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054A -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054A
KR20160140054A KR1020150076152A KR20150076152A KR20160140054A KR 20160140054 A KR20160140054 A KR 20160140054A KR 1020150076152 A KR1020150076152 A KR 1020150076152A KR 20150076152 A KR20150076152 A KR 20150076152A KR 20160140054 A KR20160140054 A KR 20160140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tt communication
bluetooth device
voice signal
commun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181B1 (ko
Inventor
오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코드
Priority to KR102015007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1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어 복수의 PTT(Push To Talk)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블루투스 기기; 및 상기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각각의 PTT 통신 서비스에 각각의 제1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각각의 제1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제1 식별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하여 PTT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채널 변경이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System for multichannel PTT tele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PTT 통신 서비스의 주파수 채널을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과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PTT 통신 서비스 및 PTT 통신 서비스의 주파수 채널의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PTT(Push To Talk) 통신이란 타인에게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버튼을 가압한 상태에서 타인에게 음성을 전송하고, 버튼이 미가압된 상태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음성을 수신받는 양방향 통신으로,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 간의 통화가 가능하여, 한 사람의 음성이 다수의 타인에게 전송될 수 있다.
근래에는 모바일 단말기마다 고유의 IP 번호를 부여받게 되는데, 인터넷 데이터 통신이나 이동통신의 데이터망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무전기처럼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PTT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PTT 통신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무전기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해야하므로 양손이 제한적이며, 무전기의 경우 특히 경호, 보안, 공사 등을 위한 특수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편, 최근에는 무전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업체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PTT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서비스들은 동일 서비스 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서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만, 헤드셋과 같은 외부기기를 통해서는 동일 애플리케이션 상에서도 채널 변경이 되지 않으며, 다른 PTT 통신 서비스의 채널로는 채널 변경이 되지 않아 다양한 PTT 통신 서비스의 채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PTT 통신 서비스의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실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하여 PTT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고, 동일한 PTT 통신 서비스 내 채널 변경 또는 서로 다른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채널 변경이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어 복수의 PTT(Push To Talk)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블루투스 기기; 및 상기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각각의 PTT 통신 서비스에 각각의 제1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각각의 제1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제1 식별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각각의 제1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상기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서비스 변경이 수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TT 통신 서비스는, 다수의 PTT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채널이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 각각의 채널에 각각의 제2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제2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제2 식별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2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식별번호 및 상기 복수의 제2 식별번호 중 각각 어느 하나의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가 서로 매칭되어 단축번호에 등록되며, 상기 등록된 단축번호가 선택되면, 등록된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단축번호가 복수로 등록된 경우에, 상기 복수로 등록된 단축번호가 각각 선택되면, 상기 각각의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각각의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각각의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음성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외부 단말기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음성신호가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외부 단말기에 각각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달되어 상기 블루투스 기기를 통해 출력되기 이전에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음성 신호가 임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가 상기 어느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되어 상기 블루투스 기기를 통해 출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PTT 통신 서비스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 입력신호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 상기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채널이 선택되도록 하는 제2 입력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가압신호 및 상기 해지신호를 입력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가압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각각의 PTT 통신 서비스에 각각 제1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통해 입력된 해지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하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 기기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하여 PTT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PTT 통신 서비스 내 채널 변경 또는 서로 다른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채널 변경이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에 식별번호들을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음성신호를 포함한 데이터의 패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단축번호를 포함한 데이터의 패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 중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등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단말기와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복수의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 중 상기 다른 종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단말기와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은 동일한 PTT 통신 서비스 내 채널 변경 또는 서로 다른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채널 변경을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은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기기(10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동되어 원격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블루투스 기기(1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동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기기(100)는 가압신호와 함께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입력된 가압신호와 음성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하고, 해지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기기(100)는,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PTT 통신 서비스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 입력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PTT 통신 서비스에 다수의 PTT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되면, 블루투스 기기(100)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채널이 선택되도록 하는 제2 입력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PTT 통신을 수행하고, PTT 통신을 수행할 때, 동일한 PTT 통신 서비스 내 채널 변경 또는 서로 다른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채널 변경을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첨언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기본적으로 같은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채널 변경 역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제2 입력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하여 어느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선택한 후에, 다른 제2 입력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하여 다른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100)는 가압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가압부(110)는, 가압신호 및 해지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압부(110)는 버튼으로 형성되어, 가압부(110)에 물리력이 가해지고, 물리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유지될 때 가압신호가 입력되고, 가압부(110)에 물리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중단되면 해지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부(120)는, 외부 단말기(300)에 전달할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블루투스 기기(100)에 마련되는 마이크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가압부(110)에 물리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만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하고,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출력부(140)는 가압부(110)에 물리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중단될 때만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블루투스 기기(100)의 구성요소인 가압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및 출력부(140)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가압부(110) 및 입력부(120)를 통해 가압신호와 함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가압신호와 음성신호가 통신부(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해지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성신호가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에 식별번호들을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200)는, PTT 통신 서비스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각각의 PTT 통신 서비스에 각각의 제1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는, 각각의 제1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제1 식별번호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1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블루투스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3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제1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상기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서비스 변경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는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에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200)는, 각각의 채널에 각각의 제2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제2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제2 식별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2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300)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음성신호의 데이터의 패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에 각각의 식별번호들이 부여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에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모바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입력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음성신호의 데이터는 도 4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음성신호를 포함한 데이터의 패킷은 제1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A) 영역, 제2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B) 영역 및 음성신호에 대한 데이터(D)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되어 데이터 코딩되며, 이는 다시 통신부(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는 특정 제1 식별번호 및 특정 제2 식별번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데이터 코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특정 제1 식별번호 및 특정 제2 식별번호를 제1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A) 영역 및 제2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B) 영역에 각각 데이터 코딩하고, 음성신호 역시 음성신호에 대한 데이터(D) 영역에 데이터 코딩하여 이를 통신부(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모바일 단말기(200)에 데이터 코딩된 음성신호가 전달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데이터 코딩된 음성신호의 제1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A) 영역을 읽어 음성신호가 어느 PTT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로 전달될 것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음성신호의 제2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B) 영역을 읽어 음성신호가 제1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특정 PTT 통신 서비스의 어느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로 전달될 것인지 판단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음성신호에 대한 데이터(D) 영역을 읽어 음성신호를 특정 PTT 통신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코딩 방식으로 다시 코딩하여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음성신호에 대한 데이터(D) 영역을 읽어 음성신호를 특정 PTT 통신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코딩 방식으로 다시 코딩하기 때문에 외부 단말기(300)에 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와 PTT 통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단위를 의미하며, 데이터 영역 안의 숫자들은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코드를 도시한 일 예일뿐 특정 데이터 코드를 특정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단축번호를 포함한 데이터의 패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에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여 단축번호를 이용해 함께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복수의 제1 식별번호 및 복수의 제2 식별번호 중 각각 어느 하나의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가 서로 매칭되어 단축번호에 등록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는 등록된 단축번호가 선택되면, 등록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300)에 전달한다.
여기서, 등록된 단축번호의 데이터는 도 5와 같이 제1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A) 영역, 제2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B) 영역 및 단축번호에 대한 데이터(C) 영역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식별번호 중 선택된 특정 제1 식별번호와 복수의 제2 식별번호 중 선택된 특정 제2 식별번호를 각각 데이터 코딩하여, 제1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A) 영역 및 제2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B) 영역에 매칭되도록 저장하고, 이를 특정 등록번호에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여된 특정 등록번호 역시 데이터 코딩되어 특정 제1 식별번호 및 특정 제2 식별번호와 매칭되도록 저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특정 등록번호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특정 등록번호에 매칭된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이 선택되도록 한다.
여기서, 단축번호는 복수로 등록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축번호는 단축번호에 대한 데이터(C) 영역에 데이터 코딩되어 저장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PTT 통신 서비스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원격에서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우선,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서로 연결하여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블루투스 통신이 수행되도록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다(S310).
여기서, 페어링 과정은, 블루투스 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러한 페어링 과정은 블루투스 기기를 서로 연결하는 최초의 페어링 과정 이후에는 별도의 과정없이 블루투스 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페어링 과정이 수행된 후, 모바일 단말기(200)에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한다(S315).
첨언하면,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제1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상기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서비스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한다(S330).
첨언하면,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은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서도 가능하며, 이는 후술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로 음성신호를 전달할 때,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음성신호를 전달하기에 앞서 블루투스 기기의 가압부(110)에 물리력을 가하고, 이를 유지하여 가압신호를 입력한다(S335).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가압신호가 전달된다(S340).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송신모드가 동작된다(S345).
모바일 단말기(200)에 송신모드가 동작되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한다(S350).
그리고,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음성신호를 전달한다(S355).
그러면,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외부 단말기(300)로 음성신호가 전달된다(S360).
한편,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수신되는 음성신호가 블루투스 기기(100)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의 가압부(110)에 물리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중단하여 해지신호를 입력한다(S370).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해지신호가 전달된다(S375).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수신모드가 동작된다(S380).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에 수신모드가 동작되면,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외부 단말기(3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음성신호가 전달된다(S385).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기기(100)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전달한다(S390).
또한, 블루투스 기기(1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395).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은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PTT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원격에서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다(S410).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415).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선택하는 방법이 있으며,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200)에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제1 입력신호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제1 입력신호를 입력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PTT 통신 서비스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 입력신호를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입력한다(S420).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1 입력신호가 전달된다(S425).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특정 PTT 통신 서비스가 선택된다(S430).
그리고, 사용자가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특정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는 방법 역시, 사용자가 특정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직접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특정 주파수 채널을 선택되도록 하는 제2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특정 주파수 채널을 선택되도록 하는 제2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S433).
사용자가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제2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이는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된다(S435).
제2 입력신호가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주파수 채널을 선택한다(S440).
한편, 사용자가 복수의 PTT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 중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외부 단말기(300)로 전달하거나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외부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의 가압부(110)에 물리력을 가하고, 이를 유지하여 가압신호를 입력한다(S443).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가압신호가 전달된다(S445).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송신모드가 동작된다(S450).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에 송신모드가 동작되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한다(S455).
그리고,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음성신호를 전달한다(S460).
그러면,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외부 단말기(300)로 음성신호가 전달된다(S465).
한편,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의 가압부(110)에 물리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중단하여 해지신호를 입력한다(S470).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해지신호가 전달된다(S475).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수신모드가 동작된다(S480).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에 수신모드가 동작되면,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외부 단말기(3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음성신호가 전달된다(S485).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기기(100)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전달한다(S490).
또한, 블루투스 기기(1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495).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 중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등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다(S510).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515).
또한, 사용자는 복수로 마련된 PTT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PTT 통신 서비스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 입력신호를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입력한다(S520).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1 입력신호가 전달된다(S525).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특정 PTT 통신 서비스가 선택된다(S530).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특정 주파수 채널을 선택되도록 하는 제2 입력신호를 입력한다(S533).
사용자가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제2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이는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된다(S535).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특정 주파수 채널이 선택된다(S540).
그리고,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단축번호에 등록하여 자주 사용하는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필요없이 한번에 선택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현재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이 서로 매칭되어 단축번호에 등록되도록 하는 제3 입력신호를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S545).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3 입력신호가 전달된다(S550).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복수의 제1 식별번호 및 복수의 제2 식별번호 중 각각 어느 하나의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가 서로 매칭되어 매칭된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이 단축번호에 등록된다(S555).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필요없이 한번에 선택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등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고(S610),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615).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이 한번에 선택되도록 하는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에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직접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방법과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자가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하면(S620),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4 입력신호가 전달된다(S625).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등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이 선택된다(S63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로 마련된 PTT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 중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외부 단말기(300)로 전달하거나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외부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의 가압부(110)에 블루투스 기기의 가압부(110)에 물리력을 가하고, 이를 유지하여 가압신호를 입력한다(S635).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가압신호가 전달된다(S640).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송신모드가 동작된다(S645).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에 송신모드가 동작되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한다(S650).
그리고,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음성신호를 전달한다(S655).
그러면,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외부 단말기(300)로 음성신호가 전달된다(S660).
한편,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의 가압부(110)에 물리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중단하여 해지신호를 입력한다(S670).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해지신호가 전달된다(S675).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수신모드가 동작된다(S680).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에 수신모드가 동작되면,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외부 단말기(3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음성신호가 전달된다(S685).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기기(100)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전달한다(S690).
또한, 블루투스 기기(1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695).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은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PTT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단말기(300)와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등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단말기(300)와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고(S710),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715).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자주 사용하는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이 한번에 선택되도록 하는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한다(S720).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4 입력신호가 전달된다(S725).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4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제4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단축번호가 선택된다.
이는 특정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A사의 PTT 통신 서비스 및 A사의 PTT 통신 서비스에 마련된 제3 주파수 채널이 선택되는 것을 의미한다(S73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로 마련된 PTT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 중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외부 단말기(300)로 전달하거나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가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해지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모바일 단말에 전달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수신모드가 동작된다(S735).
그러면, 제1 외부 단말기(3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1 음성신호가 전달된다(S740).
그리고, 제1 음성신호가 전달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1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기기(100)로 전달한다(S745).
그런데, 제1 음성신호가 블루투스 기기(100)로 전달되어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출력되기 이전에, 제2 외부 단말기(3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2 음성신호가 전달되면(S750),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제1 음성신호는 출력되고(S755), 모바일 단말로 전달된 제2 음성신호는 모바일 단말에 임시 저장된다(S760).
그리고,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제1 음성신호가 출력되면, 제2 음성신호는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블루투스 기기(100)로 전달되어(S765), 출력된다(S770).
이때,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2 음성신호가 블루투스 기기(100)로 전달되어 출력되면, 임시 저장된 제2 음성신호는 삭제한다(S775).
여기서, 제1 외부 단말기(3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의 외부 단말기(300)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2 외부 단말기(3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300) 중 다른 하나의 외부 단말기(300)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음성신호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의미하고, 제2 음성신호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 중 다른 하나의 음성신호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일대 다수 간의 PTT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복수의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 중 상기 다른 종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단말기(300)와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등록된 복수의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 중 상기 다른 종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단말기(300)와 원격에서 PTT 통신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고(S810), 모바일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815).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자주 사용하는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이 한번에 선택되도록 하는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한다(S820).
여기서, 제4 입력신호는 A사의 PTT 통신 서비스의 제3 주파수 채널이 선택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의미한다.
그러면,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4 입력신호가 전달된다(S825).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4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제4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단축번호가 선택되어, 특정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A사의 PTT 통신 서비스 및 A사의 PTT 통신 서비스에 마련된 제3 주파수 채널이 선택된다(S830).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3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모드가 동작된다(S835).
그러면, 제1 외부 단말기(3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3 음성신호가 전달된다(S840).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3 음성신호가 전달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3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기기(100)로 전달한다(S845).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제3 음성신호가 전달되면, 블루투스 기기(100)는 제3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850).
한편,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A사의 PTT 통신 서비스 및 A사의 PTT 통신 서비스의 제3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제1 외부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하다가 다른 종류의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제2 외부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밀기에서 제1 외부 단말기(300)와 PTT 통신하여 제3 음성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출력한 다음, 블루투스 기기(100)를 이용하여 제4 입력신호를 입력한다(S855).
여기서 제4 입력신호는 B사의 PTT 통신 서비스 및 B사의 PTT 통신 서비스의 제2 주파수 채널이 선택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기기(10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4 입력신호가 전달된다(S860).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4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B사의 PTT 통신 서비스 및 B사의 PTT 통신 서비스 제2 주파수 채널을 선택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200)는 수신모드가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2 외부 단말기(300)에서 제4 음성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한다(S870).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외부에서 제4 음성신호를 전달하면, 이를 블루투스 기기(100)로 전달한다(S875).
그리고, 블루투스 기기(100)는 제4 음성신호가 전달되면, 제4 음성신호를 출력한다(880).
여기서, 제1 외부 단말기(3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의 외부 단말기(300)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2 외부 단말기(3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300) 중 다른 하나의 외부 단말기(300)를 의미한다.
또한, 제3 음성신호는 서로 다른 종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를 수신하거나 전달하는 경우에,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의미하고, 제4 음성신호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 중 다른 하나의 음성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도 11a 내지 도 11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로 다른 PTT 통신 서비스 및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300)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가 전달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300)로 각각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도 10a 내지 도 10b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가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되어 블루투스 기기(100)를 통해 출력되기 전데 다른 하나의 음성신호가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되면, 다른 하나의 음성신호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블루투스 기기 110 : 가압부
120 : 입력부 130 : 통신부
140 : 출력부 150 : 제어부
200 : 모바일 단말기 300 : 외부 단말기
A : 제1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 B : 제2 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
C : 단축번호에 대한 데이터 D : 음성신호에 대한 데이터

Claims (9)

  1.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어 복수의 PTT(Push To Talk)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블루투스 기기; 및
    상기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각각의 PTT 통신 서비스에 각각의 제1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각각의 제1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제1 식별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PTT 통신 서비스를 통해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각각의 제1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상기 PTT 통신 서비스 간의 서비스 변경이 수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TT 통신 서비스는,
    다수의 PTT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채널이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각각의 채널에 각각의 제2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제2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제2 식별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2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식별번호 및 상기 복수의 제2 식별번호 중 각각 어느 하나의 제1 식별번호 및 제2 식별번호가 서로 매칭되어 단축번호에 등록되며, 상기 등록된 단축번호가 선택되면, 등록된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단축번호가 복수로 등록된 경우에, 상기 복수로 등록된 단축번호가 각각 선택되면, 상기 각각의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각각의 특정 PTT 통신 서비스 및 각각의 특정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음성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외부 단말기에 각각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음성신호가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외부 단말기에 각각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달되어 상기 블루투스 기기를 통해 출력되기 이전에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음성신호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음성 신호가 임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가 상기 어느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전달되어 상기 블루투스 기기를 통해 출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PTT 통신 서비스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 입력신호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주파수 채널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 상기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채널이 선택되도록 하는 제2 입력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가압신호 및 상기 해지신호를 입력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가압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9.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각각의 PTT 통신 서비스에 각각 제1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PTT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PTT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기기를 통해 입력된 해지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하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 기기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
KR1020150076152A 2015-05-29 2015-05-29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 KR101696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52A KR101696181B1 (ko) 2015-05-29 2015-05-29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52A KR101696181B1 (ko) 2015-05-29 2015-05-29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54A true KR20160140054A (ko) 2016-12-07
KR101696181B1 KR101696181B1 (ko) 2017-01-23

Family

ID=5757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152A KR101696181B1 (ko) 2015-05-29 2015-05-29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6473A (zh) * 2017-01-19 2017-05-1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对讲的发起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842B1 (ko) * 2006-05-17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헤드셋
KR101347536B1 (ko) * 2013-09-02 2014-01-08 주식회사 신풍전자 원격 ptt 통신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842B1 (ko) * 2006-05-17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헤드셋
KR101347536B1 (ko) * 2013-09-02 2014-01-08 주식회사 신풍전자 원격 ptt 통신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irPTT User's Manual*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6473A (zh) * 2017-01-19 2017-05-1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对讲的发起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181B1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05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US8892038B2 (en) Method for searching and connecting Bluetooth devic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2308581B (zh) 用于供应无线联网连接的系统和方法
EP2705444B1 (en) Cross-language communication between proximate mobile devices
EP2904486B1 (en) Handsfree device with continuous keyword recognition
JP5275928B2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CA273644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tive connection to electronic devices
JP2008278172A (ja) 車載装置
KR101696181B1 (ko) 다채널 원격 ptt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채널 원격 ptt 통신방법
EP3063958B1 (en) A method of extending an intercom communication range and device thereof
US11056106B2 (en) Voice interac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4141639A1 (ja) 端末装置、翻訳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9627B1 (ko) Ptt 통신용 핸즈프리, 이를 이용한 ptt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6021663B2 (ja) 音声呼の確立と同時に、相手方端末におけるコードを確認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5139747B2 (ja) 電話端末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音声認識システム
US20150237186A1 (en) Hands-free device
JP2009224876A (ja) 携帯端末装置、そ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7328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 방법.
US20240022667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communication management program,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KR101412205B1 (ko)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기기
KR10040423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음성 분산 처리 방법
JP2007266869A (ja) 無線lan端末装置及び無線lan端末の保守・点検方法
JP2006246201A (ja) 無線端末、管理サーバおよびpttシステム
KR2002007123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음성처리 시스템
Engelsma et al. Bypassing bluetooth device discovery using a multimodal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