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007A -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 Google Patents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007A
KR20160140007A KR1020150076047A KR20150076047A KR20160140007A KR 20160140007 A KR20160140007 A KR 20160140007A KR 1020150076047 A KR1020150076047 A KR 1020150076047A KR 20150076047 A KR20150076047 A KR 20150076047A KR 20160140007 A KR20160140007 A KR 2016014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pressing
screw
hole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628B1 (ko
Inventor
주석재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6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4Locking by means of elastic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9/00Working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with thread cutting, e.g. slotting screw heads or shanks, removing burrs from screw heads or shanks; Finishing, e.g. polishing, any screw-thread
    • B23G9/005Working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는 너트 본체; 및 상기 너트 본체에 구비되는 타원형 나사공;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ANTI-LOOSENING ELASTICALLY DEFORMED NUT, FABRICATING METHOD THEREOF, ASSEMBLIING METHOD THEREOF AND DEFORMING SOCKET}
본 발명은 타원형 나사공이 구비되는 너트와 너트에 타원형 나사공을 가공하고 가공된 타원형 나사공을 조립 대상인 볼트에 용이하게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및 변형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 너트에 의해 구조물을 결합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볼트 너트의 나사 체결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너트의 풀림방지를 위한 기술로서 스프링너트를 이용하거나 너트와 볼트를 관통하는 쐐기를 끼워 넣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너트에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고 체결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1855호는 "풀림방지 너트"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원형 나사공이 구비되는 너트와 너트에 타원형 나사공을 가공하고 가공된 타원형 나사공을 조립 대상인 볼트에 용이하게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및 변형소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는, 너트 본체; 및 상기 너트 본체에 구비되는 타원형 나사공;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원형 나사공은 너트 본체의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는 양쪽 외측면 또는 양쪽 외측면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여 너트 본체가 수축 변형된 상태에서 너트 본체에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본체의 외측면에는 가압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홈은 너트 본체 외측면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둥근 형태의 오목한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 조립을 위한 변형소켓은, 변형소켓 본체; 상기 변형소켓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의 외형에 부합하면서 변형소켓 저면으로 부터 상향으로 들어간 형태의 수용공간; 상기 변형소켓 본체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변형소켓 본체의 상면에서 저면을 향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대응 결합되는 가압부재;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변형소켓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나사 체결공; 및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 체결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용공간에 결합된 너트 본체 외측면이 가압되도록 가압부재를 압박하는 가압나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나사에 의해 가압되는 후단부; 및 상기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후단부의 가로 폭 보다 좁고 너트 외측면에 구비되는 둥근 형태의 가압홈에 밀착되는 선단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소켓 본체에는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나사의 후단면에는 조임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조임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를 결합공에 결합 시 결합공과 가압부재의 후단부 사이에 가압 틈을 두어 가압 틈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로 가압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방법은,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를 변형소켓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하는 제1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된 너트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여 너트 본체를 축소 변형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너트 본체가 축소 변형된 상태에서 나사공을 가공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변형소켓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결합공에 가압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변형소켓의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구비되는 나사 체결공에 가압나사를 나사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된 가압나사를 조여서 가압나사가 가압부재를 압박하고 이에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측면 또는 양측 외측면 중 어느 한쪽이 가압되게 함으로써 너트 본체가 수축 변형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된 가압나사를 조이면 가압나사가 가압부재의 후단부를 압박하고, 이에 가압부재의 선단부가 너트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홈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를 결합공에 결합 시 결합공과 가압부재의 후단부 사이에 가압 틈을 두어 가압 틈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로 가압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수축 변형 상태의 너트 본체에 원형 나사공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너트 본체에 원형 나사공을 가공한 다음 가압나사를 풀어 너트 본체의 가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너트 본체가 수축 변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원형 나사공이 타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조립방법은, 조립 대상인 타원형 나사공이 구비된 탄성변형너트를 변형소켓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하는 제1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된 탄성변형너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여 너트의 타원형 나사공이 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게 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볼트의 나사에 가압을 통해 변형된 탄성변형너트의 원형 나사공을 나사 결합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변형소켓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결합공에 가압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변형소켓의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구비되는 나사 체결공에 가압나사를 나사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된 가압나사를 조여서 가압나사가 가압부재를 압박하고 이에 조립 대상인 탄성변형너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측면 또는 양측 외측면 중 어느 한쪽이 가압되게 함으로써 탄성변형너트의 타원형 나사공이 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된 가압나사를 조이면 가압나사가 가압부재의 후단부를 압박하고, 이에 가압부재의 선단부가 탄성변형너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홈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를 결합공에 결합 시 결합공과 가압부재의 후단부 사이에 가압 틈을 두어 가압 틈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로 가압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가압나사를 풀어서 탄성변형너트의 가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탄성변형너트의 원형 나사공이 원상태의 타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면서 볼트의 나사에 밀착되게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및 변형소켓에 의하면 타원형 나사공이 구비되는 너트와 너트에 타원형 나사공을 가공하고 가공된 타원형 나사공을 조립 대상인 볼트에 용이하게 나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탄성변형 너트에 구비된 타원형 나사공은 조립 대상인 볼트의 접촉 나사산 반경방향 전체에 고르게 밀착되어 견고한 나사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너트 본체에 구비되는 둥근 가압홈의 크기와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너트 본체에 가해지는 밀착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결합공과 가압부재 사이의 가압 틈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를 조이면 되므로 가압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가 변형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가 변형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가 변형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가 변형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에 타원형 나사공을 가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나사공이 가공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를 볼트에 나사 체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는, 너트 본체(10) 및 너트 본체(10)에 구비되는 타원형 나사공(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본체(10)는 타원형 나사공(12)을 가공 시 외측면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외측면이 각이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너트 본체(10)의 외형은 6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타원형 나사공(12)은 너트 본체(10)의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는 양쪽 외측면 또는 양쪽 외측면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여 가압한 너트 본체(10)의 양쪽 외측면 간의 폭이 수축 변형 상태에서 원형 나사공을 가공한다. 너트 본체(10)의 양쪽 외측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원형 나사공을 가공하고 너트 본체(10) 양쪽 외측면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수축 변형되었던 너트 본체(1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원형 나사공이 타원형 나사공(12)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너트 본체(10)에 타원형 나사공(1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너트 본체(10)의 외측면에는 가압홈(13)이 구비된다. 가압홈(13)은 너트 본체(10) 외측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압홈(13)은 너트 본체(10)의 외측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가압홈(13)은 너트 본체(10)의 외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가압홈(13)은 너트 본체(10)의 가압 포인트로서 둥근 형태의 오목한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 본체(10)에 구비되는 둥근 가압홈(13)의 크기와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너트 본체(10)에 가해지는 밀착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압홈(13)을 제외한 너트 본체(10)의 외측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순홈(14)이 구비될 수 있다. 너트 본체(10)에 단순홈(14)이 구비될 경우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 탄성변형너트를 변형시킬 수 있다. 즉, 너트 본체(10) 양측면에 구비된 가압홈(13)을 가압하여 탄성변형너트를 변형할 때 너트 본체(10)에 단순홈(14)이 없을 경우 탄성변형너트를 변형하는데 힘이 많이 든다. 그러나 단순홈(14)이 있을 경우 단순홈(14) 부위를 중심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너트 본체(10)에 단순홈(14)이 없을 경우에 비하여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탄성변형너트를 변형시킬 수 있다. 물론, 너트 본체(10)에 단순홈(14)을 깊게 팔수록 탄성변형너트를 변형시킬 때 힘이 적게 든다.
도 1 내지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변형너트가 6각 너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4각 등 서로 마주보는 양쪽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각진 형태의 너트 또는 서로 마주보는 양쪽 외측면만 평면인 너트 등일 수 있다.
한편, 탄성변형너트의 제작 재료는 일반적인 너트 제작용 재료는 물론 탄성력이 강화된 너트 제작용 재료를 사용하여 탄성변형너트를 제작할 수 있다.
다음은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 조립을 위한 변형소켓의 구성을 설명한다.
변형소켓은, 수용공간(21)에 결합된 너트 본체(10)에 타원형 나사공(12)의 가공 및 가공한 타원형 나사공(12)을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조립 대상인 볼트에 나사 체결을 할 수 있게 하는 공구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변형소켓은 변형소켓 본체(20), 변형소켓 본체(20)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21), 변형소켓 본체(20)의 상면 좌우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결합공(22), 결합공(22)에 결합되는 가압부재(23), 변형소켓(20) 외측 양측면에 구비되는 나사 체결공(24), 가압부재(23)을 압박하여 가압부재(23)가 수용공간(21)에 결합된 너트 본체(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쪽 외측면을 가압하게 하는 가압나사(25) 및 변형소켓 본체(20) 상면에 구비되는 돌출부(26)를 포함한다.
변형소켓 본체(20)는 외형에 제한이 없으나 각진 형태보다는 너트 본체(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너트 본체(10)보다 크기가 큰 원통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공간(21)은 수용되는 너트 본체(10)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너트 본체(10)가 6각형일 경우 수용공간(21)도 6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공간(21)은 변형소켓 본체(2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너트 본체(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변형소켓 본체(20)의 저면에서 상향쪽으로 들어간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공(22)은 변형소켓 본체(20)의 상면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변형소켓 본체(20)의 상면 좌측에 형성되는 결합공(22)은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여 변형소켓 본체(20)의 상면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결합공(22)은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공(22)은 변형소켓 본체(20) 상면에서 저면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공된다.
가압부재(23)를 결합공(22)에 결합 시 결합공(22)과 가압부재(23)의 후단부 사이에 가압 틈(221)을 두어 가압 틈(221)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25)로 가압부재(23)를 가압한다. 가압 틈(221)을 통해 가압부재(23)의 가압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압 틈(221)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부재(23)를 가압하면 되므로 가압부재(23)에 불필요하게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23)는 결합공(22)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공(22)에 대응 결합된다. 가압부재(23)는 후단부(231) 및 선단부(232)를 포함한다. 후단부(231)는 가압나사(25)와 직접 접촉된다. 후단부(231)는 가압나사(25)에 의해 가압된다. 선단부(232)는 너트 본체(10)의 측면 쪽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선단부(232)는 후단부(231)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선단부(232)는 후단부(231)의 가로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선단부(232)의 선단면은 너트 본체(10)의 둥근 가압홈(13)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둥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232)는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나사 체결공(24)은 변형소켓 본체(20) 외측면 양쪽에 대향 형성된다. 나사 체결공(24)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나사 체결공(24)에는 가압나사(25)가 대응 체결된다. 나사 체결공(24)은 가압나사(25)가 나사 체결공(24)에 나사 결합되어 가압부재(23)를 가압할 수 있도록 결합공(22)과 연통된다. 나사 체결공(24)은 수용공간(21)에 수용되는 너트 본체(10)의 양측 외측면 쪽에 위치한다.
가압나사(25)는 나사 체결공(24)에 대응 체결된다. 가압나사(25)는 나사 체결공(24)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가압부재(23)를 압박하여 수용공간(21)에 수용된 너트 본체(10) 양쪽 외측면을 가압한다. 가압나사(25)의 후단면에는 렌치 등과 같은 조임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조임홀(251)이 구비된다. 조임홀(251)은 6각 조임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소켓 본체(20) 상면에는 돌출부(26)가 구비된다. 돌출부(26)는 변형소켓 본체(20)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26)는 변형소켓 본체(20)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26)는 지지부 또는 손잡이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3과 같이 변형소켓 본체(20)의 수용공간(21)에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10)를 결합한다. 그리고 결합공(22)에 가압부재(23)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나사 체결공(24)에 가압나사(25)를 체결한다.
도 4와 같이 가압나사(25)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너트 본체(10) 양쪽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을 가압한다. 즉 가압나사(25)를 조이면 가압나사(25) 선단이 가압부재(23)를 압박하고 너트 본체(10)의 가압홈(13)에 밀착된 가압부재(23) 선단부(232)가 너트 본체(10) 양측면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 틈(221)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25)로 가압부재(23)를 가압한다. 가압 틈(221)만큼만 가압나사(25)를 조이면 된다. 가압 틈(221)을 통해 가압나사(25)를 어느 정도의 힘으로 가압해야 하는지를 가늠할 수 있어 가압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가압부재(23)의 가압에 의해 너트 본체(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의 폭은 수축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너트 본체(10)의 중심에 원형 나사를 가공한다. 그런 다음 가압나사(25)를 풀어 너트 본체(1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다.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수축되었던 너트 본체(10)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원형 나사공은 타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된다.
타원형 나사공(12)의 가공 과정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즉, 도 5의 상단 그림과 같이 너트 본체(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을 가압하면 너트 본체(10)는 수축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너트 본체(10)의 중심에 원형 나사공(11)을 가공한다. 도 5의 하단 그림과 같이 너트 본체(10) 양측면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 상태에서 수축 변형되었던 너트 본체(1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원형 나사공(11)은 타원형 나사공(12)으로 변형된다. 도 5의 과정을 통해 타원형 나사공(12)이 구비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를 제작할 수 있다.
다음은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3과 같이 변형소켓 본체(20)의 수용공간(21)에 조립 대상인 타원형 나사공(12)이 구비된 탄성변형너트를 결합한다. 그리고 결합공(22)에 가압부재(23)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나사 체결공(24)에 가압나사(25)를 체결한다.
도 4와 같이 가압나사(25)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탄성변형너트의 양쪽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을 가압한다. 즉 가압나사(25)를 조이면 가압나사(25) 선단이 가압부재(23)를 압박하고 탄성변형너트의 가압홈(13)에 밀착된 가압부재(23) 선단부(232)가 탄성변형너트 양측면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 틈(221)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25)로 가압부재(23)를 가압한다. 가압 틈(221)만큼 가압나사(25)를 조이면되므로 가압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가압부재(23)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너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의 폭이 수축됨에 따라 타원형 나사공(12)이 원형 나사공(11)으로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조립 대상인 볼트에 변형된 원형 나사공(11)을 나사 체결한다. 그런 다음 가압나사(25)를 풀어 탄성변형너트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다.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수축되었던 탄성변형너트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원형 나사공은 타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고 볼트의 나사산 반경방향으로 긴밀히 밀착된다.
탄성변형너트의 조립 과정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즉, 도 6의 최상단 그림과 같은 타원형 나사공(12)을 도 6의 최상단 다음 그림과 같이 탄성변형너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을 가압하면 탄성변형너트가 수축 변형되면서 탄성변형너트의 타원형 나사공(12)이 원형 나사공(11)으로 변형된다.
변형된 원형 나사공(11)을 조립 대상인 볼트에 나사 체결한다. 그런 다음 도 6의 최하단 그림과 같이 탄성변형너트 양측면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 상태에서 수축 변형되었던 탄성변형너트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원형 나사공(11)이 타원형 나사공(12)으로 변형된다. 원형 나사공(11)에서 타원형 나사공(12)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타원형 나사공(12)은 볼트 나사산 반경방향으로 밀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너트 본체 11:원형 나사공
12:타원형 나사공 13:가압홈
14:단순홈 20:변형소켓 본체
21:수용공간 22:결합공
23:가압부재 24:나사 체결공
25:가압나사 26:돌출부
221:가압 틈 231:후단부
232:선단부 251:조임홀

Claims (20)

  1. 너트 본체; 및
    상기 너트 본체에 구비되는 타원형 나사공;
    을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나사공은,
    너트 본체의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는 양쪽 외측면 또는 양쪽 외측면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여 너트 본체가 수축 변형된 상태에서 너트 본체에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의 외측면에는,
    가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홈은,
    너트 본체 외측면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오목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5. 변형소켓 본체;
    상기 변형소켓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의 외형에 부합하면서 변형소켓 저면으로 부터 상향으로 들어간 형태의 수용공간;
    상기 변형소켓 본체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변형소켓 본체의 상면에서 저면을 향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대응 결합되는 가압부재;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변형소켓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나사 체결공; 및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 체결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용공간에 결합된 너트 본체 외측면이 가압되도록 가압부재를 압박하는 가압나사;
    를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 조립을 위한 변형소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나사에 의해 가압되는 후단부; 및
    상기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후단부의 가로 폭 보다 좁고 너트 외측면에 구비되는 둥근 형태의 가압홈에 밀착되는 선단부;
    를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 조립을 위한 변형소켓.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형소켓 본체에는,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 조립을 위한 변형소켓.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 조립을 위한 변형소켓.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나사의 후단면에는,
    조임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조임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 조립을 위한 변형소켓.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결합공에 결합 시 결합공과 가압부재의 후단부 사이에 가압 틈을 두어 가압 틈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로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 조립을 위한 변형소켓.
  11.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를 변형소켓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하는 제1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된 너트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여 너트 본체를 축소 변형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너트 본체가 축소 변형된 상태에서 나사공을 가공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변형소켓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결합공에 가압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변형소켓의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구비되는 나사 체결공에 가압나사를 나사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된 가압나사를 조여서 가압나사가 가압부재를 압박하고 이에 가공 대상인 너트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한쪽이 가압되게 함으로써 너트 본체가 수축 변형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된 가압나사를 조이면 가압나사가 가압부재의 후단부를 압박하고, 이에 가압부재의 선단부가 너트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홈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결합공에 결합 시 결합공과 가압부재의 후단부 사이에 가압 틈을 두어 가압 틈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로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수축 변형 상태의 너트 본체에 원형 나사공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너트 본체에 원형 나사공을 가공한 다음 가압나사를 풀어 너트 본체의 가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너트 본체가 수축 변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원형 나사공이 타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가공방법.
  16. 조립 대상인 타원형 나사공이 구비된 탄성변형너트를 변형소켓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하는 제1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된 탄성변형너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여 너트의 타원형 나사공이 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게 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볼트의 나사에 가압을 통해 변형된 탄성변형너트의 원형 나사공을 나사 결합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조립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변형소켓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결합공에 가압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변형소켓의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구비되는 나사 체결공에 가압나사를 나사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된 가압나사를 조여서 가압나사가 가압부재를 압박하고 이에 조립 대상인 탄성변형너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측면 또는 양측면중 어느 한쪽이 가압되게 함으로써 탄성변형너트의 타원형 나사공이 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조립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나사 체결공에 나사 결합된 가압나사를 조이면 가압나사가 가압부재의 후단부를 압박하고, 이에 가압부재의 선단부가 탄성변형너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홈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조립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결합공에 결합 시 결합공과 가압부재의 후단부 사이에 가압 틈을 두어 가압 틈이 없어질 때까지 가압나사로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조립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가압나사를 풀어서 탄성변형너트의 가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탄성변형너트의 원형 나사공이 원상태의 타원형 나사공으로 변형되면서 볼트의 나사에 밀착되게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변형소켓을 이용한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의 조립방법.
KR1020150076047A 2015-05-29 2015-05-29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KR101814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047A KR101814628B1 (ko) 2015-05-29 2015-05-29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047A KR101814628B1 (ko) 2015-05-29 2015-05-29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07A true KR20160140007A (ko) 2016-12-07
KR101814628B1 KR101814628B1 (ko) 2018-01-03

Family

ID=5757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047A KR101814628B1 (ko) 2015-05-29 2015-05-29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2049A (zh) * 2017-11-29 2018-04-20 中山市小榄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航空航天用柔性螺母收口装置
DE102017219238A1 (de) 2016-10-26 2018-04-26 Mando Corporation Gültigkeitsbestimmungsvorrichtung für einen bremsfluid-drucksensor und bestimmungsverfahren für die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95Y1 (ko) * 2008-05-06 2010-03-15 주식회사 세화 풀림 방지 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9238A1 (de) 2016-10-26 2018-04-26 Mando Corporation Gültigkeitsbestimmungsvorrichtung für einen bremsfluid-drucksensor und bestimmungsverfahren für diese
CN107932049A (zh) * 2017-11-29 2018-04-20 中山市小榄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航空航天用柔性螺母收口装置
CN107932049B (zh) * 2017-11-29 2020-11-10 深圳市泉胜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航空航天用柔性螺母收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628B1 (ko)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723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US20130004252A1 (en) Clamp Auxiliary Member and Cutting Tool with the Clamp Auxiliary Member
KR101814628B1 (ko)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KR101847354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제작방법
US9551151B2 (en) Apparatus for coupling reinforcing bar using hydraulic pressure
KR20100122548A (ko) 록킹 너트 어셈블리
KR101102103B1 (ko) 호스연결구의 조립방법
KR100939038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CN105370702A (zh) 一种弹性垫片紧固件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KR101187022B1 (ko) 볼트를 이용한 조립구조
KR102306910B1 (ko) 탄성수단을 이용한 결속구조를 갖는 다용도 체결장치
JP4045305B1 (ja) 管継手
KR101675982B1 (ko) 풀림방지 너트
JP3113812U (ja) クランプ金具
JP4687040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ための接続装置
KR101273857B1 (ko) 나사 체결 구조
JP4657271B2 (ja) 締め付け構造及び建築部材連結構造
JP3199619U (ja) 緩み止めナット
KR20160131692A (ko) 볼트 체결 구조체
KR200388166Y1 (ko) 풀림 방지용 스크류
KR200282018Y1 (ko) 핀 고정장치
JP2007144606A (ja) アダプター
JPH08260533A (ja) 水栓の取付構造
KR101888163B1 (ko) 스크류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