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753A - Excre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 Google Patents
Excre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9753A KR20090099753A KR1020080024923A KR20080024923A KR20090099753A KR 20090099753 A KR20090099753 A KR 20090099753A KR 1020080024923 A KR1020080024923 A KR 1020080024923A KR 20080024923 A KR20080024923 A KR 20080024923A KR 20090099753 A KR20090099753 A KR 200900997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human body
- unit
- purified water
- stir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3—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having means for adding powder, e.g. eart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03D5/01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with devices for separate removal of liquids and sol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6—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with recirculation of bowl-cleaning fluid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배설물을 교반부를 통하여 배설물(대변)을 분해시키고 잔량은 유기질 퇴비로 사용하며, 소변은 정화부를 거쳐 정화수로 정화시켜 이를 화장실 내부에서 순환시켜 사용하므로 대변기 및 소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물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배설물이 교반부에 의하여 분해되므로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발생되는 비용의 절감과 배설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환경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composes the feces (feces) of the human body through the stirring part and the remaining amount is used as organic compost, and the urine is purified by purified water through the purification unit and used in the toilet to circulate the feces generated when using the toilet and urinal There is no need to use water for treatment, and since the excretion is decomposed by agit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acilitation of manure and organic composting toilets, which can reduce the cost incurred to process the manure and reduce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manure. .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구성은, 화장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대변기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배설물을 타이머의 신호를 전달받아 교반축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배설물을 분해 및 교반하는 교반부와 대변기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소변 및 소변기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소변을 정화하는 정화부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정화부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상기 이송부에 공급하여 상기 이송부를 세척하도록 형성되는 수중모터와, 정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정화수의 일부를 증발시키는 건조공기공급기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 타이머 및 수위감지센서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 수중모터, 교반축구동모터 건조공기공급 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sition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toilet and the human bod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an body and the signal of the human body sensor is received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in the human body when using the toilet. Excretion from the human body when using urine and urinals excreted in the human body when using a stool and a toilet to control the agitated shaft drive motor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imer to transfer the excreta to be excreted and the excreta transferred from the conveying timer signal The submersible motor for purifying the urine to receive the signal of the human body sensor and the purified water purified in the purifying unit is supplied to the transfer unit to clean the transfer unit, and the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purified water Dry air that receives a signal and evaporates part of the purified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the underwater motor, the stirring shaft drive motor dry air supply by receiving the respective signals generated from the air supply and the human body sensor, the timer and the water level sensor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배설물 특히 대변은 교반기에서 교반 및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시키고 잔량은 유기질 퇴비로 전환 시킴과 동시에 소변은 정화부를 통하여 정화수로 정화하여 이를 화장실 내부에서 순환시켜 사용하므로 종래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과도한 양의 물을 사용하지 않으며,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하며, 배설물의 발생으로 인하여 발생 되는 각종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limination of feces and organic composting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feces, especially feces generated in the human body is decomposed by stirring and microorganisms in the stirrer and the remaining amount is converted to organic compost and at the same time urine is purified water through the purification unit Since it is purified by using it and circulated inside the toilet, it does not use excessive amount of water used to process the conventional feces, reduces the cost incurred to process the feces, and various environments generated by the fe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ation of fecal waste and organic composting that can solve the problem.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발생 되는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이를 처리하게 된다.In general, the toilet uses a large amount of water to treat feces generated after the user views the toilet.
통상적으로 화장실은 소변시 사용하는 소변기와 대변시 사용하는 대변기로 구성되며, 소변기와 대변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다량의 물을 사용하게 되며, 특히 대변은 화장실 하부 바닥에 매설된 정화조 내부에 보관하다 일정기간이 지나면 정화조에 보관된 대변 및 오물을 수거하여 이를 정화처리 시설로 이동시켜 정화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In general, the toilet consists of a urine used for urine and a stool used for stool, and a large amount of water is used to treat the excretion generated when using the urinal and stool, and in particular, the stool is buried in the bottom of the toile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feces and dirt stored in the septic tank are collected and transferred to a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for purification.
상기와 같은 화장실은 소변기 및 대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사용되는 물의 양을 줄이고자 대변기에 형성된 수조 탱크에 벽돌 등을 넣어 배설물 처리시 사용되는 물의 양을 줄이고자 하나 이는 물 사용량을 일시적으로 절약하는 임시 방편에 불과하여 물의 사용에 따른 수자원 고갈 및 생태계 파괴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The toilet as described above is a situation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used to treat the feces generated when using urinals and toilets,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used to put the bricks, etc. in the tank tank formed in the toilet to remove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treatment However, this is only a temporary measure to temporarily save water consumption, 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s of water resource depletion and ecosystem destruction caused by water use.
또한, 정화조에 보관된 대변 및 오물을 일정기간에 맞춰 정화처리 시설로 이동시켜 이를 정화처리하게 되는데 대변과 오물을 처리시 처리비용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feces and dirt stored in the septic tank is moved to a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in accordance with a certain period of time to clean 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cost occurs when treating feces and dirt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정화처리시설은 대변과 오물을 정화하며 발생 되는 각종 악취로 인하여 주변 대기환경 오염 및 정화처리 시설 주변 거주자의 건강상 문제를 발생시켜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by causing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air environment and health problems of residents around the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due to various odors generated by purifying feces and dirt.
또한, 공원 등에 설치된 간이 화장실인 경우 관리가 부실하여 사용자가 사용시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imple toilet installed in a park, such as poor management, the user is exposed to many problems in hygiene when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특히, 배설물을 해양에 무단 투기, 토양에 무단 매립은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the dumping of excrement in the ocean, the landfill in the soil is a problem that cause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to solve this fundamental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변기 사용시 발생되는 배설물(대변)을 교반기에서 교반하며 미생물에 의하여 배설물을 분해시키고 잔량을 유기화 퇴비로 사용하므로 배설물 처리시 발생하는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배설물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며 배설물의 발생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소변기 사용시 발생되는 소변을 정화부에서 정화하여 이를 화장실 내부에 순환시켜 사용하므로 대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배설물과 소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소변을 처리하기 위하여 물의 사용이 필요치 않아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eces (feces) generated when using the toilet is stirred in the stirrer and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s and the remaining amount is used as the organic compost can reduce the treatment costs incurred during the treatment of feces It removes odors generated during feces processing and reduces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generation of feces. At the same time, urine generated when using urinals is purified from the purification section and used in the toilet to circulate inside toile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toilet for eliminating feces and organic composting, which can save water resource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the use of water to treat urine generated when using a urinal.
본 발명의 구성은, 화장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대변기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배설물을 타이머의 신호를 전달받아 교반축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배설물을 분해 및 교반하는 교반부와 대변기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소변 및 소변기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소변을 정화하는 정화부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정화부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상기 이송부에 공급하여 상기 이송부를 세척하도록 형성되는 수중모터와, 정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정화수의 일부를 증발시키는 건조공기공급기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 타이머 및 수위감지센서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 수중모터, 교반축구동모터 건조공기공급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toilet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human body and the signal of the human body sensor and the transfer of the excretion to be excreted from the human body when using the toilet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drive The purifying part and the purifying part for controlling the agitator shaft driving motor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imer delivered from the conveying part and the purifying part for purifying the urine excreted in the human body when using the urine and urinal excreted in the human body when using the toilet and the toilet Receives a signal from the human body sensor and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purifying unit to the transfer unit to the submerged motor and the water level sensor to detect the level of the purified water to clean the transfer unit, and receives a signal of the purified water to evaporate a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Dry air supply and the human body sensor, timer and water level sensor Receiving a respective signal generated 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the water motor, a stirring motor axis driving dry air supply.
또한, 상기 대변기에는, 상기 이송부에서 배설물을 이송시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더 구비되며 배출구 내부에는 공기정화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ilet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odor generated when the excreta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to the outside, and an air purifying filter is provided inside the outlet.
또한, 상기 이송부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어 배설물을 이동시켜 상기 교반부로 투하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작동시 컨베이어 외측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하부에 형성되는 제1,2스크레퍼;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벨트풀리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컨베이어 작동시 컨베이어의 외측면에 맞닿다 컨베이어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외측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2스크레퍼 사이에 형성되는 브러쉬; 및 상기 컨베이어 하단부에는 상기 수중모터에서 공급되는 정화수를 분사하여 컨베이어 외측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세척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제1,2세척액분사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the conveyor is operated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to drop the droppings to the stirring unit by moving the excretion; First and second scraper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vey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or during operation of the conveyor; The first and second scrapers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veyor by a belt pulley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or when the conveyor is driven by the driving motor. The first and second scrapers ar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nvey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or. A brush formed between; And first and second washing liquid spraying hole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veyor, in which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are formed to spray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submersible motor to wash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교반부는,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배설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배설물을 교반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교반축과, 타이머에 의하여 교반축을 구동시키는 교반축구동모터와, 상기 배설물을 교반시 교반되는 배설물의 건조가 용이하도록 열원을 공급하는 열선이 외부에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정화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irring unit, an inlet through which the excrement is introduced by the conveyor, a stirring shaft formed therein to agitate the excrement introduced into the inlet, a stirring shaft drive motor for driving the stirring shaft by a timer, and stirring the excrement A hot wire for supplying a heat source is formed outside to facilitate the drying of the excrement that is stirred at the time, the upp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t air supply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purification unit.
또한, 상기 교반축은, 상기 교반부로 투입되는 배설물을 파쇄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분쇄칼날이 형성되는 파쇄날개가 교반축 양단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의 하부에는 파쇄된 배설물을 미생물에 의해 소멸이 원할하도록 배설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가 상기 교반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irring shaft, a plurality of shredding blad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irring shaft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protruding upward to crush the excrement introduced into the stirring unit, the crushed excremen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tirring shaft to the microorganism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rring blade for stirring the excrement is formed on the stirring shaft so that extinction is desired.
또한, 상기 교반부에는, 상기 교반축의 교반으로 배설물을 교반시 배설물의 분해가 용이하도록 상기 교반기 내부에 미생물이 서식하는 담채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irr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organisms inhabit the inside of the stirrer to facilitate the decomposition of the excrement when stirring the excrement by the stirring of the stirring shaft.
또한, 상기 정화부는, 소변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소변을 회수하는 회수관; 상기 대변기 사용시 인체에서 발생되는 대변을 교반부로 투입시키는 투입로와, 소변 및 상기 이송부를 세척시 발생하는 오물은 회수되어 정화부로 이동시키는 회수통으로 각각 구획되어 이루어진 회수부; 상기 회수관에서 회수된 소변이 유입되도록 회수관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과, 상기 회수통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이송관을 통해 소변 및 오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이송관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각각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제1,2삽입홀에 각각 삽입된 회수관 및 이송관에서 이송된 소변과 오물이 1차 정화되는 제1차필터부를 구획하는 제1벽체와, 상기 제1차필터부를 거친 소변 및 오물이 2차 정화되는 제2차필터부를 구획하는 제2벽체와, 상기 제2차필터부를 거친 소변 및 오물이 최종적으로 정화되는 제3차필터부로 구획하는 제3벽체로 형성되는 이루어지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하여 정화된 정화수를 집수하며 정화수를 상기 이송부에 공급하는 수중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에서 집수된 정화수의 일부가 집수조서 오버플로워 되도록 제3벽체부 하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버플로워홀이 형성되어, 상기 집수조에서 오버플로워된 정화수를 증발시키도록 건조공기공급기가 형 성되는 증발조로 구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the recovery tube for collecting urine excreted in the human body when using urine; A recovery unit which is divided into an input path for injecting the feces generated in the human body into the stirring unit when using the toilet, and a collection container for collecting the urine and the dirt generated when the transfer unit is washed and moving to the purification unit;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ecovery tube is inserted to allow the urine recovered from the recovery tube to be introduced, and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transfer tube is inserted so that urine and dirt are introduced through the transfer tube formed successively under the recovery tube; A cover each formed; A first wall partitioning the first filter part for purifying the urine and the dirt transported from the recovery pipe and the transfer pip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of the cover, the urine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part, and A filter wall formed of a second wall partitioning the secondary filter portion for secondary cleaning of the filth, and a third wall partitioning the urine and the third filter section for final cleaning of the filth from the second filter portion; And a submersible motor for collecting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unit and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conveying unit, wherein a collecting tank formed by partitioning the filter unit and a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overflow the collection tank. A plurality of overflow hol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hree-wall part, and are divided into an evaporation tank in which a dry air supply is formed to evaporate the purified water overflowed from the s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sex.
또한, 상기 필터부는, 제1,2삽입홀로 유입되는 소변 및 오물에 포함되어 있는 색소 및 냄새를 정화하도록 제1차필터부 내부에 활성탄이 충진되며, 제1차필터부에서 색소 및 냄새가 정화된 정화수가 제2차필터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벽체에 소정높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유입공; 상기 제1유입공에서 유입된 정화수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및 냄새를 정화하도록 제2차필터부 내부에 제올라이트가 충진되며, 제2차필터부에서 암모니아 및 냄새가 정화된 정화수가 제3차필터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유입공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제2벽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유입공; 및 상기 제2유입공에서 유입된 정화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소 및 냄새를 정화하도록 제3필터부 내부에 활성탄,모래 중 어느 하나가 충진되며, 제2차필터부에서 색소 및 냄새가 정화된 정화수가 집수조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유입공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제2벽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the activated carbon is filled in the primary filter unit to purify the pigment and odor contained in the urine and dirt flow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the pigment and odor is purified in the primary filter unit A plurality of first inflow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irst wall so that the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second filter part; The zeolite is filled inside the second filter part to purify the ammonia and the odor contained in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hole, and the purified water in which the ammonia and the odor is purified by the second filter part is the third filter part. A plurality of second inflow holes formed in the second wall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inflow hole so as to flow into the inside; And one of activated carbon and sand is filled in the third filter unit to purify the pigment and the odor contained in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hole, and the purified water in which the pigment and the odor are purified in the second filter unit. A plurality of third inflow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wall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inflow hole to be introduced into the sump.
또한, 상기 증발조는, 상기 집수조의 오버플로워홀을 통해 유입된 정화수를 흡수하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흡착포가 내부에 겹겹이 삽입되고, 상기 증발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기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열풍공급관이 상기 증발조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조의 내부에는 정화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증발조 내부로 토출 시키는 다수개의 건조공기공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vaporation tank, a plurality of adsorption cloths are inserted therein so as to absorb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overflow hole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and hot air generated from a hot air supply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evaporation tank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ion tank. Hot air supply pip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or tank to be introduced, the inside of the evaporator tank receives a signa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purified water to suck the outside air to discharge the inside of the evaporator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y air supply.
또한, 상기 건조공기공급기는,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에서 흡입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이송파이프; 및 상기 이송파이프 일면에는 상기 흡입펌프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증발조 내부로 토출시키는 다수개의 토출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y air supply, the suction pump for suck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signa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A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ump;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on one surface of the transfer pipe for discharging external air sucked by the suction pump into the evaporation tank.
또한, 상기 증발조는, 상기 증발조 내부에 유입되는 정화수의 유입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조 외측면에 형성되는 투시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vaporation tank may further include a see-through window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tank so as to grasp the inflow amount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evaporation tank.
또한, 상기 화장실 벽체와 바닥면에는, 면상발열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ilet wall and the bottom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planar heating element.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설물(대변)을 교반기에서 교반 및 미생물로 인하여 배설물이 분해되므로,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발생 되는 처리비용 및 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배설물의 발생으로 유발되는 각종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ces (feces) in the stirrer by agitation and microorganisms are decomposed due to the decompos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ve the processing cost and water resources generated in order to process the feces, various kinds caused by the generation of feces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소변을 정화하여 이를 화장실에서 순환하여 사용하므로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다량의 물을 소비하지 않으므로 수자원 절약의 효과가 있으며, 수자원 부족으로 인한 환경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rine is purified and used in circulation in the toilet, it does not consume a large amount of water to treat the feces, so it is effective in saving water resources and in preventing the environmental damage due to lack of water resources.
또한, 선박, 항공기, 기차의 설치하여 사용함으로 배설물을 무단 투기를 미 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installation of the ship, aircraft, trai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unauthorized dumping in advance.
또한, 다중이용시설인 공원, 고속도로 휴계실등에 설치하므로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installed in a multi-use park, highway rest area, etc., the user can use the toilet hygienically and the management is eas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이송부를 나타낸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교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교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교반부의 교반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교반부에 투입되는 담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회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정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정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건조공기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대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part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aeces exti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portion of the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gitated portion of feces extinguishing and organic compos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agitated portion of the fecal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shaf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n to be put into the stirring portion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recovery part of the f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eces disappearance a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ying unit of the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ecal extinction and the purifying part of the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ecal extinction and dry air supply of the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of the fecal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ecal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resent invention Flow chart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oilet faeces and organic waste compost according to.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구성은, 화장실(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0)가 구비되고, 크게 대변기(610)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배설물(대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300)와, 이송된 배설물을 교반 및 분해하는 교반부(500)와, 대변기(610) 및 소변기(620)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소변을 정화시키는 정화부(600)로 구성되게 된다.1 and 12, the composition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상기 각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이송부 ><Transfer section>
도 2,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대변기(610)의 좌판부(615b)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310)에 의해 대변기(6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대변기(610)에 착석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0)를 통해 전달받아 구동모터(320)를 구동시켜 대변기(610) 사용시 인체에서 배출하는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부(300)는, 구동모터(320)가 구동되어 배설물을 이동시켜 상기 교반부(500)로 투하시키는 컨베이어(330)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330)의 작동시 컨베이어(330) 외측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330) 하부에 형성되는 제1,2스크레퍼(340,350)가 구비된다.2, 11, and 12, a user using the
또한, 상기 컨베이어(330)의 일측에 벨트풀리(360)로 연결되어 구동모터(320)의 구동으로 컨베이어(330) 작동시 컨베이어(330)의 외측면에 맞닿다 컨베이어(330)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며, 상기 컨베이어(330)의 외측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2스크레퍼(340,350) 사이에 형성되는 브러쉬(370)가 형성되는데, 상기 브러쉬(370)는 상기 제1,2스크레퍼(340,350)에서 제거하지 못한 이물질을 추가로 제거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켄베이어(330)는 상기 1,2스크레퍼(340,350) 및 브러쉬(370)로 이물질을 제거시 손상이 최소화 되도록 우레탄으로 구성되게 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컨베이어(330) 하단부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310)의 신호를 제어부(400)에서 전달받아 수중모터(650a)에서 공급되는 정화수를 분사하여 컨베이어(330) 외측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세척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385,395)이 형성되는 제1,2세척액분사구(380,39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세척액분사구(380,390)에서 분사된 정화수를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330)의 외측면의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제거하게 되며, 특히, 대변기(610)에는, 상기 이송부(300)에서 배설물을 이송시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615a)가 더 구비되며 배출구(615a) 내부에는 공기정화필터(615a-1)이 구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설물의 잔여냄세를 제거하여 이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 교반부 ><Stirring part>
도 3, 도 4, 도 5, 도6, 도 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300)의 컨베이어(330)를 통해 이송된 배설물을 타이머(530)의 신호를 제어부(400)를 통해 전 달받아 교반축구동모터(540)를 제어하여 배설물을 분해 및 교반하는 교반부(500)가 형성되는데, 상기 교반부(500)는, 상기 컨베이어에(330) 의해 배설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510)가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호퍼(510)에 투입된 배설물을 교반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교반축(520)이 구비된다.3, 4, 5, 6, 11, and 12, the excrement transferred through the
또한, 타이머(530)에 의하여 교반축(520)을 구동시키는 교반축구동모터(540)와, 상기 배설물을 교반시 교반되는 배설물의 건조가 용이하도록 열원을 공급하는 열선(550)이 외부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정화부(60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기(56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irring shaft drive motor 540 for driving the
또한, 상기 교반부(500)에는, 상기 교반축(520)의 교반으로 배설물을 교반시 배설물의 분해가 용이하도록 상기 교반기 내부에 미생물이 서식하는 담채(700)를 투입하여 배설물과 미생물이 교반부(500) 내부에서 함께 교반되어 배설물의 분해가 용이하게 되며, 담채(700)에 미생물이 생존하므로 미생물의 생존력을 높일 수 있게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교반축(520)은 상기 타이머(53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부(400)를 통해 교반축구동모터(540)에 전달하여 상기 교반축(520)이 15분당 1회 구동하여 배설물을 교반시키게 되며, 상기 교반축(520)은, 상기 교반부(500)로 투입되는 배설물을 파쇄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분쇄칼날(520a-1)이 형성되는 파쇄날개(520a)가 교반축(520) 양단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520)의 하부에는 파쇄된 배설물을 미생물에 의해 소멸이 원할하도록 배설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520b)가 상기 교반축(520)에 형성되어 1차적으로 용량이 큰 배 설물을 파쇄 및 분해한 후 교반날개(520b)를 통해 배설물은 교반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stirring
또한, 상기 열선(550)은 35℃~50℃를 유지하여 교반부(500) 내부에서 배설물의 교반시 배설물의 건조가 용이하도록 하며,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하여 배설물의 분해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적정환경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교반부(500) 내부에 투입된 미생물은 배설물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에 의하여 미생물의 생존시기가 제한되므로 1일/120인 기준으로 1년 단위로 새로운 미생물을 투입하게 되며, 미생물의 배설물 분해 속도는 1인 기준 120g ~ 150g을 배설하였을 경우 미생물에 의하여 5시간안에 95%가 분해되며, 분해되지 않는 잔량 5%는 유기질 퇴비로 사용되며, 배설물에 함유된 섬유질에 의하여 분해속도 및 잔량이 차이 나게 된다.In addition, the
< 정화부 ><Purification part>
도 7, 도 8, 도 9,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대변기(610)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소변 및 소변기(620)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하는 소변을 정화하는 정화부(60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정화부(600)는, 소변기(620) 사용시 인체에서 배설되는 소변을 회수하는 회수관(625)이 상기 소변기(620)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대변기(610) 사용시 인체에서 발생되는 대변을 교반부(500)로 투입시키는 투입로(605a)와, 소변 및 상기 이송부(300)를 세척시 발생하는 오물은 회수되어 정화부(600)로 이동시키는 회수통(605b)로 각각 구획되어 이루어진 회수부(605)가 상기 컨베이어(330) 하부에 형성된다.7, 8, 9, 10 and 12, the urine excreted in the human body when using the
또한, 상기 회수관(625)에서 회수된 소변이 유입되도록 회수관(625)이 삽입 되는 제1삽입홀(630a)과, 상기 회수부(605)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이송관(605b-1)을 통해 소변 및 오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이송관(605b-1)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630b)이 각각 형성되는 덮개(630)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630)의 제1,2삽입홀(630a,630b)에 각각 삽입된 회수관(625) 및 이송관(605b-1)에서 이송된 소변과 오물이 1차 정화되는 제1차필터부(640a)를 구획하는 제1벽체(640a-1)와, 상기 제1차필터부(640a)를 거친 소변 및 오물이 2차 정화되는 제2차필터부(640b)를 구획하는 제2벽체(640b-1)와, 상기 제2차필터부(640b)를 거친 소변 및 오물이 최종적으로 정화되는 제3차필터부(640c)로 구획하는 제3벽체(640c-1)로 형성되는 이루어지는 필터부(640)가 구성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필터부(640)를 통하여 정화된 정화수를 집수하며 정화수를 상기 이송부(300)의 상기 제1,2세척액분사구(380,390)에 공급하는 수중모터(650a)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수중모터(650a)는 상기 인체감지센서(310)의 신호를 제어부(400)를 통하여 전달받아 정화부(600)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상기 제1,2세척액분사구(380,390)에 공급하여 상기 제1,2세척액분사구(380,390)의 분사노즐(385,395)를 통해 세척액이 분사되어 상기 이송부(300)의 컨베이어(330)를 세척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필터부(640)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집수조(650)와 상기 집수조(650)에서 집수된 정화수의 일부가 집수조(650)에서 오버플로워 되도록 제3벽체(640c-1) 하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오버플로워홀(650b)이 형성되어, 상기 집수조(650)에서 오버플로워된 정화수를 증발시키도록 건조공기공급기(670a)가 형성 되는 증발조(660)로 구획되어 상기 정화부(600)를 구성하게 된다. In addition, a
특히, 상기 필터부(640)는, 제1,2삽입홀(630a,630b)로 유입되는 소변 및 오물에 포함되어 있는 색소 및 냄새를 정화하도록 제1차필터부(640a) 내부에 활성탄이 충진되며, 제1차필터부(640a)에서 색소 및 냄새가 정화된 정화수가 제2차필터부(640b)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벽체(640a-1)에 소정높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유입공(640a-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입공(640a-2)에서 유입된 정화수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및 냄새를 정화하도록 제2차필터부(640b) 내부에 제올라이트가 충진되며, 제2차필터부(640b)에서 암모니아 및 냄새가 정화된 정화수가 제3차필터부(640c)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유입공(640a-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제2벽체(640b-1)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유입공(640b-2) 된다. 또한, 마지막으로 상기 제2유입공(640b-2)에서 유입된 정화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소 및 냄새를 정화하도록 제3필터부(640c) 내부에 활성탄,모래 중 어느 하나가 충진되며, 제3차필터부(640c)에서 색소 및 냄새가 정화된 정화수가 집수조(65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유입공(640b-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제3벽체(640c-1)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유입공(640c-2)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제1,2,3필터부(640a,640b,640c) 각각에 충진된 충진물은 6개월 ~ 1년에 1회씩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증발조(660)는, 상기 집수조(650)의 오버플로워홀(650b)을 통해 유입된 정화수를 흡수하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흡착포(660a)가 내부에 겹겹이 삽입되고, 상기 증발조(66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기(560)에서 발생되는 열 풍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열풍공급관(660b)이 상기 증발조(660)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조(660)의 내부에는 정화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감지센서(660c)에서 검출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를 통하여 전달받아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증발조(600) 내부로 토출 시켜 정화수를 흡수한 흡착포(660a)를 건조시키는 다수개의 건조공기공급기(670a)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조(660) 외측면에는 상기 증발조(660) 내부에 유입되는 정화수의 유입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시창(660d)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건조공기공급기(670a)는, 상기 수위감지센서(660c)에서 검출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를 통하여 전달받아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670a-1)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펌프(670a-1)에서 흡입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이송파이프(670a-2)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파이프(670a-2) 일면에는 상기 흡입펌프(670a-1)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증발조(660) 내부로 토출시켜 정화수를 흡수한 흡착포(660a)에 외부공기를 분사시키는 다수개의 토출노즐(670a-3)이 형성되게 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화장실(100) 벽체와 바닥면에는, 겨울에 동파를 방지하며 사용자가 이용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면상발열체를 구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oilet and the wall and floo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anar heating element to prevent freezing in winter and to make the user feel comfortable when using.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toilet faeces and organic waste compo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아,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는,As shown in Figure 13, the use of fecal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①. 화장실(100)에 사용자가 입실하여 대변기(610) 및 소변기(620)를 선택하여 사용한다.(S100)①. The user enters the
< 대변기 사용시 ><When using a toilet>
②. 대변기(610)에 착석시 인체감지센서(310)에서 인체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를 통해 전달받아 구동모터(320)의 구동에 의하여 컨베이어(330)에 의해 배설물이 이송되며, 동시에 인체감지센서(310)에서 전달된 신호를 제어부(400)를 통해 전달받아 집수조(650) 구비된 수중모터(650a)가 구동되어 컨베이어(330)를 세척하게 된다.(S200)②. When sitting on the
③. 인체에서 배설되는 배설물을 분리하여 소변은 회수통(605b)으로 회수되며, 대변은 교반부(500) 투입되며, 타이머(530)의 신호를 제어부(400)를 통해 전달받아 교반축(520)의 교반횟수를 제어한다.(S300) ③. The urine is separated by excretion from the human body is recovered to the
④. 교반부(500)에서 배설물을 교반 및 미생물에 의해 배설물을 분해시킨다.(S400)④. In the stirring
⑤. 사용자가 대변기(610) 이용을 완료 후 인체감지센서(310)에서 인체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의 통해 전달받아 구동모터(320) 구동을 종료 및 수중모터(650a)의 구동을 종료시킨다.(S500)⑤.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use of the
⑥. 회수통(605b)에서 회수된 소변은 필터부(640)로 이송되어 소변을 정화시킨다.(S600)⑥. The urine recovered from the
⑦. 필터부(640)를 거친 정화수는 집수조(650)에 집수된다.(S700)⑦.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⑧. 집수조(650)에서 오버플러워 된 정화수를 수위감지센서(660c)에서 감지 된 신호를 제어장치(400)를 통해 전달받아 건조공기공급기(670a)가 가동되며, 열풍공급기(560)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증발조(660)에 유입된 정화수를 증발시킨다. (S800)⑧. The
< 소변기 사용시 ><When using urinal>
②. 소변기(620) 하부에 형성된 회수관(625)에서 회수된 소변을 필터부(640)로 이송되어 소변을 정화시킨다.(S600)②. The urine recovered from the
③. 필터부(640)를 거친 정화수는 집수조(650)에 집수되어 수중모터(650a)의 구동에 의하여 컨베이어(330) 공급된다.(S700)③.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④. 집수조(650)에서 오버플러워 된 정화수를 수위감지센서(660c)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장치(400)를 통해 전달받아 건조공기공급기(670a)가 가동되며, 열풍공급기(560)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증발조(660)에 유입된 정화수를 증발시킨다. (S800)④.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을 나타낸 단면도,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이송부를 나타낸 나타낸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ecal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ort portion of the fecal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교반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portion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교반부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irring portion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교반부의 교반축을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shaft of the stirring portion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교반부에 투입되는 담채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n that is added to the stirring section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회수부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overy part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정화부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ying part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정화부를 나타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urifying part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건조공기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 air supply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대변기를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of the feces disappearance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개념도,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faeces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흐름도.Figure 1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use of fecal extinc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화장실 100: toilet
200 : 전원부200: power supply
300 : 이송부300: transfer unit
310 : 인체감지센서 31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320 : 구동모터 320: drive motor
330 : 컨베이어 330: Conveyor
340, 350 : 제1,2스크레퍼 340, 350: 1st, 2nd scraper
360 : 벨트풀리 360: Belt Pulley
370 : 브러쉬 370: brush
380, 390 : 제1,2세척액분사구 380, 390: 1st, 2nd washing jet
385, 395 : 분사노즐385, 395: spray nozzle
400 : 제어부400: control unit
500 : 교반부500: stirring section
510 : 투입구510: inlet
520 : 교반축520: stirring shaft
520a : 파쇄날개520a: Shredded Wings
520a-1 : 분쇄칼날520a-1: grinding blade
520b : 교반날개520b: stirring blade
530 : 타이머530: Timer
540 : 교반축구동모터540: stirring shaft drive motor
550 : 열선550: heating wire
560 : 열풍공급기560 hot air supply
600 : 정화부600: purification unit
605 : 회수부605: recovery unit
605a : 투입로605a: input furnace
605b : 회수통605b: Recovery container
605b-1 : 이송관605b-1: transfer pipe
610 : 대변기 610: toilet bowl
615a : 배출구615a: outlet
615b 좌판부615b seat plate
620 : 소변기620: Urinal
625 : 회수관625: recovery pipe
630 : 덮개630: cover
630a, 630b : 제1,2삽입홀630a, 630b: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640 : 필터부640: filter unit
640a, 640b, 640c : 제1,2,3차필터부640a, 640b, 640c: first, second and third order filter parts
640a-1, 640b-1, 640c-1 :제1,2,3벽체640a-1, 640b-1, 640c-1: 1st, 2nd, 3rd wall
640a-2, 640a-2, 640a-3 : 제1,2,3유입공640a-2, 640a-2, 640a-3: 1st, 2nd, 3rd inlet
650 : 집수조650: sump tank
650a : 수중모터650a: underwater motor
650b : 오버플로워홀650b: overflow hole
660 : 증발조660: evaporator
660a : 흡착포660a: adsorption cloth
660b : 열풍공급관660b: hot air supply pipe
660c : 수위감지센서660c: water level sensor
660d : 투시창660d: sight glass
670a : 건조공기공급기670a: Dry air supply
670a-1 : 흡입펌프670a-1: suction pump
670a-2 : 이송파이프670a-2: feed pipe
670a-3 : 토출노즐670a-3: Discharge nozzle
700 : 담채700: tin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4923A KR100953708B1 (en) | 2008-03-18 | 2008-03-18 | Excre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4923A KR100953708B1 (en) | 2008-03-18 | 2008-03-18 | Excre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9753A true KR20090099753A (en) | 2009-09-23 |
KR100953708B1 KR100953708B1 (en) | 2010-04-21 |
Family
ID=4135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49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3708B1 (en) | 2008-03-18 | 2008-03-18 | Excre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370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860B1 (en) * | 2014-04-10 | 2015-02-03 | (주)지에스시엔티 | Dung processing chamber for movable toilet |
WO2016195359A1 (en) * | 2015-05-29 | 2016-12-0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Resource circulation type restroom |
KR101864067B1 (en) | 2017-01-24 | 2018-06-01 | 박정치 | Excrements Drying Type Toilet |
CN113100654A (en) * | 2021-03-08 | 2021-07-13 | 田兰 | Excrement-urine separator, such as toilet device, and excrement-urine separation method |
WO2024095951A1 (en) * | 2022-10-31 | 2024-05-10 | 国立研究開発法人量子科学技術研究開発機構 | Radionuclide-containing substance administration facility un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6309B1 (en) | 2010-03-17 | 2010-06-28 | 곽명훈 | Mobile simple toilet with night soil treatment apparatus |
KR101619376B1 (en) * | 2013-10-23 | 2016-05-10 | 박만선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excrement while recycling wastewat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048B1 (en) * | 2002-12-23 | 2005-05-06 | 김기원 | A optimum method of controlling extinction apparatus for feces and urine in the toilet |
KR200380343Y1 (en) | 2004-12-29 | 2005-03-29 | 이길용 | A Simple toilet of a portable type |
KR200402227Y1 (en) | 2005-09-16 | 2005-11-29 | 강광호 | toilet |
-
2008
- 2008-03-18 KR KR1020080024923A patent/KR1009537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860B1 (en) * | 2014-04-10 | 2015-02-03 | (주)지에스시엔티 | Dung processing chamber for movable toilet |
WO2016195359A1 (en) * | 2015-05-29 | 2016-12-0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Resource circulation type restroom |
KR101864067B1 (en) | 2017-01-24 | 2018-06-01 | 박정치 | Excrements Drying Type Toilet |
CN113100654A (en) * | 2021-03-08 | 2021-07-13 | 田兰 | Excrement-urine separator, such as toilet device, and excrement-urine separation method |
CN113100654B (en) * | 2021-03-08 | 2023-03-24 | 田兰 | Excrement-urine separator, such as toilet device, and excrement-urine separation method |
WO2024095951A1 (en) * | 2022-10-31 | 2024-05-10 | 国立研究開発法人量子科学技術研究開発機構 | Radionuclide-containing substance administration facility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3708B1 (en) | 2010-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3708B1 (en) | Excretion and organic composting simple toilet | |
KR100595742B1 (en) | Fecal Organic Composting Equipment of Toilet | |
KR101694173B1 (en) | The fermentation tank include a toilet bowl | |
KR101375912B1 (en) | Food waste receiving canister having a discharge apparatus of sludge | |
CN109874681A (en) | Animal house cleaning system and animal house cleaning method | |
JP2008504861A (en) | Mobile toilet | |
TWI768169B (en) | Purification system | |
CN201309444Y (en) | Excrement rapid drying environmental sanitation disposal vehicle | |
JP2002320932A (en) | Method and device for recycle pet flake washing | |
JP2002331276A5 (en) | ||
JP2002331276A (en) | Wet organic waste fermentation decomposition treatment machine using wastewater | |
CN107540155A (en) | A kind of kitchen sewage treatment unit | |
CN111762913A (en) | Sewage filtering device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
KR100730591B1 (en) | Kitchen Sewage Filter | |
WO2006011241A1 (en) | Wast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JP2001293460A (en) | Organic waste decomposing and dissipating device provided with disposer having decomposing water treating tank, decomposing agent and decomposing medium | |
JP2003145098A (en) | Wet process treating machine for fermentation decomposing organic waste utilizing waste water or seawater | |
KR200380343Y1 (en) | A Simple toilet of a portable type | |
JP2001070922A (en) | Decomposition treatment machine for food waste utilizing microorganism | |
JP2005103528A (en) | Treat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all treating method for organic waste | |
JP7028640B2 (en) | Bio toilet system | |
KR20060076143A (en) | Simple removable toilet | |
KR20100039791A (en) | An unit of dry decomposition and a system of refuse disposal using an unit of dry decomposition | |
CN212403720U (en) | Pig farm sewage treatment device | |
CN221500710U (en) | Kitchen garbage oil-water separ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7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9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9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112 Appeal identifier: 2009101011161 Request date: 20091209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2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0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1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