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759A -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759A
KR20160139759A KR1020150075228A KR20150075228A KR20160139759A KR 20160139759 A KR20160139759 A KR 20160139759A KR 1020150075228 A KR1020150075228 A KR 1020150075228A KR 20150075228 A KR20150075228 A KR 20150075228A KR 20160139759 A KR20160139759 A KR 20160139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hlorohydrate
chloride hydrate
m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953B1 (ko
Inventor
박정환
정광헌
한미리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9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6Use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3/06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수화물 마이크로니들의 생산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니들의 생산 방법은 염화수화물을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에 고분자를 녹이거나, 고분자가 상기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염화수화물과 고분자가 포함된 혼합물을 몰드에 몰딩하는 단계; 몰딩 공정 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식히는 단계; 및 몰드로부터 마이크로 니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HYDRATED SALT MICRONEED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화수화물로부터 만들어진 마이크로 니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온도에서 액체상과 고체상 사이의 상전이가 일어나는 염화수화물로부터 마이크로 니들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약물전달체계는 크게 경구제, 주사제, 경피제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경구용은 가장 보편적이고 편리한 방법이지만 위장관에 인한 약물의 변성과 흡수의 한계가 발생하게 되고, 인슐린, 호르몬제와 같은 단백질 및 DNA 구성체의 경우 위장관에 의하여 대부분이 분해되어 효과적으로 이용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주사제 역시 약물전달에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주사바늘에 대한 환자의 고통과 거부감은 환자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뿐 아니라 전문 의료인의 도움이 필요하며, 반복된 투여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전달방식인 경피제가 개발되고 있다. 경피제의 경우 피부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위장장애를 피해갈 수 있으며, 약물 투여 시 발생되는 환자의 통증과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경피약물 전달의 경우 피부 최외각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에 의해 전달되는 약물의 분자량이 500 Da 이하만 가능하며, 약물의 종류에 따라 전달되는 양과 속도에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효과적인 약물전달체로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온도입법(iontophoresis), 전기영동(electrophoresis), 히팅(heating), 마이크로 니들(microneedle), 화학적 강화제(chemical enhancer) 등의 새로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역시 충분한 양의 약물을 전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약물의 종류에 따라 그 이용에 제한이 있다.
그 중 마이크로 니들의 경우 스킨 표면에 작은 구멍을 ž어 약물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약물전달의 목적에 따라 90~1500㎛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피부 최외각층인 각질층에 물리적으로 구멍을 뚫는 것으로 그 구멍을 통하여 약물을 전달하게 된다. 특히 용융성 마이크로 니들은 다양한 약물의 경피전달을 위해 연구 개발되고 있는데 피부 투과 후 체액에 의해 용융되는 수용성 물질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용융 마이크로 니들 시스템의 경우 체액에 의해 용융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최소 수십분이상이 걸려 니들 표면 혹은 내부에 있는 약물의 정량 전달을 위해서는 니들을 피부에 찌르는 시간이 수분에서 수십분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제조 공정이 수용성 고분자가 물에 녹아있는 수용액을 몰드에 붓고 용매의 증발을 이용하는 솔벤트 캐스팅(solvent casting) 방법이기 때문에 오랜 건조시간에 의해 제조 공정이 오래 걸린다.
본 발명은 염화수화물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니들을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염수화물의 빠른 용융 속도를 이용하지만 수화물의 낮은 기계적 강도 때문에 피부 투여가 불가능했던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하는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 방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염화수화물로부터 상전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마이크로 니들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염수화물의 빠른 용융속도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니들의 피부 내 투여시간이 단축되는 마이크로 니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화된 염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니들을 제작하여 피부 투과후 빠른 수화염의 빠른 용융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빠르게 전달한다.
특정온도에서 상전이를 발생하는 염화수화물에 기계적 강도를 위해 특정 상전이 물질에만 녹거나 흡수를 하는 수용성 혹은 흡수성 고분자를 이용한다.
이렇게 준비된 염화수화물과 고분자를 용융 온도 이상으로 올려 마이크로몰딩 공정을 이용하여 감압 하에서 빠르게 몰드로부터 복사 공정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은 염화수화물과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은 염화수화물을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에 고분자를 녹이거나, 고분자가 상기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염화수화물과 고분자가 포함된 혼합물을 몰드에 몰딩하는 단계; 몰딩 공정 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식히는 단계; 및 몰드로부터 마이크로 니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은 용융속도가 매우 빨라서 수분의 짧은 투여 시간으로 용융에 의해 피하 내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염화 수화물의 특성상 액체상과 고체상을 전이하기 때문에 용매를 제거하는 하는 건조과정이 필요 없고 전이온도가 낮아서 유효성분을 내포시키기 쉬우며 20도에서 60도 사이의 낮은 전이온도로 마이크로 니들 제작 조건이 까다롭지 않다.
본 발명은 기존의 수용성 고분자로 제작된 용융 마이크로 니들이 오랜 투여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에 반해 수분내의 빠른 시간 내에 용융에 의해 원하는 양의 약물을 피부층에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은 낮은 전이온도의 용융성 염화 수화물에 유효성분이 내포된 형태이기 때문에 수분 내에 수 mg부터 수십 mg 이상의 약물의 경피 정량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용매의 증발이 필요없는 용융 염화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초의 공정 시간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낮은 전이온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작조건이 용이하다.
또한, 다른 상전이 물질에 비해 소량의 특정 고분자의 첨가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이미지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고 바로 제거 후 염료로 염색 후 피부 위에서 찍은 광학 이미지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고 5분 후에 제거 후 니들 형태의 변화를 SEM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6는 형광물질인 calcein이 내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7는 도 6의 형광물질인 calcein이 내포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돼지피부에 5분간 투여 후 제거하고 찍은 피부를 형광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염화수화물로부터 만들어진 마이크로니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온도에서 액체상과 고체상 사이의 상전이가 일어나는 염화수화물로부터 마이크로 니들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은,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염화수화물을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용융시키는 단계(S20)와,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분리된 물에 고분자를 녹이거나, 고분자가 분리된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단계(S30)와, 염화수화물과 고분자가 포함된 혼합물을 감압 조건에서 몰드에 몰딩하는 단계(S40)와, 몰딩 공정 후 상온으로 식히는 단계(S50)와, 몰드로부터 마이크로 니들을 분리하는 단계(S60)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S10)에서는, 공지된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기술로 PDMS(polydimethylsiloxane)와 같은 탄성체 몰드를 제조하여 이를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PDMS 몰드를 제조하는 기술은 일종의 플라스틱 가공기술로서 캐스팅(casting), 인젝션(injection), 핫-엠보싱(hot-embossing)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몰딩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웨이퍼, 글래스 등의 기판 상에 감광물질을 코팅하고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하면 결과적으로 마스터(master)가 만들어진다. 이를 주형으로 PDMS를 캐스팅하고 소결시키면, 스탬프 기능을 하는 PDMS 몰드를 완성할 수 있다.
그 다음 과정으로, 염화수화물을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용융시키는 단계이다 (S20). 염화수화물은 상전이에 의하여 고유의 상전이 온도에서 고체상과 액체상을 전이하는 물질이다. 또한, 염화수화물은 다량의 물분자를 함유하고, 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서 체액을 만났을 때 빠르게 용융될 수 있다.
염화수화물, 즉 상전이 물질로는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CH3COONa.3H2O) 10, Mn(NO3)6H2O, CaCl2 ·6H2O, LiNO3 ·3H2O, Na2SO4 ·10H2O, Na2HPO4 ·10H2O, MgCl2 ·6H2O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전이 물질의 역할은 상전이에서 발생되는 용융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니들 제작 공정 중 용매 제거 공정을 없애 빠르고 간편하며 경제적으로 니들을 제작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염의 빠른 용융 속도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투여 후 빠른 용융으로 니들 투여 시간을 줄임을 목적으로 한다.
염화수화물의 상전이에 의해 염화수화물 결정의 고체는 물이 분리되어 액체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액상의 염화 수화물에 CMC 등의 고분자를 녹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액체에 전달 대상이 되는 약물을 녹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고분자는 수용성 고분자 또는 고흡습성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에 녹거나,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을 흡수할 수 있다(S30).
염화수화물 자체로는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생체 적합한 수용성 고분자를 0.1 - 10 %의 영역에서 첨가해준다. 적당한 물질이 첨가되면 용융된 수화물에 용해가 되어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고 투명하게 보인다. 상기 첨가제로 적당한 생체 적합성 물질은 히아루로닉 산(hyaluronic acid),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CMC), 싸이클로덱스트린, 폴리 아크릴산으로 제작된 고흡습성 고분자 (super absorbent polymer) SAP 및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의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염화수화물과 증점제가 포함된 물질을 마이크로몰드, 예를 들면, PDMS 몰드의 구멍에 주입하고 용융 온도 이상으로 올려 감압하에서 몰딩 단계(S40)와, 몰딩 공정 후 상온으로 식히는 단계(S50) 및 상기 마이크로 몰드를 제거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준비된 마이크로 니들의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고 바로 제거 후 염료로 염색 후 피부 위에서 찍은 광학 이미지로서, 제작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성공적 피부투과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고 5분 후에 제거 후 니들 형태의 변화를 SEM으로 관찰한 이미지로서, 도 3의 마이크로 니들이 빠르게 피부 투과후 빠르게 용융됨을 나타낸다.
도 6는 형광물질인 calcein이 내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로서, 도 3의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내에 유효성분을 내포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는 도 6의 형광물질인 calcein이 내포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돼지피부에 5분간 투여 후 제거하고 찍은 피부를 형광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CH3COONa.3H2O) 10 그램을 담은 바이알 용기를 70도의 중탕물에 넣고 용융 시킨다. 상전이에 의해 결정의 고체는 액체로 바뀌게 되고 여기에 0.01부터 1그램 사이의 carboxy-methyl cellulose를 녹인다. 형성된 혼합물을 준비된 Poly-di-methyl-siloxane 마이크로 니들 몰드에 붓고 80도 진공오븐에서 약 1분간 감압공정 (50 kPa)에서 몰드 내부를 채운다. 샘플을 오븐으로부터 제거 후 니들을 상온에서 고화한다 (solidified). 이 때, 제작된 염화 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이미지는 도 3와 같다.
실시예 2.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CH3COONa.3H2O) 10 그램을 담은 바이알 용기를 80도의 중탕물에 넣고 용융 시킨다. 상전이에 의해 결정의 고체는 액체로 바뀌게 되고 여기에 0.05부터 1그램 사이의 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녹인다. 이때 준비된 CMC의 농도는 염화수화물의 질량에 대비하여 0.5, 1, 3,5 그리고 7% 이며 각각의 혼합물을 용융 후 1 센티미터 직경과 0.5 센티미터 높이의 디스크 형태로 몰드로부터 다시 상온에서 식혀 고체의 디스크를 준비 후 물에 넣어 용융되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속도를 CMC로만 제작된 디스크의 용해 속도와 비교하였는데 그 이유는 여태까지 대부분의 용융성 마이크로 니들이 CMC로부터 제작되니 때문이다. 각각의 CMC를 함유한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의 용해 속도는 다음 표와 같다. 표에서 보듯이 수용성 고분자인 CMC의 용해도가 동일 실험 방법으로 측정시 0.0003 g/min에 비교했을 때 약 100배에서 1000배 정도 빠르게 용해됨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3.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작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중 0, 0.5, 1, 3, 5, 7 %의 CMC가 함유된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로 돼지피부에 3kg의 힘으로 찌르고 제거 후 trypan blue로 피부표면을 염색 후 표면에 남은 염료를 제거하고 형성된 구멍을 관찰하였다. 형성된 구멍의 개수는 니들 어레이에 있는 니들 100 개와 비교하며 5% CMC 경우 투과율은 90% 이상이며 피부이미지는 도 4과 같다. 도 4는 제작된 염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성공적 피부투과를 나타낸다. 이 실험을 통해 제작된 염화 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이 성공적으로 피부를 통과할 만한 기계적 강도를 결정하게 된다. 마이크로 니들의 투여 정도는 다음 표와 같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작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중 3 %의 CMC가 함유된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로 돼지피부에 3kg의 힘으로 5분간 찌르고 니들을 제거 후 니들의 용융에 의한 형태 변화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5에서 보듯이 5분후 니들은 완전히 용융되었으며 5분내에 모든 유효성분이 피부내로 전달되었다. 이는 기존 CMC 혹은 다른 수용성 고분자가 30분이상의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점 (참고문헌 : Polymer(Korea), Vol. 37, No. 3, pp. 393-398) 에 비추면 빠른 전달 시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마이크로 니들이 빠르게 피부 투과후 빠르게 용융됨을 나타낸다.
실시예 5.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CH3COONa.3H2O) 10 그램을 담은 바이알 용기를 80도의 중탕물에 넣고 용융 시킨다. 상전이에 의해 결정의 고체는 액체로 바뀌게 되고 여기에 0.5 그램의 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녹인다. 이어서, 칼세인 (calcein) 용액 모델 약물인 칼세인 용액 50mM의 100 ml를 80도의 용융된 하여 칼세인 용액을 넣고 마이크로니들 몰드에 붓고 50 kPa의 감압에서 몰드를 채우고 상온에서 식힌 후 니들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니들의 이미지는 도 6와 같다. 도 3의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내에 유효성분을 내포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수득한 카세인을 포함한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 위에 접촉시킨 후 3kg의 힘으로 마이크로 니들에 압력을 가하였다. 니들을 5분 후에 제거 후 피부조직을 위에서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7은 본 실시예 5분간의 용융 후 피부 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와 7을 참고하면, 니들이 빠르게 용융되어 피부에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7)

  1. 염화수화물과 고분자를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수화물은 고유의 상전이 온도에서 고체상과 액체상을 전이하는 물질인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수용성 고분자 혹은 고흡습성 고분자이고, 상기 염화수화물의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상기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에 녹거나 흡수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수화물은 다량의 물분자를 함유하고 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체액을 만났을 때 빠르게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수화물은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CH3COONa.3H2O) 10, Mn(NO3)2.6H2O, CaCl2.6H2O, LiNO3.3H2O, Na2SO4.10H2O, Na2HPO4.10H2O, MgCl2.6H2O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니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로는 히아루로닉 산(hyaluronic acid),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CMC), 싸이클로덱스트린, 폴리 아크릴산으로 제작된 고흡습성 고분자 (super absorbent polymer) SAP을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함량은 0.1 %에서 20%를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함량은 0.5 %에서 10% 사이를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9. 염화수화물을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에 고분자를 녹이거나, 고분자가 상기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염화수화물과 고분자가 포함된 혼합물을 몰드에 몰딩하는 단계;
    몰딩 공정 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식히는 단계; 및
    몰드로부터 마이크로 니들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수화물을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용융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염수화물을 담은 용기를 80도의 중탕물에 넣고 용융시키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수화물은 고유의 상전이 온도에서 고체상과 액체상을 전이하는 물질인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수화물은 염화 아세테이트 3수화물(CH3COONa.3H2O) 10, Mn(NO3)2.6H2O, CaCl2.6H2O, LiNO3.3H2O, Na2SO4.10H2O, Na2HPO4.10H2O, MgCl2.6H2O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수용성 고분자 혹은 고흡습성 고분자이고, 상기 염화수화물의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 상기 염화수화물에서 분리된 물에 녹거나 흡수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로는 히아루로닉 산(hyaluronic acid),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CMC), 싸이클로덱스트린, 폴리 아크릴산으로 제작된 고흡습성 고분자 (super absorbent polymer) SAP을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함량은 0.1 %에서 20%를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함량은 0.5 %에서 10% 사이를 포함하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수화물과 고분자가 포함된 혼합물을 몰드에 몰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염화수화물과 고분자가 포함된 혼합물을 PDMS몰드에 붓고 진공오븐에서 감압공정에서 상기 몰드 내부를 채우는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의 제작방법.
KR1020150075228A 2015-05-28 2015-05-28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KR101751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228A KR101751953B1 (ko) 2015-05-28 2015-05-28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228A KR101751953B1 (ko) 2015-05-28 2015-05-28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759A true KR20160139759A (ko) 2016-12-07
KR101751953B1 KR101751953B1 (ko) 2017-07-03

Family

ID=5757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228A KR101751953B1 (ko) 2015-05-28 2015-05-28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9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122A (ko) * 2017-09-22 2019-04-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비만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WO2019098485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이크로니들 연속 제조용 장치 및 공정
CN111467668A (zh) * 2020-04-17 2020-07-31 南京鼓楼医院 一种基底具有微吸盘结构的微针阵列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0250210A1 (en) 2019-06-10 2020-12-17 University College Cork -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Cork Microneedl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5646A2 (en) * 2000-12-14 2003-09-24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icroneedle devices and production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122A (ko) * 2017-09-22 2019-04-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비만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WO2019098485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이크로니들 연속 제조용 장치 및 공정
CN111344131A (zh) * 2017-11-15 2020-06-26 株式会社Lg生活健康 用于连续制造微针的装置和工艺
US11511463B2 (en) 2017-11-15 2022-11-29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microneedles
WO2020250210A1 (en) 2019-06-10 2020-12-17 University College Cork -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Cork Microneedl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N111467668A (zh) * 2020-04-17 2020-07-31 南京鼓楼医院 一种基底具有微吸盘结构的微针阵列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953B1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4455B2 (ja) 治療剤の送達のためのマイクロアレイ、使用方法および製造方法
Zhang et al. Microneedles fabricated from alginate and maltose for transdermal delivery of insulin on diabetic rats
KR101747099B1 (ko)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KR101931845B1 (ko) 마이크로니들 용착법
KR101224939B1 (ko) 활성 성분의 흡수 속도가 개선된 마이크로니들
CN103501852B (zh) 微结构体的制造方法
KR101751953B1 (ko) 염화수화물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ES2691259T3 (es) Dispositivo de microagujas
BR112018011936B1 (pt) Microestrutura para absorção transdérmica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a mesma
JP2016512754A5 (ko)
JP2016528971A (ja) 相転移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調製過程
CN114146046B (zh) 具有多层结构的涂层微针、其制备方法及包含该涂层微针的微针贴片
CN110870943A (zh) 一种可植入型两段式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WO2021244630A1 (zh) 一种耐热型可植入式聚合物微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Tomono A new way to control the internal structure of microneedles: a case of chitosan lactate
JP2018502927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ワクチンパッチ用ミョウバン含有コーティング製剤
Hwa et al. Analyzing polymeric matrix for fabrication of a biodegradable microneedle array to enhance transdermal delivery
CN105771082A (zh) 一种空管丝素微针给药系统及其制备方法
JP7398606B2 (ja) 微小構造アレイ成形型を形成するハイブリッド方法、微小構造アレイを作製する方法、および使用方法
WO2021047628A1 (zh) 一种缓释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102227989B1 (ko) 미세 구조체 기반 약물 주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917465B (zh) 一种自发热微针载药贴片及其制备方法
CN205913633U (zh) 一种空管丝素微针给药系统
JPWO2019059265A1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及び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187439B1 (ko) 마이크로니들 패취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피부 생체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