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877A -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877A
KR20160139877A KR1020150075730A KR20150075730A KR20160139877A KR 20160139877 A KR20160139877 A KR 20160139877A KR 1020150075730 A KR1020150075730 A KR 1020150075730A KR 20150075730 A KR20150075730 A KR 20150075730A KR 20160139877 A KR20160139877 A KR 2016013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esistance
heat
thin film
transparent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진
이승은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Priority to KR102015007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877A/ko
Publication of KR2016013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45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specially adapted for reflecting surfaces, e.g. bathroom - or rearview mirr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22Switches actuated by changing weight, level or centre of gr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25Switches actuat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유리; 상기 창유리 상에 형성된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 및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에 발열전압을 가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적어도 일부에 저항 조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창유리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heating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결로 방지를 위한 발열유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각 부위별로 발열온도를 달리할 수 있는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 창을 말하는데, 대부분 유리와 이를 둘러싸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특히 외벽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호의 기능은 외부의 기상변화에 대응하여 실내를 지키는 것이며, 외부의 소음이나 내부의 빛 등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창호의 유리는 벽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낮으므로, 창호의 유리 표면온도는 실내는 물론 벽면보다도 낮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실내 상대습도가 50%일 때 창호의 유리 표면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약 10℃ 이상 낮거나, 실내 상대습도가 70%인 경우에는 창호의 유리 표면 온도가 실내온도보다 약 5℃ 이상 낮으면 유리 표면에 결로가 발생한다.
결로현상 자체도 문제되지만 유리를 통해 빠져나가는 열로 인해 실내의 난방효과도 저하되는데, 약 35%의 에너지 손실이 창을 통해 일어난다. 창은 문, 벽, 지붕과 바닥, 환기구에 비해 월등히 많은 양의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고, 거실유리를 비롯한 창호가 커지면서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가 있는 실내공간에는 보온을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벽면의 경우 단열재를 넣거나 더 두껍게 만들어 단열을 강화하는 방법이 있지만 창이나 유리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난방효과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전면에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발열막을 코팅해서 발열막에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유리표면을 가열하여 유리의 단열성을 보완하는 발열 유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기술은 유리창 자체의 결로는 방지할 수 있지만 외부의 찬 공기에 의해 열손실이 많은 창틀과 창의 아래 부분에는 여전히 결로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열손실이 많은 창틀 또는 창의 하단부 근처의 온도를 더 높이 유지하여 효율적인 결로방지가 가능한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발열유리가 제공된다. 상기 발열유리는 창유리; 상기 창유리 상에 형성된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 및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에 발열전압을 가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적어도 일부에 저항 조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창유리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열유리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이 형성된 부분의 저항과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열유리에 있어서,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전류의 이동 경로가 길어져,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서 발열량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발열유리에 있어서, 상기 저항 조절 패턴에 의해서 상기 창유리의 상부는 상기 창유리의 하부보다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열유리에 있어서,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은 상기 창유리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패턴의 크기가 커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열유리에 있어서,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은 상기 창유리의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균일하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열유리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의 테두리는 에지 딜리션(edge deletion) 공정에 의해서 절연되고, 상기 테두리에 상기 창유리를 보호할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유리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구리, 은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발열유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발열유리의 제조방법은 창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창유리의 전면 상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에지 딜리션(edge deletion)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테두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적어도 일부에 저항 조절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에 발열전압을 가하도록 상기 창유리의 일측과 타측에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유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지 딜리션 공정은 레이저 스크라이빙(laser scribing) 방법, 에칭(etching) 방법 및 그라인딩(grinding)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넓은 유리 전면에 걸친 결로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이슬점은 일정한 압력하에서 온도를 내려서 공기가 포화되는 순간의 온도를 뜻하며, 공기를 서서히 냉각시켜 소정의 온도에 다다르면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맺히는 온도이다. 이슬점은 수증기의 양에 의해 결정되므로 공기 속에 있는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기준이 된다. 처음의 기온이 같더라도 상대습도가 다르면 이슬점은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 상대습도란, 현재 포함한 수증기량과 공기가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포화수증기량)의 비를 퍼센트(%)로 나타내는 것으로, 포화 수증기량은 온도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공기가 포함한 수증기량이 일정하여도 상대습도는 온도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일기예보에서 현재 습도가 100%라고 한다면, 모든 공간이 물로 가득 차있다는 뜻이 아니라 현재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량이 현재 온도의 포화 수증기량과 같다는 뜻이다. 창호의 경우 실내의 더운 공기가 찬 표면에 닿으면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고, 온도가 내려가면서 상대습도가 100%에 도달하게 되어 더 이상 기체 상태로 존재할 수 없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차가운 유리 표면에 달라붙는 결로현상이 일어난다. 실내 상대습도가 50%일 경우, 창호의 유리 표면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약 10℃이상 낮거나, 실내 상대습도가 70%인 경우에는 창호의 유리 표면 온도가 실내온도보다 약 5℃이상 낮으면 유리 표면에 결로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100)는 창유리(10)를 포함하며, 상기 창유리(10)의 전면 상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박막(20)을 형성할 수 있다. 발열유리(100)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에 발열전압을 가하도록 연결된 전극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열유리(100)는 전극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미도시), 창유리(10)의 표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표면온도 감지부(미도시), 실내온도 및 상대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실내환경 감지부(미도시) 및 실내환경 감지부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된 이슬점과 창유리(10)의 표면 온도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창유리(10)의 온도가 상기 이슬점보다 낮을 경우, 발열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발열유리(100)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이 코팅된 창유리(10)의 테두리에 에지 딜리션(edge deletion)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절연될 수 있다. 에지 딜리션 공정은 예를 들어,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이 형성된 창유리(10)의 테두리 중 일부에 레이저 스크라이빙(laser scribing) 방법, 에칭(etching) 방법 및 그라인딩(grinding)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절연된 창유리(10)의 테두리에는 창유리(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0)의 내부 즉, 창유리(10)의 테두리에는 상술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각 구성부(전극부(30), 전원부, 표면온도 감지부, 실내환경 감지부 및 제어부)가 배치됨으로써 각 구성부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 및 제어부는 사용자가 조절이 용이할 수 있도록 발열유리의 프레임 외부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박막은 가시광영역의 높은 투과율과 높은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만족하기 때문에 표시소자를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의 투명전극 재료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투명전극 재료로는 In2O3계, ZnO계 및 SnO2계를 중심으로 오래전부터 실용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들 재료 가운데 In2O3에 불순물로서 SnO2를 10wt% 도핑시킨 Indium Tin Oxide(이하, ITO)가 전기적 및 광학적 물성이 가장 뛰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표시소자 분야에 투명전극 재료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ITO의 원재료인 인듐(In)의 가격상승 및 인체에 유해한 독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 본 발명에서는 저렴한 가격과 높은 투과율, 낮은 저항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Fluorine doped Tin Oxide(이하, FTO)를 사용한다. FTO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 중 하나로 훌륭한 광학적, 전기적 성질 때문에 태양 에너지 관련 응용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FTO 박막은 다른 산화물 전도체에 비해 구부림에 강한 저항성을 보여준다. FTO 박막의 캐리어 전하 생성 원리는 불소 원자가 산소 원자의 자리를 치환하게 되면서 잉여 전자의 발생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다. FTO 코팅 유리는 비교적 높은 투과율(>80%)과 낮은 방사율(<0.20)을 가지고 있어 자체로도 하드 로이(hard low-E) 유리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전극부(30)는 창유리(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30)는 예를 들어, 구리 리본(Cu ribbon) 또는 은 페이스트(Ag paste)를 사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전원부(미도시)에서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창유리(10)의 일측에 배치된 전극부(30)로부터 창유리(10)의 타측에 배치된 전극부(3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유리(10)의 상단부에 (+)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창유리의 하단부에 (-) 전극이 형성될 경우, 발열유리(100)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창유리(10)의 상단부에 배치된 (+) 전극으로부터 하단부에 배치된 (-) 전극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 때, 창유리(10)의 전면 상에 코팅된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에 내포된 저항에 의해 발열이 생기게 되고,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에 구비된 저항 조절 패턴(40)에 의해서 전류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되면서 발열이 더 생기게 된다. 저항 조절 패턴(40)에 의해 정해진 저항값이 클수록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주택은 주로 바닥을 가열하는 난방형태를 취하므로 방이든 거실이든 바닥으로부터 가까운 부위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추운 날씨에 실외의 온도는 실내의 바닥부와 접한 부위이든 천정부와 접한 부위이든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창호의 유리창 표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바닥에 가까운 부위에서 실내공기와 온도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즉, 유리창의 실외부의 온도는 일정한데 비해 유리창과 접하는 실내부위에서는 바닥부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바닥부에 가까운 유리창 표면에서 실내공기와 가장 큰 온도 차이를 느끼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전극을 설치하고, 창의 상부와 하부의 저항 조절 패턴(40)의 크기를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발열유리(100)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창유리(10)의 상부와 하부의 저항을 달리 형성해야 하는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저항 조절 패턴(pattern, 40)을 형성함으로써 저항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저항 조절 패턴(40)은 예를 들어,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의 적어도 일부에 레이저 스크라이빙(laser scribing)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항 조절 패턴(40)은 레이저 스크라이빙 방법을 이용하여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을 제거하여 창유리(10)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전류는 저항 조절 패턴(40)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여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저항 조절 패턴(40)의 좌우로 연결된 부분으로 우회해야 하므로, 저항 조절 패턴(40)이 형성된 부분의 저항은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반면, 레이저의 펄스를 조절하여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일부만 제거함으로써 창유리(1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저항 조절 패턴(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항 조절 패턴(40)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여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류가 이동할 수는 있으나, 전류가 지나는 통로가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저항 조절 패턴(40)이 형성된 부분의 저항은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저항 조절 패턴(40)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광원의 파워(power)를 적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 광원의 교체 주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의 적어도 일부를 패터닝함으로써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을 따라 흐르게 되는 전류(I)의 이동 경로(60)를 보다 길게 형성하여 발열량이 많아지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유리(100)는 창유리(10)의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저항 조절 패턴(40)을 균일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창유리(10) 상부보다 창유리(10) 하부의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창유리(10) 하부에서의 발열량이 창유리(10) 상부에서의 발열량보다 더 많아진다.
예를 들어, 창유리(10)의 상부의 저항을 R1, 하부의 저항을 R2 라고 하면, R1<R2이고, R1과 R2는 직렬로 연결된 형태이기 때문에, 창유리(10)를 흐르는 전류는 I=I1=I2가 되고, 각 저항에 따른 발열량은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으로 표현된다.
[수학식 1]
P=I×V
(여기에서, P는 발열량이고, I는 전류이며, V는 인가되는 전압임)
[수학식 2]
P=I2×R
(여기에서, P는 발열량이고, I는 전류이며, R은 저항임)
상기 수학식 1은 옴의 법칙에 의해서 수학식 2로 표현되며, 수학식 2에 의해서 발열량은 저항값에 의해서 변하게 된다. 따라서, R1과 R2에서의 발열량은 다음의 수학식 3으로 표현 가능하다.
[수학식 3]
P1=I2×R1 < P2=I2×R2
(여기에서, P1은 저항 R1에서의 발열량이고, P2는 저항 R2에서의 발열량임)
위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저항 R2가 저항 R1보다 클 경우, 전류값은 동일하므로 발열량 P2가 발열량 P1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창유리(10)의 상부와 하부의 저항의 크기를 다르게 배치하되, 하부의 저항(R2)을 상부의 저항(R1)보다 더 커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창유리(10)의 상부보다 하부에서 발열량을 크게 하여 효율적으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발열유리(1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110)는 도 1에 도시된 발열유리(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열유리(110)에서, 저항 조절 패턴(40)은 창유리(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패턴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하는 발열량을 얻기 위해서 저항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전류(I)의 이동 경로(60)를 짧게 또는 길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용이하게 창유리(10)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열유리(110)에서, 저항 조절 패턴(40)은 하부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창유리(10)의 상부에 배치된 전극부(30)와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전극부(30)까지 저항 조절 패턴(4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창유리(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저항 조절 패턴(40)의 크기를 점점 크게 설계함으로써 전류(I)의 이동 경로(60)가 점점 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유리의 제조방법은 창유리(10)를 준비하는 단계(S100), 창유리(10)의 전면 상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을 형성하는 단계(S200), 에지 딜리션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의 테두리를 제거하는 단계(S300), 창유리(10)의 적어도 일부에 저항 조절 패턴(40)을 형성하는 단계(S400) 및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에 발열전압을 가하도록 창유리(10)의 일측과 타측에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발열유리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창유리(10) 전면 상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에 창유리의 테두리에서부터 안쪽으로 약 10㎜ 내지 15㎜의 범위만큼 에지 딜리션(edge deletion)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테두리를 제거할 수 있다. 에지 딜리션 공정은 예를 들어, 레이저 스크라이빙(laser scribing) 방법, 에칭(etching) 방법 및 그라인딩(grinding)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의 적어도 일부에 레이저 스크라이빙 방법을 이용하여 저항 조절 패턴(40)을 형성할 수 있다. 저항 조절 패턴(40)은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길이로 에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저항 조절 패턴(40)의 형상은 하는 발열량을 얻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저항 조절 패턴(40)은 창유리(10) 전면(全面) 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공정의 편의에 따라서 창유리(10)의 하부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20)의 일측 및 타측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극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부(3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석(Sn)이 코팅된 구리 리본 또는 은 페이스트(Ag paste)를 이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창 상에 투명전극(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고, 투명전극의 적어도 일부에 저항 조절용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유리창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발열유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창유리
20 :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
30 : 전극부
40 : 저항 조절 패턴
50 : 프레임
60 : 전류의 흐름

Claims (10)

  1. 창유리;
    상기 창유리 상에 형성된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 및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에 발열전압을 가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적어도 일부에 저항 조절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창유리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발열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이 형성된 부분의 저항과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발열유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전류의 이동 경로가 길어져,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서 발열량이 커지는,
    발열유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조절 패턴에 의해서 상기 창유리의 상부는 상기 창유리의 하부보다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저항값을 가지는,
    발열유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은 상기 창유리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패턴의 크기가 커지는 것인,
    발열유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조절 패턴은 상기 창유리의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균일하게 배치된 것인,
    발열유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의 테두리는 에지 딜리션(edge deletion) 공정에 의해서 절연되고, 상기 테두리에 상기 창유리를 보호할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발열유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구리, 은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된,
    발열유리.
  9. 창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창유리의 전면 상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에지 딜리션(edge deletion)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테두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의 적어도 일부에 저항 조절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에 발열전압을 가하도록 상기 창유리의 일측과 타측에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열유리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딜리션 공정은 레이저 스크라이빙(laser scribing) 방법, 에칭(etching) 방법 및 그라인딩(grinding)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열유리의 제조방법.
KR1020150075730A 2015-05-29 2015-05-29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9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30A KR20160139877A (ko) 2015-05-29 2015-05-29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30A KR20160139877A (ko) 2015-05-29 2015-05-29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877A true KR20160139877A (ko) 2016-12-07

Family

ID=5757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730A KR20160139877A (ko) 2015-05-29 2015-05-29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8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646B1 (ko) 도전성 투명박막을 갖는 시각 보조 장치
KR101818829B1 (ko)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CN101962270B (zh) 可电加热的玻璃板和该玻璃板的制造方法以及窗
KR101103453B1 (ko) 가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923671B2 (ja) 加熱可能なtco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ペイン
EA201591539A1 (ru) Оконное стекло с покрытием, отражающим тепловое излучение
DE19900759A1 (de) Überspannungsableitermagazin für die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Fang et al. Thermal performance analysis of an electrochromic vacuum glazing with low emittance coatings
KR20100011181A (ko) 발열 수단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461540B1 (ko) 발열 유리
EP3390316B1 (en) Glazing perimeter anticondensation coating technology
KR20160139877A (ko)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204180311U (zh) 一种电加热玻璃
CN2846682Y (zh) 智能电加热玻璃
KR101552230B1 (ko) 무늬부를 포함하는 발열 유리패널
KR101512444B1 (ko) 발열 유리패널
CN109805453B (zh) 一种基于金属纳米线的电子烟加热组件制作方法
JP2014218385A (ja) 透明導電膜ガラスヒーター
CN217925539U (zh) 一种可加热的透明窗户
KR20150123361A (ko) 발열 유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K2856842T3 (en) Thin film heater with pyramid shaped laser cut pattern
KR20090099759A (ko) 적외선 방사 손실 차단용 저방사 코팅막 제조
CN109451613A (zh) 一种能够电加热的窗玻璃
CN217390497U (zh) 电烤箱
CN214004443U (zh) 一种可加热镀膜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