)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벨트(41)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이동벨트(41)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롤러(45)를 더 구비한다. 상기 텐션조절롤러(45)는 스프링의 탄력 또는 스크류 이동 등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이동벨트(41)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이동벨트(41)에 소정의 텐션을 부여한다. 이러한 텐션조절롤러의 작동 및 구성은 공지의 것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100`)는, 슬라이드 저장부의 본체 및 짐판에 의해 형성된 임시저장공간내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적재되면, 적재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이 중량센서에 의해 자동측정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측정이 완료되면, 이동부의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의해 이동벨트가 회전이동되게 되며, 이동벨트의 회전이동에 의해 슬라이딩 저장부가 레일부를 따라 제1교반부 또는 제2교반부의 투입개방구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저장부는 본체의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부 또는 제2교반부의 투입개방구 상측으로 본체가 이동되면, 임시저장공간내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제1교반부의 투입개방구(370) 또는 제2교반부의 투입개방구(370`)를 통해 제1교반부(300) 또는 제2교반부(300`)내로 낙하되게 된다.
상기 교반부(300,300`)는 중량측정부(100) 하측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200)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 1, 도 2 및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담체가 혼합되는 혼합탱크(310)와, 상기 혼합탱크(310)내에 위치하고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담체를 교반하는 교반기(320)와, 상기 혼합탱크(310)에 연결설치되어 통기를 조절하는 흡기부(330) 및 배기부(340)를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370 은 교반기(320)를 구동시키는 교반기모터이다.
또한, 상기 교반부(300)는 혼합탱크(310)에 연결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부(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히팅부(350)는 열선 또는 판히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히팅부는 혼합탱크에 두개가 이중으로 연결설치되어,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 시에는 나머지 하나는 동작을 하지 않고, 하나가 동작됨에도 불구하고 특정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에는 두개가 동시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혼합탱크(310)는 본체하우징(200)내에 설치되어 미생물 담체와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반응되는 것으로, 'U'자로 상향 개방된 구조를 구비하고, 하부 일측이 배출부(500)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혼합탱크(310)내에는 흡기부(330)에 연결되도록 이온 클러스터를 이용한 악취제거부(36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악취제거부(360)는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탱크내 또는 흡기부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이온클러스터(Cluster)를 발생시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고 살균효과를 발휘하는 방전관(361)과, 혼합탱크내에 설치되어 혼합탱크내의 오염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오염감지센서(362)와, 오염감지센서에 감지된 정보에 의해 방전관(361)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 및 방전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363)와, 본체하우징(200) 일측에 설치되어 오염감지센서(362)와 제어부(363)를 가동시키는 작동스위치(36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악취제거부(360)는 흡기부(330) 및 배기부(340)와 연동되어 작동된다. 즉, 작동스위치(364)의 조작에 의해 흡기부(330)의 팬이 구동되어 흡기부(330)를 통해 외부공기가 혼합탱크(310)내로 유입되게 됨과 동시에, 오염감지센서(362)가 혼합탱크(310)내의 공기오염상태를 감지하며, 오염감지센서(362)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363)로 전송입력되어, 제어부(363)에서 방전관(361)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 및 방전시간을 설정하여 방전관(361)을 가동시킨다. 이와 같이 방전관(361)이 가동되면 혼합탱크(310)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이온클러스터가 생성되게 되며, 생성된 이온클러스터는 악취분자를 둘러싸서 산화 및 악취분자와 결합하여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교반기(320)는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담체를 혼합하는 외측 스크류날개(322)와 내측 스크류날개(323)가 대칭형 이중나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교반기(320)는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단이 혼합탱크(310)에 베어링 지지되는 중심축(321)과, 상기 중심축(321)을 중심으로 나선띠형상을 구비하며 중심축(32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외측 스크류날개(322)와, 상기 외측 스크류날개(322)와 중심축(3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중심축(321)을 중심으로 외측 스크류 날개(322)의 나선방향과 반대되는 나선방향의 나선띠 형상을 구비하며 중심축(32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 스크류날개(323)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스크류날개(322)와 내측스크류날개(323)는 모두 나선띠 형상을 구비하며, 서로 반대되는 나선방향으로 복수의 간격유지봉(324)에 의해 중심축(32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스크류날개(322)는 혼합탱크내의 생성물(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담체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생성물)이 배출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소정각도의 경사각(θ1)를 구비하며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스크류날개(323)는 혼합탱크(310)내의 최종생성물 즉,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담체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최종생물이 배출부(500)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소정각도의 경사각(θ2)을 구비하며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스크류날개(322)는 간격유지봉(324)의 중심선(O)을 중심으로 약 8°∼10°, 바람직하게는 약 9°정도의 경사각(θ1)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스크류날개(323)는 외측스크류날개(32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간격유지봉의 중심선(O)을 중심으로 약 8°∼10°, 바람직하게는 약 9°정도의 경사각(θ2)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외측스크류날개(322) 및 내측스크류날개(323)의 경사각(θ1,θ2)은 8° 미만으로 설정될 경우, 외측스크류날개(322)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부 쏠림현상이 발생되고, 10°를 초과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담체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적정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스크류날개(322)와 내측스크류날개(323)는 모두 나선띠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생성물의 일방향 쏠림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혼합이 가능한다.
즉, 상기 외측스크류날개(322)와 내측스크류날개(323)는 중심축(321)을 기준으로, 중심축(321) 상측에 위치하는 외측스크류날개(322)와 내측스크류날개(32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되어 기울어진 경사각(θ1,θ2)을 구비하고 있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담체가 S자형상으로 혼합되어 더욱 균일한 생성물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외측스크류날개의 높이(H1)는 중심축에서 혼합탱크까지의 거리(r)에 대하여, 0.85r∼0.98r을 구비하고, 내측스크류날개의 높이(H2)는 0.45r∼0.55r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스크류날개의 폭(W1) 및 내측스크류날개의 폭(W2)은 0.10r∼0.25r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스크류날개의 폭(W1) 및 내측스크류날개의 폭(W2)이 0.15r 미만을 유지할 경우, 생성물의 혼합성능 및 이송성능이 저하되고, 0.25r 을 초과할 경우, 생성물의 일방향 쏠림현상 및 외측스크류날개와 내측스크류날개의 서로 다른 혼합방향에 의한 생성물의 정체현상이 발생되므로, 나선띠 형상의 폭을 적정범위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스크류날개의 두께(t1)와 외측스크류날개의 폭(W1)의 비율 및, 내측스크류날개의 두께(t2)와 내측스크류날개의 폭(W2)의 비율은 약 1 : 5∼8 의 길이비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담체는 미생물이 혼입되어 포자화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발효되어 24시간내에 음식물쓰레기를 소멸처리하는 것이면 충분하므로,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생물 담체는 일예로, 무균처리된 통기성 유기담체 100 건조 중량부에 복합미생물 10∼20 건조 중량부가 혼입되어 포자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미생물은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방선균, 나이트로소모나스, 나이트로박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입한다.
이와 같은 복합미생물(바실러스, 슈도모나스, 방선균, 나이트로소모나스, 나이트로박타)는 30∼40℃와 습도 60~70%이상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상온에서는 동면상태에 있으면서 생존하는 특성을 구비한다.
상기 유기담체는 유기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반응(침전, 분해, 추출, 발효, 소멸, 소화 등)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대상 화합물과 물리 화학적 반응 성질이 유사한 물질이며, 목질세편, 폐목재, 스폰지, 스티로폼, 섬유상 재제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유기담체는 파쇄기에서 유기담체를 10∼20㎜ 크기로 균등 파쇄/절단하고, 균등파쇄/절단 된 유기담체에 통기세공을 형성시킨 후세공 내외부를 무균 처리하여 복합 미생물 서식지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반부(300)의 혼합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교반기(320)를 분당 5∼10회, 정/역회전시키고, 혼합탱크(310)내 온도가 30∼35℃로 유지되도록 흡기부(330)와 배기부(340) 및 히팅부(350)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부(300)는 후술되는 배출부(500)를 통한 최종생성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출부 방향으로 최종생성물을 이송배출 전에, 1∼2시간동안 혼합탱크(310)내를 40∼50℃에서 건조하여, 최종생성물의 수분함량을 1∼5%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500)는 교반부(300,300`)내에서 발효가 완료된 최종생성물을 음심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의 혼합탱크(310)와 일측단이 연통되는 배출이송로(510)와, 배출이송로(510)의 타측단이 하부와 연통되도록 혼합탱크(310)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며 설치된 이송드럼(520)과, 상기 이송드럼(520)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이송스크류(530)와, 상기 이송드럼(520)의 상부와 연통되고 본체하우징(200)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540)와, 상기 이송드럼(52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이송스크류(530)를 회전구동시키는 이송모터(5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배출부(500)는 혼합탱크(310)와 연통된 배출이송로(510)에 의해 혼합탱크(310)내의 최종생성물이 이송드럼(520)내로 이송되고, 이송모터(55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이송스크류(530)에 의해 이송드럼(520)내의 최종생성물이 배출구(540) 방향으로 상승이송되어 배출구(540)를 통해 본체하우징(2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540)에는 캡(도시없음)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540)는 최종생성물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이송드럼(520)과 연통된 일측(541)이 캡(도시없음)이 설치되는 타측(542)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200)은 배출부(500)에 의한 최종생성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출구(540)가 위치하는 일측 패널(220)이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어개폐부(400), 중량측정부(100)로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 교반부(300) 및 배출부(500)가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거나,
2개의 도어개폐부(400), 중량측정부(100)로 2개의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 2개의 교반부(300,300`) 및 2개의 배출부(500)가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도어개폐부(400), 중량측정부(100)로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100`), 두개의 교반부(300,300`) 및 배출부(500)가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담체는 최소 약 24시간동안 혼합발효되어야 소멸처리가 가능하므로, 본체하우징내에 2개의 교반부(300,300`)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중량감지부 (11) : 받침대
(12) : 중량센서 (13) : 짐판
(13a) : 슬라이드 패널 (13b) : 지지패널
(14) : 높이조절부 (20) : 레일부
(21) : 제1지지브래킷 (22) : 제2지지브래킷
(23) : 고정레일 (24) : 걸림돌기
(25) : 걸림홈 (30) : 슬라이딩 저장부
(31) : 본체 (31a) : 외부면
(31b) : 상부 (31c) : 하부
(32) : 플랜지 (33) : 이동블록
(34) : 가압블록 (35) : 이동롤러
(36) : 탄성수밀재 (37) : 블록걸림돌기
(38) : 돌기삽입홈 (39) : 삽입압착홈
(40) : 이동부 (41) : 이동벨트
(42) : 구동모터 (43) : 구동풀리
(44) : 종동풀리 (45) : 텐션조절롤러
(50) : 임시저장공간 (100`):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
(100) : 중량측정부 (100"): 하향개방식 중량측정부
(110) : 상부본체
(111) : 상부개방구 (112) : 하부개방구
(113) : 임시저장공간 (114) : 상단부
(115) : 지지플레이트 (116) : 돌출편
(121) : 제1중량센서 (122) : 제2중량센서
(123) : 센서브래킷 (124) : 센서브래킷
(130) : 양문개폐형 도어부 (131) : 제1도어
(132) : 제2도어 (131a,132a): 상부면
(131b,132b): 단차부 (131c,132c): 수밀씰
(131d,132d): 하부면 (133) : 제1힌지부
(134) : 제2힌지부 (135) : 제1도어 외측단
(136) : 제2도어 외측단 (137) : 제1도어 내측단
(138) : 제2도어 내측단 (139) : 안착부
(139a): 연결부 (139b): 지지부
(139c): 돌출부 (139d): 돌출씰링재
(139e): 수밀홈 (139f): 걸림턱
(141) : 제1구동실린더 (142) : 제2구동실린더
(143,144): 고정브래킷 (200) : 본체하우징
(210) : 투입구 (220) : 일측 패널
(230) : 베이스 플레이트 (300`): 교반부
(231) : 관통홀 (240) : 하부본체
(241) : 실린더 관통홀 (242) : 고무댐퍼 또는 브러쉬
(300) : 교반부 (310) : 혼합탱크
(320) : 교반기 (330) : 흡기부
(340) : 배기부 (350) : 히팅부
(360) : 악취제거부 (361) : 방전관
(362) : 오염감지센서 (363) : 제어부
(364) : 작동스위치 (400) : 도어개폐부
(420) : 투입구모터
(430) : 회전축 (440) : 연결대
(450) : 투입구도어 (460) : 플레이트
(470) : 위험감지 센서부 (471) : 도그
(472) : 제1감지센서 (473) : 제2감지센서
(500) : 배출부 (510) : 배출이송로
(520) : 이송드럼 (530) : 이송스크류
(540) : 배출구 (541) : 일측
(542) : 타측 (550) : 이송모터

Claims (23)

  1. 본체하우징(200)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도어개폐부(400)와,
    상기 도어개폐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고 도어개폐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이 측정되는 중량측정부(100)와,
    상기 중량측정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하우징내에 설치되어 대칭형 이중나선 구조의 교반기(320)를 구비하는 교반부(300,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부(400)는, 투입구 모터(420)와, 상기 투입구 모터(4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회전축(430)과, 상기 회전축(430)에 일측단이 일체로 결합 또는 형성된 연결대(440)와, 상기 연결대(440)의 타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투입구(210)를 개폐시키는 투입구도어(450)와, 상기 투입구 모터(420)가 고정설치되고 회전축(430)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본체하우징(200)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플레이트(460)의 일측에는 회전축(430)의 회전정도를 감지하여 투입구 모터(420)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위치감지센서부(47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부(470)는 회전축(430)에 일체로 설치되는 도그(471)와, 상기 도그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2위치감시센서(472,4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중량측정부(100)는,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 또는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하향개방형 중량측정부(10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상/하부개방구(111,112)를 구비하는 상부본체(110)와,
    상부본체(110)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상부본체(110)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설치되는 제1,2중량센서(121,122)와,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수밀되도록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에 연결설치되는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의 제1,2도어(131,132)에 연결설치되고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고정브래킷(145,148)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포함하여,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양문개폐형 도어부(2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10)내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부(121,122)에 의해 자동측정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에 의해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상향 또는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제1,2도어는 내측단(137,138)에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는 끝단수밀재(137a,138a)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제1,2도어(131,132)는,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접촉되는 상부면(131a,132a)에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삽입되는 단차부(131b,132b)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131b,132b)를 따라 수밀씰(131c,132c)이 설치되어 하부개방구(112)와 수밀씰(131c,132c)의 접촉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8. 청구항 5 에 있어서;
    제2도어는 내측단(138)에, 제1도어의 내측단(137)을 수밀지지하는 안착부(139)가 더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139)는 제2도어(132)의 하부면(131d,132d)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연결부(139a)와, 상기 연결부(139a)와 층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139b)와, 상기 지지부(139b)의 끝단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39c)와, 상기 돌출부(139c)에 끼움설치되어 제1도어의 하부면(131d)에 수밀접촉되는 돌출씰링재(139d)와, 상기 연결부(139a)와 층을 이루는 지지부(139b)에 의해 형성되어 연결부(139a)와 돌출부(139c) 사이에 위치하는 수밀홈(139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9. 청구항 4 에 있어서;
    슬라이드형 중량측정부(100`)는,
    투입물의 중량이 자동측정되는 중량감지부(10)와,
    중량감지부(10)의 양측에 고정레일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레일부(20)와,
    중량감지부에 본체(31)가 안착되고 레일부(20)의 고정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저장부(30)와,
    슬라이딩 저장부(30)에 연결설치되어 레일부(20)의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딩 저장부의 본체를 중량감지부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지부(10)는 받침대(11)와, 상기 받침대(11)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중량센서(12)와, 상기 중량센서(12)의 타측단이 연결설치되고 받침대(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짐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1.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저장부(30)는, 개방된 하부가 중량감지부에 밀착되도록 안착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외부면(31a)에 일체로 연결설치된 플랜지(32)와, 상기 플랜지(32)의 양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가압블록(34)에 의해 이동부(40)가 연결설치되는 이동블록(33)과, 상기 이동블록(33)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레일부에 구름접촉되며 회전되는 이동롤러(35)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20)는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중량감지부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고정레일(23)과, 상기 고정레일의 양끝단에 볼트/너트 등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고정레일을 지지하는 제1,2지지브래킷(2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1 에 있어서;
    본체(31)는 하부(31c)에 짐판(13)과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탄성수밀재(35)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3. 청구항 11 에 있어서;
    고정레일(23)에는, 상단에 걸림돌기(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4)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블록(33)에는 하단에 고정레일의 걸림홈(25)내로 삽입되는 블록걸림돌기(37)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걸림돌기(37) 상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레일의 걸림돌기(24)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38)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블록의 블록걸림돌기(37)와 고정레일의 걸림돌기(24)가 상하로 서로 접촉되는 짜맞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4.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0)는, 구동모터(42)의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구동풀리(43)와, 상기 구동풀리(43)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종동풀리(44)와, 상기 구동풀리(43)와 종동풀리(44)에 연결설치되고 슬라이딩 저장부(30)의 일측 즉, 이동블록(33)과 가압블록(34)에 일측이 고정설치되는 이동벨트(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5. 청구항 1 에 있어서;
    교반부(300,300`)는,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담체가 혼합되는 혼합탱크(310)와, 상기 혼합탱크(310)내에 위치하고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담체를 교반하는 교반기(320)와, 상기 혼합탱크(310)에 연결설치되어 통기를 조절하는 흡기부(330) 및 배기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6. 청구항 15 에 있어서;
    혼합탱크(310)내에는, 흡기부(330)에 연결되도록 이온 클러스터를 이용한 악취제거부(36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악취제거부(360)는 혼합탱크내 또는 흡기부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이온클러스터(Cluster)를 발생시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고 살균효과를 발휘하는 방전관(361)과, 혼합탱크내에 설치되어 혼합탱크내의 오염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오염감지센서(362)와, 오염감지센서에 감지된 정보에 의해 방전관(361)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 및 방전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363)와, 본체하우징(200) 일측에 설치되어 오염감지센서(362)와 제어부(363)를 가동시키는 작동스위치(3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7. 청구항 1 에 있어서;
    교반부(300)는 혼합탱크(310)에 연결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 청구항 17 에 있어서;
    히팅부(350)는 열선 또는 판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히팅부는 혼합탱크에 이중으로 연결설치되어,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 시에는 나머지 하나는 동작을 하지 않고, 하나가 동작됨에도 불구하고 특정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에는 두개가 동시 동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5 에 있어서;
    교반기(320)는, 양끝단이 혼합탱크(310)에 베어링 지지되는 중심축(321)과, 상기 중심축(321)을 중심으로 나선띠형상을 구비하며 중심축(32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외측 스크류날개(322)와, 상기 외측 스크류날개(322)와 중심축(3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중심축(321)을 중심으로 나선띠 형상을 구비하며 중심축(32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 스크류날개(323)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스크류날개(322)와 내측스크류날개(323)는 간격유지봉의 중심선(O)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되어 기울어지도록 경사각(θ1,θ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20. 청구항 19 에 있어서;
    외측스크류날개(322)는 간격유지봉(324)의 중심선(O)을 중심으로 8°∼10°시계반대방향(A)으로 경사진 경사각(θ1)을 구비하고,
    내측스크류날개(323)는 간격유지봉(324)의 중심선(O)을 중심으로 8°∼10° 시계방향(B)으로 경사진 경사각(θ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21. 청구항 19 에 있어서;
    외측스크류날개는 중심축에서 혼합탱크까지의 거리(r)에 대하여, 0.85r∼0.98r의 의 높이(H1)를 구비하고,
    내측스크류날개는 중심축에서 혼합탱크까지의 거리(r)에 대하여, 0.45r∼0.55r의 의 높이(H2)를 구비하며,
    외측스크류날개의 폭(W1) 및 내측스크류날개의 폭(W2)은 중심축에서 혼합탱크까지의 거리(r)에 대하여, 0.10r∼0.25r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22. 청구항 1 에 있어서;
    교반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교반부내에서 발효처리된 최종생성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23. 청구항 22 에 있어서;
    배출부(500)는, 교반부의 혼합탱크(310)와 일측단이 연통되는 배출이송로(510)와, 배출이송로(510)의 타측단이 하부와 연통되도록 혼합탱크(310)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며 설치된 이송드럼(520)과, 상기 이송드럼(520)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이송스크류(530)와, 상기 이송드럼(520)의 상부와 연통되고 본체하우징(200)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540)와, 상기 이송드럼(52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이송스크류(530)를 회전구동시키는 이송모터(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20150077148A 2015-06-01 2015-06-01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160141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48A KR20160141459A (ko) 2015-06-01 2015-06-01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48A KR20160141459A (ko) 2015-06-01 2015-06-01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459A true KR20160141459A (ko) 2016-12-09

Family

ID=5757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148A KR20160141459A (ko) 2015-06-01 2015-06-01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14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3113A (zh) * 2023-03-20 2023-06-06 泰安市食品药品检验检测研究院(泰安市纤维检验所) 一种食品药品检测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450A (ko) 2006-04-07 2007-10-11 (주)동양그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KR101261453B1 (ko) 2011-08-08 2013-05-10 전일호 미생물을 이용한 교반통 회전타입의 음식물처리장치
KR20130084712A (ko) 2012-01-18 2013-07-26 (주)바이오스타 음식물쓰레기 발효처리장치의 미생물 담체 및 그 처리장치
KR101416884B1 (ko) 2012-09-03 2014-07-09 임주훈 과부하 방지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450A (ko) 2006-04-07 2007-10-11 (주)동양그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KR101261453B1 (ko) 2011-08-08 2013-05-10 전일호 미생물을 이용한 교반통 회전타입의 음식물처리장치
KR20130084712A (ko) 2012-01-18 2013-07-26 (주)바이오스타 음식물쓰레기 발효처리장치의 미생물 담체 및 그 처리장치
KR101416884B1 (ko) 2012-09-03 2014-07-09 임주훈 과부하 방지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3113A (zh) * 2023-03-20 2023-06-06 泰安市食品药品检验检测研究院(泰安市纤维检验所) 一种食品药品检测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CN116223113B (zh) * 2023-03-20 2023-09-08 泰安市食品药品检验检测研究院(泰安市纤维检验所) 一种食品药品检测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712B1 (ko) 악취발생이 저감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8129177B2 (en) Composting systems and methods
US7863039B2 (en) Organic waste treatment apparatus
CN106964634B (zh) 一种分散式餐厨垃圾处理终端
US20120252107A1 (en) Bio-Reactor System and Method for Composting Food Waste
CN101889834A (zh) 固液分离的生态厕所
US20080022739A1 (en) Vertical composter with leachate retention system
KR101768887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시스템
EP1520845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osting
KR20160141459A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1500330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U2006293435B2 (en) A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version of biomass/waste into bio-organic soil enricher and conditioner and fuel
KR1018786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918817B2 (ja) 泥状有機廃物の発酵処理装置並びに発酵処理法
KR101646895B1 (ko) 축산분뇨 및 음식물 슬러지 원형 퇴비화 장치
WO2007019513A2 (en) Composting systems and methods
CN201492364U (zh) 固液分离处理设备
KR100472781B1 (ko) 음식물쓰레기 및 농축해수산 유기성폐기물의 발생지즉석처리퇴비제조특장차량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4100U (ko)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JP2000061431A (ja) 生ごみ消滅撹拌装置
KR10182008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JPH08276169A (ja) 厨房廃棄物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0072203A (ja) 生ゴミ分解処理装置
KR100963841B1 (ko) 액체비료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