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374A - Resource-cycling toilet - Google Patents

Resource-cycling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374A
KR20160141374A KR1020160066751A KR20160066751A KR20160141374A KR 20160141374 A KR20160141374 A KR 20160141374A KR 1020160066751 A KR1020160066751 A KR 1020160066751A KR 20160066751 A KR20160066751 A KR 20160066751A KR 20160141374 A KR20160141374 A KR 20160141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onveyor
toilet
tank
fungi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9623B1 (en
Inventor
한무영
김충일
주성희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6/00572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95359A1/en
Publication of KR2016014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3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6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4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from human faecal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toilet which separates and stores excreta for composting. The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comprises: a lavatory on which a bowl is formed; a conveyor arranged on a bottom of the lavatory; a liquefied fertilizer tank which treats urine to be liquefied fertilizer; and a conveyor cleaning device which sprays the urine liquefied as fertilizer onto a movabl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lavatory and the conveyor. Accordingly, the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is able to separate and recycle excreta by composting excrements and treating urine to be liquefied fertilizer. In addition, urine is used to clean the movable unit after treating the urine to be liquefied fertilizer, so water is not used; and also, excreta may effectively be separated using the conveyor. Moreover, a partition wall is installed in the liquefied fertilizer tank, and urine is moved by overflowing the partition wall; thereby increasing an efficiency of treating urine to be liquefied fertilizer.

Description

자원순환형 화장실{RESOURCE-CYCLING TOILET}RESOURCE-CYCLING TOILET

본 발명은 자원순환형 화장실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분뇨를 분리하여 저장한 후 이를 비료화하는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for separating and storing manure and then fertiliz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변소를 달리 이르는 말로서, 대소변을 보도록 만들어 놓은 곳을 의미한다. 이러한 화장실은 외부로부터 격리된 공간에 변기를 두어 사용자가 대소변을 보도록 하였으며, 남녀 구분에 따라 남자 화장실에는 소변기와 대변기가 설치되며, 여자 화장실에는 대변기가 설치된다.Generally, toilets are different kinds of toilets, which means places made to see the feces. These toilets have a toilet placed in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to allow the user to see the toilet. The urinal and the toilet are installed in the male toilet and the toilet is installed in the female toilet.

여기서, 기존의 화장실에 설치된 대변기는 대소변, 즉, 분뇨를 특별히 분리하지 않고 한꺼번에 받아 정화조로 이송하며, 정화조는 단순히 분뇨를 저장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에 따라, 기존의 화장실은 분뇨를 재활용하지 않으며, 분뇨가 뒤섞여 있어 재활용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toilet disposed in the existing toilet does not separate the feces, that is, the manure at a time, and transfers it to the septic tank. The septic tank merely stores the mannitol.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ilet does not recycle manu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cycle since the manure is mix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0306호(2013.07.22.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90306 (Registered on July 22,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분뇨를 자원화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capable of recycling manur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보울이 형성된 변기와, 상기 변기의 하단에 구비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소변을 액비화하는 액비화 탱크, 및 상기 액비화 탱크에서 액비화된 소변을 상기 변기와 컨베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분사하는 이동수단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bowl comprising: a bowl having a bowl; a conveyo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wl; a liquefaction tank for liquefying urine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And a conveyor clean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waste to the moving mean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nveyor and the conveyor.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대변 배출구의 하단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경사진 대변 컨베이어 면과, 상기 소변 배출구의 하단에 위치하며 타방향으로 경사진 소변 컨베이어 면을 포함한다.The conveyor includes a feces conveyor face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feces discharge opening and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 urine conveyor face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urine discharge opening and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컨베이어는 분뇨 배출구의 하단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경사진 대변 컨베이어 면과, 타방향으로 경사진 소변 컨베이어 면을 포함한다.The conveyor includes a feces conveyor fac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nure discharge port and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 urine conveyor face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컨베이어는 소변이 통과하는 슬릿 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 또는 홈을 통과한 소변은 상기 액비화 탱크로 이송된다.The conveyor is formed with a slit or groove through which the urine passes, and the urine passing through the slit or groove is transferred to the liquid tank.

상기 컨베이어는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대변의 이송에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롤러에 홈을 형성하고, 홈에 대응되도록 컨베이어의 내측 표면에 돌출된 가이드를 형성하여 컨베이어가 롤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formation of the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conveyor is effective in conveying the feces. It is also effective to form a groove in the roller for rotating the conveyor and to form a protruding gu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y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groove so that the conveyor is not separated from the roller.

상기 액비화 탱크는 일정량 이상의 소변이 유입되면 월류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격벽을 포함한다.The liquefaction tank includes a partition wall capable of moving when the urine flows over a predetermined amount.

상기 액비화 탱크는 소변 종균제를 첨가하는 소변 종균제 첨가 장치를 더 포함한다.The liquefaction tank further includes a device for adding a urine fungicide to which a urine fungicide is added.

상기 소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상기 액비화 탱크에 유입되는 소변량을 측정하는 소변량 측정 센서와, 상기 소변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소변 1ℓ마다 10㎖의 소변 종균제를 상기 액비화 탱크에 주입하는 소변 종균제 첨가 모듈을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adding urine fungicide further comprises a urine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urine introduced into the liquid tank, and a urine bacterial agent for injecting 10 ml of urine bacterial agent per liter of urine measured by the urine measurement sensor into the liquid tank Module.

상기 액비화 탱크는 암모니아를 흡수하는 고형첨가제를 첨가하는 소변 고형첨가제 첨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형첨가제는 공모양 담체인 것이 효과적이다.The liquefaction tank may further include a urine solid additive adding device to which a solid additive for absorbing ammonia is added, and the solid additive is preferably a spherical carrier.

상기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대변을 퇴비화하는 퇴비화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퇴비화 탱크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유입된 대변에 대변 종균제를 첨가하는 대변 종균제 첨가 장치, 및 상기 교반기에서 대변 종균제와 교반된 대변을 저장하여 퇴비화하는 저장 공간을 포함한다.And a compost tank for composting the feces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wherein the compost tank comprises an agitator, a device for adding a fungicide to the feces introduced into the agitator, and a device for adding a fungicide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nd composting the stirred faeces.

상기 대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상기 액비화 탱크에 유입되는 대변의 무게를 측정하는 대변 무게 측정 센서와, 상기 대변 무게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대변 300g마다 20㎖의 대변 종균제를 상기 교반기에 주입하는 대변 종균제 첨가 모듈을 포함한다.A stool weight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aeces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tank; and a stool for injecting 20 ml of the stool fungicide into the stirrer every 300 g of the stool measured by the stool weight measuring sensor, Includes a bactericidal additive module.

상기 교반기에 톱밥을 첨가하는 톱밥 첨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변 종균제와 상기 대변 종균제는 니트로모나스 종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comprise a sawdust addition device for adding sawdust to the stirrer, wherein the urine fungicide and the fungicide may include a nitromonas fungicide.

본 발명은 분뇨를 분리하고, 분리된 분료 중 대변은 퇴비화하고 소변은 액비화하여 자원화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which can separate manure, compost the feces among the separated feces, and convert resources into liquefied urine.

또한, 본 발명은 소변을 액비화한 후 이를 컨베이어를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는 자원순환형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irculating toilet without using water by using urine as a liquid for lubrication and cleaning the conveyor.

또한, 본 발명은 변기에서 분뇨를 1차 분리한 후 컨베이어를 통해 2차 분리하여 분뇨 분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capable of effectively separating manure by primary separation of manure from a toilet and secondary separation through a conveyor.

또한, 본 발명은 액비화 탱크에 격벽을 설치하고, 소변이 격벽을 월류하여 이동하게 함으로써 소변의 액비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원순환형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urine lubrication by providing a partition wall in a liquid tank and moving urine to move along the partition w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변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변기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변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변기 내부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교반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종균제를 이용한 대변 소화 공정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K값을 이용한 대변 소화의 모델링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대변과 종균제 대변 혼합물의 온도 변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고형첨가제를 이용한 대변 소화 공정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대변과 고형첨가제의 온도 변화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액비화 탱크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 변화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시간에 따른 나이트레이트 농도의 변화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다양한 고형첨가제의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 변화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다양한 고형첨가제의 시간에 따른 나이트레이트 농도의 변화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각기 다른 농도의 니트로소모나스 종균에서 15일 후(a) 안정화된 pH(b)와 나이트레이트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of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a toilet bowl of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ilet of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toilet to explain a conveyor of a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rrer of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of a vigorous extinguishing process using a bactericide in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modeling graph of a counterbalance using a K value in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of a feces and a stool feces mixture in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graph showing a digestion process using a solid additive in a resource re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11 is a graph of temperature changes of feces and solid additives in a re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action tank in a resource re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ammonia concentration with time in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nitrate concentration with time in a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graph of ammonia concentration change over time of various solid additives in a resource re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graph of the change in nitrate concentration over time of various solid additives in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graph comparing the nitrate concentration with the stabilized pH (b) after 15 days in nitrosomonas sp. At different concentrations in the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view of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뇨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단에 대변과 소변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30)가 구비된 변기(100)와, 컨베이어(130)에서 이송된 대변을 저장하고 퇴비화하는 퇴비화 탱크(200), 컨베이어(130)에서 이송된 소변을 저장하고 액비화하는 액비화 탱크(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100 having a manure discharge port and a conveyor 130 for conveying the faeces and urine at the lower end thereof, A composting tank 200 for storing and composting faeces, and an accumulation tank 300 for storing and liquefying the urine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13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변기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변기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변기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of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of a toilet bowl of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toilet bowl of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변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00)의 상부에 변좌가 위치되고, 이를 덮는 덮개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00)로 분뇨 배출구가 형성된 보울이 있는 양변기를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쪼그려 앉아 용변을 보는 재래식 변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변기(100)의 아래에는 컨베이어(13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toilet 100 is provided with a cover on which a toilet seat is located and covers the toilet 100. 3 and 4,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toilet having a bowl in which a toilet bowl 100 is formed with a manure discharge por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conventional toilet seat in which a user is squatting can be used. A conveyor 130 is provided under the toilet 100.

컨베이어(130)는 분뇨 배출구를 통과한 대변과 소변을 이송한다. 여기서, 컨베이어(130)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뇨 배출구의 아래에 위치하며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소변 컨베이어 면(134)과,타측으로 하향 경사진 대변 컨베이어 면(1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컨베이어(130)에는 슬릿 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슬릿 또는 관통홀을 통해 소변이 컨베이어(130)를 통과하여 소변 이송 배관을 통해 액비화 탱크(300)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슬릿 또는 관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대변은 컨베이어(1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대변 이송 배관을 통해 퇴비화 탱크(200)로 이송된다. 여기서, 대변이 컨베이어(130)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서 컨베이어(130)의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130)가 삼각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일자형 컨베이어(1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자형 컨베이어(130)는 분뇨 배출구의 아래에서 경사지지 않고 수평하게 위치되거나, 일측 방향의 컨베이어(130) 영역이 타측 방향의 컨베이어(130) 영역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The conveyor 130 transports the faeces and urine passing through the outlet of the manure. Here, the conveyor 130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includes a urine conveyor face 134,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manure outlet and downwardly inclined to one side, and a counterweight conveyor face 132, which is downwardly inclined to the other side. Slits or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onveyor 130 so that urine can be conveyed through the slit or through hole to the liquid tank 300 through the conveyor 130 and the urine transfer pipe. Also, the faeces which can not pass through the slit or the through hole moves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130 and is transferred to the composting tank 200 through the faeces transfer pipe. Here, it is effective that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veyor 130 in order to allow the feces to be conveyed along the conveyor 130.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or 130 is a triangula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general flat conveyor 130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flat conveyor 130 may b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out inclining under the outlet of the manure outlet, or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area of the conveyor 130 in one direc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area of the conveyor 130 in the other direction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교반기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rrer of a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퇴비화 탱크(200)는 이송된 대변에 첨가물을 첨가하여 퇴비화한다. 이를 위해서, 퇴비화 탱크(200)는 이송된 대변을 첨가물과 블레이드(211)의 회전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기(210)와, 교반기(210)에서 교반된 대변이 퇴비화되도록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첨가물은 종균제와 고형첨가제인 톱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대변 종균제 첨가 장치와 톱밥 첨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mpost tank 200 composts the added feces by adding the added feces. To this end, the composting tank 200 includes a stirrer 210 for stirring the transported feces with additives and the rotation of the blade 211,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compost feces stirred in the stirrer 210 for composting. Here, the additive may be at least one of a seed germ and a sawdust as a solid additiv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stool seed adder and a sawdust adder.

대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교반기(210)에 유입된 대변에 종균제를 첨가한다. 본 발명은 종균제로 니트로소모나스 종균제를 예시한다. 또한, 종균제 첨가 장치는 교반기(210)에 유입된 대변의 무게에 따라 첨가되는 종균제 양을 제어하며, 바람직하게, 대변 300g당 20㎖의 종균제가 첨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대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교반기(210)에 유입되는 대변의 무게를 측정하는 대변 무게 측정 센서와, 대변 무게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대변의 무게에 따라 종균제를 첨가하는 대변 종균제 첨가 모듈을 포함한다.In the apparatus for adding a stool fungicide, a fungicide is added to a feces flowed into an agitator (210).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a zoonotic strain of the genus Nitrosomonas.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adding a seed bacterium controls the amount of the seedling to be add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feces introduced into the stirrer 210, preferably 20 ml of the seedling is added per 300 g of the stool. To this end, the apparatus for adding a stool fungicide includes a stool weight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feces introduced into the stirrer 210, a stool weight adding sensor for adding a staphylococcus augmen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stool measured by the stool weight measuring sensor,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종균제를 이용한 대변 소화 공정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K값을 이용한 대변 소화의 모델링 그래프이다. 도 7은 니트로소모나스 종균제를 이용한 결과이며, 300g의 대변을 각각 담은 500㎖의 컨테이너 4개를 준비하였다. 또한, 섭씨 15 내지 20도의 온도에서 0, 5, 10, 20㎖의 종균제를 각각의 대변 샘플에 첨가하였으며, 샘플은 교반하지 않았다.FIG. 7 is a graph of a vigorous extinguishing process using a sterilizing agent in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graph of modeling of a vigorous digestion using a K value in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the results of using Nitrosomonas aeruginosa. Four 500 ml containers each containing 300 g of feces were prepared. In addition, 0, 5, 10, 20 ml of the fungicide was added to each stool sample at a temperature of 15 to 20 degrees Celsius, and the sample was not stirred.

도 7을 참조하면, 종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채취한 대변의 무게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0㎖의 종균제를 사용하여 15일 동안 약 60%의 대변을 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각 샘플의 K값을 나타내었는데, K값이 클수록 더 좋은 소화 공정임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a fungicide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weight of collected feces. About 20% of the fungus can be used to digest about 60% of the stool for 15 days. The K value of each sample is shown in Fig. 7, which means that the larger the K value, the better the digestion process.

도 8을 참조하면, K값을 이용한 데이터 모델링의 1차 방정식을 보여준다. 10㎖의 종균제와 대변을 혼합하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경향을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8, there is shown a first-order equation of data modeling using K values. When 10 ml of the fungicide and feces are mixed, the following tendency is show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대변과 종균제 대변 혼합물의 온도 변화 그래프이다.FIG. 9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of a feces and a stool feces mixture in a resource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샘플들이 온도에서 의미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9,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temperature of the samples were observed.

톱밥 첨가 장치는 교반기(210)에 톱밥을 공급한다. 물론, 톱밥은 교반기(210)에 대변이 유입되면 추가되며, 교반기(210)는 유입된 대변과 톱밥을 교반한 후 저장 공간으로 이송한다. 여기서, 톱밥 첨가 장치에 의해 추가되는 톱밥은 보온 효과에 의해 대변의 퇴비화 공정에서 생성되는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더 높은 효율의 소화 공정이 일어나도록 한다.The sawdust addition device supplies the sawdust to the agitator (210). Of course, the sawdust is added when the feces flows into the stirrer 210, and the stirrer 210 stirs the introduced feces and the sawdust, and then transfers the feces to the storage space. Here, the sawdust added by the sawdust addition device prevents the heat generated in the composting process of the feces from escaping due to the effect of the warming, so that the digestion process of the higher efficiency occurs.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고형첨가제를 이용한 대변 소화 공정 그래프이다.FIG. 10 is a graph showing a digestion process using a solid additive in a resource recirculation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15일 동안의 대변 소화 공정에서, 고형첨가제인 톱밥(sawdust)과 재(ash) 및 왕겨(ricehusk) 중 톱밥은 재 및 왕겨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during the 15 days of the feces digestion process, the sawdust in the solid additive, sawdust and ash and the sawdust in the rice husk show a higher efficiency compared to ash and rice husk hav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대변과 고형첨가제의 온도 변화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of temperature changes of feces and solid additives in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미세한 톱밥 입자의 효과는 샘플들의 온도 변화에서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톱밥은 퇴비화 공정에서 생성된 열을 지키는 역할을 하며, 톱밥들은 압축되고 열이 샘플 내부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하여 대변 소화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킨다.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fine sawdust particles also appears at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amples. That is, the sawdust serves to keep the heat generated in the composting process, and the sawdust is compressed and the heat does not escape from the interior of the sampl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igestion process.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액비화 탱크의 측단면도이다.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action tank in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액비화 탱크(300)는 유입된 소변을 액비화한다. 이를 위해서, 액비화 탱크(300)에는 격벽(310)과, 소변 종균제 첨가 장치 및 소변 고형첨가제 첨가 장치가 구비된다.The liquefaction tank (300) liquefies the inflowed urine. To this end, the liquefaction tank 30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310, a device for adding a urine bactericide, and a device for adding a urine solid additive.

격벽(310)은 액비화 탱크(300)를 가로 지르도록 액비화 탱크(300)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또한, 격벽(310)에 의해서 액비화 탱크(300)로 유입된 소변은 격벽(310)을 월류하여 액비화 탱크(300) 내를 이동한다. 본 발명은 액비화 탱크(300)에 3개의 격벽(310), 즉, 제 1 내지 제 3 격벽(311, 312, 313)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며, 이에 따라, 액비화 탱크(300)에는 4개의 공간, 즉, 제 1 내지 제 4 액비화 공간(R1, R2, R3, R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소변은 제 1 액비화 공간(R1)으로 유입되며, 일정량 이상이 제 1 액비화 공간(R1)에 유입되면 제 1 격벽(311)을 월류하여 제 2 액비화 공간(R2)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2 액비화 공간(R2)에 일정량 이상의 소변이 유입되면, 소변은 제 2 격벽(312)를 월류하여 제 3 액비화 공간(R3)으로 이동하며, 제 3 액비화 공간(R3)의 소변 역시 일정량 이상이 되면, 제 3 격벽(313)을 월류하여 제 4 액비화 공간(R4)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 4 액비화 공간(R4)으로 이동된 소변이 최종적으로 비료로 사용될 소변이다. 본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액비화 공간(R4)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액비화 공간은 4개 이상일 수 있으며, 7개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각각의 액비화 공간에 저장된 소변이 격벽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게 하며, 최종적으로 7일차의 소변을 액비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액비화 탱크(300) 내에 격벽(310)을 설치하여 액비화되는 소변이 액비화 공간 간에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여 소변의 액비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partition wall 310 is formed in the liquid storage tank 300 so as to cross the liquid storage tank 300. The urine introduced into the liquid tank 300 by the barrier rib 310 moves over the barrier rib 310 and flows through the liquid tank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reservoirs 310, that is, first to third seals 311, 312 and 313 are provided in the reservoir tank 300. Thus, in the reservoir tank 300, That is, the first to fourth liquid storage spaces R1, R2, R3, and R4 are formed. Accordingly, the urine flows into the first liquid storage space R1.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flows into the first liquid storage space R1, the urine flows over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and moves to the second liquid storage space R2.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urine flows into the second liquid storage space R2, the urine flows over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to the third liquid storage space R3, and the urine in the third liquid storage space R3 also reaches a certain amount , The third barrier rib 313 flows over to the fourth liquid storage space R4. Here, the urine moved to the fourth liquid storage space R4 is a urine to be finally used as fertilizer.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exemplified the first to fourth liquid storage spaces R4,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re may be four or more liquefied spaces, and seven liquefied spaces are effective. This is because the urine stored in each liquefied space is not mixed with each other by the partition wall, and finally the urine of the seventh day is used as the liqui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310 is provided in the liquid tank 300 so that the liquid to be liquefi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liquid pool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liquefaction efficiency of the urine.

소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액비화 탱크(300)에 종균제를 첨가한다. 여기서, 종균제는 니트로모나스 종균제를 예시한다. 이는 대변에 첨가되는 종균제와 동일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변과 대변에 첨가되는 종균제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으며, 니트로모나스 외에 다른 종균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소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암모니아 손실과 냄새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1ℓ의 소변에 10㎖의 종균제를 첨가한다. 이를 위해서, 소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액비화 탱크(300)에 유입되는 소변량 측정 센서와, 측정된 소변량에 따라 종균제를 주입하는 소변 종균제 첨가 모듈을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adding the urine fungicide adds a bactericide to the liquid tank 300. Herein, the nitrification agent exemplifies nitromonas fungi. This is the same as the fungi added to the fec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esticide added to the urine and the fec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a nitrification agent other than nitromonas may be used. Also,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ammonia and odor, the urine fungicide addition apparatus is supplemented with 10 ml of a bactericide in 1 liter of urine. To this end, the apparatus for adding a urine bacterial fl uid includes a sensor for measuring a urine amount introduced into the liquid tank 300 and a urine bacterial agent addition module for injecting the organism depending on the measured urine amount.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 변화 그래프이다. 여기서, 대상은 소변으로 가득 찬 1ℓ 크기의 비커를 배치생물반응조로 이용하였으며, 종균제 미첨가 샘플과 5 내지 50㎖의 종균제가 첨가된 샘플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섭씨 15도의 일정한 온도에서 pH, TN, NH3, NH4 +, NO3 -의 양을 15일 동안 측정하였다. 여기서, 섭씨 15도의 온도는 일반적인 소변 탱크의 평균 온도이며, 니트로소모나스에 의한 질소화 공정이 섭씨 15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설정되었다. 또한, 실험은 총 3회 측정한 후 평균치를 이용하였다. 실험은 UV / Visible Spectrophotometer Model HS-3300을 사용하는 미국환경청의 기준방법(1983)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pH는 Aquaread Aquaprobe model AP??2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13 is a graph of ammonia concentration change with time in a circula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a 1-liter beaker filled with urine was used as a batch bioreactor, and a sample containing the non-killed bacteria and a sample containing 5 to 50 ml of the killed bacteria were used. Also, the amount of pH, TN, NH 3 , NH 4 + and NO 3 - was measured for 15 days at a constant temperature of 15 ° C. Here, the temperature of 15 degrees Celsius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ordinary urine tank, and is set because the nitrification process by Nitrosomonas does not change much at 15 degrees Celsius. In addi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total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 standard method (1983) using the UV / Visible Spectrophotometer Model HS-3300 and the pH was measured using the Aquaread Aquaprobe model AP ?? 2000.

도 13을 참조하면, 서로 상이한 샘플들에서 암모니아 농도의 변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pH와 TN 및 암모늄에 대해서는 동일한 추세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결과적으로 암모니아의 양은 줄어들었으며, 암모니아가 암모늄이나 나이트레이트 같은 물질로 변하거나 가스로 변하여 이탈하여 줄어드는 것이다. 또한, 암모니아의 양은 실험 8일째부터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즉, 종균제를 첨가하면 일찍 안정화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ammonia concentration tren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different samples, and the same tendency is observed with respect to pH, TN and ammonium. Here, as a result, the amount of ammonia is reduced, and ammonia is changed into a substance such as ammonium or nitrate, or it is turned into a gas, which is separated and then decreased. Also, the amount of ammonia was kept constant from the eighth day of the experiment.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addition of the bactericidal agent stabilizes early.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시간에 따른 나이트레이트 농도의 변화 그래프이다.FIG. 1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nitrate concentration with time in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를 참조하면, 1㎖/ℓ의 종균제 첨가는 적은 양의 나이트레이트를 생성하며, 샘플에서 많은 암모니아 이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샘플을 더욱 알칼리성으로 만든다. 하지만, 온도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4, the addition of 1 ml / l of the fungicide produces a small amount of nitrate and allows the sample to retain many ammonia ions. This makes the sample more alkaline.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emperature.

소변 고형첨가제 첨가 장치는 액비화 탱크(300)에 유입된 소변에 고형첨가제를 첨가한다. 여기서 고형첨가제는 암모니아를 흡수하는 공모양 담체를 예시한다.The urine solid additive addition device adds a solid additive to the urine introduced into the liquid tank 300. Here, the solid additive exemplifies a spherical carrier which absorbs ammonia.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다양한 고형첨가제의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 변화 그래프이다.FIG. 1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ammonia concentration over time of various solid additives in a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각기 다른 고형첨가제를 첨가한 소변에서의 암모니아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고형첨가제는 솔방울과 밤송이, 볏짚, GAC, 스펀지 및 공모양 담체가 사용되었다. 고형첨가제를 넣는 것은 주로 물리적 흡수를 통해 암모니아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pH와 TN 및 암모늄에서도 동일한 추세가 관찰되었다.Referring to Figure 15, Figure 15 shows the change in ammonia in the urine with different solid additives added. Here, pine cones, chestnut, rice straw, GAC, sponge and spherical carrier were used as solid additives. The inclusion of solid additives mainly reduces the amount of ammonia through physical absorption, and the pH, TN and ammonium have the same trend.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다양한 고형첨가제의 시간에 따른 나이트레이트 농도의 변화 그래프이다.16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nitrate concentration with time of various solid additives in the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고형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나이트레이트의 농도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모든 고형첨가제 중 공모양 담체가 다른 고형첨가제들과 비교하여 적은 나이트레이트를 생성하여 좋은 기능성을 보여준다. 볏짚 역시 암모니아를 흡수하는데 있어서 좋은 기능성을 보여주지만, pH 감소에 의해서 많은 양의 나이트레이트를 생성하였으므로 적절함 비료로 사용될 수 없다. 한편, 온도와 관련해서는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16, the concentration of nitrat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olid additive. Among all solid additives, the spherical carrier shows good functionality as it produces less nitrate than other solid additives. Rice straw also shows good functionality in absorbing ammonia, but it can not be used as fertilizer because it produces a large amount of nitrate by pH redu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emperature.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원순환형 화장실에서 각기 다른 농도의 니트로소모나스 종균에서 15일 후(a) 안정화된 pH(b)와 나이트레이트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 17 is a graph comparing (a) stabilized pH (b) and nitrate concentration after 15 days in nitrosomonas sp. At different concentrations in the resource circulation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1ℓ의 소변에 10㎖의 종균제를 첨가하는 것이 최소의 암모니아 손실과 냄새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최적의 농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NH3를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줄였으며, 적은양의 NO3 -를 생성함으로써 가능한 나이트레이트 오염을 감소시켰다.Referring to FIG. 17, it can be seen that adding 10 ml of the bactericide to 1 liter of urine results in minimal ammonia loss and odor, so that it is the optimum concentration. It also reduced the time required to stabilize NH 3 in the most effective manner and reduced possible nitrate contamination by generating small amounts of NO 3 - .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액비화 탱크(300)에 저장된 액비화된 소변으로 컨베이어(130)를 세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수단 세척 장치를 구비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the conveyor 130 with the liquefied urine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liquid tank 300.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ving means cleaning device.

이동수단 세척 장치는 액비화 탱크(300)에서 액비화된 소변을 공급받아 컨베이어(130)에 분사하여 컨베이어(130)와 변기 보울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세척한다. 이는, 이동수단에 대변과 같은 이물질이 붙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비화된 소변을 컨베이어(13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이격되어 설치된 노즐을 통해 이동수단에 분사하여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노즐의 후단에는 묽어진 이물질이 깨끗하게 떨어지게 하기 위해서, 회전하는 솔 또는 에어 분사 노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액비화된 소변 뿐만 아니라, 별도의 빗물 저장 시설을 구비하고, 저장된 빗물로 이동수단을 세척할 수도 있다. 물론, 저장된 빗물과 액비화된 소변을 혼합한 후 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이동수단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The moving means washing apparatus receives liquid urinated in the liquid tank 300 and injects the liquid into the conveyor 130 to wash the moving mean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nveyor 130 and the toilet bowl. This can be performed by injecting liquefied urine into the moving means through nozzles provid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13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eces from adhering to the moving means. Needless to say, a rotating brush or an air jet nozzle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nozzle so as to allow a thin foreign matter to fall off cleanly.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only liquidized urine, but also a separat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nd it is also possible to clean the moving means with stored rainwat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ix the stored rainwater and the liquefied urine and spray it through the nozz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moving means.

또한, 본 발명은 자원순환형 화장실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화장실 관리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실 관리 모듈은 관리자의 단말기에 화장실의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단말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관리 모듈은 화장실에서 센서로부터 화장실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자는 단말기로 화장실의 화장실 관리 모듈에 접속하여 화장실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이를 위해서, 액비화 탱크(300)에는 암모니아 감지 센서와 소변 수위 감지 센서가 각 격벽(310) 사이의 공간 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퇴비화 탱크(200)에는 퇴비화되는 대변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변기(100)가 설치된 공간에는 악취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컨베이어(1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130)를 구동하는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센서들로부터 모니터링되는 상태를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물론, 컨베이어(130)의 표면과 평행하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센서를 구비하여 컨베이어(130)의 표면에 이물질 부착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toilet management module for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circulating toilet. In this case, the toilet management module can display the current state of the toilet on the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and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It is also effective that the toilet management module monitors the current state of the toilet from the sensor in the toilet, and the manager contacts the toilet management module of the toilet with the terminal to monitor the current state of the toilet. For this purpose, an ammonia detection sensor and a urine level sensor may be installed in each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310 in the liquefaction tank 300. In the composting tank 200, a sensor for sensing the amount of composted compost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a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where the toilet bowl 100 is installed,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driving the conveyor 130 to determine whether the conveyor 130 is operating norm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status monitored by such sensors from an administrator. Of course, a laser sensor for irradiating a laser in parallel with the surface of the conveyor 130 may be provided to monitor the adhesion of foreign matter 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1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뇨를 분리하고, 분리된 분료 중 대변은 퇴비화하고 소변은 액비화하여 자원화할 수 있으며, 소변을 액비화한 후 이를 컨베이어(130)를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130)를 통해 분뇨 분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비화 탱크(300)에 격벽(310)을 설치하고, 소변이 격벽(310)을 월류하여 이동하게 함으로써 소변의 액비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manure, compost the feces of the separated feces, and recycle the urine by liquefying it, and uses water as a purpose of washing the conveyor 130 after liquifying the urine, I never do tha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erform manure separation through the conveyor 130.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liquefaction efficiency of the urine by providing the partition 310 in the liquid storage tank 300 and allowing the urine to move along the partition 310.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100: 변기 110: 분뇨 배출구
130: 컨베이어 132: 대변 컨베이어 면
134: 소변 컨베이어 면 200: 퇴비화 탱크
210: 교반기 211: 블레이드
300: 액비화 탱크 310: 격벽
311: 제 1 격벽 312: 제 2 격벽
313: 제 3 격벽
100: toilet bowl 110: manure outlet
130: Conveyor 132: Feces conveyor face
134: urine conveyor surface 200: compost tank
210: stirrer 211: blade
300: Liquefaction tank 310:
311: first partition 312: second partition
313: third partition

Claims (13)

보울이 형성된 변기와,
상기 변기의 하단에 구비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소변을 액비화하는 액비화 탱크, 및
상기 액비화 탱크에서 액비화된 소변을 상기 변기와 컨베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분사하는 이동수단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A toilet formed with a bowl,
A conveyo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toilet,
A liquid storage tank for liquefying the urine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and
And a moving means washing device for injecting the liquid pumped in the liquid tank into the moving mean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oilet bowl and the convey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분뇨 배출구의 하단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경사진 대변 컨베이어 면과, 타방향으로 경사진 소변 컨베이어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or includes a feces conveyor face that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manure discharge port and that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 urine conveyor face that is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소변이 통과하는 슬릿 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 또는 홈을 통과한 소변은 상기 액비화 탱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veyor is formed with a slit or groove through which urine passes,
And the urine passing through the slit or groove is transferred to the liquid storage tan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veyor has a projection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액비화 탱크는 일정량 이상의 소변이 유입되면 월류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iquefaction tank includes a partition wall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urine flows into the toile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비화 탱크는 소변 종균제를 첨가하는 소변 종균제 첨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quid storage tank further comprises a urine bactericidal addition device to which a urine organism is add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상기 액비화 탱크에 유입되는 소변량을 측정하는 소변량 측정 센서와,
상기 소변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소변 1ℓ마다 10㎖의 소변 종균제를 상기 액비화 탱크에 주입하는 소변 종균제 첨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6,
The apparatus for adding a urine organism-
A urine volum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urine volume flowing into the liquid tank,
And a urine fungicide addition module for injecting 10 ml of urine fungicide into the liquid tank at every 1 l of urine measured by the urine measurement senso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액비화 탱크는 암모니아를 흡수하는 고형첨가제를 첨가하는 소변 고형첨가제 첨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efaction tank further comprises a device for adding a urine solid additive to which a solid additive for absorbing ammonia is add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형첨가제는 공모양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olid additive comprises a spherical carri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대변을 퇴비화하는 퇴비화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퇴비화 탱크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유입된 대변에 대변 종균제를 첨가하는 대변 종균제 첨가 장치, 및
상기 교반기에서 대변 종균제와 교반된 대변을 저장하여 퇴비화하는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compost tank for composting the feces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The composting tank may include an agitator,
A device for adding a stool fungicide to a stool fed to the stirrer,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nd composting the faeces stirred with the stool fungicide in the stirr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변 종균제 첨가 장치는,
상기 액비화 탱크에 유입되는 대변의 무게를 측정하는 대변 무게 측정 센서와,
상기 대변 무게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대변 300g마다 20㎖의 대변 종균제를 상기 교반기에 주입하는 대변 종균제 첨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10,
The apparatus for adding a stool fungicide,
A faecal weight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aeces flowing into the liquid tank,
And a faecal bactericidal addition module for injecting 20 ml of the stool fungicide into the stirrer every 300 g of the faeces measured by the stool weighing senso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 톱밥을 첨가하는 톱밥 첨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awdust addition device for adding sawdust to the stirr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소변 종균제와 상기 대변 종균제는 니트로모나스 종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순환형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urine bacterial agent and the staphylococcus agent comprise a nitromonas bactericide.
KR1020160066751A 2015-05-29 2016-05-30 Resource-cycling toilet KR1018296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5728 WO2016195359A1 (en) 2015-05-29 2016-05-30 Resource circulation type rest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650 2015-05-29
KR20150076650 2015-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374A true KR20160141374A (en) 2016-12-08
KR101829623B1 KR101829623B1 (en) 2018-02-20

Family

ID=5757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51A KR101829623B1 (en) 2015-05-29 2016-05-30 Resource-cycling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62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076B1 (en) * 2018-08-14 2020-01-22 주동규 compost manufacturing system using feces
CN111119306A (en) * 2020-01-09 2020-05-08 云南自然空间门窗有限公司 Solid-liquid separation type excrement recovery closestool and excrement recovery method thereof
KR102477347B1 (en) * 2021-08-05 2022-12-13 주동규 Environment-friendly compost manufactu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820A (en) 2018-12-17 2020-06-25 유병수 Eco-friendly toilet bowls that use feces as compost by using rice bran fermented agent instead of water
KR102269868B1 (en) * 2020-07-06 2021-06-25 최영제 Portable toilet
KR20220091306A (en) 2020-12-23 2022-06-30 유병수 the environment-friendly toilet utilizing urine and feces as compos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306B1 (en) 2012-04-30 2013-07-26 한국과학기술원 Gas incineration toilet which can move and install conveniently, and feces dispose method us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813B1 (en) * 2005-07-22 2007-04-18 이길용 A Simple toilet of a portable type
KR200457542Y1 (en) * 2009-08-03 2011-12-23 (주)지앤브이 Stool and urine transfer unit for molbie toil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306B1 (en) 2012-04-30 2013-07-26 한국과학기술원 Gas incineration toilet which can move and install conveniently, and feces dispose method using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076B1 (en) * 2018-08-14 2020-01-22 주동규 compost manufacturing system using feces
CN111119306A (en) * 2020-01-09 2020-05-08 云南自然空间门窗有限公司 Solid-liquid separation type excrement recovery closestool and excrement recovery method thereof
KR102477347B1 (en) * 2021-08-05 2022-12-13 주동규 Environment-friendly compost manufactu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623B1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623B1 (en) Resource-cycling toilet
CN108187850B (en) Soil remediation administers device
US20120124731A1 (en) Composting Toilet
KR101118714B1 (en) Food treater which can recycle food waste
KR20140118112A (en) A toilet stool having for recycle processing equipment of excrements
CN205514330U (en) Environment -friendly public toilet
KR20190107487A (en) Pigsty for bad smell reducing
KR20090099753A (en) Excrement decomposition- system and an ganic matter compost system toilet
KR20160022616A (en) Food processor for sink
WO2006058537A1 (en) Liquid manure plant for pig stable
US6743361B1 (en) Method for bacterially treating tank toilet systems and apparatus for using same
WO2016195359A1 (en) Resource circulation type restroom
KR20170053182A (en) Resource-cycling toilet using screw
KR100875991B1 (en) Recycling device for organic waste
CN103417158A (en) Harmless and recyclable dry-type sanitary appliance and fecal treatment method
JP2004230007A (en) Bio-toilet
KR20130037860A (en) Toilet bowl food processing device
JP2001293460A (en) Organic waste decomposing and dissipating device provided with disposer having decomposing water treating tank, decomposing agent and decomposing medium
CN103735212B (en) A kind of flush-free toilet and excrement situ treatment process
JP2007037898A (en) Treatment tank and toilet
KR101639694B1 (en) a fecal treatment equipment
KR20210028944A (en) Food Waste Disposer Having Self-purification Function
CN1332101C (en) Multifunctional lavatory
CN205773625U (en) A kind of sewage disposal pulse water distribution device
JP6808187B1 (en) Sterilization cleaning deodorant biological growth material system for livestock ba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