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066A - 가정 용수 활용 가능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정 용수 활용 가능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066A
KR20160140066A KR1020150076173A KR20150076173A KR20160140066A KR 20160140066 A KR20160140066 A KR 20160140066A KR 1020150076173 A KR1020150076173 A KR 1020150076173A KR 20150076173 A KR20150076173 A KR 20150076173A KR 20160140066 A KR20160140066 A KR 2016014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pipe
washing machin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연
Original Assignee
최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연 filed Critical 최지연
Priority to KR102015007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0066A/ko
Publication of KR2016014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Abstract

세탁기의 세탁 폐수, 특히 세탁의 헹굼 단계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활용하기 위한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 세탁기가 보급되어 세탁기에 의한 세탁이 보편화되어 있지만, 식수가 가능한 물로서 공급되는 고급의 가정 용수의 사용량에서 세탁 용수가 차지 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이며, 특히 세탁기에 의한 세탁에서는 헹굼 단계에서 비교적 맑은 물이 세탁 폐수로 배출되어 버려지고 있다.
이렇게 버려지는 세탁 폐수를 변기 용수와 허드레 물로 사용하기 위하여, 세탁기와 저장용 물탱크, 변기, 소형 물펌프, 밸브, 등을 포함하여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은, 특히, 일반 주거용 주택, 아파트, 연립 주택의 가정집에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정 용수 활용 가능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LAUNDRY WASTEWATER USE SYSTEM}
본 발명은 폐수를 재사용함으로 물을 절약하기 위한 폐수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적으로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세탁기의 폐수를 수세식 변기 용수 또는 허드레 물로 활용하기 위한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에 관한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세탁기의 사용은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세탁기에 의한 세탁에서는 많은 물이 사용되며, 특히, 마지막 세탁 단계인 헹굼 단계에서는 비교적 맑은 물이 그대로 버려지고 있다. 이 처럼 헹굼 단계에서 버려지는 물의 양은 지역적 또는 국가적으로 볼 때, 엄청난 양이 될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에 공급되어지는 물은 마실 수 있는 물이며 사실상 세탁에 사용하기에는 고급스러운 물이며, 세탁 용수로 낭비하기에는 고가의 처리 과정을 거친 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세탁 폐수 등을 합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면, 가정 용수를 생산하고 저장하기 위한 막대한 비용과 시설 투자도 마찬가지로 절감될 수 있는 것이다.
세탁 용수와 더불어 가정 용수로서 많이 사용되는 물은 변기 용수이다. 그런데, 변기 용수는 식수 수준의 고급의 물이 필요하지 않으며, 일정량의 변기 용수가 변기에 잔류하여 있으므로 냄새가 나는 물이나 너무 지저분한 물이 아니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시 헹굼 단계에서 발생되는 물은 변기 용수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시 배출되는 물, 특히, 헹굼 단계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 탱크에 저장하여 변기 용수와 허드레 물로 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은 세탁에 관련된 제반 기능에 따른 구성 요소들을 갖추고 있는 세탁기 본체, 상기 세탁기 본체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는 물탱크, 상기 세탁기 본체의 배수관과 상기 물탱크, 및 배수관과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물탱크에 충전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관의 연결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며 세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세탁의 소정 단계에서 가동되어 물을 물탱크로 이송시키는 제1 소형 물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제1 소형 물펌프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체크 밸브, 상기 물탱크 내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세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1센서, 허드레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물탱크와 연결되는 배관 부재와 수도꼭지, 및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부착되어 물탱크의 물의 높이가 소정 높이보다 높아질 경우에 물이 배출되는 안전 배수관을 포함하는 폐수 활용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물탱크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관, 상기 제2배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제2배관에서 상기 필터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소형 물펌프, 상기 제2배관에서 상기 제2 소형 물펌프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에 설치되며 일방향 흐름만이 가능한 제2 체크 밸브, 변기의 물 저장 용기의 배수 밸브에 부착되어 이 배수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2 소형 물펌프를 작동하여 수돗물과 동시에 세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게 하는 제2센서, 및 변기의 물 저장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소형 물펌프의 작동을 중단시켜 물공급을 중단시키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부대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은 기존의 세탁기; 및 변기의 물 저장 용기의 물 저장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기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기로부터의 물울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변기 용수와 허드레 물로 공급하는 물탱크, 상기 세탁기와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물탱크에 충전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관의 연결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필터와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며 세탁의 소정 단계에서 가동되어 상기 세탁기로부터 상기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소형 물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소형 물펌프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 상기 물탱크에 부착되어 저수량을 감지하여 소형 물펌프를 작동시키는 제1센서, 상기 물탱크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에 설치되는 제2배관, 상기 제2배관에 설치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변기의 물 저장 용기의 배수 밸브에 부착되어 이 배수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수돗물과 동시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게 하는 제2센서, 변기의 물 저장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하여 물공급을 중단시키는 제3센서, 상기 제2 물탱크의 일 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센서 고장 등으로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을 넘어 공급될 경우에 탱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안전 배수관, 및 허드레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물탱크와 연결되는 배관 부재와 수도꼭지를 포함하는 부대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은 기존의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에 연결되는 제1 물탱크, 상기 세탁기와 제1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물탱크에 충전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관의 연결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와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며 세탁의 소정 단계에서 가동되어 상기 세탁기로부터 상기 제1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소형 물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제1 소형 물펌프와 상기 제1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체크 밸브, 변기의 물 저장 용기의 물 저장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변기 용수와 허드레 물로 공급하는 제2 물탱크, 상기 제1 물탱크와 제2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2배관, 상기 제2배관에 설치되어 제1 물탱크로부터 상기 제2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소형 물펌프, 상기 제2배관에서 상기 제2 소형 물펌프와 상기 제2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체크 밸브, 상기 제1 물탱크와 제2 물탱크에 각각 부착되어 저수량 유무와 저수량을 감지하여 제2 소형 물펌프를 작동시키는 제1센서 및 제2센서, 상기 제2 물탱크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에 설치되는 제3배관, 상기 제3배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변기의 물 저장 용기의 배수 밸브에 부착되어 이 배수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수돗물과 동시에 제2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게 하는 제3센서, 변기의 물 저장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하여 물공급을 중단시키는 제4센서, 상기 제2 물탱크에 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센서 고장 등으로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을 넘어 공급될 경우에 탱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안전 배수관, 및 허드레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2 물탱크와 연결되는 배관 부재와 수도꼭지를 포함하는 부대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폐수 활용 시스템에 의해 세탁기에서 그대로 버려지는 물을 변기 용수로 사용하거나, 허드레 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상의 생활에서 많은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상당 부분의 변기 용수를 절약할 수 있게 되므로, 개개의 가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고,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도시 지역에서 가뭄시 등에 발생되는 식수난, 즉 가정 용수의 부족의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폐수 활용 세탁기와 부대 설비를 포함하는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기존의 세탁기와 하나의 물탱크를 사용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기존의 세탁기와 2개의 물탱크를 사용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변기의 물 저장 용기 내에 필요 구성 요소들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그리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따른 연결 방향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은 크게 보아, 세탁기, 및 변기를 포함한 부대 설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목적에 따라서는 변기가 아닌 다른 폐수 사용 장치를 포함시키는 것을 배제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은 일반 가정용으로 발명된 것으로 세탁 폐수가 주로 변기 용수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세탁기는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에 적합하게 개조된 폐수 활용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기존의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먼저, 본 발명을 위해 발명된 폐수 활용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활용 세탁기와 부대 설비를 포함하는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라 변기의 물 저장 용기 내에 필요 구성 요소들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밸브, 필터, 및 소형 물펌프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특히, 솔레노이드 밸브(6)의 경우에 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장치는 생략하고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에는 세탁에 관련된 제반 기능에 따른 구성 요소들을 갖추고 있는 세탁기를 본 발명에 적합하도록 개조한 폐수 활용 세탁기(1)를 사용한다. 세탁기 본체(2)는 기존의 세탁기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구성을 가진 부분을 지칭한다. 물탱크(3)는 세탁기 본체(2)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배관(4)이 세탁기 본체의 배수관과 물탱크(3) 사이에 설치된다.
제1배관(4)에는 필터(5), 솔레노이드 밸브(6), 제1 소형 물펌프(7) 및 제1 체크 밸브(8)가 설치된다. 필터(5)의 경우에, 기본적으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는 부피가 큰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지만, 소형 물펌프(5)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6)와 제1 소형 물펌프(7)의 특성이 필터의 설치를 요구할 경우에 이에 따라 필터를 설치해야 한다. 세탁기 본체(2)에서 배수관과 필터(5)를 통과한 물은 제1배관(4)에서 물탱크(3)로 공급되는 관과 외부로 배출되는 관으로 갈라지게 되며, 갈라지는 위치에 솔레노이드 밸브(6)가 설치된다. 즉, 물탱크(3)가 가득 차 있는 경우에는 세탁기 본체(2)에서 나오는 물은 외부로 배출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물탱크 내부로 향한 관을 통해 물탱크(3)에 공급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6)가 작동된다. 제1 소형 물펌프(7)는 세탁기 본체(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세탁의 소정 단계, 이를 테면, 헹굼 단계에서 가동되어 물을 세탁기 본체(2)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물탱크(3)로 이송시키게 된다. 소정의 높이로 물을 물탱크(3)에 채우기 위해서는 제1 물펌프(7)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때, 필터(5), 솔레노이드 밸브(6), 제1 소형 물펌프(7) 및 체크 밸브(8)를 물탱크(3) 내에 설치하는 것은 방수 공간을 물탱크 내에 형성해야할 뿐만 아니라, 필터 교환 또는 고장시의 정비에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3)의 해당 부분을 물탱크(3)의 외부 공간이 되도록 형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세탁기 본체(2)의 하부 등의 수리 또는 정비가 용이한 구역이면 어디라도 설치할 수 있다.
제1센서(17)가 물탱크(3)의 내벽에 설치되어 물탱크(3)의 수위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를 작동시켜 세탁기 본체(2)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제1센서(17)는 편의상 소정 수위를 나타낼 수 있는 높이에 도시하였지만, 수압의 크기에 의해서 작동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인 압력 증가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제1센서(17)의 설정값에 따라 설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칙은 본 발명에서 수위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모든 센서에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물탱크(3)가 밀폐형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안전 배수관(1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물탱크(3)의 상부 전체 또는 일부가 뚜껑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안전 배수관(18)이 설치되면, 센서 등의 고장으로 제1 소형 물펌프(7)가 계속 작동되어 물이 넘칠 때 뚜껑 부위로 넘치지 않고 안전 배수관(18)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에서 일반적으로 물탱크로 들어가는 배관을 물탱크의 하단 부근에 연결하였지만, 물탱크에서 소음 문제가 없거나, 물탱크 위치가 소음을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경우에는 배관을 물탱크의 상단 부근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위한 세탁기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 부대 설비의 구성과 작동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제2배관(9)은 폐수 활용 세탁기(1)의 물탱크(3)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2배관(9)에는 필터(11)가 설치되어 세탁 폐수에 포함될 수 있는 오물을 여과한다. 통상적으로 폐수 활용 세탁기(1)가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제2배관(9)에서 필터(11)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 사이에는 소형 물펌프(12)가 설치된다. 소형 물펌프(12)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 사이에 일방향 흐름만이 가능한 체크 밸브(13)가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실제로 물 저장 용기로부터 역류가 없게 하면, 체크 밸브(13)가 없어도 실제로 제2배관(9)의 일부 관 내부의 소량의 물만 역류될 뿐이다. 물탱크(3)에는 또한 변기 용수 외에도 허드레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도꼭지(16)가 배관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1과 도 4을 참조하면, 제2센서(14)는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의 배수 밸브에 부착되어 이 배수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여 제2 소형 물펌프(12)를 작동하여 일반 수도에서 공급되는 물과 동시에 세탁기 물탱크(3)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제3센서(15)는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에 설치되어 용기(10) 내의 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이를 감지하여 제2 소형 물펌프(12)의 작동을 중단시켜 물공급을 중단시킨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따른 연결 방향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는데, 두 가지 솔레노이드 밸브는 단순히 개폐 역할을 하는 것과 관의 연결 방향을 바꾸어 주는 것이다. 도시된 것은 후자와 관련되어 있으며, 도 5a는 세탁기 본체(2)와 물탱크(3)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며,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밸브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로서 세탁기 본체(2)에서 세탁 폐수가 외부로 버려질 때의 상태를 보여준다.
세탁의 헹굼 단계에서 배출되는 세탁 폐수가 물탱크(3)로 이송되어야 하는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6)와 제1 소형 물펌프(7)는 거의 동기성을 갖고 작동되어야 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6)가 먼저 회전하여 배출관과 물탱크(3)가 연결되는 순간에 제1 소형 물펌프(7)가 작동되어야 한다. 또한 반대로 세탁 폐수를 물탱크(3)에 공급하는 중에 물탱크(3)가 가득찰 경우, 제1 소형 물펌프(7)를 먼저 중단시키고 솔레노이드 밸브(6)를 작동시키야 한다. 이러한 작동은 소형 물펌프에 일시적인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전환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제1 체크 밸브(8)에 의해 역류가 방지되므로 물탱크(3)에서 폐수 배출관으로 저장된 물이 역류되지 않는다.
물탱크의 용량은 사용 가능한 세탁 폐수의 생성량과 세탁 빈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지만, 가족 수가 많을수록 물탱크의 저장 용량이 커져야 한다. 따라서, 보조적인 물탱크가 공간 형편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설치 위치는 변기의 물 저장 용기와 세탁기의 물탱크 사이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 물펌프와 밸브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기존의 세탁기와 하나의 물탱크를 사용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기존의 세탁기와 2개의 물탱크를 사용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라 변기의 물 저장 용기 내에 필요 구성 요소들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포함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세탁기(101)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에서는 하나 이상의 물탱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물탱크(103)(113)가 사용되었다. 제1 물탱크(103)는 제1배관(104)을 통해 세탁기(101)에 연결되어 있다. 제1배관에는 세탁기(101) 쪽으로부터 필터(5),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 및 제1 소형 물펌프(7)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제1 소형 물펌프(7)는 세탁기(101)에서 배출되는 물의 배출 수압이 제1 물탱크(103)의 만수위를 채울 수 있을 정도로 강할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도 물탱크의 소음 문제가 없는 경우, 제1배관(104)은 제1 물탱크(103)의 상단 부근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물탱크(113)는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의 물 저장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제1 물탱크(103)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변기 용수와 허드레 물로 공급한다. 제1 물탱크(103)와 제2 물탱크(113) 사이에는 제2배관(91)이 설치된다. 제2배관에는 제2 소형 물펌프(12)와 제2 체크 밸브(13)가 설치되며 제2 소형 물펌프(12)는 제1 물탱크(103)로부터 제2 물탱크(113)로 물을 공급하며, 제2 체크 밸브(13)는 제2 물탱크(113)로부터 저장된 물이 역류되지 않게 한다.
제1센서(171)와 제2센서(172)가 제1 물탱크(103)와 제2 물탱크(113)에 각각 부착되어 저수량 유무와 저수량을 감지하여 제2 소형 물펌프(12)를 작동시킨다. 즉, 제2 물탱크(113)가 정해진 높이까지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물탱크(103)에 물이 있는 경우에 언제나 제2 소형 물펌프(12)가 작동되어 제2 물탱크(113)를 채우게 된다. 또한, 제1 물탱크(103)가 정해진 높이까지 채워지지 않은 경우에 소정의 세탁 단계, 예를 들면, 세탁의 헹굼 단계에서 세탁 폐수가 제1 물탱크(103)를 채우게 된다.
제3배관(92)은 제2 물탱크(113)와 변기의 물저장 용기(10) 사이에 설치된다. 제3배관(92)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2)가 설치되어 제2 물탱크(113)로부터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로의 물공급을 제어 한다.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에는 제3센서(14)와 제4센서(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3센서(14)는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의 배수 밸브에 부착되어 이 배수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여 제2 솔레노이드 밸브(62)를 작동시킴으로써 수도관의 물과 동시에 제2 물탱크(113)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게 하며, 제4센서(15)는 변기의 물 저장 용기(10) 내의 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이를 감지하여 제2 솔레노이드 밸브(62)를 작동하여 물공급을 중단시킨다.
제1 물탱크(103)와 제2 물탱크(113)의 측면 상부에는 각각 안전 배수관(181)(182)이 설치되어 센서 고장 등으로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을 넘어 공급될 경우에 물탱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허드레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16)가 제2 물탱크(182)와 연결되는 배관 부재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작동에 관련하여 부가적인 내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탁기, 센서, 소형 물펌프, 및 솔레노이드 밸브 간의 전기 도선의 연결에 관련하여 별도의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작동의 설명에서 언급된 관계의 내용으로 연결되어야할 것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본다.
안전에 관련된 사항으로 세탁기 자체의 물탱크 또는 외부의 물탱크의 상부에 안전 배수관을 설치하였다. 만일, 물펌프를 제어하는 센서가 고장날 경우에 물탱크가 밀폐되어 있거나 작은 배기구 만을 가진 경우에 물펌프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배기구를 통하여 물이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물탱크의 상부가 개방된 경우에도 물이 원하지 않는 형태로 넘칠 수 있다.
만일, 이처럼 센서가 고장난 경우에 안전 배수관을 통하여 물이 배출되며,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소형 물펌프를 수동으로 작동을 정지시키면 일단 물탱크로의 물의 흐름은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폐수와 수도로 공급되는 물을 변기 용수로 함께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은 세탁 폐수만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세탁 폐수 저장 용량에 따라서는 세탁 폐수가 완전히 소진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관의 형상이나 기기에 배관이 연결되는 위치 등은 설치 공간의 상황이나 각각의 기기에서의 형편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기의 물 저장 용기와 세탁기의 상대적 위치 상황 등에 따라서 배관에 사용되는 밸브 등이 가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층에 세탁실이 따로 있고 아래층에 화장실이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을 적용한다면 물탱크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에 물펌프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1. 폐수 활용 세탁기 2. 세탁기 본체
3. 물탱크 4. 제1배관
5, 11. 필터 6. 솔레노이드 밸브
7. 제1 소형 물펌프 8. 제1 체크 밸브
9. 제2배관 10. 변기의 물 저장 용기
12. 제2 소형 물펌프 13. 제2 체크 밸브
14, 15. 센서 16. 수도꼭지
17. 센서 18. 안전 배수관

Claims (1)

  1. 세탁에 관련된 제반 기능에 따른 구성 요소들을 갖추고 있는 세탁기 본체, 상기 세탁기 본체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는 물탱크, 상기 세탁기 본체의 배수관과 상기 물탱크, 및 배수관과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물탱크에 충전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관의 연결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며 세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세탁의 소정 단계에서 가동되어 물을 물탱크로 이송시키는 제1 소형 물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제1 소형 물펌프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체크 밸브, 상기 물탱크 내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세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1센서, 허드레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물탱크와 연결되는 배관 부재와 수도꼭지, 및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부착되어 물탱크의 물의 높이가 소정 높이보다 높아질 경우에 물이 배출되는 안전 배수관을 포함하는 폐수 활용을 위한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물탱크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관, 상기 제2배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제2배관에서 상기 필터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소형 물펌프, 상기 제2배관에서 상기 제2 소형 물펌프와 변기의 물 저장 용기 사이에 설치되며 일방향 흐름만이 가능한 제2 체크 밸브, 변기의 물 저장 용기의 배수 밸브에 부착되어 이 배수 밸브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2 소형 물펌프를 작동하여 수돗물과 동시에 세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게 하는 제2센서, 및 변기의 물 저장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소형 물펌프의 작동을 중단시켜 물공급을 중단시키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부대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KR1020150076173A 2015-05-28 2015-05-28 가정 용수 활용 가능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KR20160140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73A KR20160140066A (ko) 2015-05-28 2015-05-28 가정 용수 활용 가능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73A KR20160140066A (ko) 2015-05-28 2015-05-28 가정 용수 활용 가능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66A true KR20160140066A (ko) 2016-12-07

Family

ID=5757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173A KR20160140066A (ko) 2015-05-28 2015-05-28 가정 용수 활용 가능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00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9459A (zh) * 2017-11-29 2018-03-23 苏州市职业大学 选择性的使用污水为冲水马桶供水的装置
CN111877457A (zh) * 2020-08-13 2020-11-03 孙小波 住宅节水系统
KR102226493B1 (ko) * 2019-11-06 2021-03-1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세탁 폐수를 이용한 곡물 저장 장치
KR102586554B1 (ko) * 2022-05-02 2023-10-06 박상준 냉온수 분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9459A (zh) * 2017-11-29 2018-03-23 苏州市职业大学 选择性的使用污水为冲水马桶供水的装置
CN107829459B (zh) * 2017-11-29 2023-11-14 苏州市职业大学 选择性的使用污水为冲水马桶供水的装置
KR102226493B1 (ko) * 2019-11-06 2021-03-1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세탁 폐수를 이용한 곡물 저장 장치
CN111877457A (zh) * 2020-08-13 2020-11-03 孙小波 住宅节水系统
KR102586554B1 (ko) * 2022-05-02 2023-10-06 박상준 냉온수 분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581B2 (en) Waste water outlet
KR20160140066A (ko) 가정 용수 활용 가능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US10655313B2 (en) Grey water toilet
EP2201185B1 (en) System used to feed wc flushing tanks with recycled water
CN200992727Y (zh) 一种新型节水装置
KR101038761B1 (ko) 폐수를 활용한 수압펌프식 양변기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206784521U (zh) 一种家用废水智能循环利用系统
CN106703114B (zh) 一种洗涤水收集装置及系统
KR20110044050A (ko) 물절약형 좌변기
KR19980011694U (ko) 세탁 폐수 활용 시스템
CN100491657C (zh) 家用节水管道系统
KR100752338B1 (ko) 수압을 이용한 저수조의 수질개선장치
JP3148654U (ja) 水洗トイレ用シスタンク
CN105155660A (zh) 防臭排水器
CN2901147Y (zh) 一种能兼做储水箱用的热水器
CN2892995Y (zh) 一种家庭生活洗刷水再利用装置
JP6505005B2 (ja) 貯水槽の洗浄方法および施工方法
KR101756906B1 (ko) 절수형 변기
KR20180098860A (ko) 중수 재활용 시스템
CN212388688U (zh) 一种防臭防溢水装置
CN203270723U (zh) 冲水水箱
CN201534990U (zh) 家用厨卫节水装置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200280007Y1 (ko) 중수 재활용 장치
KR100505038B1 (ko) 세대별 비상용 물탱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