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014A -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014A
KR20160140014A KR1020150076066A KR20150076066A KR20160140014A KR 20160140014 A KR20160140014 A KR 20160140014A KR 1020150076066 A KR1020150076066 A KR 1020150076066A KR 20150076066 A KR20150076066 A KR 20150076066A KR 20160140014 A KR20160140014 A KR 2016014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reward
schedule
terminal
reward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원
Original Assignee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0014A/ko
Publication of KR2016014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워드 지급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부터 허용된 단말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을 결정하는 지급 스케쥴 결정부; 리워드가 지급될 지급 대상 단말의 선정 기준을 토대로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및 지급 스케쥴을 참조하여 지급 대상 단말 그룹을 추출하는 대상 선정부; 상기 대상 선정부에서 선정된 지급 대상 단말로 상기 지급 스케쥴을 배포하는 지급 스케쥴 배포부; 지급 대상 단말로부터 전송된 지급 스케쥴의 유효성 또는 상기 리워드 지급 계획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지급 대상 단말로부터 리워드 지급 요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유효성 검증부의 검증 여부에 따라 해당 단말로 지급 스케쥴에 따른 리워드를 지급하는 리워드 지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급 스케쥴은 상기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동작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급 대상 단말에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한 리워드 지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표출시키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제1기능; 단말에 의해 허가된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동작 상태 정보를 리워드 지급 서버에 보고하는 제2기능; 리워드 지급 서버에 지급 스케쥴의 보유 여부를 보고하는 제3기능;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배포된 지급 스케쥴을 수신하는 제4기능; 지급 스케쥴을 수신한 후, 단말이 최초로 언락되면 수신된 상기 지급 스케쥴에 따라 설정된 주기 이후에 리워드 지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단말 상에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표출시키는 제5기능; 상기 안내 메시지의 확인에 따라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에 리워드 지급을 요청하는 제6기능; 및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에 의해 지급된 리워드를 적립시키고 적립 결과를 소유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7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 및 지급 스케쥴을 다운받을 수 있는 대상 단말을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 단말에 한정하여 리워드 제공을 구현하여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 알림을 푸시 메시지 형태로 단말에 표출시키되, 해당 푸시 메시지가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전송되는 것이 아닌 해당 단말에 설치된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간의 불필요한 패킷 전송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목적으로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Reward Payment Server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Reward Payment Application}
본 발명은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광고를 접하게 된다. TV를 보거나, 라디오를 들을 때, 그리고 웹 서핑을 할 때도 의지와 무관하게 다양한 광고에 노출된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스마트 기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관련 시장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광고 시청에 따른 리워드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은 리워드를 받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광고를 시청하게 되고, 광고주는 사용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광고주가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를 시청하게 됨으로써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은, 스마트 기기에 광고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광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를 사용자가 시청하고, 광고를 시청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리워드가 제공 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며,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30800호(2014.11.12. 공개)가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단말의 잠금 화면을 통해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이며, 광고의 노출에 따른 리워드를 적립해주는 리워드형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잠금화면 상태에서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언락을 할 경우에도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추가 광고 노출 또는 리워드 지급 요청을 위한 클릭 등의 사용자 액션이 필요하여 사용자가 단말 본연의 목적(예를 들면, 통화, 채팅, 문자메시지 전송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종료시키거나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상태로 홈버튼을 이용하여 홈화면으로 이동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고 제공 서버에서 가입된 모든 단말에 대하여 광고 전송을 하고 이에 응답한 단말에 대하여 리워드를 제공하는 형태를 채택함으로써 패킷 브로드캐스팅에 따른 무분별하고 불필요한 패킷 전송이 이루어져 네트워크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말에서 광고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포그라운드 또는 백그라운드로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소모되는 단말의 자원이 증가되는 원인이되고, 이는 단말 최적화에 저해가 될 뿐만 아니라 단말의 배터리 소모도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 및 지급 스케쥴을 다운받을 수 있는 대상 단말을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 단말에 한정하여 리워드 제공을 구현하여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 알림을 푸시 메시지 형태로 단말에 표출시키되, 해당 푸시 메시지가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전송되는 것이 아닌 해당 단말에 설치된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간의 불필요한 패킷 전송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목적으로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부터 허용된 단말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을 결정하는 지급 스케쥴 결정부; 리워드가 지급될 지급 대상 단말의 선정 기준을 토대로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및 지급 스케쥴을 참조하여 지급 대상 단말 그룹을 추출하는 대상 선정부; 상기 대상 선정부에서 선정된 지급 대상 단말로 상기 지급 스케쥴을 배포하는 지급 스케쥴 배포부; 지급 대상 단말로부터 전송된 지급 스케쥴의 유효성 또는 상기 리워드 지급 계획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지급 대상 단말로부터 리워드 지급 요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유효성 검증부의 검증 여부에 따라 해당 단말로 지급 스케쥴에 따른 리워드를 지급하는 리워드 지급부; 를 포함하는 리워드 지급 서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급 스케쥴은 상기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동작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급 대상 단말에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한 리워드 지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표출시키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지급 대상 단말의 선정 기준은 연령, 성별, 결혼여부, 거주지역, 일평균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수, 일평균 단말 언락 수, 보유 리워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워드 지급 계획은 리워드 지급에 소요되는 총 예산과 리워드 지급 기간을 토대로 수립되며, 상기 대상 선정부에서 선정되는 지급 대상 단말의 최대수는 상기 총 예산에서 단일 단말이 리워드 지급 기간 내에 지급받을 수 있는 총 리워드 금액을 나눈 값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지급 대상 단말의 최대수에 단일 단말에 대한 1회 리워드 금액을 곱한 값이 잔여 예산과 동일할 경우, 모든 지급 대상 단말에 대하여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를 송출하며, 상기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에는 상기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서 최후 리워드 지급이 확인될 경우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서버는 리워드 지급 계획 중 총 예산의 증감 또는 리워드 지급 기간의 변경을 반영하는 지급 스케쥴 수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급 스케쥴 수정부에 의해 수정된 지급 스케쥴은 상기 지급 스케쥴 배포부에 의해 지급 대상 단말에 배포되어 반영된다.
여기서, 상기 지급 스케쥴 수정부는 총 예산의 감액 시, 감액 가능 금액을 계산하는 감액 계산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액 계산 부분은 총 예산에서 기 지급 리워드 금액과 모든 지급 대상 단말의 1회 리워드 지급 금액의 합을 차감하여 감액 가능 금액을 계산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급 스케쥴 수정부는 총 예산의 증액 시, 증액된 예산에 대해 지급 대상 단말 수를 추가시키는 추가 지급 대상 단말 계산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지급 대상 단말 계산 부분에 의해 추가된 단말 수는 기 선정된 지급 대상 단말에 더해져 상기 지급 스케쥴 배포부, 유효성 검증부 및 리워드 지급부에 반영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제1기능; 단말에 의해 허가된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동작 상태 정보를 리워드 지급 서버에 보고하는 제2기능; 리워드 지급 서버에 지급 스케쥴의 보유 여부를 보고하는 제3기능;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배포된 지급 스케쥴을 수신하는 제4기능; 지급 스케쥴을 수신한 후, 단말이 최초로 언락되면 수신된 상기 지급 스케쥴에 따라 설정된 주기 이후에 리워드 지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단말 상에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표출시키는 제5기능; 상기 안내 메시지의 확인에 따라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에 리워드 지급을 요청하는 제6기능; 및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에 의해 지급된 리워드를 적립시키고 적립 결과를 소유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7기능; 을 포함하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기능은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수립된 리워드 지급 계획 및 리워드 스케쥴의 유효성을 확인 및 추가된 안내 메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가 수신될 경우, 최후 리워드 지급을 확인한 후,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는 제8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지급 스케쥴에 대한 강제 종료 정보가 수신될 경우,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는 제9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지급 스케쥴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될 경우, 보유중인 해당 지급 스케쥴을 변경하는 제10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 및 지급 스케쥴을 다운받을 수 있는 대상 단말을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 단말에 한정하여 리워드 제공을 구현하여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 알림을 푸시 메시지 형태로 단말에 표출시키되, 해당 푸시 메시지가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전송되는 것이 아닌 해당 단말에 설치된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간의 불필요한 패킷 전송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목적으로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서버와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과정에 따른 리워드 지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계획 및 지급 스케쥴 진행에 따른 단말 UI/UX 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성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예를 들어, 서버와 단말 또는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광고 전송 및 각종 요청/응답에 대한 통신 과정 등의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적은 부분)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며, 특히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제1기능 내지 제10기능은 각 기능을 수행하는 주체가 서로 독립되거나 중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과정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분한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 리워드 지급 서버에 대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서버(10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0), 지급 스케쥴 결정부(20), 대상 선정부(30), 지급 스케쥴 배포부(40), 유효성 검증부(50), 리워드 지급부(60) 및 지급스케쥴 수정부(70)를 포함한다.
관리 데이터베이스(10)는 리워드 지급 서버(100)가 수신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써,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지만, 이하에서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부터 허용된 단말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즉,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에 설치 시 소유자에게 개인 정보 제공 동의 및 단말 상태 정보 전송에 대한 동의를 받고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수집된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상태 정보는 후술할 대상 선정부(30)에서 참조되어 지급 스케쥴을 배포할 지급 대상 단말의 선정에 이용된다.
지급 스케쥴 결정부(20)는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워드 지급 계획은 리워드 지급에 소요되는 총 예산(예를 들면, 광고주가 지불하는 특정 광고에 대한 광고비 총액)과 리워드 지급 기간(광고 노출에 따른 리워드 지급 기간)을 토대로 수립되며, 이러한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이 결정된다.
대상 선정부(30)는 리워드가 지급될 지급 대상 단말(T)의 선정 기준을 토대로 관리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정보 및 지급 스케쥴을 참조하여 지급 대상 단말(T) 그룹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지급 대상 단말의 선정 기준은 광고주의 요구 또는 광고를 통한 매출 발생이 예상되는 각종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소유자의 연령, 성별, 결혼여부, 거주지역 등의 개인 정보와 일평균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수, 일평균 단말 언락 수, 보유 리워드 금액 정보 등의 단말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선정부(30)에서 선정되는 지급 대상 단말(T)의 최대수는 상기 총 예산에서 단일 단말이 리워드 지급 기간 내에 지급받을 수 있는 총 리워드 금액을 나눈 값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총 예산이 3,000원이고, 지급 대상 단말의 선정 기준이 20~30대, 리워드 금액 500원 이하, 일평균 단말 언락 수 20~30회, 일평균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횟수 2회 이하로 설정되고, 리워드 지급 스케쥴이 1회 5원, 2시간 간격, 하루최대 4번, 3일동안으로 결정되면 대상 선정부(30)는 지급 대상 단말(T)의 최대수를 3000/(5*4*3)으로 계산하여 결과값이 60을 지급 대상 단말(T)의 최대수로 설정하고 상기 조건에 부합되는 대상 단말을 관리 데이터베이스(10)를 참조하여 지급 대상 단말(T) 그룹 60대를 선정한다.(이 경우, 선정 기준의 모집단 수가 60보다 충분히 큰 수 인지 확인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선정 기준의 모집단 수가 선정 최대수보다 모자랄 경우, 선정 기준의 수정을 통해 모집단 수를 늘리거나 총 예산의 감액을 통해 모집단 수를 늘릴 수 있다.)
지급 스케쥴 배포부(40)는 대상 선정부(30)에서 선정된 모든 지급 대상 단말(T)로 지급 스케쥴을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 후 배포된 지급 스케쥴을 수신한 지급 대상 단말(T)에서 오는 각종 확인 및 요청을 처리하는 통신부의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급 대상 단말(T)에 배포되는 지급 스케쥴은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동작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급 대상 단말(T)에 푸시 알림을 통한 리워드 지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표출시키는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지급 스케쥴에 포함되는 푸시 알림을 통한 안내 메시지 표출 정보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 실제 리워드 지급 서버(100)에서 지급 대상 단말(T)로 푸시 알림을 전송하는 것이 아닌 지급 대상 단말(T)에 설치된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서 푸시 알림이 온 것과 동일한 방식의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아닌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동작으로 푸시 알림이 구현된다. 이러한 푸시 알림은 지급 스케쥴을 다운로드 받은 후, 단말을 최초로 언락시킬 경우, 지급 스케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주기를 가진 타이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는 지급 대상 단말(T)이 1회 리워드 지급을 완료할 경우, 다시 작동되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푸시 알림을 사용자 단말에 표출시킨다.
여기서, 표출된 푸시 알림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에 안내 메시지를 표출한 이후 지급 대상 단말(T)이 최초로 언락되는 시점에 타이머를 지급 스케쥴에 포함된 설정 주기로 동작시켜 동일 푸시 알림을 해당 지급 대상 단말(T)에 재표출시킬 수 있다.
또한, 지급 대상 단말(T)에 동일 푸시 알림을 재표출하기 위해 적용되는 타이머 설정 주기는 어플리케이션에 별도로 설정된 푸시 알림 주기가 있는 경우, 지급 스케쥴에 포함된 설정 주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수치 또는 상대적으로 작은 수치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성 검증부(50)는 지급 대상 단말(T)로부터 전송된 지급 스케쥴의 유효성 또는 리워드 지급 계획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지급 대상 단말(T)이 가진 지급 스케쥴의 수정 여부 및 리워드 지급 가능 상태 여부 등을 판단한다.
리워드 지급부(60)는 지급 대상 단말(T)로부터 리워드 지급 요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유효성 검증부(50)의 검증 여부에 따라 해당 단말로 지급 스케쥴에 따른 리워드를 지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워드 지급부(60)는 지급 대상 단말(T)에서 전송된 리워드 지급 요청에 대한 적법 여부, 지급 스케쥴의 변동 여부 등을 파악하여 리워드 지급 결정을 수행하며, 지급 또는 지급 거부된 사항에 대한 기록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각 정보가 저장된 저장수단에 갱신하며, 리워드 지급에 따른 총 예산의 변동 정보 또한 갱신한다. 즉, 리워드 지급부(60)는 리워드 지급에 대한 운영 및 집행 예산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리워드 지급부(60)는, 지급 대상 단말(T)의 최대수에 단일 단말에 대한 1회 리워드 금액을 곱한 값이 잔여 예산과 동일할 경우, 모든 지급 대상 단말(T)에 대하여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를 송출하며,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에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서 최후 리워드 지급이 확인될 경우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즉, 지급 대상 단말(T)이 계획 기간 내에 허용된 모든 리워드를 지급받았을 경우 또는 잔여 예산이 부족할 경우, 해당 대상 단말 또는 지급 스케쥴을 받은 모든 대상 단말에 보유된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여 허용되지 않는 추가적인 리워드 지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리워드 지급 계획의 기간 만료, 지급 스케쥴의 완료, 잔여 예산 소모된 이후 리워드 지급 서버(100)로 전송되는 리워드 지급 요청에 대해서는 지급 거절 후, 해당 지급 스케쥴에 대한 강제 삭제(Forced Termination) 명령을 전송하고, 강제 삭제 명령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은 관련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단말 내의 지급 스케쥴을 삭제함으로써 허용되지 않은 리워드 지급을 방지하게 된다.
지급 스케쥴 수정부(70)는 리워드 지급 계획 중 총 예산의 증감 또는 리워드 지급 기간의 변경을 반영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지급 스케쥴 수정부(70)에 의해 수정된 지급 스케쥴은 지급 스케쥴 배포부(40)에 의해 지급 대상 단말에 배포되어 반영된다.
구체적으로, 지급 스케쥴 수정부(70)는 총 예산의 감액 시, 감액 가능 금액을 계산하는 감액 계산 부분(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감액 계산 부분은 총 예산에서 기 지급 리워드 금액과 모든 지급 대상 단말의 1회 리워드 지급 금액의 합을 차감하여 감액 가능 금액을 계산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감액 계산 부분에 의해 계산된 감액 가능 금액이 예산에 반영되면, 해당 내역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리워드 지급부(60)는 감액된 예산 범위내에서 지급할 수 있는 리워드를 지급 요청 선착순으로 처리하여 지급하고 예산이 소진된 후에 요청되는 리워드 지급 요청은 전술한 강제 삭제 명령을 통해 거부하고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지급 스케쥴 수정부(70)는 총 예산의 증액 시, 증액된 예산에 대해 지급 대상 단말 수를 추가시키는 추가 지급 대상 단말 계산 부분(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추가 지급 대상 단말 계산 부분에 의해 추가된 단말 수는 기 선정된 지급 대상 단말에 더해져 지급 스케쥴 배포부(40), 유효성 검증부(50) 및 리워드 지급부(60)에 반영된다. 즉, 총 예산이 증액될 경우, 지급 스케쥴 수정부(70)는 추가된 예산에 대하여 지급 대상 단말(T) 추가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내역이 대상 선정부(30)로 전달되어 지급 대상 단말(T)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이다.
2.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제1기능; 단말에 의해 허가된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동작 상태 정보를 리워드 지급 서버에 보고하는 제2기능; 리워드 지급 서버에 지급 스케쥴의 보유 여부를 보고하는 제3기능;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배포된 지급 스케쥴을 수신하는 제4기능; 지급 스케쥴을 수신한 후, 단말이 최초로 언락되면 수신된 지급 스케쥴에 따라 설정된 주기 이후에 리워드 지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단말 상에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표출시키는 제5기능; 안내 메시지의 확인에 따라 리워드 지급 서버에 리워드 지급을 요청하는 제6기능; 및 리워드 지급 서버에 의해 지급된 리워드를 적립시키고 적립 결과를 소유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7기능; 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5기능은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수립된 리워드 지급 계획 및 리워드 스케쥴의 유효성을 확인 및 추가된 안내 메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은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가 수신될 경우, 최후 리워드 지급을 확인한 후,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는 제8기능 및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지급 스케쥴에 대한 강제 종료 정보가 수신될 경우,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는 제9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지급 스케쥴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될 경우, 보유중인 해당 지급 스케쥴을 변경하는 제10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능 내지 제10기능을 통해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은 리워드 지급 서버와 통신하여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을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술한 각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의 단락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수단을 구비한 각종 전자기기에 다운로드되어 동작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전자기기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3. 리워드 지급 과정에 대한 설명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서버(이하 "서버"라고 함)와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이라고 함)의 통신 과정에 따른 리워드 지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계획 및 지급 스케쥴 진행에 따른 단말 UI/UX 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앱은 서버에 광고를 요청할 때, 지급 스케쥴의 보유 여부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서버는 이를 전달받아 광고를 요청한 앱이 보유한 지급 스케쥴이 없고 지급 대상 단말일 경우 지급 스케쥴을 해당 단말로 배포한다.
이하에서는,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결정된 지급 스케쥴을 대상 선정부에 의해 선택된 앱 설치 단말이 다운로드하여 리워드 지급 요청을 하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먼저, 앱은 지급 스케쥴을 다운로드한 시점 이후 단말의 첫번째 언락시점부터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언락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주기(도 3 참조, hourly interval)가 경과하면 단말에 리워드 지급 안내 메시지를 푸시 형태로 표출시킨다.
다음, 앱은 현재 단말 상태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가능할 경우 후단으로 진행하고, 불가능할 경우 전단으로 리턴한다.
다음, 앱은 서버에 지급 스케쥴의 유효성(리워드 지급에 이상이 없는 단말인지 확인) 및 추가 메시지가 있는지를 요청하고 응답을 대기한다.
다음, 앱은 지급 스케쥴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고 추가 메시지의 여부에 따라 푸시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단말에 표출시킨다. 여기서, 추가 메시지가 있을 경우, 리워드 금액 안내와 단말 설정 메시지와 추가 메시지가 푸시형태로 생성되며, 추가 메시지가 없을 경우, 리워드 금액 안내와 단말 설정 메시지만이 푸시형태로 생성되어 단말에 표출된다.
여기서, 추가 메시지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특정 액션(도 3 에서는 손가락 두개를 동시에 이용하여 드래그하는 형태로 표현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에 따라 푸시 메시지가 확장 영역을 가지면서 펼쳐진다. 확장 영역에는 추가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으며, 추가된 메시지는 텍스트, 이미지, 링크 정보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클릭될 경우, 후단으로 진행하고 푸시 메시지가 클릭되지 않을 경우, 푸시 메시지를 단말에 표출한 이후 최초 단말 언락 시점부터 리워드 지급 스케쥴에 설정된 주기 또는 앱에 별도로 설정된 푸시 메시지 알림 주기에 따라 동일 푸시 메시지를 단말에 재표출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 푸시 메시지가 클릭될 경우, 앱은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여부 상태를 다시한번 판단하고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할 경우, 서버에 리워드 지급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할 경우, 접속을 재시도하거나 푸시 메시지를 삭제한다.)
다음, 서버로부터 리워드 지급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는다. 리워드 지급이 성공될 경우 리워드 적립 결과를 메시지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리워드 지급이 거절될 경우, 앱은 서버 또는 네트워크 애러에 대한 확인을 한다. 이때 지급 스케쥴의 강제 삭제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체크하고 강제 삭제 명령이 수신되었을 경우, 리워드 적립 불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한다.
다음, 리워드 지급이 성공하면, 앱은 지급된 리워드가 최후 리워드일 경우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고, 최후 리워드가 아닐 경우 리워드 지급 횟수를 카운트하여 서버에 보고하고 설정 주기(예를 들면 2시간)로 돌아가 대기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1일 리워드 지급 횟수가 채워질 경우, 다음날 자정 시점에서 설정 주기가 계산되도록 타이머 설정을 수정한다.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어 리워드 지급이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 및 지급 스케쥴을 다운받을 수 있는 대상 단말을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 단말에 한정하여 리워드 제공을 구현하여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 노출 및 리워드 지급 알림을 푸시 메시지 형태로 단말에 표출시키되, 해당 푸시 메시지가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전송되는 것이 아닌 해당 단말에 설치된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간의 불필요한 패킷 전송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목적으로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워드 지급 서버
10 : 관리 데이터베이스
20 : 지급 스케쥴 결정부
30 : 대상 선정부
40 : 지급 스케쥴 배포부
50 : 유효성 검증부
60 : 리워드 지급부
70 : 지급 스케쥴 수정부
T : 지급 대상 단말

Claims (12)

  1.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부터 허용된 단말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리워드 지급 계획에 따라 지급 스케쥴을 결정하는 지급 스케쥴 결정부;
    리워드가 지급될 지급 대상 단말의 선정 기준을 토대로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및 지급 스케쥴을 참조하여 지급 대상 단말 그룹을 추출하는 대상 선정부;
    상기 대상 선정부에서 선정된 지급 대상 단말로 상기 지급 스케쥴을 배포하는 지급 스케쥴 배포부;
    지급 대상 단말로부터 전송된 지급 스케쥴의 유효성 또는 상기 리워드 지급 계획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지급 대상 단말로부터 리워드 지급 요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유효성 검증부의 검증 여부에 따라 해당 단말로 지급 스케쥴에 따른 리워드를 지급하는 리워드 지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급 스케쥴은 상기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동작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급 대상 단말에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한 리워드 지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표출시키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 대상 단말의 선정 기준은 연령, 성별, 결혼여부, 거주지역, 일평균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수, 일평균 단말 언락 수, 보유 리워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 계획은 리워드 지급에 소요되는 총 예산과 리워드 지급 기간을 토대로 수립되며, 상기 대상 선정부에서 선정되는 지급 대상 단말의 최대수는 상기 총 예산에서 단일 단말이 리워드 지급 기간 내에 지급받을 수 있는 총 리워드 금액을 나눈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지급 대상 단말의 최대수에 단일 단말에 대한 1회 리워드 금액을 곱한 값이 잔여 예산과 동일할 경우, 모든 지급 대상 단말에 대하여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를 송출하며, 상기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에는 상기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에서 최후 리워드 지급이 확인될 경우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는 리워드 지급 계획 중 총 예산의 증감 또는 리워드 지급 기간의 변경을 반영하는 지급 스케쥴 수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급 스케쥴 수정부에 의해 수정된 지급 스케쥴은 상기 지급 스케쥴 배포부에 의해 지급 대상 단말에 배포되어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 스케쥴 수정부는 총 예산의 감액 시, 감액 가능 금액을 계산하는 감액 계산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액 계산 부분은 총 예산에서 기 지급 리워드 금액과 모든 지급 대상 단말의 1회 리워드 지급 금액의 합을 차감하여 감액 가능 금액을 계산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 스케쥴 수정부는 총 예산의 증액 시, 증액된 예산에 대해 지급 대상 단말 수를 추가시키는 추가 지급 대상 단말 계산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지급 대상 단말 계산 부분에 의해 추가된 단말 수는 기 선정된 지급 대상 단말에 더해져 상기 지급 스케쥴 배포부, 유효성 검증부 및 리워드 지급부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서버.
  8.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제1기능;
    단말에 의해 허가된 소유자의 개인 정보 및 단말 동작 상태 정보를 리워드 지급 서버에 보고하는 제2기능;
    리워드 지급 서버에 지급 스케쥴의 보유 여부를 보고하는 제3기능;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배포된 지급 스케쥴을 수신하는 제4기능;
    지급 스케쥴을 수신한 후, 단말이 최초로 언락되면 수신된 상기 지급 스케쥴에 따라 설정된 주기 이후에 리워드 지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단말 상에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표출시키는 제5기능;
    상기 안내 메시지의 확인에 따라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에 리워드 지급을 요청하는 제6기능; 및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에 의해 지급된 리워드를 적립시키고 적립 결과를 소유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7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기능은 리워드 지급 서버에서 수립된 리워드 지급 계획 및 리워드 스케쥴의 유효성을 확인 및 추가된 안내 메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최후 리워드 지급을 안내하는 정보가 수신될 경우, 최후 리워드 지급을 확인한 후,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는 제8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지급 스케쥴에 대한 강제 종료 정보가 수신될 경우, 해당 지급 스케쥴을 삭제하는 제9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 서버로부터 지급 스케쥴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될 경우, 보유중인 해당 지급 스케쥴을 변경하는 제10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50076066A 2015-05-29 2015-05-29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140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066A KR20160140014A (ko) 2015-05-29 2015-05-29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066A KR20160140014A (ko) 2015-05-29 2015-05-29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14A true KR20160140014A (ko) 2016-12-07

Family

ID=5757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066A KR20160140014A (ko) 2015-05-29 2015-05-29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00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969B1 (ko) * 2021-02-22 2022-08-19 주식회사 와포 리워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리워드 제공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969B1 (ko) * 2021-02-22 2022-08-19 주식회사 와포 리워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리워드 제공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4225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network
US20130300362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dvertising systems
BRPI0721764A2 (pt) Sistema e método de propaganda em dispositivo móvel
CN107507043B (zh) 在线广告投放方法及系统
US20140208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computing resource
US201101719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in a mobile handheld device
CN102332134A (zh) 一种互动式付费广告的实现方法和系统
KR101718176B1 (ko)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에서의 수익 분배형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03874B2 (en) Transaction-based promotion campaign
US11704635B2 (en) Virtual currency for managing advertising and content delivery
KR20120120084A (ko)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60140014A (ko) 리워드 지급 서버 및 리워드 지급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626847B1 (ko) 주차비 징수 시스템
JP2010182314A (ja) 電子ネットワーク内でトランスポート構造を効果的に利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80104394A (ko) 모바일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정보 제공 장치
US20220207503A1 (en) Method and device to provide multi-subscription service
KR101735287B1 (ko) 애플리케이션 펀딩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9733A (ko) 광고주가 어플을 통해 광고를 직접 관리할 수 있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147193A (zh) 充电设备的运营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120089085A (ko) 전자 청구서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청구서 장치 및 전자 청구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65238B1 (ko) 스마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동 및 종료 시의 알림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 방법
CN113778661A (zh) 云计算资源的分配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20170071175A (ko) 모바일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66306B1 (ko) 통합 광고관리 시스템
KR20170039887A (ko)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