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453A - 랜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랜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453A
KR20160141453A KR1020150077132A KR20150077132A KR20160141453A KR 20160141453 A KR20160141453 A KR 20160141453A KR 1020150077132 A KR1020150077132 A KR 1020150077132A KR 20150077132 A KR20150077132 A KR 20150077132A KR 20160141453 A KR20160141453 A KR 20160141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an cable
cable
pow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714B1 (ko
Inventor
김시내
Original Assignee
김시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내 filed Critical 김시내
Priority to KR1020150077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14B1/ko
Priority to PCT/KR2015/010879 priority patent/WO2016195179A1/ko
Publication of KR2016014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Small-Scale Network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랜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서, 케이블의 일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에서 케이블의 타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랜케이블이 어떤 장치의 어느 포트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파악하게 되어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랜케이블 커넥터, 랜케이블, 랜케이블 시스템{LAN CABLE CONNECTER, LAN CABLE, LAN CABLE SYSTEM}
본 발명은 랜케이블 커넥터, 랜케이블, 랜케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되 전원이 제1선과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부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일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에서 케이블의 타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랜케이블 커넥터, 랜케이블, 랜케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랜케이블(Local Area Network Cable)이란, 유선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케이블로써, 각종 네트워크장치들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일반 기업, 관공서, 학교, 병원 등 대규모 네트워크 설비가 구비되는 대형시설 뿐만 아니라, 소규모 사무실, 식당, 가정 등 소형 네트워크 장치가 설치되는 곳에서도 상술한 랜케이블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들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는 랜케이블이 어느 장치의 어떤 포트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대형 기업, 관공서 등의 대규모 시설에 설치되는 대형 네트워크 장치들은 무수히 많은 수의 랜케이블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치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랜케이블의 양단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랜케이블이 어떤 장치의 어느 포트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파악하기 어렵다.
상술한 랜케이블 확인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각각의 랜케이블에 태그를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상술한 방법이 제대로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장치의 교체 및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태그도 함께 교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교체 작업은 작업자의 변경 및 관리 소홀 등으로 인해 현장에서 완벽하게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체되지 않은 태그로 인해, 네트워크 유지 및 보수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되 전원이 제1선과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부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일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에서 케이블의 타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랜케이블 커넥터, 랜케이블, 랜케이블 시스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랜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전원이 상기 제1선과 상기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랜케이블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전원이 상기 제1선과 상기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랜케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전원이 상기 제1선과 상기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부; 및 상기 전원단자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랜케이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단자로 전달하도록,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배터리가 탈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의 일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에서 케이블의 타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랜케이블이 어떤 장치의 어느 포트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파악하게 되어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를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의 구성요소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를 종래의 랜케이블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의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시스템의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를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의 구성요소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100)는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케이블(2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본체부(120)와 발광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20)는 케이블(210)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부(120)는 케이블(2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므로 한쌍으로 마련된다. 전원단자는 후술하는 전원부(3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도체로 마련된다. 이러한 전원단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로 마련되어 본체부(120)의 각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단자는 후술하는 발광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광부(130)는 상술한 본체부(120)에 설치되며, 전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것으로써, 공급되는 전원이 제1선과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20)는 한쌍으로 마련되므로, 발광부(130)도 한쌍으로 마련되어 한쌍의 본체부(120)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케이블(210)은 일반적으로 8개의 선을 포함하는데, 8개의 선 중 2개의 선, 즉, 제1선과 제2선은 한쌍의 발광부(130)를 상호 연결한다. 한편, 8개의 선 중 제1선과 제2선을 제외한 나머지 6개의 선은 네트워크 통신 위해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발광부(130)는 제1선과 제2선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바, 작업자가 하나의 발광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면, 그 발광부(130)가 발광하는 동시에, 나머지 하나, 즉, 케이블(210)의 반대측에 있는 발광부(130)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작업자가 케이블(210)의 반대측에 있는 커넥터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랜케이블이 어떤 장치의 어느 포트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파악하게 되어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발광부(130)는 LED(Light Emitting Diode)모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 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20)와 발광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에 의하면, 케이블(210)의 일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에서 케이블(210)의 타단측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400)는 본체부(420)와 발광부(43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를 종래의 랜케이블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20)는 종래의 랜케이블의 커넥터(1)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개구부(o)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측면에는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부(420)의 개구부(o)에 종래의 랜케이블의 양단부에 설치된 한쌍의 종래의 랜케이블의 커넥터(1)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야 하므로, 본체부(420)는 한쌍으로 마련된다.
본체부(420)는 종래의 랜케이블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선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선을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의 랜케이블은 일반적으로 8개로 마련되는데, 따라서, 본체부(420)에 포함되는 선도 이에 대응되도록 8개로 마련된다.
종래의 랜케이블의 내부에 설치된 8개의 선 중 6개의 선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선이며, 나머지 2개의 선은 상술한 본체부(420)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선 중 2개의 선, 즉,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전원단자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도체로 마련된다. 이러한 전원단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로 마련되어 본체부(420)의 각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단자는 후술하는 발광부(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430)는 상술한 본체부(420)에 설치되며, 전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것으로써, 공급되는 전원이 제1선과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420)는 한쌍으로 마련되므로, 발광부(430)도 한쌍으로 마련되어 한쌍의 본체부(420)에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발광부(430)는 제1선과 제2선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바, 작업자가 하나의 발광부(430)에 전원을 공급하면, 그 발광부(430)가 발광하는 동시에, 나머지 하나, 즉, 케이블(210)의 반대측에 있는 발광부(430)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작업자가 케이블(210)의 반대측에 있는 커넥터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랜케이블이 어떤 장치의 어느 포트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파악하게 되어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발광부(430)는 LED(Light Emitting Diode)모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 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420)와 발광부(4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400)에 의하면, 종래의 랜케이블을 그대로 활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100)의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200)은 케이블(210)과 본체부(120)와 발광부(1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체부(120)와 발광부(1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100)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의 사시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10)은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본체부(120)가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즉, 케이블(210)의 양단부에는 본체부(120)가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블(210)은 네트워크 통신용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내부에 다수개의 선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개의 선은 일반적으로 8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8개의 선 중 6개의 선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나머지 2개의 선, 즉, 제1선과 제2선은 한쌍의 발광부(130)를 상호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210)과 본체부(120)와 발광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200)에 의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시스템(300)은 케이블(210)과 본체부(120)와 발광부(130)와 전원부(340)를 포함한다.
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케이블(2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200)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이며, 본체부(120)와 발광부(1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100)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시스템의 사시도 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340)는 전원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341)와 접촉부(34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41)는 배터리(b)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접촉부(342)에 배터리(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베이스부(341)는 배터리(b)가 탈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341)는 배터리(b)가 탈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여분의 배터리(b)를 소지하는 경우,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지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341)에는 배터리(b)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램프(343)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부(342)는 배터리(b)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단자로 전달하는 것으로써, 배터리(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단자에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210)과 본체부(120)와 발광부(130)와 전원부(3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시스템(300)에 의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
120 : 본체부 130 : 발광부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210 : 케이블
3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케이블 시스템
340 : 전원부 341 : 베이스부
342 : 접촉부 343 : 확인램프
b : 배터리
400 :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랜케이블 커넥터
420 : 본체부 430 : 발광부
o : 개구부 1 : 종래의 랜케이블 커넥터

Claims (6)

  1.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랜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전원이 상기 제1선과 상기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랜케이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모듈로 마련되는 랜케이블 커넥터.
  3.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전원이 상기 제1선과 상기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랜케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선 및 제2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본체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상기 전원이 상기 제1선과 상기 제2선으로 전달되도록 제1선과 제2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부; 및
    상기 전원단자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랜케이블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단자로 전달하도록,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랜케이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배터리가 탈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랜케이블 시스템.



KR1020150077132A 2015-06-01 2015-06-01 랜케이블 커넥터 KR10170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32A KR101701714B1 (ko) 2015-06-01 2015-06-01 랜케이블 커넥터
PCT/KR2015/010879 WO2016195179A1 (ko) 2015-06-01 2015-10-15 랜케이블 커넥터, 랜케이블, 랜케이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32A KR101701714B1 (ko) 2015-06-01 2015-06-01 랜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453A true KR20160141453A (ko) 2016-12-09
KR101701714B1 KR101701714B1 (ko) 2017-02-02

Family

ID=5744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132A KR101701714B1 (ko) 2015-06-01 2015-06-01 랜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1714B1 (ko)
WO (1) WO201619517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580A1 (en) * 2004-08-30 2006-03-02 Link Light Technologies, Inc. Patch cable physical link identification device
US20120270436A1 (en) * 2011-04-19 2012-10-25 Blythe Stephen P Identifying individual copper network cables on a pat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769Y1 (ko) * 1999-08-31 2000-02-15 주식회사한스밸리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KR20040016236A (ko) * 2002-08-16 2004-02-21 조용걸 멀티 랜케이블 테스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랜케이블 테스팅 방법
JP2005327646A (ja) * 2004-05-17 2005-11-24 Hitachi Ltd 電源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580A1 (en) * 2004-08-30 2006-03-02 Link Light Technologies, Inc. Patch cable physical link identification device
US20120270436A1 (en) * 2011-04-19 2012-10-25 Blythe Stephen P Identifying individual copper network cables on a pat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179A1 (ko) 2016-12-08
KR101701714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3151B2 (en) Tracking jumper cable assembly
US9500815B2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power
ATE354110T1 (de) Hybrid-steckverbindung
JP6457509B2 (ja) 視覚標識装置を含むネットワークケーブル及びネットワークケーブルの末端の視覚標識装置
CN204706735U (zh) 通信电缆用连接器和带连接器的通信电缆
CA2997943C (en) Camera system for gas-insulated switchgear systems
JP2007128704A (ja) 両端コネクタ付ケーブルユニット、両端コネクタ付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3020037B1 (en) Active cable with display
KR102010112B1 (ko) 서로 다른 ac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형 pdu
US20120270436A1 (en) Identifying individual copper network cables on a patch panel
KR101701714B1 (ko) 랜케이블 커넥터
KR101701708B1 (ko)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커넥터,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시스템
KR101535192B1 (ko) 이종 전원 공급이 가능한 모듈형 pdu
CN104679116B (zh) 服务器机柜系统、电路板组合系统及其电路板
JP6126866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電子制御装置
JP5725983B2 (ja) 照明器具
JP2013157275A (ja) 配線盤、及び配線盤の配線方法
TWI632408B (zh) 指引光纖跳接系統
KR101913348B1 (ko) Led 랜케이블 커플러
US8840266B1 (en) Modular power-delivery system
GB2527310A (en) Patchmate cable tracer and continuity tester
TW201428463A (zh) 電源轉接板以及具有該電源轉接板的供電系統
US9236690B2 (en) Device for a patch panel
JP2007178174A (ja) ケーブルの端末確認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外部電源装置
CN218940205U (zh) 一种用于半导体设备电气柜的接口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